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인민민주동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란드 인민민주동맹(SKDL)은 1944년 창립된 핀란드의 좌익 정당 연합으로, 핀란드 공산당(SKP)을 중심으로 여러 사회주의 단체들이 참여했다. 창립 초기에는 사회주의를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핀란드 공산당 지지자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SKDL은 1945년 총선에서 23.47%를 득표하며 원내 진출에 성공했고, 이후 연립 정부에 참여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1980년대 들어 지지율이 하락하면서 1990년에 해체되었고, 이후 좌파 연합의 결성에 기여했다. SKDL은 다수의 지역 신문과 기관지를 발행했으며, 주요 지도자로는 K. H. 비크, 카이 순드스트룀, 쿠스티 쿨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 인민민주동맹 - 핀란드 공산당
핀란드 공산당은 1918년 핀란드 내전 후 소련에서 창당되어 냉전 시대 핀란드 인민민주동맹을 통해 높은 지지율을 얻었으나, 소련 붕괴 후 재정 파탄과 내부 갈등으로 현재는 미미한 정치적 영향력을 가진 정당이다. - 핀란드 인민민주동맹 - 사회주의통일당 (핀란드)
- 1990년 해산된 정당 -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은 1987년 김영삼과 김대중에 의해 창당되어 김영삼이 총재를 맡았으며,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낙선하고 1988년 총선에서 59석을 얻었으며, 1990년 민주자유당으로 합당하며 소멸했다. - 1990년 해산된 정당 -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은 전두환을 총재로 추대하여 창당, 1980년대 집권 여당으로 군림하다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에 흡수된 정당이다.
핀란드 인민민주동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언어1 | 핀란드어 |
언어1 이름 | Suomen Kansan Demokraattinen Liitto |
언어2 | 스웨덴어 |
언어2 이름 | Demokratiska Förbundet för Finlands Folk |
![]() | |
역사 | |
창립일 | 1944년 10월 29일 |
해산일 | 1990년 4월 |
합병 대상 | 좌파동맹 |
이념 및 정치 성향 | |
이념 | 사회주의 공산주의 마르크스주의 반자본주의 |
정치적 위치 | 좌익 ~ 극좌 |
조직 | |
신문 | 바파 사나(1944–1956) 칸산 우티세트(1957–1990) |
학생 조직 | 사회주의 학생 동맹 |
청소년 조직 | 핀란드 민주청년동맹 |
여성 조직 | 핀란드 민주여성동맹 |
아동 조직 | 핀란드 민주개척자동맹 |
기타 정보 | |
색상 | 빨간색 초록색 |
2. 창립 배경과 이념
2. 1. 창립 배경
2. 2. 초기 이념과 강령
2. 3. 이념 변화 과정
3. 조직 구조
개인은 기본 조직을 통해 또는 핀란드 공산당 (SKP), 핀란드 여성 민주 연맹/Suomen Naisten Demokraattinen Liittofi (1944–1990), 학술 사회주의 사회/Akateeminen Sosialistiseurafi (1944–1965), 수오멘 토베리쿤티엔 리토/Suomen Toverikuntien Liittofi (1946–1952), 사회주의 통일당 (SYP) (1946–1955), 사회주의 학생 연맹/Sosialistinen opiskelijaliittofi (1965–), 핀란드 민주 청년 연맹 (1967–1990)과 같은 "커뮤니티 구성원"의 구성원으로서 SKDL에 소속될 수 있었다. SKDL은 존속 기간 대부분 동안 5만 명 이상의 "고유" 회원을 보유했다. 커뮤니티 구성원 외에도 수십 개의 전국 조직이 SKDL 회원에 의해 통제되었으며, 예를 들어 인민 금주 연맹을 참조할 수 있다.
SKP 지지자들은 지속적으로 SKDL에서 다수를 차지했고,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이를 공산주의 전선으로 여겼다. SKP 회원은 종종 동일한 문제에 대해 결정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두 번의 회의에 참석했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까지 당 강령에는 사회주의조차 언급되지 않았다. 1940년대에 많은 저명한 좌파 사회주의자들과 전직 사회 민주주의자들이 동맹에 합류했음에도 불구하고, 1945년부터 SKDL 국회의원 중 공산당원의 수는 꾸준히 증가했다.
