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올림픽 위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 올림픽 위원회(POC)는 필리핀의 스포츠 발전을 관장하는 기구로, 1911년 필리핀 아마추어 육상 연맹(PAAF)으로 시작하여 197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1929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인정을 받았으며, 리잘 기념 스포츠 콤플렉스에 본부를 두고 있다. POC는 필리핀 내 국가 스포츠 협회(NSA)의 회원 자격을 관리하며, 정회원과 준회원, 인정 회원 등급으로 구분한다. 회장은 집행위원회를 소집하고 새로운 위원회 설립을 권고하는 등 권한을 행사하며, IOC 위원을 배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스포츠 - 1913년 극동 선수권 대회
1913년 극동 선수권 대회는 일본 도쿄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되었으며, 중화민국, 미국령 필리핀, 일본 제국 등이 참가하여 육상, 야구, 농구 등의 종목이 진행되었다. - 필리핀의 스포츠 행정 기구 - 필리핀 축구 연맹
필리핀 축구 연맹(PFF)은 1907년 필리핀 아마추어 축구 협회(PAFA)로 시작하여 FIFA에 가입하고 AFC의 창립 멤버이기도 한 필리핀의 축구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 필리핀의 스포츠 행정 기구 - 필리핀 태권도 협회
필리핀 태권도 협회는 학교 폭력 사건과 선수 제명 논란으로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필리핀의 태권도 관련 단체이다. - 1911년 설립 - 그리피스 스타디움
1911년부터 1965년까지 미국 워싱턴 D.C.에 존재했던 그리피스 스타디움은 워싱턴 세네터스의 구단주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경기, 미식축구 경기, 권투 시합 등 다양한 스포츠 및 문화 행사가 열렸으나 1965년에 철거되어 현재는 하워드 대학교 병원이 들어서 있다. - 1911년 설립 - 특별고등경찰
특별고등경찰은 일본 제국에서 위험 사상을 단속하기 위해 창설된 특별 경찰 조직으로, 치안유지법을 통해 사상 통제와 반체제 인사 탄압에 앞장섰으며, 해체 후 공안 경찰로 계승되어 일본 제국주의 시기 사상 검열과 탄압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필리핀 올림픽 위원회 | |
---|---|
기본 정보 | |
국가 | 필리핀 |
IOC 코드 | PHI |
설립 | 1911년 |
승인 | 1929년 |
연맹 | OCA |
본부 위치 | 필스포츠 콤플렉스, 파시그, 메트로 마닐라 |
회장 | 스티브 혼티베로스 |
위원장 | 아브라함 톨렌티노 |
사무총장 | 와튼 찬 |
웹사이트 | 필리핀 올림픽 위원회 공식 웹사이트 |
비고 | 필리핀 아마추어 운동 연맹 (PAAF)으로 설립됨 |
2. 역사
필리핀 올림픽 위원회(POC)는 1911년 필리핀 아마추어 육상 연맹(PAAF)으로 시작되었다. PAAF는 1913년 첫 번째 극동 선수권 대회를 조직하여 중국, 일본, 필리핀이 참가했다.[2]
1924년 데이비드 네포무세노가 1924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1928년 테오필로 이델폰소가 1928년 하계 올림픽에서 필리핀 최초의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는 1929년에 PAAF를 필리핀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로 인정했다.[2] 1975년 PAAF는 필리핀 올림픽 위원회(POC)로 이름을 바꾸었다.[2]
2. 1. 필리핀 아마추어 육상 연맹 (1911-1975)
1911년 1월, 필리핀의 체육 발달과 함께 필리핀 아마추어 육상 연맹(PAAF)이 설립되어 미국 행정부 기간 동안 필리핀에 스포츠를 도입하였다.[2] PAAF는 1913년 첫 번째 극동 선수권 대회를 조직했으며, 중국, 일본, 필리핀이 참가했다.[2]
데이비드 네포무세노는 1924년 하계 올림픽 육상 100m 및 200m 경기에 참가한 최초의 필리핀 올림픽 선수이다.[2] 국제 올림픽 위원회는 1929년에 PAAF를 필리핀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로 인정했다.[2] 테오필로 이델폰소는 1928년 하계 올림픽 200m 평영 경기에서 필리핀 최초의 올림픽 메달인 동메달을 획득했다.[2] 1975년, PAAF는 필리핀 올림픽 위원회(POC)로 명칭을 변경했다.[2]
2. 2. 필리핀 올림픽 위원회 (1975-현재)
