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셰미수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셰미수 2세는 1257년 비엘코폴스카 공작 프셰미수 1세의 아들로 태어났다. 포즈난 공작을 거쳐 1279년 비엘코폴스카 공작이 되었고, 포메렐리아를 공동 통치하며 폴란드 통일을 추진했다. 1290년 폴란드 대공이 되었고, 1295년 폴란드 국왕으로 즉위하며 216년 만에 폴란드 왕국을 부활시켰다. 그러나 1296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의 신하들에게 납치되어 암살당했다. 그의 사후 보헤미아의 바츨라프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57년 출생 - 쩐 인종
    쩐 인종은 쩐 왕조의 제3대 황제로, 몽골의 침략을 격퇴하고 죽림선종을 창시하여 베트남 불교 발전에 기여한 성군이다.
  • 1296년 사망 - 교황 첼레스티노 5세
    교황 첼레스티노 5세는 은수자 출신으로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나 5개월 만에 자진 퇴위하여 교황 역사상 드물게 퇴위한 교황으로 기록되었으며,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어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고 교황 사임의 선례로 재조명되고 있다.
  • 1296년 사망 - 왕응린
    왕응린은 남송 시대의 학자이자 관료로, 권신과의 불화로 순탄치 않은 관료 생활을 했지만 은퇴 후 학문 연구에 매진하여 『옥해』, 『곤학기문』 등 후세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 살해된 13세기 군주 - 쿠투즈
    쿠투즈는 1260년 아인 잘루트 전투에서 몽골 제국을 격퇴하여 이슬람 세계를 보호하는 데 기여한 맘루크 왕조의 인물이다.
  • 살해된 13세기 군주 - 알렉시오스 4세 앙겔로스
    알렉시오스 4세 앙겔로스는 찬탈당한 아버지의 제위를 되찾기 위해 제4차 십자군을 끌어들였으나, 약속 불이행과 과도한 세금으로 폐위되어 살해당했고, 그의 통치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약탈과 비잔티움 제국 쇠퇴를 야기했다.
프셰미수 2세
기본 정보
1296년 폴란드 국왕 프셰미수 2세의 왕좌에 앉은 모습과 왕실 휘장이 담긴 인장
1296년 왕실 휘장과 함께 왕좌에 앉은 프셰미수 2세를 묘사한 인장
칭호폴란드 국왕
재위 기간1295년 – 1296년
대관식1295년 6월 26일 그니에즈노 대성당
선임 국왕관대한 볼레스와프 2세
후임 국왕바츨라프 2세
칭호2폴란드 고공
재위 기간21290년 – 1291년
선임 국왕2헨리크 4세 프로부스
후임 국왕2바츨라프 2세
칭호3비엘코폴스카 공작
재위 기간31279년 – 1296년
선임 국왕3프셰미수 1세
후임 국왕3łokietek
배우자메클렌부르크의 루드그arda
스웨덴의 리헤자
브란덴부르크의 마르가레테
자녀보헤미아 여왕 엘리자베트 리헤자
왕가피아스트 왕조
아버지비엘코폴스카의 프셰미수 1세
어머니브로츠와프의 엘리자베트
출생일1257년 10월 14일
출생지포즈난, 폴란드 왕국
사망일1296년 2월 8일
사망지로고지노, 폴란드 왕국
매장지성 베드로-바울 대성당 (포즈난)
종교로마 가톨릭교
이름
폴란드어Przemysław

2. 생애

프셰미수 2세는 미에슈코 3세의 후손이자 비엘코폴스카 공작 프셰미수 1세의 외아들로, 아버지가 사망한 1257년에 태어났다. 어머니는 실롱스크 공작 헨리크 2세 경건공의 딸인 엘주비에타 브로츠와프스카이다. 그는 태어나면서부터 포즈난 공작이었으며, 1279년에는 아들이 없던 숙부 볼레스와프 포보주니의 뒤를 이어 비엘코폴스카 공작위를 계승했다.

그의 통치 기간은 주변 공작들과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전개되었다. 1277년에는 레그니차 공작 볼레스와프 2세 로가트카가 브로츠와프 공작 헨리크 4세를 납치하자, 그워구프 공작 헨리크 3세 그워구프스키 등과 연합하여 이에 맞섰으나 스톨레츠 전투에서 패배하고 포로가 되기도 했다. 1281년에는 오히려 헨리크 4세에게 사로잡혀 비엘룬 지역을 할양하고 충성을 맹세해야 하는 굴욕을 겪었다.

1282년 켕프노 조약을 통해 후사가 없던 포메렐리아 공작 므시치부이 2세와 공동 통치자가 되었고, 1294년 므시치부이 2세가 사망하자 그단스크를 포함한 포메렐리아 전역을 상속받아 영토를 확장했다. 또한 1287년에는 서포메라니아 공작 보구스와프 4세와 동맹을 맺어 포메라니아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했다.

1290년, 폴란드 대공을 겸했던 헨리크 4세가 사망하자 그의 유언에 따라 크라쿠프 공작위를 계승하며 폴란드 대공이 되었다. 그러나 보헤미아 국왕 바츨라프 2세의 압력으로 크라쿠프 통치권을 곧 상실했다. 그럼에도 프셰미수 2세는 로마 가톨릭교회, 특히 그니에즈노 대주교 야쿠프 시빈카의 강력한 지지를 받으며 분열된 폴란드의 재통합을 추진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1295년 6월 26일, 그니에즈노 대성당에서 폴란드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이는 1079년 볼레스와프 2세 이후 216년 만에 이루어진 폴란드 국왕 대관식으로, 폴란드 왕국의 부활을 알리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그러나 그의 통치는 오래가지 못했다. 국왕 즉위 불과 8개월 만인 1296년 2월 8일,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과 폴란드 내부 귀족 가문(나웽치 가문, 자렘바 가문 등)의 사주를 받은 세력에 의해 로고지노에서 납치 시도 중 암살당했다.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폴란드 통일 과정을 잠시 좌절시켰고, 그의 왕위는 경쟁자였던 보헤미아의 바츨라프 2세에게 넘어갔으며, 그의 영토였던 비엘코폴스카는 브와디스와프 1세와 헨리크 3세 그워구프스키 사이의 분쟁 대상이 되었다.

2. 1. 초기 생애

프셰미수 2세는 미에슈코 3세의 후손으로, 비엘코폴스카 공작 프셰미수 1세와 그의 아내 엘주비에타 브로츠와프스카 사이에서 태어난 다섯 번째 자녀이자 외아들이다. 그의 어머니 엘주비에타는 실롱스크 공국의 공작 헨리크 2세 경건공의 딸이다. 프셰미수 2세는 1257년 10월 14일 포즈난에서 태어났는데, 이는 그의 아버지가 사망한 지 4개월 후였다. 《대폴란드 연대기》(''Kronika wielkopolska'')에 따르면, 그가 아침에 태어났으며, 과부 공작 부인 엘리자베트가 아들을 낳았다는 소식에 도시의 부제와 교회 참사회원들이 아침 기도를 불렀다고 한다.[15] 그의 탄생 소식을 들은 지역 성직자들은 감사의 찬송인 Te Deum laudamus|테 데움 라우다무스lat를 불렀다.[16]

프셰미수 2세는 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동시대 사람들이 사용했던 이름의 형태는 "프셰미수" 또는 "프셰미쉴"로 발음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늘날 przemysł|프셰미수pol라는 단어가 경제 용어인 '산업'(industry|인더스트리eng)을 의미하기 때문에, 그의 이름이 더 중세적인 형태인 "프셰미스와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9] 《코와프카 연보》(''Rocznik Kołbacki'')에서는 그를 페테르( Piotr|피오트르pol)라고 언급하기도 하지만,[20] 역사학자 오스왈트 발처는 이를 명백한 실수로 간주했다.[21] K. 구르스키만이 페테르라는 이름을 실제 이름으로 인정했다.[22] 당시 자료에는 그의 별명에 대한 정보가 없으나, 1335년 튜턴 기사단 관련 자료에서 "키나스트"(''Kynast'')라는 별명이 언급된다.[23] 현대 역사학에서는 그를 아버지 사후에 태어났다는 의미로 "사후자"(Pogrobowiec|포그로보비에츠pol)라고 부르기도 하지만,[24]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명칭은 아니다.

