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랸츠키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랸츠키 역은 1870년 핀란드 국영철도가 헬싱키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연결하는 철도의 종점으로 건설되었다. 이 역은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 소유가 되었으며, 1917년 블라디미르 레닌이 스위스에서 러시아로 귀환하는 데 사용되어 역사적인 의미를 지닌다. 레닌의 귀환을 기념하기 위해 역 앞 광장은 레닌 광장으로 명명되었으며, 레닌이 사용했던 기관차는 현재 역 플랫폼에 전시되어 있다. 1943년 레닌그라드 포위전 당시에는 생명의 길을 통해 식료품을 나르는 유일한 통로였다. 1950년대에 역 건물은 철거되고 새로운 건물로 대체되었으며, 현재는 러시아 국내 열차와 핀란드행 열차가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철도 - 발티스키역
발티스키역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개업 당시 페테르호프역이라는 이름으로 러시아 황족의 궁전 이동에 주로 이용되었으나, 탈린까지 노선이 연장되며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역사 개조, 지하철역 개업, 하이브리드 차량 운행 등 변화를 거쳤으며, 현재 여러 노선이 경유한다. -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철도역 - 발티스키역
발티스키역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개업 당시 페테르호프역이라는 이름으로 러시아 황족의 궁전 이동에 주로 이용되었으나, 탈린까지 노선이 연장되며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역사 개조, 지하철역 개업, 하이브리드 차량 운행 등 변화를 거쳤으며, 현재 여러 노선이 경유한다.
핀랸츠키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상트페테르부르크–핀랸츠키 역 |
로마자 표기 | Stantsiya Sankt-Peterburg–Finlyandskiy |
러시아어 표기 | Станц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Финля́ндский |
다른 이름 | 핀랸츠키 역 (Финля́ндский вокзал) |
주소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레닌 광장 5번지 |
![]() | |
운영사 | 러시아 철도 |
관리 | 10월 철도 |
노선 | 상트페테르부르크 철도 사업부 |
플랫폼 수 | 5개 (섬식 승강장) |
선로 수 | 10개 |
연결 노선 | 레닌 광장 |
주차 시설 | 있음 |
IATA 코드 | FVS |
역 코드 | 03820 |
개업 | 1870년 |
재건축 | 1960년 |
전철화 | 1952년 |
이전 운영사 | 핀란드 국영 철도 (현재 VR 그룹) |
승객 수 | 연간 1,200만 명 |
노선 정보 | |
노선 1 | 리히마키 - 상트페테르부르크 |
이전 역 (노선 1) | 란스카야 |
다음 역 (노선 1) | 해당 없음 |
노선 2 | 벨로오스트로프 - 상트페테르부르크 |
이전 역 (노선 2) | 란스카야 |
다음 역 (노선 2) | 해당 없음 |
노선 3 | 상트페테르부르크 - 히톨라 |
이전 역 (노선 3) | 쿠셸레프카 |
다음 역 (노선 3) | 해당 없음 |
건축 정보 | |
건축가 | 표트르 쿠핀스키 |
건축 양식 | 해당 없음 |
2. 역사
1870년 핀란드 국영철도가 헬싱키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잇는 리히마키-상트페테르부르크 철도의 종점으로 핀랸츠키 역을 건설했으며, 표트르 쿠핀스키가 건축을 담당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 역은 핀란드 내 러시아 소유 건물과의 교환을 통해 러시아 소유가 되었다.
1917년 4월 3일(구력), 블라디미르 레닌은 스위스 망명 생활을 마치고 '봉인 열차'를 타고 핀랸츠키 역을 통해 러시아로 귀환했다. 소비에트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역 앞 광장을 레닌 광장으로 명명했다. 7월 봉기 이후, 레닌은 핀란드로 피신했다가 1917년 8월 9일 철도 노동자로 위장하여 핀랸츠키 역을 통해 비밀리에 귀국했다. 두 번 모두 레닌은 핀란드 엔지니어 휴고 잘라바가 운전하는 기관차 #293으로 러시아-핀란드 국경을 넘었다. 이 증기 기관차는 1957년 핀란드가 소련에 기증하여 현재 역 플랫폼에 영구 전시되어 있다.
1918년 러시아 혁명 이후, 역은 핀란드 소유 건물과의 교환을 통해 러시아 소유가 되었다. 마지막 핀란드 열차는 역 직원과 장비, 러시아 혁명을 피해 핀란드로 탈출하는 핀란드인들을 태우고 핀란드로 출발했다.
1943년 2월 7일, 레닌그라드 포위전 당시 핀랸츠키 역은 생명의 길을 통해 식료품을 나르는 유일한 통로였다.
