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독재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독재자는 한 사람이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며 통치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어원은 라틴어 'dictator'로, 고대 로마에서는 비상시 임시로 임명되어 권력을 행사하는 관직이었으나, 술라 이후 부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로마 공화정, 프랑스 혁명, 20세기 파시즘과 나치즘 등 다양한 시기에 나타났으며, 개인 독재, 일당 독재, 군부 독재 등 유형이 존재한다. 독재자는 언론 통제, 비밀 경찰 운용, 폭력적인 수단 사용 등 다양한 정치 수법을 통해 권력을 유지하며, 서구 언론의 '독재자' 용어 사용에 대한 편향성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원수 - 포데스타
    포데스타는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도시 국가의 최고위 행정관을 지칭하는 용어로, 행정, 사법, 군사 등 다양한 권한을 행사했으며, 도시 내부 갈등 중재를 위해 외부 출신 인사가 임명되기도 했다.
  • 국가원수 - 총독
    총독은 역사적으로 특정 지역이나 식민지를 통치하는 직책을 의미하며, 시대와 국가에 따라 역할과 권한이 달랐고, 현재는 영연방 왕국 등에서 유지되고 있다.
  • 독재 - 일당제
    일당제는 하나의 정당만이 합법적이거나 권력을 독점하는 정치 체제로, 헌법이나 법률로 규정되기도 하지만 야당 탄압 등으로 구분이 모호해지기도 하며, 정책 결정에 있어 반대 의견 부재로 잘못된 정책이 시행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 독재 - 전제군주제
    전제군주제는 군주가 최고의 권력을 독점하여 국민의 참여 없이 통치하는 정치 체제로, 중세 후기 봉건제 발전 과정에서 등장하여 왕권신수설로 정당화되었으나, 계몽주의 시대 이후 쇠퇴하여 현대에는 일부 국가에서만 유지되고 있다.
  •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칭호 - 마쓰다이라씨
    마쓰다이라씨는 기원이 불분명하나 세이와 겐지 닛타씨의 후예로 여겨지기도 하고 가모씨나 스즈키씨의 일족일 가능성도 있으며 미카와국 유래설이 가장 널리 알려진 일본의 무가로, 14세기경 미카와 마쓰다이라 마을에 세력을 확립한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배출하고 에도 시대까지 이어졌다.
독재자
지도
기본 정보
정의절대 권력을 가진 정치 지도자
로마자 표기dokjaeja
영어dictator
특징
권력절대적 권력을 행사
권위강력한 권위주의적 통치
합법성법적 정당성 결여
민주주의민주적 견제 부재
세습권력 세습 가능
장기 집권장기 집권 경향
억압반대파 탄압 및 억압
역사
로마고대 로마의 로마 독재관
현대현대의 독재자
관련 용어
권위주의권위주의 체제
전체주의전체주의 체제
군사 독재군사 독재
독재 정치독재 정치
절대주의절대주의
폭정폭정
폭군폭군
압제압제
독재자독재자 (영화)

2. 어원

"독재자"라는 단어는 라틴어 ''dictātor''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반복해서 말하다, 명령하다'라는 뜻의 ''dictare''에서 파생된 명사이다.[4][5] 고대 로마에서는 국가 비상시에 임명된 '독재관(dictātor)'은 제한된 기간 동안 전권을 행사하는 임시직이었으며, 초기에는 부정적인 의미를 갖지 않았다.[6] 그러나 술라(Cornelius Sulla)가 술라의 내전 이후 독재관에 오르면서 이 용어는 점차 권력 남용과 억압의 의미를 띠게 되었는데, 그는 1세기 이상 만에 로마에서 최초의 독재관이 되었으며 사실상 임기 제한과 원로원의 승인 필요성을 없앴다.

술라는 약 1년 후 독재관 직에서 물러났고, 몇 년 후 사망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기원전 49년에 술라의 선례를 따랐고, 기원전 44년 2월에는 Dictator perpetuo|영구 독재관la으로 선포되어 권력에 대한 모든 제한을 공식적으로 없앴으며, 다음 달 암살될 때까지 그 권력을 유지했다. 카이사르 암살 후 그의 후계자인 아우구스투스는 독재관이라는 칭호를 제안받았지만 거절했다. 이후 후임 로마 통치자들도 독재관 칭호를 사용하지 않았다.