출생 직후, 프셰미수 2세는 포즈난 주교 보구파우 3세에게 세례를 받았다.[17] 그는 태어날 때부터 포즈난 공국의 명목상 통치자였으나, 실제 공국 관리는 삼촌인 볼레스와프 경건공과 그의 아내인 헝가리 공주 욜렌타(헬레나)가 맡았으며, 어머니 엘리자베트도 함께 참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5] 어린 프셰미수는 어머니의 보살핌 아래 포즈난 궁정에서 자랐다. 그러나 1265년 1월 16일, 어머니 엘리자베스가 모드제의 영지에서 사망하자, 고아가 된 프셰미수와 그의 여동생들은 삼촌과 이모의 보살핌을 받게 되었다.

프셰미수 2세가 받은 교육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다. 외교 문서에는 그의 스승으로 드라 고미르와 프시비슬라프라는 이름만 남아 있다.[26] 직접적인 증거는 없지만, 그가 최소한 라틴어를 읽고 쓸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7]

2. 2. 포즈난 공작 시절

1257년 아버지 프셰미수 1세가 사망하자 포즈난 공작으로 즉위했다. 당시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삼촌인 비엘코폴스카 공작 볼레스와프 포보주니가 섭정을 맡았다.

1272년 프셰미수 2세는 삼촌 볼레스와프 포보주니에 의해 브란덴부르크에 대한 군사 원정의 명목상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이는 프셰미수 2세가 공식 기록에 처음 등장하는 사건이다. 원정의 실제 지휘는 포즈난의 총독 프제드페우크와 칼리슈의 성주 얀코가 맡았으며, 젊은 공작은 이 원정을 통해 전쟁 기술을 배우는 기회를 가졌다.[28] 원정의 목표는 스트젤체 크라옌스키에에 새로 건설된 요새를 점령하거나 파괴하고, 노이마르크 지역을 약화시키는 것이었다. 5월 27일에 시작된 원정은 성공적이어서, 격렬한 전투 끝에 스트젤체 크라옌스키에 시를 점령했다. 연대기에 따르면, 프셰미수 2세는 요새 함락 후 방어군 학살을 명령했으나, 폴란드 기사들의 만류로 일부는 목숨을 건졌다.[29] 원정에서 돌아오는 길에 프셰미수 2세는 드레즈덴코 요새의 수비가 허술하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소규모 병력으로 기습 공격을 감행했다. 기습에 놀란 독일 기사들은 사면을 조건으로 항복했고, 프셰미수 2세는 삼촌의 이름으로 요새를 점령하고 귀환했다.[30]

같은 해, 프셰미수 2세는 포메라니아 공작 므시치부이 2세와 동맹을 맺었다. 메스트빈 2세는 이전에 브란덴부르크와 동맹을 맺고 그단스크 지역을 할양했으나, 이를 되찾기 위해 볼레스와프 포보주니와 프셰미수 2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31] 이 동맹 덕분에 그단스크 요새를 탈환하고 브란덴부르크 세력을 포메라니아에서 몰아낼 수 있었다. 이후 메스트빈 2세는 브란덴부르크와 별도의 평화 조약을 맺었지만, 프셰미수 2세와의 동맹 관계는 유지되었다.[32]

1273년 프셰미수 2세는 포즈난 공작령을 직접 통치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삼촌과의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 시기 브로츠와프 공작 헨리크 4세와 동맹 관계를 맺었다.

1277년, 레그니차 공작 볼레스와프 2세 로가트카독일 국왕 루돌프 1세와 동맹을 맺고 프셰미수 2세의 조카이자 동맹인 브로츠와프 공작 헨리크 4세를 납치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프셰미수 2세는 그워구프 공작 헨리크 3세 그워구프스키 및 보헤미아 국왕 오타카르 2세와 연합하여 볼레스와프 2세 로가트카와 그의 아들 헨리크 5세 브주하티에게 맞섰다. 그러나 1277년 4월 24일 스톨레츠(Stolec) 전투에서 패배하여 헨리크 3세와 함께 포로로 잡히는 수모를 겪었다.

프셰미수 2세가 1278년 문서에서 고스틴과 브제지에에 마그데부르크 권을 부여하는 모습.

2. 3. 비엘코폴스카 공작 시절

1277년 레그니차 공작 볼레스와프 2세 로가트카독일의 국왕 루돌프 1세와 동맹을 맺고 자신의 조카이자 브로츠와프 공작인 헨리크 4세를 납치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프셰미수 2세는 그워구프 공작 헨리크 3세 그워구프스키Henryk III głogowskipol, 보헤미아의 국왕 오타카르 2세와 동맹을 맺고 볼레스와프 2세 로가트카와 그의 아들 헨리크 5세 브주하티Henryk V Brzuchatypol에게 맞섰다. 그러나 1277년 4월 24일 벌어진 스톨레츠(Stolec) 전투(스트제시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헨리크 3세와 함께 포로로 잡히는 수모를 겪었다.

1279년에는 아들이 없이 사망한 숙부 볼레스와프 포보주니의 뒤를 이어 비엘코폴스카 공작으로 즉위했다. 프셰미수 2세의 비엘코폴스카 상속은 비교적 평화롭게 이루어졌으며, 이는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브로츠와프 공국과의 국경을 제외하고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통치 초기에는 포즈난 주교 얀 게르비치, 자렘바 가문의 안제이, 그니에즈노 보이보드 센지보이 등 여러 귀족들에게 의존하여 통치 기반을 다졌다.[74][75] 이 시기 프셰미수 2세는 주변국들과 대체로 우호적이거나 중립적인 관계를 유지했다.[76]

그러나 1281년 2월, 헨리크 4세 프로부스가 주최한 회의에 참석했다가 예상치 못한 배신을 당했다.[77] 헨리크 4세는 환대의 규칙을 어기고 프셰미수 2세를 포함한 세 명의 공작(레그니차의 헨리 5세 비아위, 그워구프의 헨리 3세)을 감금하고 정치적 양보를 강요했다.[78] 이는 불과 4년 전 스톨레츠 전투에서 프셰미수 2세와 헨리크 3세가 헨리크 4세를 구하기 위해 싸웠던 사실을 고려할 때 더욱 부당한 처사였다.[79] 결국 프셰미수 2세는 전략적 요충지인 비엘룬 지역을 헨리크 4세에게 넘겨주고 그의 봉신이 될 것을 맹세하는 조건으로 풀려났다.[81] 그의 감금은 오래가지 않아 3월 3일에는 포즈난으로 돌아왔지만, 이는 굴욕적인 경험이었다.

