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닝 포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래닝 포커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팀 구성원들이 기능의 예상 작업량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이다. 다른 참가자의 영향력을 피하고 독립적인 판단을 유도하기 위해, 각 참여자가 동시에 카드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플래닝 포커는 기능 목록과 카드 덱을 필요로 하며, 일반적으로 피보나치 수열 또는 다른 숫자 체계를 사용한다. 회의에서는 제품 관리자가 기능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팀원들은 질문과 토론을 통해 이해를 높인 후, 각자 카드를 선택하여 동시에 공개한다. 의견 차이가 발생하면 토론을 통해 합의를 도출하며, 더 큰 숫자는 더 많은 불확실성을 의미한다. 연구에 따르면 플래닝 포커는 개별 전문가의 추정치와 유사한 정확도를 보이며, 추정 편향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 유스 케이스
유스 케이스는 시스템과 액터 간 상호작용을 통해 시스템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동작들을 나타내는 요구 사항 캡처, 모델링, 명세 기법으로,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기능 요구 사항을 캡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 스크럼 (애자일 개발 프로세스)
스크럼은 제품 개발을 위해 반복적, 점진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프레임워크로, 제품 책임자, 개발자, 스크럼 마스터로 구성된 팀을 중심으로 투명성, 검사, 적응의 원칙을 따른다. - 소프트웨어 개발 철학 -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은 1990년대에 등장하여 개인과 상호작용,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고객과의 협력, 변화에 대한 대응을 핵심 가치로 삼고 적응형 계획과 반복적 실행을 통해 시장 출시 속도와 위험 완화를 추구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이다. - 소프트웨어 개발 철학 - 유닉스 철학
유닉스 철학은 단순성, 모듈성, 재사용성을 중시하며, 한 가지 일을 잘하는 프로그램, 협력적인 프로그램, 텍스트 스트림 처리 프로그램을 지향하는 소프트웨어 설계 원칙으로, 현대 운영체제 및 소프트웨어 설계에 영향을 주지만 비판도 존재한다. -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 - 소프트웨어 개발
소프트웨어 개발은 요구사항 분석, 설계, 코딩, 테스트, 배포, 유지보수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관련 데이터를 만드는 과정으로, 다양한 방법론과 도구가 사용되며, 개발자 외에도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 -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은 1990년대에 등장하여 개인과 상호작용,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고객과의 협력, 변화에 대한 대응을 핵심 가치로 삼고 적응형 계획과 반복적 실행을 통해 시장 출시 속도와 위험 완화를 추구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이다.
플래닝 포커 | |
---|---|
플래닝 포커 | |
다른 이름 | 스크럼 포커 |
분류 |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
목적 | 소프트웨어 개발 노력 추정 합의 도출 |
필요 사항 | 플래닝 포커 카드 사용자 스토리 목록 팀 |
절차 | |
참가자 | 고객 개발 팀 스크럼 마스터 |
진행 방법 | 제품 책임자가 사용자 스토리를 설명한다. 팀은 질문과 토론을 통해 이해도를 높인다. 각 팀원은 사용자 스토리에 대한 추정치를 비공개로 선택한다. 모든 팀원이 동시에 카드를 공개한다. 추정치가 다르면, 최고 및 최저 추정치를 제시한 사람이 이유를 설명한다. 팀은 다시 토론하고 추정치를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합의에 도달하거나, 시간이 제한되면 평균값을 사용한다. |
카드 덱 | |
카드 숫자 | 0, 1, 2, 3, 5, 8, 13, 20, 40, 100 무한대 (∞) 커피 (휴식) 질문 (?) |
숫자 의미 | 이상적인 날짜 스토리 포인트 기타 측정 단위 |
장점 | |
장점 | 다양한 관점 고려 팀 협업 및 의사소통 촉진 정확도 향상 참여 유도 |
단점 | |
단점 | 시간 소모적 경험 부족 시 부정확한 추정 그룹 사고 위험 |
변형 | |
종류 | T-셔츠 사이즈 피보나치 수열 연속적인 숫자 |
도구 | |
종류 | 물리적 카드 온라인 도구 모바일 앱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Wingman Software - 플래닝 포커 원본 문서 마이크 콘의 애자일 추정 및 계획 제임스 그레닝의 플래닝 포커 마이크 콘의 플래닝 포커 카드 마흐니치의 사용자 스토리 추정 |
2. 프로세스
플래닝 포커 회의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른다.