3. 역사

고대 로마에서 비상시 원로원으로부터 임명된 관직인 독재관은 "독재"라는 용어의 기원으로 여겨진다.[44] 로마 공화정의 독재관은 국가 비상사태에 임명되어 6개월간 국정을 혼자서 장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기원전 44년,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자신을 종신 독재관으로 임명하면서 공화정은 실질적으로 변질되었고, 이는 1인 지배가 상례가 된 원수정(프린키파투스, 이른바 로마 제국)의 초석이 되었다. 다만 로마 황제는 형식상 군주가 아닌 시민이며, 공화국의 수호자로 여겨졌다.

근대에는 프랑스 혁명 이후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 등이 테러 정치를 행했다. 그 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군사 정권을 수립하고 국민투표를 통해 프랑스 황제가 되었다. 그러나 이것들은 명목상 프랑스 혁명의 이상을 방어하는 것이었고, 프랑스 황제는 종래의 왕과 달리 공화국을 지배하는 자로 여겨졌다. 프랑수아 노엘 바부프는 완전 평등주의를 위한 “계급 독재”를 주장했다.[44]

1875년, 카를 마르크스는 저서 『고타 강령 비판』에서 부르주아 사회에서의 의회 제도 민주주의는 소수의 부르주아 세력에게만 정치 참여가 허용되고 다수인 프롤레타리아에게는 정치 참여의 길이 열리지 않아 프롤레타리아가 소외 상태에 있다고 주장하며, 자본주의 사회에서 공산주의 사회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프롤레타리아 독재가 필요하다고 했다.

베니토 무솔리니 (1945년. 군의 시찰.)


20세기 초, 파시즘을 주창한 베니토 무솔리니로마 진군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로부터 총리로 임명되어 연립 정권을 구성하고, 선거법 개정 및 총선거를 통해 독재 체제를 확립했다. 국가 사회주의(나치즘)를 주창한 아돌프 히틀러총통에 취임하여 독재 체제를 확립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후 국제 연합에 의한 세계 인권 선언은 모든 사람의 자유권,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표현의 자유, 평등한 보통선거에 의한 참정권 등을 명기했다.[45] 그러나 국제인권규약의 자유권규약에는 제한적인 “비상사태에 있어서의 예외 조항”도 함께 명시되었다.

3. 1. 고대

"독재자"라는 단어는 라틴어 ''dictātor''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반복해서 말하다, 주장하다, 명령하다'라는 뜻의 ''dictare''에서 파생된 명사이다.[4][5] 고대 로마 공화정 초기에는 국가 비상사태 시 독재관(dictātor)이라는 임시 직책에 임명된 자에게 제한된 기간 동안 전권을 부여했다. 본래 이 직책은 긴급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합법적인 임명이었으며, 현대와 같은 부정적인 의미는 없었다.[6]

그러나 기원전 1세기경 술라(Cornelius Sulla)가 내전 이후 독재관에 오르면서 이 용어는 부정적인 의미를 띠게 되었다. 술라는 100년 이상 공석이었던 독재관 직에 오르면서, 사실상 임기 제한과 원로원의 승인 필요성을 없앴다. 그는 약 1년 후 사임하여 헌법 위기를 피했지만, 그의 선례는 이후 율리우스 카이사르에게 영향을 미쳤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기원전 49년에 술라의 선례를 따라 독재관이 되었고, 기원전 44년 2월에는 Dictator perpetuo|종신 독재관la으로 선포되어 권력에 대한 모든 제한을 공식적으로 없앴다. 그는 다음 달 암살될 때까지 이 권력을 유지했다. 카이사르 암살 후, 그의 후계자인 아우구스투스는 독재관 직함을 제안받았지만 거절했다. 이후 로마 통치자들 사이에서 독재관 칭호 사용은 줄어들었다.

고대 로마에서는 비상시에 원로원으로부터 임명된 관직인 독재관을 '독재'라고 불렀다.[44] 로마 공화정의 독재관은 국가 비상사태에 임명되어 6개월 동안 국정을 혼자 장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기원전 44년,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자신을 종신 독재관으로 임명하여 공화정을 변질시켰다. 이는 1인 지배가 일반화된 원수정(프린키파투스, 이른바 로마 제국)의 기반이 되었다. 그러나 로마 황제는 형식상 군주가 아닌 시민이며, 공화국의 수호자로 여겨졌다.