프셰미수 2세의 석방에는 레셰크 2세 쵸르니와 포메렐리아 공작 므시치부이 2세의 개입이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82] 특히 므시치부이 2세는 자신의 후계자 문제와 튜턴 기사단과의 영토 분쟁 해결을 위해 프셰미수 2세와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했다.[83][84] 두 사람의 후계 논의는 1281년경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85] 1282년 2월 15일 켕프노에서 공식적인 조약(켕프노 조약)이 체결되었다.[86][87][88] 이 조약은 므시치부이 2세 사후 프셰미수 2세가 그단스크 포메라니아를 상속받아 비엘코폴스카와 포메라니아를 통합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조약의 정확한 성격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지만, 므시치부이 2세가 생전에 프셰미수 2세에게 영토를 기증한 것(''donatio inter vivos'')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91] 이 조약 이후 프셰미수 2세는 공식적으로 '포메라니아 공작'(''dux Pomeranie'')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1284년 9월 나크워에서 열린 양 지역 귀족 회의에서 조약의 내용이 최종 승인되었다.[93]

프셰미수 2세와 메스트빈 2세 사이의 조약을 기념하는 켕프노 시의 기념석


1284년 전반기에는 덴마크브란덴부르크 편에 서서 서포메라니아 및 뤼겐과의 분쟁에 잠시 참여했으나 큰 성과는 없었다.[110] 같은 해 크라쿠프 공작 레셰크 2세 쵸르니와 시에라츠에서 만나 우호 관계를 다졌으며,[111] 이후 레셰크 2세와 그의 형제, 튜턴 기사단 간의 분쟁을 중재하기도 했다.[112]

그러나 1284년 말, 칼리시에서 화재가 발생하고[114] 총독이었던 젘지보이 자렘바가 이를 빌미로 헨리크 4세 프로부스에게 성을 넘기려 반란을 일으키는 사건이 발생했다.[116] 프셰미수 2세는 즉시 군대를 이끌고 칼리시를 포위하여 반란을 진압했지만, 그 대가로 오워보크 성을 헨리크 4세에게 넘겨주어야 했다.[117] 이후 1285년에는 반란에 연루된 것으로 의심되는 베냐민 자렘바 등 자렘바 가문 인사들을 잠시 투옥하기도 했으나, 곧 관대하게 복권시켰다.[119][120][121]

1287년 6월, 프셰미수 2세 휘하의 기사들이 오워보크를 기습 공격하여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129][130] 또한 비슷한 시기에 1281년 잃었던 비엘룬 지역도 되찾았다.[131] 헨리크 4세 프로부스는 이에 대해 무력 대응을 하지 않았는데, 이는 아마도 크라쿠프 왕위 계승 문제에 집중하기 위해 프셰미수 2세의 중립을 확보하려 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같은 해 11월 23일, 프셰미수 2세는 스웁스크에서 므시치부이 2세, 포메라니아 공작 보구스와프 4세와 만나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과 뤼겐의 비츠슬라프 2세에 공동으로 대항하는 동맹을 강화했다. 이 협정에는 만약 프셰미수 2세와 므시치부이 2세가 모두 후사 없이 사망할 경우, 그단스크를 보구스와프 4세에게 상속한다는 내용도 포함되었다.[132] 이 동맹은 브란덴부르크와의 관계를 더욱 악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133] 이 조약은 1291년 8월 나크워 회담에서 재확인되었다.

1294년 12월 25일, 므시치부이 2세가 그단스크에서 사망하자[188] 켕프노 조약에 따라 프셰미수 2세는 포메렐리아(그단스크 포메라니아) 전역을 상속받았다. 그는 므시치부이 2세의 장례식에 참석했으며,[189] 이후 "폴란드와 포메라니아 공작"(''dux Polonie et Pomoranie'')이라는 새로운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190] 그는 1295년 4월 초까지 그단스크 포메라니아에 머물며 상속 문제를 처리했다.[191]

2. 4. 폴란드 대공 시절

1290년 브로츠와프 공작이자 폴란드 대공이었던 헨리크 4세 프로부스가 자녀 없이 사망하자[150], 그의 유언[151]에 따라 프셰미수 2세는 크라쿠프 공작위를 계승하며 폴란드 대공의 지위에 올랐다.[153] 헨리크 4세의 유언은 프셰미수 2세에게 산도미에시 공작령 또한 유증했으나, 이 지역은 이미 쿠야비 공작 브와디스와프 1세 엘보우-하이가 점령하고 있었기 때문에[159] 프셰미수 2세는 실질적인 지배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산도미에시 공작 칭호도 사용하지 않았다. 헨리크 4세가 가까운 친척이 아닌 프셰미수 2세에게 크라쿠프를 상속한 것은 당시로서는 예상 밖의 일이었으며,[154] 그니에즈노 대주교 야쿠프 시빈카가 헨리크 4세의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156]

프셰미수 2세는 1290년 여름 크라쿠프에 도착하여[161] 대공으로서 통치를 시작했다. 그는 바벨 성을 거점으로 삼고, 지역의 유력 귀족들과 성직자, 도시민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했으며,[162][163][164] 헨리크 4세가 사용하던 왕관을 쓴 독수리 문장을 자신의 문장으로 채택하여 군주로서의 권위를 나타내고자 했다. 그러나 그의 실질적인 권력은 크라쿠프와 인근 지역에 한정되었던 것으로 보인다.[166]

프셰미수 2세의 크라쿠프 통치는 오래가지 못했다. 보헤미아의 강력한 군주 바츨라프 2세가 소폴란드에 대한 야심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바츨라프 2세는 레셰크 2세 흑공의 미망인이자 자신의 이모인 할리치의 그리피나로부터 권리를 양도받았다는 주장과 독일 국왕 루돌프 1세로부터 폴란드 왕위를 인정받았다는 명분[169]을 내세워 크라쿠프 계승권을 요구했다. 바츨라프 2세의 막강한 군사력과 재정, 그리고 보헤미아와 소폴란드 간의 문화적 유대감은 많은 지역 귀족들이 그를 지지하게 만들었다.[170]

군사적으로 열세였던 프셰미수 2세는 바츨라프 2세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피하고 외교적 해결을 모색했다. 1290년 10월, 그니에즈노에서 열린 시노드[171]에서 야쿠프 시빈카 대주교의 중재 아래, 프셰미수 2세는 금전적 보상을 받는 조건으로 크라쿠프에 대한 권리를 바츨라프 2세에게 양도하기로 결정했을 가능성이 크다.[172] 결국 1291년 초, 프셰미수 2세는 문서에서 크라쿠프 공작 칭호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았고,[173] 같은 해 4월에는 보헤미아 군대가 바벨 성에 진주하여 크라쿠프는 바츨라프 2세의 수중에 넘어갔다.[174] 프셰미수 2세는 1290년 가을 크라쿠프를 떠나면서 볼레스와프 2세 시대부터 대성당에 보관되어 오던 폴란드 왕관과 왕실의 상징물들을 비엘코폴스카로 가져갔는데,[168] 이는 그가 비록 크라쿠프는 잃었지만 폴란드 전체의 군주가 되려는 야망을 버리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크라쿠프 상실 이후에도 프셰미수 2세는 비엘코폴스카를 기반으로 폴란드 내 가장 유력한 공작으로서 폴란드 통합 운동을 지속했다. 그는 실롱스크 지역의 글로구프 공작 헨리크 3세 그워구프스키와 긴밀한 동맹 관계를 맺었다. 이들 사이에 맺어진 조약의 내용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프셰미수 2세가 남자 후계자 없이 사망할 경우 헨리크 3세가 비엘코폴스카를 상속받기로 약속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75][176]

또한 1293년 1월에는 칼리시에서 브와디스와프 1세 엘보우-하이 및 그의 동생인 레치차 공작 카시미르 2세 (웽치차)와 회담을 가졌다. 이 회담은 야쿠프 시빈카 대주교의 주선으로 이루어졌으며,[178] 주된 목적은 바츨라프 2세에 대항하는 폴란드 공작들의 연합을 강화하는 것이었다. 세 공작은 크라쿠프를 되찾기 위해 서로 협력하고, 탈환 후의 계승 순서(프셰미수 2세 → 브와디스와프 1세 → 카시미르 2세)를 정하는 협약을 맺었다.[177] 이 자리에서 프셰미수 2세는 자신이 아들 없이 사망할 경우 브와디스와프 1세에게 비엘코폴스카를 상속한다는 약속을 했을 가능성도 있는데,[179] 이는 앞서 헨리크 3세와 맺은 약속과 상충될 수 있는 내용이었다. 또한 이 회의를 계기로 브와디스와프 1세와 프셰미수 2세의 사촌인 칼리시의 헤드비가의 결혼이 논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81] 이러한 외교적 노력들은 비록 즉각적인 군사적 성과로 이어지지는 못했지만, 분열된 폴란드를 통합하려는 프셰미수 2세의 지속적인 의지와 교회 세력의 적극적인 지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행보였으며, 훗날 프셰미수 2세가 폴란드 국왕으로 즉위하는 기반이 되었다.