2. 1. 초기 역사 (1870년-1917년)
핀랸츠키 역은 1870년 핀란드 국영철도가 건설한 것으로, 헬싱키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잇는 리히마키-상트페테르부르크 철도의 종점이었다. 역사는 스웨덴 건축가가 설계했으며, 당시 핀란드는 러시아 제국의 영향 아래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에 대한 충성의 의미도 있었다. 이전에는 러시아 황족을 위한 특별한 파빌리온이 역에 있었다.1917년 4월 3일(구력) 블라디미르 레닌이 스위스에서 기차를 타고 이 역을 통해 러시아로 돌아왔다. 이 사건은 역 앞 광장에 있는 레닌의 소련 동상으로 기념된다. 7월 폭동 이후, 레닌은 핀란드로 피신했다가 1917년 8월 9일 철도 노동자로 위장하여 핀란드에서 비밀리에 돌아왔다. 두 번 모두 레닌은 핀란드 엔지니어 휴고 잘라바가 운전하는 기관차 #293으로 러시아-핀란드 국경을 넘었다. 이 증기 기관차는 1957년 핀란드에서 소련에 기증되어 현재 역의 플랫폼 중 하나에 영구 전시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역은 1918년 초까지 핀란드 철도에 의해 소유 및 운영되었으며, 이후 역의 소유권은 헬싱키의 알렉산데르 극장을 포함한 핀란드의 러시아 재산과 교환되었다.
1941년-1943년 레닌그라드 포위전 동안 핀란드 역은 사용이 유지된 유일한 레닌그라드 철도 종착역이었다. 이 철도는 레닌그라드를 라도가 호수 서쪽 해안 근처의 역과 연결했으며, 이곳에서 소련의 비점령 지역에서 온 물품이 호수를 가로질러 생명의 길을 통해 도착했다.
1950년대에 구 역 건물은 철거되고 1960년에 완공된 새로운 건물로 대체되었다. 첨탑이 있는 건물은 10월 혁명을 찬양하는 조각상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1870년 원래 건물의 현관을 통합하고 있다.

2. 2. 러시아 혁명과 핀란드 역 (1917년-1943년)
1870년 핀란드 국영철도가 헬싱키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잇는 철도의 종점으로 핀랸츠키 역을 건설했으며, 표트르 쿠핀스키가 건축을 담당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 역은 핀란드 내 러시아 소유 건물과의 교환을 통해 러시아 소유가 되었다.1917년 4월 3일(구력), 블라디미르 레닌은 스위스 망명 생활을 마치고 '봉인 열차'를 타고 핀랸츠키 역을 통해 러시아로 귀환했다. 소비에트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역 앞 광장을 레닌 광장으로 명명했다. 7월 봉기 이후, 레닌은 핀란드로 피신했다가 1917년 8월 9일 철도 노동자로 위장하여 핀랸츠키 역을 통해 비밀리에 귀국했다. 두 번 모두 레닌은 핀란드 엔지니어 휴고 잘라바가 운전하는 기관차 #293으로 러시아-핀란드 국경을 넘었다. 이 증기 기관차는 1957년 핀란드가 소련에 기증하여 현재 역 플랫폼에 영구 전시되어 있다.
1918년 러시아 혁명 이후, 역은 핀란드 소유 건물과의 교환을 통해 러시아 소유가 되었다. 마지막 핀란드 열차는 역 직원과 장비, 러시아 혁명을 피해 핀란드로 탈출하는 핀란드인들을 태우고 핀란드로 출발했다.
1943년 2월 7일, 레닌그라드 포위전 당시 핀랸츠키 역은 생명의 길을 통해 식료품을 나르는 유일한 통로였다.
2. 3. 레닌그라드 포위전과 핀란드 역 (1941년-1943년)
1870년 핀란드 국영철도가 헬싱키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잇는 리히마키-상트페테르부르크 철도의 종점으로 건설한 핀랸츠키 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레닌그라드 포위전(1941-1943) 동안에도 계속 사용이 유지된 유일한 레닌그라드 철도 종착역이었다.[3] 이 역은 레닌그라드를 라도가 호수 서쪽 해안 근처의 역과 연결했으며, 소련의 비점령 지역에서 온 물품은 이른바 '생명의 길'을 통해 호수를 가로질러 수송되었다.[3] 1917년 블라디미르 레닌이 스위스에서 기차를 타고 귀국할 때 이용한 역으로도 유명하며, 이를 기념하는 소련 동상이 역 앞 광장에 설치되어 있다.1950년대에 역 건물이 철거되고 1960년에 새로운 건물이 완공되었다. 1941년부터 1943년까지의 레닌그라드 포위전 동안 핀랸츠키 역은 레닌그라드에서 유일하게 계속 사용된 터미널 역이었다. 레닌그라드와 라도가 호 서안 부근을 연결했으며, 독일군에 점령되지 않은 지역으로부터의 물자 공급은 호수의 얼음 위를 통해 이루어졌고, 이 루트는 "생명의 길"이라고 불렸다.