3. 2. 근대

프랑스 혁명 이후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는 테러 정치를 통해 반대파를 숙청하고 권력을 강화했다.[44] 그 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하고 국민투표를 통해 프랑스 황제에 즉위했다. 프랑수아 노엘 바뵈프는 완전 평등주의 실현을 위한 '계급 독재'를 주장했다.[44]

3. 3. 현대

1848년 헝가리 혁명 당시, 국가 지도자 코슈트 류이그는 지지자와 반대자 모두에게 부정적인 의미 없이 독재자로 불렸는데, 그의 공식 직함은 섭정 대통령이었다.[9] 1860년 천 명의 원정 중 시칠리아에 임시 행정부를 구성할 때, 주세페 가리발디는 공식적으로 "독재자"라는 직함을 사용했다(가리발디의 독재 참조).[9]

1875년, 카를 마르크스는 저서 『고타 강령 비판』에서 부르주아 사회에서의 의회 제도 민주주의는 소수인 부르주아 세력에게만 정치 참여가 허용되고, 다수인 프롤레타리아에게는 정치 참여의 길이 열리지 않아, 그 때문에 프롤레타리아는 소외 상태에 있다고 하여, 자본주의 사회에서 공산주의 사회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프롤레타리아 독재가 필요하다고 했다.

20세기 초, 파시즘을 주창한 베니토 무솔리니로마 진군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로부터 총리로 임명되어 연립 정권을 구성하였다. 이후 선거법 개정(선거에서 25% 이상의 득표율을 얻은 제1당이 의회 의석의 3분의 2를 획득)과 총선거를 통해 독재 체제를 확립하고, 노동 조합 해산, 언론 출판 단속, 두체(Duce) 취임, 국가 파시스트당 이외 정당의 총선거 참가 금지 등을 실시했다.

국가 사회주의(나치즘)를 주창한 아돌프 히틀러는 저서 『나의 투쟁』에서 민주주의는 폭정이며, 독일 민족에는 강한 지도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총리 취임 후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을 이유로 공산당원들을 예방 구금하고, 전권 위임법을 통해 정부가 입법권을 장악했으며, 정당 금지법으로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 이외의 정당을 금지하여 독재 체제를 확립했다. 이후 국민투표를 통해 대통령 직을 겸한 새로운 직책인 총통에 취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후 국제 연합에 의한 세계 인권 선언은 모든 사람의 자유권,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표현의 자유, 평등한 보통선거에 의한 참정권 등을 명기했다.[45] 그러나 국제인권규약의 자유권규약에서는, 동일한 자유권과 동시에, 제한적인 “비상사태에 있어서의 예외 조항”도 함께 명시되었다.

3. 4.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을 겪으며 권위주의적인 통치를 경험했다. 이승만 대통령은 장기 집권을 위해 헌법을 개정하고 반대파를 탄압하는 등 권위주의적인 통치를 했다. 박정희 대통령은 5.16 군사정변을 통해 집권하여 유신헌법을 선포하고 장기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 이는 경제 성장의 기반을 마련했지만, 민주주의와 인권을 억압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전두환 대통령은 12.12 군사반란과 5.18 민주화운동 유혈진압을 통해 집권하고, 권위주의적인 통치를 이어갔다. 1987년 6월 민주 항쟁은 대한민국 민주주의 발전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민주적인 정부 수립이 이루어졌다.

4. 독재자의 정치 수법

독재자는 언론, 출판, 방송, 인터넷 등 모든 매체를 통제하고 검열하여 여론을 조작하고 반대 의견을 억압한다. 비밀경찰, 정보기관 등을 동원하여 반체제 인사들을 감시, 탄압하고, 정치범 수용소 등을 운영하여 인권을 유린한다.[22] 군중 선동, 개인숭배, 선전 등을 통해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고 정당화한다.[17] 예를 들어 베니토 무솔리니아돌프 히틀러는 군중 선동의 대가였고, 요셉 스탈린이나 프란시스코 프랑코는 평범한 연설가였다. 이들은 모든 매체를 장악하고 반대 세력을 검열하거나 제거했으며, 카리스마적 지도자 신격화를 중심으로 한 강력한 선전을 매일 퍼뜨렸다.