2. 5. 폴란드 국왕 즉위

1290년 폴란드 대공을 겸했던 브로츠와프 공작 헨리크 4세가 자식 없이 사망하자, 그의 유언에 따라 프셰미수 2세는 크라쿠프산도미에시를 획득하며 폴란드 군주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 비록 곧 보헤미아의 국왕 바츨라프 2세에게 이 영토들을 빼앗기기는 했지만, 1290년 이후 프셰미수 2세는 폴란드 내에서 가장 유력한 공작으로 부상했다.[198][199]

프셰미수 2세는 그니에즈노 대주교 야쿠프 시빈카를 비롯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으며 폴란드의 재통합 운동을 추진했다. 이미 1290년부터 야쿠프 시빈카 대주교의 도움을 받아, 과거 헨리크 4세가 시도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던 폴란드 국왕 대관식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소폴란드가 바츨라프 2세에게 점령당하면서 계획은 1294년까지 미뤄져야 했다.

1294년 포메렐리아 공작 므시치부이 2세가 사망하고 프셰미수 2세가 그단스크를 상속받으면서 그의 정치적 영향력은 크게 강화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프셰미수 2세와 야쿠프 시빈카 대주교는 마침내 대관식을 거행하기로 결정했다.

야쿠프 시빈카, 그니에즈노 대주교. 프셰미수 2세의 대관식을 주관했다. (1535년 이전 책 삽화)


1295년 6월 26일 일요일, 성 요한과 바오로 축일에 그니에즈노 대성당에서 프셰미수 2세와 그의 아내 마르가레타의 대관식이 거행되었다.[192] 이는 1079년 볼레스와프 2세 이후 무려 216년 만에 이루어진 폴란드 국왕의 대관식으로, 폴란드 왕국의 부활을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대관식은 야쿠프 시빈카 대주교가 주관했으며, 여러 주교들이 참석했다.[193][194]

대관식 참석 주요 성직자[193][194]
이름직책
야쿠프 시빈카그니에즈노 대주교 (주관)
콘라트루부스 주교
얀 2세포즈난 주교
비스와프브워츠와베크 주교
게드코 2세프워츠크 주교


  • 브로츠와프의 요한 3세 롬카 주교와 크라쿠프의 얀 무스카타 주교도 참석했거나 동의를 보냈을 가능성이 있다.[195]


프셰미수 2세 시대의 폴란드 (1295)


대관식에 교황 보니파시오 8세의 동의가 필요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폴란드는 이미 과거에 왕국이었으므로 별도의 승인이 필요 없었다는 주장이 있다.[200] 동시대 기록에서 교황의 승인을 명확히 확인하기는 어렵지만, 일부 연대기에서는 교황의 동의를 얻어 대관식이 이루어졌다고 언급하기도 한다.[201][202] 교황의 승인 여부와 관계없이, 프셰미수 2세의 대관식은 동시대 사람들에게 합법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심지어 경쟁국인 보헤미아의 연대기조차 그를 "칼리시의 왕"으로 칭하며 왕의 칭호를 인정했다.[204] 바츨라프 2세 역시 프셰미수 2세에게 왕관을 포기하도록 설득하거나 교황청에 외교적으로 항의하는 수준에 그쳤다.[205]

프셰미수 2세의 대관식은 그가 다스리는 왕국의 범위에 대한 역사학자들의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일각에서는 그가 사실상 '그레이터 폴란드의 왕'으로 즉위한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206] 프셰미수 2세 자신은 대관식 이후 사용한 인장에 "Reddidit ipse pronis victricia signa Polonis|그는 폴란드인에게 승리의 깃발을 되돌려주었다la"[208]는 문구를 새겨 넣어 폴란드 왕국의 부활을 염원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실제 그의 통치력은 그레이터 폴란드와 그단스크 포메라니아 지역에 한정되었다.

2. 6. 암살

1296년 2월 8일, 폴란드의 국왕 프셰미수 2세는 로고지노(Rogoźno) 근처에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그의 죽음은 단순한 살해 사건을 넘어, 당시 폴란드를 둘러싼 복잡한 정치적 상황과 여러 세력의 이해관계가 얽힌 결과였다.

암살의 배후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과 해석이 존재한다. 가장 유력한 용의자로는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이 지목된다.[213][214][217] 동시대 연대기인 ''Rocznik kapituły poznańskiej''는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오토 5세, 오토 4세, 그리고 프셰미수 2세의 조카인 요한 4세 등이 그의 폴란드 국왕 대관식에 대한 증오심 때문에 암살을 계획했다고 기록했다.[213] 또한, 프셰미수 2세가 1294년 므시치부이 2세 사망 후 포메렐리아를 상속받은 것[251]과 폴란드 통일 움직임[251] 역시 브란덴부르크의 불안감을 자극한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Kronika oliwska''는 프셰미수 2세가 첫 부인 루드가르다를 살해한 것에 대한 복수가 동기였다는 설을 제기하기도 했다.[214]

얀 마테이코의 ''프셰미수 2세의 죽음'', 1875


보이치에흐 게르손의 ''프셰미수 2세 암살'', 1881


다른 한편으로는 폴란드 내부 귀족 가문의 연루설도 제기된다. 특히 나웽치 가문(Nałęcz)과 자렘바 가문(Zaremba)이 암살에 관여했거나 브란덴부르크를 도왔다는 기록들이 있다 (''Rocznik małopolski'', ''Latopis hipacki'' 등).[220][227] 일부 자료는 브란덴부르크와 폴란드 귀족 가문이 공모했다는 복합적인 설명을 제시하기도 한다 (''Rocznik świętokrzyski nowy'', 얀 드워고시 등).[228][231]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자렘바 가문의 연루 가능성을 더 높게 보지만,[234] 여전히 논쟁적인 부분으로 남아있다.

1296년 사육제 기간, 프셰미수 2세는 로고지노에서 축제를 보내고 있었다. 브란덴부르크 변경백들은 국왕 측근의 배신자들로부터 그의 동선 정보를 입수하고 납치를 계획한 것으로 보인다.[252] 2월 8일 재의 수요일 이른 새벽, 야쿠프 카슈바(Jakub Kaszuba)가 이끄는 브란덴부르크 병력이 방심하고 있던 국왕의 숙소를 기습했다.[217][253] 프셰미수 2세와 그의 경호원들은 격렬하게 저항했지만, 수적 열세를 극복하지 못했다.[213] 납치 시도 과정에서 프셰미수 2세는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213] 부상당한 국왕을 데리고 신속히 도주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납치범들은 결국 그를 살해하기로 결정했고, 야쿠프 카슈바가 직접 실행한 것으로 전해진다.[258] 살해가 일어난 정확한 장소는 로고지노 근처의 시에르니키 마을 부근으로 추정되며, 이 장소는 전통적으로 '포롱블릭'(폴란드어: porąbania, '베어진 곳')이라 불렸다.[259]

포즈난의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대성당, 프셰미수 2세의 묘소


포즈난 대성당 성 베드로와 바울 대성당 왕실 예배당에 있는 프셰미수 2세의 묘비


39세의 나이로 암살된 프셰미수 2세의 시신은 길가에 버려졌다가 추격하던 기사들에 의해 발견되었다. 그의 유해는 포즈난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대성당에 안장되었다.[241]

피아스트 왕조 대폴란드 가문의 마지막 남성 후계자였던 프셰미수 2세의 죽음은 폴란드에 큰 혼란을 가져왔다. 그의 왕위는 경쟁자였던 보헤미아의 국왕 바츨라프 2세가 계승하게 되었다. 또한, 그의 영토였던 비엘코폴스카를 차지하기 위해 쿠야비 공작 브와디스와프 1세와 그워구프 공작 헨리 3세 사이에 분쟁이 발생했다.[264] 이 분쟁은 1296년 3월 10일 크르지빈(Krzywiń)에서 협정을 맺음으로써 일단락되었으나,[265] 이 과정에서 브란덴부르크는 노테치(Noteć) 강 유역의 일부 영토를 점령하는 등[267] 폴란드는 영토 손실을 겪어야 했다. 프셰미수 2세의 암살은 폴란드 통일 과정을 잠시 좌절시키고 주변국들의 개입을 초래한 중요한 사건이었다.