- 중계자는 회의에 참석하지만, 공수를 산정하지 않는다.
- 제품 관리자는 유저 스토리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설명한다. 팀원들은 질문이나 토론을 통해 애매한 사항이나 위험 요소를 확실히 할 기회를 갖는다. 프로젝트 매니저가 토론 내용을 종합 정리한다.
- 각 개인은 산정 결과를 나타내는 카드를 엎어서 내려놓는다. 단위는 기간, 이상적인 일자, 스토리 포인트 등이 될 수 있다. 토론 중에는 다른 사람의 공수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어떠한 숫자도 말하면 안 된다.
- 모두가 동시에 자신의 카드를 뒤집어 보여준다.
- 가장 높은 숫자와 가장 낮은 숫자를 제시한 사람들에게는 발언 기회가 주어지고, 왜 그런 산정을 했는지 타당한 이유를 제시하고 토론을 계속 진행한다.
- 공수 산정 절차를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한다. 중계자가 합의 사항에 대해 협상하려 할지라도, 개발자가 제시한 내용이 대부분 반영된다.
- 토론이 체계적이게 하려면, 중계자나 프로젝트 관리자는 계란 타이머를 사용할 수 있다. 시간이 다 되면 토론은 중지되어야 하고, 포커 카드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 발언 기회를 다시 주면서 대화를 다시 시작할 수도 있다.
카드에서 더 큰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공수 산정에 더 많은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개발자가 6을 내고 싶은데 다시 고려하고 싶은 경우, 불확실성이 없다면 5를 내거나, 불확실성을 고려해서 8을 낼 수 있다.
2. 1. 사용 이유
플래닝 포커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른 참가자들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숫자를 말한다면, 그것은 곧 제안처럼 들리고, 그로 인해 다른 참석자들의 공수 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플래닝 포커는 사람들이 독립적으로 생각하고 그 숫자를 동시에 제안하도록 한다. 이는 모든 사람들이 동시에 그들의 카드를 보여주어야만 가능하다.[1]2. 2. 필요 장비
플래닝 포커를 하려면 고객에게 제공해야 할 기능 목록과 여러 벌의 카드 묶음이 필요하다. 필요하다면, 각 항목별 논의 시간을 제한하기 위해 에그 타이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기능 목록은 개발할 소프트웨어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으로, 보통 유저 스토리 형태로 제공된다.
카드 덱에는 숫자가 적혀 있는데, 일반적으로 피보나치 수열을 사용한다.
- 예시: 0, 1, 2, 3, 5, 8, 13, 21, 34, 55, 89

피보나치 수열을 사용하는 이유는 큰 작업의 공수를 산정할 때 불확실성을 반영하기 위해서이다. 즉, 어떤 작업이 다른 작업보다 정확히 두 배의 노력이 든다고 추정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을 정도로 정확하기 때문이다.
몇몇 상용 덱[10][11]은 다음과 같은 수열을 사용한다.
- 0, ½, 1, 2, 3, 5, 8, 13, 20, 40, 100
- ? (잘 모르겠음)
- 커피 컵 (휴식이 필요함)
어떤 조직에서는 일반 포커 카드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에이스(Ace), 2, 3, 5, 8, 킹(King)을 사용한다. 킹은 "이 항목은 산정하기에 너무 크거나 복잡하다"는 의미로, 이번 스프린트에서 논의하지 말자는 뜻이다.