SKDL에서 몇 안 되는 조직화된 비SKP 세력 중 하나는 1946년에 주로 전직 사회 민주주의자들에 의해 설립된 사회주의 통일당 (SYP)이었다. 작고 소외된 SYP는 1955년에 SKDL을 탈퇴했다. 그러나 SKDL 내부의 대부분의 사회주의자들은 당 의장 아토스 비르타넨의 결정을 따르지 않기로 했다. 그들은 기본 조직을 통해 SKDL의 회원으로 남았다. 1970년대 초에 SKDL 사회주의자 공동 위원회가 결성되었지만, 조직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느슨한 연합으로 남았다.
3. 1. 구성 단체
개인은 기본 조직을 통해 또는 핀란드 공산당 (SKP), 핀란드 여성 민주 연맹/Suomen Naisten Demokraattinen Liittofi (1944–1990), 학술 사회주의 사회/Akateeminen Sosialistiseurafi (1944–1965), 수오멘 토베리쿤티엔 리토/Suomen Toverikuntien Liittofi (1946–1952), 사회주의 통일당 (SYP) (1946–1955), 사회주의 학생 연맹/Sosialistinen opiskelijaliittofi (1965–), 핀란드 민주 청년 연맹 (1967–1990)과 같은 "커뮤니티 구성원"의 구성원으로서 SKDL에 소속될 수 있었다. SKDL은 존속 기간 대부분 동안 5만 명 이상의 "고유" 회원을 보유했다. 커뮤니티 구성원 외에도 수십 개의 전국 조직이 SKDL 회원에 의해 통제되었으며, 예를 들어 인민 금주 연맹을 참조할 수 있다.SKP 지지자들은 지속적으로 SKDL에서 다수를 차지했고,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이를 공산주의 전선으로 여겼다. SKP 회원은 종종 동일한 문제에 대해 결정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두 번의 회의에 참석했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까지 당 강령에는 사회주의조차 언급되지 않았다. 1940년대에 많은 저명한 좌파 사회주의자들과 전직 사회 민주주의자들이 동맹에 합류했음에도 불구하고, 1945년부터 SKDL 국회의원 중 공산당원의 수는 꾸준히 증가했다.
SKDL에서 몇 안 되는 조직화된 비SKP 세력 중 하나는 1946년에 주로 전직 사회 민주주의자들에 의해 설립된 사회주의 통일당 (SYP)이었다. 작고 소외된 SYP는 1955년에 SKDL을 탈퇴했다. 그러나 SKDL 내부의 대부분의 사회주의자들은 당 의장 아토스 비르타넨의 결정을 따르지 않기로 했다. 그들은 기본 조직을 통해 SKDL의 회원으로 남았다. 1970년대 초에 SKDL 사회주의자 공동 위원회가 결성되었지만, 조직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느슨한 연합으로 남았다.
3. 2. 회원 구성
개인은 기본 조직을 통해 또는 핀란드 공산당 (SKP), 핀란드 여성 민주 연맹/Suomen Naisten Demokraattinen Liittofi (1944–1990), 학술 사회주의 사회/Akateeminen Sosialistiseurafi (1944–1965), 수오멘 토베리쿤티엔 리토/Suomen Toverikuntien Liittofi (1946–1952), 사회주의 통일당(SYP) (1946–1955), 사회주의 학생 연맹/Sosialistinen opiskelijaliittofi (1965–), 핀란드 민주 청년 연맹 (1967–1990)과 같은 "커뮤니티 구성원"의 구성원으로서 핀란드 인민민주동맹(SKDL)에 소속될 수 있었다. SKDL은 존속 기간 대부분 동안 5만 명 이상의 "고유" 회원을 보유했다. 커뮤니티 구성원 외에도 수십 개의 전국 조직이 SKDL 회원에 의해 통제되었으며, 예를 들어 인민 금주 연맹을 참조할 수 있다.SKP 지지자들은 지속적으로 SKDL에서 다수를 차지했고,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이를 공산주의 전선으로 여겼다. SKP 회원은 종종 동일한 문제에 대해 결정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두 번의 회의에 참석했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까지 당 강령에는 사회주의조차 언급되지 않았다. 1940년대에 많은 저명한 좌파 사회주의자들과 전직 사회 민주주의자들이 동맹에 합류했음에도 불구하고, 1945년부터 SKDL 국회의원 중 공산당원의 수는 꾸준히 증가했다.