부정부패, 재산 축적 등을 통해 사익을 추구하며, 국가 재정을 낭비한다. 정적 제거, 반대파 숙청, 학살 등 폭력적인 방법을 사용하며, 전쟁 범죄나 집단 학살을 자행하기도 한다. 스탈린의 대숙청, 히틀러의 홀로코스트, 폴 포트킬링필드가 대표적인 예시이다.[26][27]

독재자는 방송, 신문, 잡지 등 모든 매체에서 언론 통제를 한다. 현대에는 인터넷 상의 사이트나 SNS도 차단하고 검열한다. 글이 강제로 삭제되거나, 사이트가 폐쇄되거나, 게시자가 체포되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만리방화벽이 구축되어 있어, 서구권이나 일본에서 자유롭게 접속할 수 있는 웹사이트, 심지어 위키피디아조차 접속할 수 없도록 차단되어 있다. 중국 국민들은 세계 인터넷으로부터 차단되어 있는 것이다. 독재자가 있으면 위키피디아도 검열되어 변조되거나, 기술적으로 접속 불가능하도록 차단된다. 2022년 3월에는 벨라루스에서 러시아어 위키피디아에 게시글을 많이 작성한 이용자가 체포되었다.[43]

5. 유형

독재의 유형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군부 독재''': 군부가 정권을 장악하고 통치하는 체제이다. 과거 대한민국의 박정희, 전두환 정권, 미얀마 군사정권 등이 이에 해당한다.

6. 비판 및 논의

플라톤은 저서 『국가』에서 철인왕에 의한 독재 정치를 이상적으로 보았으나, 후기 저작 『법률』에서는 과두제적 요소를 가진 정치를 옹호했다.[42] 장 자크 루소는 『사회계약론』에서 인민의 일반 의지에 통치자와 인민 모두 복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2] 존 스튜어트 밀은 『자유론』에서 다수결의 폭정을 비판하고 개인의 자유를 옹호했다.[42] 카를 슈미트는 『정치적인 것의 개념』에서 의회 민주주의를 비판하고, 예외 상태에서 결단을 내리는 자가 주권자라고 주장했다. 또한 독재제와 폭정의 차이는 '구체적인 예외성'의 유무에 있다고 보았다.[42]

서구 언론에서 '독재자'라는 용어 사용은 좌파 성향 단체인 페어니스 앤드 액커러시 인 리포팅(Fairness & Accuracy in Reporting)에 의해 "우리가 좋아하지 않는 정부를 위한 코드"로 비판받았다.[35] 이들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권위주의적이라고 여겨지지만 미국과 동맹 관계에 있는 폴 비야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와 같은 지도자들은 '독재자'라고 거의 불리지 않는 반면, 미국 정책에 반대하는 국가의 지도자인 니콜라스 마두로나 바샤르 알 아사드에게는 그 용어가 훨씬 더 자유롭게 적용된다.[35]

7. 현대적 용례

현대 권위주의 지도자들은 부정적이고 경멸적인 의미 때문에 공식 직함에 '독재자'라는 용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대부분 대통령이라는 직함을 사용한다.[30] 그러나 19세기에는 공식적으로 사용된 경우가 더 흔했다.


  • 시칠리아 독재 정부 (1860년 5월 27일 – 11월 4일): 주세페 가리발디가 천 명의 원정 중 시칠리아를 통치하기 위해 임명한 임시 행정부였다. 이 정부는 국민투표를 통해 시칠리아의 이탈리아 합병이 비준되면서 해산되었다.[31]
  • 폴란드: 마리안 랑기에비치(Marian Langiewicz)는 1863년 3월 자신을 독재자로 선포하고 폴란드 정부 수립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32] 로무알드 트라우구트(Romuald Traugutt)는 1863년 10월 17일부터 1864년 4월 10일까지 폴란드 독재자였다.[33]
  • 필리핀 독재 정부 (1898년 5월 24일 – 6월 23일): 필리핀의 반란 정부였으며, 에밀리오 아기날도(Emilio Aguinaldo)가 독재자라는 직함으로 이끌었다.[34] 이 정부는 아기날도를 대통령으로 하는 혁명 정부로 대체되었다.