3. 결혼과 가족

프셰미수 2세는 세 번 결혼했다.

=== 첫 번째 결혼: 루드가르다 ===

1273년, 프셰미수 2세는 메클렌부르크 공작 하인리히 1세의 딸인 메클렌부르크의 루드가르다와 첫 번째 결혼을 했다. 그러나 10년이 넘는 결혼 생활에도 부부 사이에 자녀는 없었다.[95] 루드가르다의 불임이 원인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해 부부 관계는 점차 악화되어 별거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루드가르다는 1283년 12월, 그니에즈노에서 22세 또는 23세의 나이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95][103]

루드가르다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프셰미수 2세가 아내를 살해했다는 의혹을 낳았다.[96] 당시 기록에는 직접적인 언급이 없지만, 후대의 연대기들은 그녀의 죽음에 의문을 제기하거나 살해 가능성을 시사했다. 14세기 ''트라스키 연대기''는 "같은 해에 그레이터 공작 프셰미수의 아내이자 메클렌부르크 영주 니콜라스의 딸인 루카르다가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아무도 그녀가 어떻게 죽었는지 알 수 없었다."[97]라고 기록하여 의문을 남겼다. 반면, ''말라폴스키 연대기''는 샤모툴리 법전을 인용하며 루드가르다의 살해 가능성을 명확히 언급했다: "역사가가 말했듯이(나는 덧붙일 수 있다) 우리는 젊은 시절 그니에즈노 거리에서 속어로 현관이라고 불리는 나무 예배당을 보았는데, 그곳에는 맷돌 모양의 두 개의 큰 돌이 있었고, 그 숙녀의 피로 붉게 물들어 완전히 닳아 있었으며, 그니에즈노 대성당의 그녀의 무덤에 안치되었다."[98] 14세기 중반 ''올리바 연대기''는 프셰미수 2세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내며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메스트빈 공작이 올리바에 묻히자 프셰미수는 그단스크에 도착하여 포메라니아 공국을 차지했다. 그 후 그는 교황청으로부터 폴란드 왕국의 왕관을 받았다. 그는 1년을 더 살았고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발데마르의 부하들에게 붙잡혀 그의 아내 루카르다를 질식사시킨 혐의로 그녀의 죽음에 복수하기 위해 살해당했다."[99] 튀링겐 출신 시인 에른스트 폰 키르흐베르크는 프셰미수 2세가 어머니의 사주를 받아 이혼을 요구했으나 루드가르다가 거부하자 그녀를 살해했다고 묘사했다. 얀 드워고쉬는 루드가르다가 포즈난에서 12월 14일에 사망했다고 기록했다.[101]

역사가 브리지다 퀴르비스는 루드가르다의 불임으로 인해 프셰미수 2세가 아내에게 반감을 가졌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그녀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프셰미수 2세의 미온적인 애도 태도가 살해 의혹을 증폭시켰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당시 의학 지식의 한계로 젊은 여성의 급사가 부자연스럽게 해석되었을 수 있으며, 살해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없다. 현대 역사학계는 대체로 프셰미수 2세가 아내의 죽음에 직접적인 책임이 없다고 본다.[102]

=== 두 번째 결혼: 리체자 ===

루드가르다가 사망한 지 약 2년 후인 1285년, 프셰미수 2세는 재혼을 결정했다. 두 번째 부인은 폐위된 스웨덴 국왕 발데마르의 딸이자 덴마크 국왕 에리크 4세의 손녀인 리체자였다. 당시 폴란드와 스웨덴의 직접적인 교류가 적었기 때문에, 결혼 협상은 아스카니아 가문의 중재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122] 1285년 10월 11일, 스웨덴 뉘셰핑에서 프셰미수 2세의 대리인인 공증인 틸론이 참석한 가운데 대리 결혼이 이루어졌다.[123] 실제 결혼식의 시기와 장소는 알려지지 않았다.[124]

1288년 9월 1일, 포즈난에서 프셰미수 2세의 유일한 자녀인 딸 리체자가 태어났다.[140] 그녀는 훗날 보헤미아의 국왕 바츨라프 2세와 루돌프 1세와 결혼하여 보헤미아와 폴란드의 왕비가 되었다. 리체자 왕비는 딸을 낳은 후 얼마 지나지 않아, 1293년 4월 13일 이전에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141] 프셰미수 2세는 두 번째 아내 리체자에게 깊은 애정을 가졌던 것으로 여겨진다. 딸에게 아내의 이름을 붙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1293년 4월 19일에는 리체자의 무덤에 영원히 등불을 밝히기 위해 코빌니키 마을을 포즈난 주교에게 기증하기도 했다.[142]

=== 세 번째 결혼: 마르가레테 ===

사랑하는 아내 리체자가 사망하자, 프셰미수 2세는 1293년경 세 번째 결혼을 추진했다. 새로운 신부는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알베르트 3세의 딸인 마르가레테였다.[182] 이 결혼은 포메라니아에 대한 프셰미수 2세의 계승권을 확보하려는 정치적인 목적이 강했다. 프셰미수 2세와 마르가레테는 보헤미아의 오타카르 1세의 증손자라는 비교적 가까운 친척 관계였기 때문에 결혼을 위해 교황의 특별 허가가 필요했다.[183] 결혼식은 1293년 4월 13일 직전에 거행되었으며,[184] 이 결혼을 통해 프셰미수 2세는 자녀를 얻지 못했다.

'''프셰미수 2세의 배우자와 자녀'''
순서배우자부모결혼 연도자녀비고
첫 번째메클렌부르크의 루드가르다메클렌부르크 공작 하인리히 1세1273년없음1283년 사망, 살해 의혹 제기됨.
두 번째스웨덴의 리체자스웨덴 국왕 발데마르1285년리체자 (1288년 출생)1293년 이전 사망.
세 번째마르가레테 폰 브란덴부르크브란덴부르크 변경백 알베르트 3세1293년없음정치적 결혼.


4. 평가 및 영향

프셰미수 2세는 폴란드 분열 시대를 종식시키고 통일된 폴란드를 재건하는 데 중요한 발판을 마련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미에슈코 3세의 후손으로서 비엘코폴스카 지역을 기반으로 세력을 확장했으며, 1282년 켕프노 조약을 통해 포메렐리아 공작 므시치부이 2세와 공동 통치자가 되고 1294년 그의 사후 그단스크를 포함한 포메렐리아 전역을 상속받는 등 외교적, 정치적 노력을 통해 폴란드 영토 통합에 기여했다.

1290년 헨리크 4세 사후 폴란드의 유력 공작으로 부상했으며, 비록 보헤미아의 바츨라프 2세와의 경쟁 속에서 크라쿠프 등 일부 영토를 상실하기도 했으나, 로마 가톨릭교회의 지지를 바탕으로 폴란드 통일 운동을 꾸준히 전개했다.

그의 가장 큰 업적은 1295년 6월 26일, 그니에즈노 대주교 야쿠프 시빈카(Jakub Świnka)에 의해 폴란드 국왕으로 즉위한 것이다. 이는 1079년 볼레스와프 2세 이후 약 216년 만에 폴란드 군주가 국왕의 지위를 회복한 사건으로, 폴란드 역사에서 분열 시대를 마감하고 통일 왕국 시대로 나아가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여겨진다.

비록 그의 통치는 짧았지만, 그가 부활시킨 폴란드 왕위와 왕국은 이후 브와디스와프 1세 등에 의해 계승되어 약 500년간 지속되는 폴란드 왕국의 기초를 다졌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다. 그의 중앙집권적 통일 노력은 분열된 폴란드를 하나로 묶고 국가적 정체성을 회복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된다.