1946년에 주로 전직 사회 민주주의자들에 의해 설립된 사회주의 통일당 (SYP)은 SKDL에서 몇 안 되는 조직화된 비SKP 세력 중 하나였다. 작고 소외된 SYP는 1955년에 SKDL을 탈퇴했다. 그러나 SKDL 내부의 대부분의 사회주의자들은 당 의장 아토스 비르타넨의 결정을 따르지 않기로 했다. 그들은 기본 조직을 통해 SKDL의 회원으로 남았다. 1970년대 초에 SKDL 사회주의자 공동 위원회가 결성되었지만, 조직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느슨한 연합으로 남았다.
3. 3. 의사 결정 방식
개인은 기본 조직을 통해 또는 핀란드 공산당(SKP), 핀란드 여성 민주 연맹/Suomen Naisten Demokraattinen Liittofi (1944–1990), 학술 사회주의 사회/Akateeminen Sosialistiseurafi (1944–1965), 수오멘 토베리쿤티엔 리토/Suomen Toverikuntien Liittofi (1946–1952), 사회주의 통일당(SYP) (1946–1955), 사회주의 학생 연맹/Sosialistinen opiskelijaliittofi (1965–), 핀란드 민주 청년 연맹 (1967–1990)과 같은 "커뮤니티 구성원"의 구성원으로서 SKDL에 소속될 수 있었다. SKDL은 존속 기간 대부분 동안 5만 명 이상의 "고유" 회원을 보유했다. 커뮤니티 구성원 외에도 수십 개의 전국 조직이 SKDL 회원에 의해 통제되었으며, 예를 들어 인민 금주 연맹을 참조할 수 있다.SKP 지지자들은 지속적으로 SKDL에서 다수를 차지했고,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이를 공산주의 전선으로 여겼다. SKP 회원은 종종 동일한 문제에 대해 결정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두 번의 회의에 참석했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까지 당 강령에는 사회주의조차 언급되지 않았다. 1940년대에 많은 저명한 좌파 사회주의자들과 전직 사회 민주주의자들이 동맹에 합류했음에도 불구하고, 1945년부터 SKDL 국회의원 중 공산당원의 수는 꾸준히 증가했다.
SKDL에서 몇 안 되는 조직화된 비SKP 세력 중 하나는 1946년에 주로 전직 사회 민주주의자들에 의해 설립된 사회주의 통일당 (SYP)이었다. 작고 소외된 SYP는 1955년에 SKDL을 탈퇴했다. 그러나 SKDL 내부의 대부분의 사회주의자들은 당 의장 아토스 비르타넨의 결정을 따르지 않기로 했다. 그들은 기본 조직을 통해 SKDL의 회원으로 남았다. 1970년대 초에 SKDL 사회주의자 공동 위원회가 결성되었지만, 조직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느슨한 연합으로 남았다.
3. 4. 내부 갈등
핀란드 공산당(SKP) 지지자들은 지속적으로 핀란드 인민민주동맹(SKDL)에서 다수를 차지했고,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핀란드 인민민주동맹을 공산주의 전선으로 여겼다. SKP 회원은 종종 동일한 문제에 대해 결정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두 번의 회의에 참석했다. 1940년대에 많은 저명한 좌파 사회주의자들과 전직 사회 민주주의자들이 동맹에 합류했음에도 불구하고, 1945년부터 SKDL 국회의원 중 공산당원의 수는 꾸준히 증가했다.핀란드 인민민주동맹에서 몇 안 되는 조직화된 비SKP 세력 중 하나는 1946년에 주로 전직 사회 민주주의자들에 의해 설립된 사회주의 통일당(SYP)이었다. 작고 소외된 SYP는 1955년에 SKDL을 탈퇴했다. 그러나 SKDL 내부의 대부분의 사회주의자들은 당 의장 아토스 비르타넨의 결정을 따르지 않기로 했다. 그들은 기본 조직을 통해 SKDL의 회원으로 남았다. 1970년대 초에 SKDL 사회주의자 공동 위원회가 결성되었지만, 조직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느슨한 연합으로 남았다.
4. 주요 활동과 정치적 영향
4. 1. 의회 활동
핀란드 인민민주동맹(SKDL)은 1945년 총선에서 23.47%를 득표하여 49석을 확보하며 원내에 진출했다. 이후 1946년부터 1948년까지 여당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48년 총선에서는 의석수가 38석으로 감소하여 야당이 되었다.1950년대에는 21%대의 득표율을 유지하며 43석 내외의 의석을 확보했다. 1958년 총선에서는 23.16%의 득표율로 50석을 차지하여 원내 제1당이 되기도 했으나, 정부 구성에는 실패했다.