8. 독재 풍자

찰리 채플린은 영화 《독재자》에서 독재자를 풍자하는 영화를 제작하고 주연했다.[17] 이 영화에서 채플린은 다른 나라까지 침략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들려는 독재자의 모습을 풍자했다.[18]

참조

[1] 논문 Lessons in On-Line Reference Publishing http://dx.doi.org/10[...] 2001-07-01
[2] 논문 The Dictator Effect: How long years in office affect economic development 2015-01-01
[3] 논문 Dictatorship, Democracy, and Development 1993-01-01
[4] 웹사이트 Charlton T. Lewis, Charles Short, A Latin Dictionary, dicto https://www.perseus.[...] 2024-01-17
[5] 웹사이트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www.oed.com/v[...]
[6] 서적 A history of Rome http://worldcat.org/[...] Wiley-Blackwell 2009-01-01
[7] 간행물 Freedom in The World 2017 – Populists and Autocrats: The Dual Threat to Global Democracy https://freedomhouse[...] Freedom House 2017-01-31
[8] 웹사이트 Democracy Index 2017 – Economist Intelligence Unit https://web.archive.[...] 2018-02-17
[9] 백과사전 Lajos Kossuth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0-09-15
[10] 뉴스 The brutal central African dictator whose playboy son faces French corruption trial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6-09-12
[11] 뉴스 The Five Worst Leaders In Africa http://www.forbes.co[...] Forbes 2012-02-09
[12] 뉴스 Obituary: Idi Amin https://www.theguard[...] 2003-08-18
[13] 웹사이트 Atatürk, Ghazi Mustapha Kemal (1881–1938) https://www.encyclop[...] 2023-09-18
[14] 서적 The Curtain Rises: Oral Histories of the Fall of Communism in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4-01-01
[15] 뉴스 What Singapore can teach us https://www.washingt[...] 2012-05-02
[16] 서적 The Spanish Civil War Harper & Row 1977-01-01
[17] 서적 Propaganda and Dictatorship Princeton UP 2007-03-01
[18] 서적 Caudillos: Dictators in Spanish America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92-01-01
[19] 뉴스 Syria's war: If this isn't a red line, what is? https://www.economis[...] 2013-08-21
[20] 뉴스 Syria gas attack: death toll at 1,400 worst since Halabja http://www.theweek.c[...] 2013-08-22
[21] 웹사이트 Syria, Russia, and the Global Chemical Weapons Crisis https://www.armscont[...] 2021-09-01
[22] 웹사이트 Gulag Prisoner Population Statistics from 1934 to 1953 2016-07-16
[23] 뉴스 Remembering the dark days of China's Cultural Revolution https://www.scmp.com[...] 2012-08-18
[24] 서적 A Nation of Enemies: Chile Under Pinochet W.W Norton & Company 1993-01-01
[25] 웹사이트 The Holocaust https://www.national[...] 2021-07-15
[26] 잡지 Top 15 Toppled Dictators https://web.archive.[...] 2011-10-20
[27] 뉴스 Architect of Genocide Was Unrepentant to the End http://www.highbeam.[...] 1998-04-17
[28] 웹사이트 Scholar and Patriot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20-04-05
[29] 웹사이트 Giuseppe Garibaldi (Italian revolutionary) https://www.britanni[...] 2014-03-06
[30] 서적 Dictatorship in the Nineteenth Century: Conceptualisations, Experiences, Transfers Routledge 2021-01-01
[31] 서적 Dictatorship in the Nineteenth Century Routledge 2021-01-01
[32] 백과사전 Langiewicz, Maryan
[33] 논문 Polish Society and the Insurrection of 1863 1967-01-01
[34] 웹사이트 The First Philippine Republic http://nhcp.gov.ph/t[...] National Historical Commission 2012-09-07
[35] 웹사이트 Dictator: Media Code for 'Government We Don't Like' https://fair.org/hom[...] 2019-04-11
[36] 뉴스 Idi Amin: a byword for brutality http://www.news24.co[...] News24 2003-07-21
[37] 서적 Diplomacy with a Difference: The Commonwealth Office of High Commissioner, 1880–2006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38] 서적 大辞泉
[39] 웹사이트 Merriam Webster https://www.merriam-[...]
[40] 웹사이트 Lexico, definition of autocracy https://www.lexico.c[...]
[41] 논문 The Dictator Effect: How long years in office affect economic development http://journals.camb[...] 2015
[42] 논문 Dictatorship, Democracy, and Development 1993
[43] 웹사이트 ロシア語版ウィキペディアのトップ編集者が逮捕される https://gigazine.net[...]
[44] 웹사이트 dictator – Definition from the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http://www.merriam-w[...]
[45] 웹사이트 世界人権宣言 http://www.ohchr.org[...]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