4. 1. 한계

1295년 폴란드 국왕으로 즉위하며 200년 이상 단절되었던 왕정을 부활시켰으나, 그의 통치는 오래가지 못했다. 1296년 폴란드귀족 가문인 나웽치가(Nałęcz), 자렘바가(Zaremba) 등의 지지를 받은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 세력에게 납치되었다. 결국 1296년 2월 8일, 로고지노(Rogoźno)에서 야쿱 카슈바(Jakub Kaszuba)라는 인물에게 암살당하며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프셰미수 2세의 국왕으로서의 통치 기간은 약 7개월에 불과하여, 어렵게 이룬 폴란드 통일 왕국을 완전히 안정시키기에는 너무 짧았다.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폴란드는 다시 혼란에 빠졌고, 왕위는 보헤미아의 국왕인 바츨라프 2세에게 넘어갔다.

또한 중세 연대기 기록에 따르면, 프셰미수 2세는 자식을 낳지 못한다는 이유로 첫 번째 아내였던 루드가르다를 살해했다는 의혹도 있다. 루드가르다가 남편의 살해 의도를 알고 살려달라고 애원했지만, 프셰미수 2세는 이를 듣지 않고 교살했다고 전해진다. 이는 그의 통치자로서의 자질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도덕성에도 의문을 제기하게 만드는 부분이다.