1966년 총선 이후 연립 정부에 참여했으나, 1970년 총선에서는 의석이 36석으로 감소하며 다시 야당이 되기도 하고, 연립정부에 참여하기도 하는 등 복잡한 정치 상황을 겪었다. 1970년대 후반에는 17~18%대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35~40석 사이의 의석을 유지했다.
1983년 총선에서는 13.46%의 득표율로 26석, 1987년 총선에서는 9.39%의 득표율로 16석을 얻는 데 그쳤다.
선거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 | 변동 | 상태 |
---|---|---|---|---|---|
1945년 | 398,618 | 23.47% | 49 / 200 | 신규 | 연립 정부 (1945–1946), 주도 정부 (1946–1948) |
1948년 | 375,538 | 19.98% | 38 / 200 | 11 | 야당 |
1951년 | 391,134 | 21.58% | 43 / 200 | 5 | 야당 |
1954년 | 433,251 | 21.57% | 43 / 200 | 야당 | |
1958년 | 450,220 | 23.16% | 50 / 200 | 7 | 야당 |
1962년 | 506,829 | 22.02% | 47 / 200 | 3 | 야당 |
1966년 | 502,374 | 21.20% | 41 / 200 | 6 | 연립 정부 |
1970년 | 420,556 | 16.58% | 36 / 200 | 5 | 연립 정부 (1970–1971), 야당 (1971) |
1972년 | 438,757 | 17.02% | 37 / 200 | 1 | 야당 |
1975년 | 519,483 | 18.89% | 40 / 200 | 3 | 연립 정부 (1975–1976), 야당 (1976–1977), 연립 정부 (1977–1979) |
1979년 | 518,045 | 17.90% | 35 / 200 | 5 | 연립 정부 (1979–1982), 야당 (1982–1983) |
1983년 | 400,930 | 13.46% | 26 / 200 | 9 | 야당 |
1987년 | 270,433 | 9.39% | 16 / 200 | 10 | 야당 |
4. 2. 연립 정부 참여
4. 3. 대중 운동
4. 4. 사회 문화적 영향
5. 발행물
'''자유의 소리'''(자유의 소리 (신문)/Vapaa Sanafi)는 1944년부터 1956년까지 핀란드 인민민주동맹의 당 기관지였다. 핀란드 인민민주동맹은 많은 지역 일간 신문도 발행했다. 1957년, '''자유의 소리'''는 핀란드 공산당 기관지인 노동자의 소식 (1945)/Työkansan Sanomatfi와 합병되어 칸산 우우티세트를 창간했다. 칸산 우우티세트는 1990년까지 양 당의 기관지였으며, 2000년부터는 좌파 연합의 일원이다.
'''''칸산 우우티세트'''''(Kansan Uutiset)는 1957년 핀란드 인민민주동맹의 기관지였던 ''자유의 소리''(Vapaa Sana)와 핀란드 공산당 기관지였던 ''노동자의 소식/Työkansan Sanomatfi''이 합병되어 창간된 신문이다. 1990년까지 핀란드 인민민주동맹과 핀란드 공산당 양 당의 기관지 역할을 수행했다. ''칸산 우우티세트''는 현재도 발행되고 있으며, 2000년부터는 좌파 연합의 일원이다.