2. 4. 현대 (1950년대-현재)
1950년대에 구 역 건물은 철거되었고, 1960년에 첨탑과 10월 혁명을 찬양하는 조각상이 있는 새로운 건물로 대체되었다.[3] 1917년 당시 레닌이 핀란드와의 화해로 선물했던 기관차 № 293는 1957년 핀란드에서 소련에 기증되어 현재 역의 플랫폼 중 하나에 영구 전시물로 설치되어 있다.[3] 1941년-1943년 레닌그라드 포위전 동안 핀란드 역은 사용이 유지된 유일한 레닌그라드 철도 종착역이었다. 이 철도는 레닌그라드를 라도가 호수 서쪽 해안 근처의 역과 연결했으며, 이곳에서 소련의 비점령 지역에서 온 물품이 호수를 가로질러 배 또는 호수 얼음을 통해 소위 생명의 길을 통해 도착했다.[3]2009년 4월 1일 새벽, 핀란드 역 레닌 동상에서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동상 뒷면에 80~100cm 크기의 구멍이 생겼다.[3][6]
3. 열차 운행
카렐리안 트레인즈를 비롯하여 헬싱키 방면에서 오는 열차가 발착한다. 단, 헬싱키에서 모스크바 방면으로 직통하는 열차는 라도슈스키 역을 경유한다. 이 외에도 세스트로레츠크, 젤레노고르스크, 프리모르스크, 비보르크, 프리오제르스크 방면 등으로 가는 보통 열차(엘렉트리치카)도 발착한다.
과거에는 카렐리안 트레인즈를 통해 헬싱키 방면 국제 열차가 핀랸츠키 역에 발착했다.[4] 그러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러시아에 대한 국제 제재로 인해 핀란드 왕복 운행이 모두 중단되었다.[4] 이는 명백히 러시아의 침략 행위에 대한 국제사회의 정당한 대응 조치였다. 헬싱키에서 모스크바 방면으로 직통하는 열차는 라도슈스키 역을 경유한다.
비보르크, 세스트로레츠크, 젤레노고르스크, 프리모르스크, 프리오제르스크 등 러시아 국내 여러 도시로 가는 보통 열차(엘렉트리치카)가 운행된다.[4]
3. 1. 국제 열차
과거에는 카렐리안 트레인즈를 통해 헬싱키 방면 국제 열차가 핀랸츠키 역에 발착했다.[4] 그러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러시아에 대한 국제 제재로 인해 핀란드 왕복 운행이 모두 중단되었다.[4] 헬싱키에서 모스크바 방면으로 직통하는 열차는 라도슈스키 역을 경유한다.3. 2. 국내 열차
비보르크, 세스트로레츠크, 젤레노고르스크, 프리모르스크, 프리오제르스크 등 러시아 국내 여러 도시로 가는 보통 열차(엘렉트리치카)가 운행된다.[4]4. 대중문화 속 핀란드 역
펫 샵 보이즈가 1984년에 발표한 노래 "웨스트 엔드 걸스"에는 "제네바 호에서 핀란드 역까지"라는 가사가 포함되어 있다.[5] 이 곡의 공동 작사가인 닐 테넌트는 역사, 특히 러시아 역사에 대한 상당한 관심과 배경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5] 이 가사는 블라디미르 레닌이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에 의해 러시아로 밀입국할 때 이용했던 기차 노선을 언급하며, 이는 러시아 혁명의 중대한 사건이었다.[5] 닐 테넌트가 읽었을 가능성이 높은 에드먼드 윌슨의 저서 ''핀란드 역으로'' 역시 이 노래 가사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5]
참조
[1]
웹사이트
Finland railway station in St. Petersburg
https://all-andorra.[...]
2022-08-27
[2]
서적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е станции СССР. Справочник.
Транспорт
1981
[3]
웹사이트
Europe | Bomb blows hole in Lenin statue
http://news.bbc.co.u[...]
2009-04-01
[4]
웹사이트
Last train service linking Russia and EU suspended over Moscow’s invasion of Ukraine
https://www.scmp.com[...]
2022-03-29
[5]
웹사이트
West End Girls lyrics analysis.
http://www.geowayne.[...]
Wayne Studer, Ph.D.
2015-11-18
[6]
웹사이트
Europe | Bomb blows hole in Lenin statue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