스마트폰이 있다면 개발자들에게 카드 대신 앱을 사용하게 할 수 있다. 팀이 같은 장소에 있지 않거나 협업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경우에도 앱이나 웹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다.
2. 3. 절차
회의는 다음 절차를 따른다.- 중계자는 회의에 참석하지만, 공수를 산정하지는 않는다.
- 제품 관리자는 사용자 스토리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설명한다. 팀원들은 질문이나 토론을 통해 애매한 사항이나 위험 요소를 확실히 할 기회를 갖는다. 프로젝트 매니저가 토론 내용을 종합 정리한다.
- 각 개인은 산정 결과를 나타내는 카드를 엎어서 내려놓는다. 단위는 다양하게 사용되며, 기간, 이상적인 일자, 스토리 포인트 등이 될 수 있다. 토론 중에는 다른 사람의 공수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어떠한 숫자도 말하면 안 된다.
- 모두가 동시에 자신의 카드를 뒤집어 보여준다.
- 가장 높은 숫자와 가장 낮은 숫자를 제시한 사람들에게는 발언 기회가 주어지고, 왜 그런 산정을 했는지 타당한 이유를 제시하고 토론을 계속 진행한다.
- 공수 산정 절차를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한다. 비록 중계자가 합의 사항에 대해 협상하려 할지라도, 그 개발 부분을 담당하게 될 개발자가 제시한 내용이 대부분 반영된다.
- 토론이 체계적이게 하려면, 중계자나 프로젝트 관리자는 어떤 시점에 계란 타이머를 뒤집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시간이 다 되면, 토론은 중지되어야 하고, 포커 카드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 발언 기회를 다시 주면서 대화를 다시 시작할 수도 있다.
카드에서 더 큰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공수 산정에 더 많은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만약 한 개발자가 6을 내고 싶은데 다시 고려하고 싶은 경우, 불확실성이 존재하지 않아 보인다면 5를 내거나, 아니면 보수적으로 불확실성을 고려해서 8을 내면 된다.
3. 장점
Moløkken-Østvold와 Haugen[12]의 연구에 따르면, 동일 프로젝트에서 개별 전문가가 조율한 업무 공수 산정치는 플래닝 포커를 통해서도 비슷한 정확도를 달성했다. 플래닝 포커와 조정 그룹 모두 중간 산정 편향치에서 벗어난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전형적으로 산정된 업무처럼 정확했다.
참조
[1]
논문
On using planning poker for estimating user stories
https://www.scienced[...]
2024-07-02
[2]
웹사이트
Wingman Software {{!}} Planning Poker - The Original Paper
https://wingman-sw.c[...]
2017-07-05
[3]
웹사이트
Agile Estimating and Planning
http://www.mountaing[...]
Mountain Goat Software
2008-02-01
[4]
웹사이트
Planning Poker - Trademark, Service Mark #3473287
http://tsdr.uspto.go[...]
Trademark Status & Document Retrieval (TSDR)
2014-05-26
[5]
웹사이트
Planning Poker Cards: Effective Agile Planning and Estimation
https://www.mountain[...]
Mountain Goat Software
2016-03-30
[6]
웹사이트
How I use T-Shirt sizing as a Product Owner to estimate delivery
https://medium.com/s[...]
Medium
2022-10-22
[7]
웹인용
Planning Poker
http://renaissanceso[...]
Renaissance Software Consulting
2008-08-31
[8]
웹인용
Agile Estimating and Planning
http://www.mountaing[...]
Mountain Goat Software
2008-02-01
[9]
웹인용
Planning poker - Trademark, Service Mark #3473287
http://tsdr.uspto.go[...]
Trademark Status & Document Retrieval (TSDR)
2014-05-26
[10]
웹인용
Planning Poker Cards
http://store.mountai[...]
Mountain Goat Software
2014-05-26
[11]
웹인용
Planning Poker decks
http://www.crisp.se/[...]
Crisp
2014-05-26
[12]
저널
Combining Estimates with Planning Poker—An Empirical Study
http://ieeexplore.i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2008-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