5. 1. 자유의 소리 (Vapaa Sana)
'''자유의 소리'''(Vapaa Sana)는 1944년부터 1956년까지 핀란드 인민민주동맹(SKDL)의 당 기관지였다. SKDL은 많은 지역 일간 신문도 발행했다. 1957년, '''자유의 소리'''는 핀란드 공산당(SKP) 기관지인 노동자의 소식 (1945)/Työkansan Sanomatfi와 합병되어 칸산 우우티세트(Kansan Uutiset)를 창간했다. 칸산 우우티세트는 1990년까지 양 당의 기관지였으며, 2000년부터는 좌파 연합의 일원이다.5. 2. 칸산 우우티세트 (Kansan Uutiset)
'''''칸산 우우티세트'''''(Kansan Uutiset)는 1957년 핀란드 인민민주동맹(SKDL)의 기관지였던 ''자유의 소리''(Vapaa Sana)와 핀란드 공산당(SKP) 기관지였던 ''노동자의 소식/Työkansan Sanomatfi''이 합병되어 창간된 신문이다. 1990년까지 핀란드 인민민주동맹과 핀란드 공산당 양 당의 기관지 역할을 수행했다. ''칸산 우우티세트''는 현재도 발행되고 있으며, 2000년부터는 좌파 연합의 일원이다.5. 3. 기타 출판물
''자유의 소리/자유의 소리 (신문)fi''(Vapaa Sana)는 1944년부터 1956년까지 핀란드 인민민주동맹(SKDL)의 당 기관지였다. SKDL은 또한 많은 지역 일간 신문을 발행했다. 1957년, ''자유의 소리''는 핀란드 공산당(SKP) 기관지인 ''노동자의 소식/노동자의 소식 (1945)fi''(Työkansan Sanomat)와 합병되어 1990년까지 양 당의 기관지였던 ''칸산 우우티세트''(Kansan Uutiset)를 창간했다. ''칸산 우우티세트''는 현재도 발행되고 있으며, 2000년부터는 좌파 연합의 일원이다.6. 역대 지도부
wikitable
의장 | 재임 기간 |
---|---|
K. H. 비크 | 1944년 |
카이 순드스트룀 | 1944년–1946년 |
J. W. 케토 | 1946년–1948년 |
쿠스티 쿨로 | 1948년–1967년 |
엘레 알레니우스 | 1967년–1979년 |
칼레비 키비스토 | 1979년–1985년 |
에스코 헬레 | 1985년–1988년 |
레이요 캐켈래 | 1988년–1990년 |
사무총장 | 재임 기간 |
---|---|
튄 뚜오미넨 | 1944년–1949년 |
이르외 엔네 | 1949년–1952년, 1959년-1961년 |
헤르타 쿠시넨 | 1952년–1958년 |
마우노 탐미넨 | 1962년–1965년 |
엘레 알레니우스 | 1965년–1967년 |
아이모 하아파넨 | 1967년–1977년 |
요르마 헨틸래 | 1977년–1984년 |
레이요 캐켈래 | 1984년–1988년 |
살메 칸돌린 | 1988년–1990년 |
6. 1. 역대 의장
의장 | 재임 기간 |
---|---|
K. H. 비크 | 1944년 |
카이 순드스트룀 | 1944년–1946년 |
J. W. 케토 | 1946년–1948년 |
쿠스티 쿨로 | 1948년–1967년 |
엘레 알레니우스 | 1967년–1979년 |
칼레비 키비스토 | 1979년–1985년 |
에스코 헬레 | 1985년–1988년 |
레이요 캐켈래 | 1988년–1990년 |
사무총장 | 재임 기간 |
---|---|
튄 뚜오미넨 | 1944년–1949년 |
이르외 엔네 | 1949년–1952년, 1959년-1961년 |
헤르타 쿠시넨 | 1952년–1958년 |
마우노 탐미넨 | 1962년–1965년 |
엘레 알레니우스 | 1965년–1967년 |
아이모 하아파넨 | 1967년–1977년 |
요르마 헨틸래 | 1977년–1984년 |
레이요 캐켈래 | 1984년–1988년 |
살메 칸돌린 | 1988년–1990년 |
6. 2. 역대 사무총장
튄 뚜오미넨 | 1944–1949년 |
이르외 엔네 | 1949–1952년 |
헤르타 쿠시넨 | 1952–1958년 |
이르외 엔네 | 1959–1961년 |
마우노 탐미넨 | 1962–1965년 |
엘레 알레니우스 | 1965–1967년 |
아이모 하아파넨 | 1967–1977년 |
요르마 헨틸래 | 1977–1984년 |
레이요 캐켈래 | 1984–1988년 |
살메 칸돌린 | 1988–1990년 |
7. 선거 결과
7. 1. 의회 선거
핀란드 인민민주동맹(SKDL)은 1945년 창당 이후 1987년까지 핀란드 의회 선거에서 다양한 득표율과 의석수 변화를 겪었다.선거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 | 변동 | 상태 |
---|---|---|---|---|---|
1945년 | 398,618 | 23.47% | 49 / 200 | 신규 | 연립 정부 (1945–1946) |
주도 정부 (1946–1948) | |||||
1948년 | 375,538 | 19.98% | 38 / 200 | 11 | 야당 |
1951년 | 391,134 | 21.58% | 43 / 200 | 5 | 야당 |