참조

[1]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2] 간행물 Codex diplomaticus Maioris Poloniae Poznań 1840
[3] 웹사이트 Przemysł II https://web.archive.[...] 2016-10-24
[4] 웹사이트 Polak Wszechczasów – Przemysł II https://web.archive.[...] 2016-09-17
[5] 웹사이트 Przemysł II – Poczet władców Polski http://www.wiw.pl/hi[...] 2016-11-01
[6] 웹사이트 Henryk IV http://www.wladcy.my[...] 2016-11-01
[7] 웹사이트 Próby zjednoczenia państwa polskiego w XIII i XIV wieku https://web.archive.[...] 2016-09-17
[8] 웹사이트 Henryk Probus – Poczet władców Polski http://www.wiw.pl/hi[...] 2016-11-01
[9] 웹사이트 Przemysł II – król Polski zamordowany http://www.polskiera[...]
[10] 웹사이트 Małopolskie Centrum Kultury SOKÓŁ – mcksokol.pl – Czesi w Małopolsce. Doba Przemyślidów https://web.archive.[...] 2016-11-01
[11] 웹사이트 Próby zjednoczenia ziem polskich – Wirtualny Wszechświat http://www.wiw.pl/hi[...]
[12] 웹사이트 Przemysł II (1257–1296) – Wybitni Wielkopolanie – Region Wielkopolska • miejsca które warto odwiedzić https://web.archive.[...] 2016-11-01
[13] 웹사이트 historycy.org -> Układ w Kępnie http://www.historycy[...] 2016-11-01
[14] 웹사이트 1295 r.: Koronacja Przemysła II na króla Polski – Blisko Polski http://www.bliskopol[...]
[15] 서적 Kronika wielkopolska Warsaw 1965
[16]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Poznań 1995
[1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6-11-01
[18] 서적 Kronika wielkopolska Warsaw 1965
[19] 간행물 Genealogia Piastów wielkopolskich. Potomstwo Władysława Odonica Poznań 1995
[20] 문서 Rocznik Kołbacki
[21] 서적 Genealogia Piastów Kraków 1895
[22] 논문 Śmierć Przemysła II Poznań 1929
[23] 간행물 Genealogia Piastów wielkopolskich. Potomstwo Władysława Odonica Poznań 1995
[24] 서적 Przemysław II. 700-lecie koronacji Międzychód 1995
[25] 간행물 Elżbieta Kraków 1999
[26] 간행물 Codex diplomaticus Poloniae 1267-11-08
[27] 서적 Kronika wielkopolska Warsaw 1965
[28] 서적 Kronika wielkopolska Warsaw 1965
[29]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30] 서적 Kronika wielkopolska Warsaw 1965
[31] 서적 Genealogia Piastów Kraków 1895
[32] 간행물 Gdańsk w okresie samodzielności politycznej Pomorza Gdańskiego Gdańsk 1985
[33]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Poznań 1995
[34] 간행물 Genealogia Piastów wielkopolskich. Potomstwo Władysława Odonica Poznań 1995
[35] 서적 Kronika wielkopolska Warsaw 1965
[36] 간행물 Wspominki poznańskie MPH SN 1962
[37]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2006
[37] 논문 Przemysł II Polish Biographical Dictionary 1984-1985
[37] 논문 Przemysł II Piastowie. Leksykon biograficzny 1999
[37]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1995
[37]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2006
[38]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39]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40]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1995
[41]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2006
[42]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2006
[43]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43]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2006
[43]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1995
[44] 서적 Wiek XIII i panowanie Władysława Łokietka Dzieje Polski średniowiecznej w dwu tomach 1995
[44] 서적 Ideologia polityczna monarchii Przemysła Ottokara II. Studium z dziejów czeskiej polityki zagranicznej w drugiej połowie XIII wieku 1982
[45] 논문 Przemysł II Piastowie. Leksykon biograficzny 1999
[45]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2006
[45]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1995
[45] 서적 Dzieje Wielkopolski 1969
[45] 서적 Genealogia 1959
[46]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2006
[47]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1995
[47] 간행물 Kronika książąt polskich MPH 1878
[49] 논문 Przemysł II Piastowie. Leksykon biograficzny 1999
[50] 간행물 Kronika książąt polskich MPH 1878
[51] 논문 Przemysł II Piastowie. Leksykon biograficzny 1999
[51]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1995
[51]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2006
[52] 간행물 Roczniki, czyli kroniki sławnego Królestwa Polskiego
[53]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54] 논문 Henryk IV Prawy (Probus) Piastowie. Leksykon biograficzny 1999
[55] 논문 Bolesław Pobożny Piastowie. Leksykon biograficzny 1999
[56] 서적 Ideologia polityczna monarchii Przemysła Ottokara II. Studium z dziejów czeskiej polityki zagranicznej w drugiej połowie XIII wieku 1982
[57]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1995
[58]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59] 논문 Przemysł II Piastowie. Leksykon biograficzny, Kraków 1999
[60]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61] 논문 Wielkopolska pod rządami synów Władysława Odonica (1235–1279) Rocznik Filarecki 1886
[62] 간행물 Rocznik Traski MPH 1872
[63]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2006
[64] 논문 Krzyżacka polityka Przemysła II w pierwszym okresie jego aktywności politycznej Przemysł II. Odnowienie Królestwa Polskiego 1997
[65] 논문 W sprawie emendacji dokumentu Przemysła II dotyczącego powrotu Siemomysła na Kujawy Zapiski Kujawsko-Dobrzyńskie 1978
[66]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66]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2006
[67] 논문 Siemomysl Piast Biographical Lexicon 1999
[68] 논문 Siemomysł Piastowie. Leksykon biograficzny 1999
[69] 논문 Przemysł II Piastowie. Leksykon biograficzny 1999
[70] 간행물 Rocznik kaliski
[70]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1995
[71]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zawa 2006" Warszawa 2006
[71] 서적 Genealogia Piastów Kraków 1895
[71] 서적 Genealogia Warsaw 1959
[72] 간행물 Genealogia Piastów wielkopolskich. Potomstwo Władysława Odonica "Kronika Miasta Poznania", nr 2/95 1995
[72] 서적 Bolesław Pobożny Piastowie. Leksykon biograficzny 1999
[73] 문서
[74] 문서
[75]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Poznań 1995
[75]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76]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77] 서적 "Przemysł II" Piastowie. Leksykon biograficzny 1999
[77] 서적 "Przemysław II. 700-lecie koronacji" Międzychód 1995
[78] 문서
[79] 서적 "Dzieje polityczne Śląska do r. 1290" "Historia Śląska od najdawniejszych czasów do roku 1400" 1933
[80]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Poznań 1995
[81] 문서
[81] 간행물 "Stosunki Przemysła II z mieszczaństwem" "Czas, przestrzeń, praca w dawnych miastach: Studia ofiarowane Henrykowi Samsonowiczowi w sześćdziesiątą rocznicę urodzin" 1991
[82] 서적 "Powstanie zjednoczonego państwa polskiego na przełomie XIII i XIV wieku" Warsaw 1954
[83] 서적 "Rodowód książąt pomorskich" Szczecin 2005
[84] 서적 "Sambor II" "Polski Słownik Biograficzny" 1993
[85] 문서
[86] 서적 "Zjednoczenie Pomorza Gdańskiego z Wielkopolska pod koniec XIII w. Umowa kępińska 1282 r." Toruń 1968
[87] 서적 "Zjednoczenie Pomorza Gdańskiego z Wielkopolska pod koniec XIII w. Umowa kępińska 1282 r." Toruń 1968
[87]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Poznań 1995
[88] 문서
[89] 서적 "Królestwo Polskie" Lwów 1919
[90] 서적 "Hołd Pruski i inne studia historyczne" Poznań 1946
[91]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a 2006
[91]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Poznań 1995
[92] 간행물 "Postanowienia układu kępińskiego (15 lutego 1282)." "Przegląd Historyczny" 1991
[93] 문서
[94] 문서
[95] 문서
[95] 문서
[95] 서적 "Annales seu cronicae incliti Regni Poloniae" Warsaw 1975
[95] 서적 Genealogia Piastów Kraków 1895
[95] 서적 Genealogia Warsaw 1959
[95] 간행물 "Genealogia Piastów wielkopolskich. Potomstwo Władysława Odonica." "Nasi Piastowie" ("Kronika Miasta Poznania", nr 2/95) 1995
[96]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Poznań 1995
[97] 문서
[98] 문서
[99] 문서
[100] 서적 "O Ludgardzie, pierwszej żonie Przemysła II, raz jeszcze" "Przemysł II. Odnowienie Królestwa Polskiego" 1997
[101] 서적 "Annales seu cronicae incliti Regni Poloniae" Warsaw 1975
[102]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102] 간행물 "Kilka słów o małżonkach Przemysła II." "Rozprawy i Sprawozdania z Posiedzeń Wydziału Historyczno-Filozoficznego Akademii Umiejętności" 1884
[102]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Poznań 1995
[102] 서적 "O Ludgardzie, pierwszej żonie Przemysła II, raz jeszcze." "Przemysł II. Odnowienie Królestwa Polskiego" 1997
[102] 서적 "Przemysł II." "Piastowie. Leksykon biograficzny" 1999
[102] 서적 "Ludgarda." "Polski Słownik Biograficzny" 1973
[102] 간행물 "Zabójstwo księżnej Ludgardy w 1283 r." "Kroniki Miasta Poznania" 1993
[102] 서적 "Przemysł II." "Poczet królów i książąt polskich"
[103] 간행물 "Genealogia Piastów wielkopolskich. Potomstwo Władysława Odonica" "Nasi Piastowie" ("Kronika Miasta Poznania", nr 2/95) 1995
[104] 서적 "Jakób Świnka arcybiskup gnieźnieński 1283–1314" Poznań 1948
[105] 문서
[106] 간행물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vol. I, nr 532.
[107] 서적 Jakób Świnka arcybiskup gnieźnieński 1283–1314 Poznań 1948
[108] 논문 Dyplomy i Kancelaria Przemysła II 1890
[109] 간행물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vol. I, nr 542.
[110] 논문 Tragedia Rogozińska 1296 r. na tle rywalizacji wielkopolsko-brandenburskiej o Pomorze Gdańskie Toruń 1961
[111] 간행물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vol. I, nr 536.
[112] 간행물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vol. I, nr 543.
[113] 간행물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vol. I, nr 544.
[114] 간행물 Rocznik Traski
[115] 논문 Ród Zarembów w Wielkopolsce w XIII wieku i na początku XIV wieku 1975
[116]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117]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Poznań 1995
[118] 논문 Ród Zarembów w Wielkopolsce w XIII wieku i na początku XIV wieku 1975
[119] 논문 Rola polityczna możnowładztwa wielkopolskiego w latach 1284–1370 1963
[120] 간행물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vol. I, nr 562.
[121]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a 2006
[122]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123] 간행물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vol. I, nr 568.
[124] 논문 Szwedzkie małżeństwo księcia wielkopolskiego Przemysła II (Ryksa, żona Przemysła) Wrocław 1994
[125] 간행물 Rocznik Traski
[126] 서적 Jakób Świnka arcybiskup gnieźnieński 1283–1314 Poznań 1948
[127] 간행물 Rocznik Traski
[128]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zawa 2006
[129]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130] 서적 Roczniki czyli kroniki sławnego Królestwa Polskiego Warsaw 1974
[131] 서적 Wiek XIII i panowanie Władysława Łokietka Kraków 1926
[132] 논문 Przemysł II a Pomorze Zachodnie (stosunki polityczne) Poznań 1997