1954년 | 433,251 | 21.57% | 43 / 200 | 야당 | |
1958년 | 450,220 | 23.16% | 50 / 200 | 7 | 야당 |
1962년 | 506,829 | 22.02% | 47 / 200 | 3 | 야당 |
1966년 | 502,374 | 21.20% | 41 / 200 | 6 | 연립 정부 |
1970년 | 420,556 | 16.58% | 36 / 200 | 5 | 연립 정부 (1970–1971) |
야당 (1971) | |||||
1972년 | 438,757 | 17.02% | 37 / 200 | 1 | 야당 |
1975년 | 519,483 | 18.89% | 40 / 200 | 3 | 연립 정부 (1975–1976) |
야당 (1976–1977) | |||||
연립 정부 (1977–1979) | |||||
1979년 | 518,045 | 17.90% | 35 / 200 | 5 | 연립 정부 (1979–1982) |
야당 (1982–1983) | |||||
1983년 | 400,930 | 13.46% | 26 / 200 | 9 | 야당 |
1987년 | 270,433 | 9.39% | 16 / 200 | 10 | 야당 |
SKDL은 1945년 선거에서 23.47%의 득표율로 49석을 얻어 원내 주요 정당으로 부상했다. 이후 1958년 선거까지 20%대의 득표율을 유지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지지 기반을 확보했다. 1960년대에는 득표율이 소폭 하락했지만, 1970년대에는 다시 지지율을 회복하며 연립 정부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러나 1980년대 들어 득표율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1987년 선거에서는 9.39%의 득표율로 16석을 얻는 데 그쳤다.
7. 2. 지방 선거
wikitable연도 | 시의원 수 | 득표수 | 득표율 |
---|---|---|---|
1945년 | 2,496 | 275,324 | align="right" | |
1947년 | 2,005 | 314,156 | 20.4% |
1950년 | 2,517 | 347,102 | 23.04% |
1953년 | 2,546 | 406,324 | 23.10% |
1956년 | 2,272 | 353,967 | 21.2% |
1960년 | 2,409 | 432,146 | 22.0% |
1964년 | 2,417 | 470,550 | 21.9% |
1968년 | 1,770 | 382,882 | 16.91% |
1972년 | 1,731 | 437,130 | 17.48% |
1976년 | 2,050 | 494,920 | 18.45% |
1980년 | 1,835 | 456,177 | 16.64% |
1984년 | 1,482 | 354,582 | 13.15% |
1988년 | 1,209 | 270,532 | 10.29% |
```
핀란드 인민민주동맹(SKDL)의 역대 지방 선거 득표율과 시의원 수는 위 표와 같다. 1945년 지방 선거에서 2,496명의 시의원을 당선시키며 시작했지만, 1988년에는 1,209명으로 감소했다. 득표율 또한 1950년대 초반 23%대에서 1988년 10.29%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7. 3. 대통령 선거
연도 | 일반 투표 | 선거인단 | 후보 | 선거인단 투표 | |||
---|---|---|---|---|---|---|---|
득표수 | % | 1차 투표 | 2차 투표 | 3차 투표 | |||
1950년 | 338,035 | 21.4 | 67 | 마우노 페칼라 | 67 | 실시되지 않음 | |
1956년 | 354,575 | 18.7 | 56 | 에이노 킬피 | 56 | 진출 실패 | |
1962년 | 451,750 | 20.5 | 63 | 파아보 아이티오 | 67 | 실시되지 않음 | |
1968년 | 345,609 | 17.0 | 56 | 중앙당의 우르호 케코넨 지지 | 201 | 실시되지 않음 | |
1978년 | 445,098 | 18.2 | 56 | 중앙당의 우르호 케코넨 지지 | 259 | 실시되지 않음 | |
1982년 | 348,359 | 11.0 | 32 | 칼레비 키비스토 | 32 | 11 | 실시되지 않음 |
1988년 | 286,833 | 9.6 | 26 | 칼레비 키비스토 | 26 | 26 | 실시되지 않음 |
핀란드 인민민주동맹(SKDL) 후보 중 대통령으로 선출된 사람은 없었지만, 1968년과 1978년 우르호 케코넨을 지지했을 때 두 번 모두 그가 당선되었다.
8. 해체와 유산
8. 1. 해체 과정
8. 2. 좌파 연합 창립
8. 3. SKDL의 유산
9. 한국과의 비교
9. 1. 분단과 냉전 경험
9. 2. 좌익 세력 결집 방식
9. 3. 정치적 영향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