[133] 서적 Studia i Materiały z dziejów Nowej Marchii i Gorzowa. Szkice historyczne Gorzów Wielkopolski 1999
[134] 서적 Królestwo Polskie Lwów 1919
[135] 논문 Dzieje polityczne Śląska do r. 1290 Kraków 1933
[136] 서적 Jakób Świnka arcybiskup gnieźnieński 1283–1314 Poznań 1948
[137] 서적 Powstanie zjednoczone państwa polskiego na przełomie XIII i XIV wieku Warsaw 1954
[138] 논문 Bitwa pod Siewierzem i udział w niej Wielkopolski Poznań 1997
[139] 간행물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vol. II, nr 620.
[140] 간행물 Rocznik Traski
[141] 서적 Genealogia Piastów Kraków 1895
[142] 간행물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143] 서적 Genealogia Piastów Kraków 1895
[144]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145] 간행물 Rocznik Traski
[146] 서적 Dzieje polityczne Ślaska do r. 1290 Kraków 1933
[147] 간행물 Nagrobki książąt śląskich
[148]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149] 서적 Dzieje polityczne Śląska do r. 1290 Kraków 1933
[150] 서적 Rodowód Piastów śląskich Wrocław 1973
[151] 간행물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152] 서적 Dziedzic Królestwa Polskiego książę głogowski Henryk (1274–1309) Poznań 1993
[153]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154] 문서 They are first-cousins: Przemysł II's mother [[Elisabeth of Wrocław|Elisabeth]] was sister of Henryk IV's father [[Henry III the White]].
[155] 서적 Królestwo Polskie Lwów 1919
[156]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Poznań 1995
[157]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158] 간행물 Kodeks dyplomatyczny Małopolski Kraków 1887
[159] 서적 Zjednoczenie Państwa Polskiego Warsawa 1972
[160] 간행물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161] 간행물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162]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163] 간행물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164] 서적 Małopolska elita władzy wobec zamieszek politycznych w Małopolsce w XIII wieku Warsaw 2001
[165] 간행물 Stosunki między Przemysłem II a Władysławem Łokietkiem w okresie walk o Kraków po śmierci Leszka Czarnego (1288–1291)
[166] 서적 A. Swieżawski: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167] 간행물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168] 간행물 Petra Żitovskeho kronika zbraslavska Prague 1884
[169] 간행물 Cronica Przibconis de Tradenina dicti Pulcaua Prague 1893
[170]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Poznań 1995
[171]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172] 간행물 Rocznik Kujawski
[173] 간행물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174] 간행물 Rocznik Traski
[175] 간행물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176] 서적 Dziedzic Królestwa Polskiego książę głogowski Henryk (1274–1309) Poznań 1993
[177] 간행물 Zbiór dokumentów małopolskich Wrocław 1969
[178]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a 2006
[179]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180] 서적 Genealogia Piastów Kraków 1895
[181] 서적 Genealogia Piastów Kraków 1895
[182] 간행물 Genealogia Piastów wielkopolskich. Potomstwo Władysława Odonica Nasi Piastowie ("Kronika Miasta Poznania", nr 2/95) 1995
[183] 논문 Uzupełnienia do genealogii Piastów 1960
[184]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zawa 2006
[185]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186]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187]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188]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189] 서적 Rodowód książąt pomorskich. Szczecin 2005
[190]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191]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192] 문서 Rocznik Traski MPH
[193] 문서 Rocznik wielkopolski 1192–1309 MPH
[194] 문서 Rocznik kapituły poznańskiej 965–1309 MPH, SN 1962
[195] 논문 Ceremonia koronacji Przemysła II Przemysł II. Odnowienie Królestwa Polskiego 1997
[196] 서적 Królestwo Polskie 1295–1370 Lwów 1919
[197] 논문 Odnowienie dawnego królestwa polskiego 1920
[198]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199] 논문 Znaczenie polityczne koronacji Przemysła II Orzeł biały. Herb państwa polskiego 1996
[200] 서적 Przemysł II Piastowie, Leksykon biograficzny 1999
[201] 문서 Chronica Oliviensis auctore Stanislao abbate Oliviensi, Secunda tabula benefactorum MPH 1893
[202] 문서 Petra Zitavskeho kronika zbraslavska Fontes rerum Bohemicarum 1884
[203]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204] 문서 Petra Zitavskeho kronika zbraslavska Fontes rerum Bohemicarum 1884
[205] 논문 Czeskie echa koronacji Przemysła II Przemysł II. Odnowienie Królestwa Polskiego 1997
[206] 서적 Historia ustroju Polski w zarysie Warsaw 1905
[207] 논문 O królestwie wielkopolskim 1909
[208]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209]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10]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11] 서적 Kronika wielkopolska Warsaw
[212] 간행물 Śmierć Przemysła II Roczniki Historyczne
[213] 간행물 Tragedia rogozińska 1296 roku na tle rywalizacji wielkopolsko-brandenburskiej o Pomorze Gdańskie
[214] 서적 By czas nie zaćmił i niepamięć. Wybór kronik średniowiecznych Warsaw
[215] 간행물 Liber mortuorum monasterii Oliviensis MPH
[216] 간행물 Śmierć Przemysła II Roczniki Historyczne
[217] 서적 'The Slippery Memory of Men': The Place of Pomerania in the Medieval Kingdom of Poland Brill
[218] 간행물 Śmierć Przemysła II Roczniki Historyczne
[219] 간행물 Tragedia rogozińska 1296 roku na tle rywalizacji wielkopolsko-brandenburskiej o Pomorze Gdańskie
[220] 간행물 Rocznik małopolski MPH
[221] 간행물 Rocznik Sędziwoja MPH
[222] 서적 Kronika książąt polskich MPH
[223] 간행물 Rocznik Traski MPH
[224] 서적 Lites gestae inter Polonos ordinemque cruciferorum
[225] 간행물 Annales Toruniensis Scriptores rerum Prussicarum
[226] 서적 Petra Żitovskeho kronika zbraslavska Fontes rerum Bohemicarum
[227] 간행물 Śmierć Przemysła II Roczniki Historyczne
[228] 서적 Przemysł II 1257–1296. Odnowiciel korony polskiej
[229] 간행물 Katalog biskupów krakowskich MPH
[230] 간행물 Odnowienie dawnego królestwa polskiego
[231] 서적 Roczniki czyli kroniki sławnego Królestwa Polskiego
[232] 서적 Kronika Marcina Bielskiego
[233] 서적 Kronika Polska Marcina Kromera biskupa warmińskiego
[234] 간행물 Rocznik małopolski MPH
[235] 간행물 Rocznik Świętokrzyski nowyw MPH
[236] 간행물 Kalendarz włocławski MPH
[237] 간행물 Liber mortuorum monasterii Oliviensis MPH
[238] 서적 Przemysł II 1257–1296. Odnowiciel korony polskiej
[239] 서적 Genealogia Piastów
[240] 서적 Roczniki czyli kroniki sławnego Królestwa Polskiego
[241] 간행물 Rocznik kapituły poznańskiej 965–1309 MPH, SN
[242] 간행물 Kilka słów o małżonkach Przemysława II
[243] 간행물 Śmierć Przemysła II Roczniki Historyczne
[244] 간행물 Tragedia rogozińska 1296 roku na tle rywalizacji wielkopolsko–brandenburskiej o Pomorze Gdańskie
[245] 서적 Książęta piastowscy Wielkopolski
[246] 서적 Przemysł II 1257–1296. Odnowiciel korony polskiej Poznań 1997
[247] 간행물 Próba identyfikacji Jakuba Kaszuby, zabójcy króla Przemysła II, w powiązaniu z ekspansją Brandenburską na północne obszary Wielkopolski Poznań 1986
[248] 서적 Działalność polityczna Andrzeja Zaręby w okresie jednoczenia się państwa polskiego na przełomie XIII/XIV w. Poznań 1961
[249] 서적 Nałęcze wielkopolscy w średniowieczu. Genealogia, uposażenie i rola polityczna XII–XIV w. Warsaw 1982
[250]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51] 간행물 Stosunki Przemysła II z margrabiami brandenburskimi ze starszej linii askańskiej w latach 1279–1296 Poznań 1997
[252] 서적 Przemysł II książę wielkopolski, król Polski 1257–1295 Poznań 1995
[253] 간행물 Rocznik kołbacki
[254] 간행물 Próba identyfikacji Jakuba Kaszuby, zabójcy króla Przemysła II, w powiązaniu z ekspansją Brandenburską na północne obszary Wielkopolski Poznań 1986
[255] 간행물 Śmierć Przemysła II Poznań 1929
[256] 간행물 Roczniki czyli kroniki sławnego Królestwa Polskiego
[257] 간행물 Śmierć Przemysła II. Poznań 1929
[258] 간행물 Próba identyfikacji Jakuba Kaszuby, zabójcy króla Przemysła II, w powiązaniu z ekspansją Brandenburską na północne obszary Wielkopolski. Poznań 1986
[259] 간행물 Śmierć Przemysła II. Poznań 1929
[260] 간행물 Tragedia rogozińska 1296 roku na tle rywalizacji wielkopolsko–brandenburskiej o Pomorze Gdańskie. Toruń 1961
[261] 간행물 Rocznik świętokrzyski nowy
[262] 간행물 Roczniki czyli kroniki sławnego Królestwa Polskiego
[263] 서적 Królestwo Polskie 1295–1370 Lwów 1919
[264] 서적 Dziedzic Królestwa Polskiego książę głogowski Henryk (1274–1309) Poznań 1993
[265] 간행물 Wiosna 1296 roku w Wielkopolsce i na Pomorzu Gdańskim Poznań 1997
[266] 서적 Wielkopolska, Kujawy, ziemia łęczycka i sieradzka wobec problemu zjednoczenia państwowego w latach 1300–1306 Toruń 1969
[267] 서적 Władysław Łokietek na tle swoich czasów Wrocław 1951
[268] 간행물 Wiosna 1296 roku w Wielkopolsce i na Pomorzu Gdańskim Poznań 1997
[269] 웹사이트 Przemysł II (Pogrobowiec) http://www.poczet.co[...]
[270] 간행물 O pieczęciach, herbach i monetach Przemysła II (Uwagi dyskusyjne) Poznań 1997
[271] 간행물 Dyplomy i kancelaryja Przemysława II. Studyjum z dyplomatyki polskiej XIII wieku 1890
[272] 서적 Przemysł. Król Polski Warsaw 2006
[273]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74] 간행물 O pieczęciach, herbach, i monetach Przemysła II (Uwagi dyskusyjne) Poznań 1997
[275]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76] 문서 Nowy kodeks dyplomatyczny Mazowsza cz. II. Dokumenty z lat 1248–1355 Wrocław 1989
[277]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78]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79]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80] 문서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81] 서적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82] 서적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83] 서적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84] 서적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85] 서적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86] 서적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87] 서적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88] 서적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89] 서적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90] 서적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91] 서적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92] 서적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93] 서적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94] 서적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95] 서적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96] 서적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97] 서적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98] 서적 Kodeks dyplomatyczny Wielkopolski
[299] 웹사이트 Koronacja Przemysła II w gnieźnieńskiej archikatedrze https://muzhp.pl/kal[...] Muzeum Historii Polski 2024-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