1975년, 필리핀 아마추어 육상 연맹(PAAF)은 청소년 스포츠 개발부 설립 이후 필리핀 올림픽 위원회(POC)로 명칭을 변경했다.[2]POC는 리잘 기념 스포츠 콤플렉스에서 필리핀 스포츠 위원회와 함께 사무실을 운영해 왔으며, 필스포츠 콤플렉스 건설 후 두 기관의 본부가 되었다.[3]
2023년 1월, POC 회원국 스포츠 협회(NSA)의 리더십 및 구성에 대한 개정안이 발효되었다.[4]
3. 조직 구성
필리핀 스포츠 단지(PhilSports Complex)는 POC의 본부이며, 이는 스포츠 단체의 정관에 의해 규정된다. POC 본부는 총회 결정에 따라 이전될 수 있다.[1]
POC는 회장, 제1·2 부회장, 사무총장, 재무, 감사, 직전 회장, 4명의 이사, 그리고 IOC 위원으로 구성된 집행 이사회에 의해 관리된다. 회원, 중재, 윤리, 기술, 방법 및 수단, 선수 위원회가 상임 위원회로 조직되어 있으며, 회장의 권고와 집행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 추가 위원회를 설립할 수 있다.[1]
3. 1. 집행 이사회
필리핀 올림픽 위원회는 회장, 제1·2 부회장, 사무총장, 재무, 감사, 직전 회장, 4명의 이사, 그리고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으로 구성된 집행 이사회에 의해 관리된다.[1] 집행 이사회는 매달 최소 한 번 회의를 열며, 과반수(7명 이상)가 참석하면 의결이 가능하다.[1] 필리핀 올림픽 위원회의 결정은 집행 이사회 구성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이루어지며, 찬반 동수일 경우 회장이 결정한다.[1]필리핀 올림픽 위원회에는 회원, 중재, 윤리, 기술, 방법 및 수단, 선수 위원회가 상임 위원회로 조직되어 있다.[1] 추가 위원회는 회장의 권고에 따라 집행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 설립할 수 있다.[1]
집행 이사회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1]
직책 | 이름 | 종목 |
---|---|---|
회장 | 스티브 혼티베로스 | 핸드볼 |
회장 | 아브라함 톨렌티노 | 사이클 |
사무총장 | 와튼 찬 | 킥복싱 |
부회장 | 알 판릴리오 | 농구 |
리차드 고메즈 | 펜싱 | |
재무 | 신시아 캐리온 | 체조 |
감사 | 호아킨 로이자카 | 야구 |
이사회 구성원 | 데이비드 F. 카터 | 유도 |
펄 앤 매뉴엘로드 | 무에타이 | |
호세 라울 칸라스 | 서핑 | |
찰리 L. 호 | 넷볼 | |
직전 회장 | 빅토리코 바르가스 | 권투 |
선수 위원회 | 니코 휴엘가스 | 트라이애슬론 |
회원 위원회 의장 | 아벨리노 수마귀 | 사이클 |
3. 2. 회장

회장은 사무총장에게 서면 요청을 하여 집행위원회의 특별 회의를 소집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이 특권은 집행위원회의 과반수에 의해서도 발동될 수 있다. 회장은 또한 POC 내의 새로운 위원회 창설을 권고하며, 위원회의 각 위원장 및 위원의 임명, 그리고 위원회의 임무, 과제 및 권한을 제안하며, 이 모든 것은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1]
재임 기간 | 이름 |
---|---|
1911–1916 | 윌리엄 캐머런 포브스 |
1916–1935 | 마누엘 L. 케손 |
1936–1955 | 호르헤 B. 바르가스 |
1956–1968 | 안토니오 데 라스 알라스 |
1969–1970 | 펠리페 몬세라트 |
1970–1975 | 암브로시오 파디야 |
재임 기간 | 이름 |
---|---|
1975–1976 | 암브로시오 파디야 |
1977–1980 | 네레오 안돌롱 |
1980 | 줄리안 말론소 (임시) |
1981–1984 | 마이클 케온 |
1985–1992 | 호세 세링 |
1993–1996 | 르네 크루스 |
1997–1999 | 크리스티 라모스 |
1999–2004 | 셀소 데이리트 |
2005–2018 | 호세 코주앙코 주니어 |
2018–2019 | 빅토리코 바르가스 |
2019 | 조이 로마산타 |
2019–현재 | 아브라함 톨렌티노 |
3. 3.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
이름 | 임기 |
---|---|
호르헤 바르톨로메 바르가스 | 1936년–1985년 |
프란시스코 호세 엘리잘데 | 1985년–2012년 |
미카엘라 코주앙코 자워스키 | 2013년–현재 |
4. 회원
필리핀 올림픽 위원회(POC)의 회원은 국가 스포츠 협회(NSAs)로 인정받는 스포츠 협회이다. POC에는 정회원과 준회원의 두 가지 회원 등급이 있으며, 스포츠 종목 인정을 위한 인증도 부여한다.[5]
국가 종목별 연맹(NSA)이 POC 회원으로 가입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2009년 2월 기준).[5]
- 필요 서류 제출: NSA는 POC에 다음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 공식 주소 및 연락처 (전화, 팩스, 이메일 주소 포함)
- 공식 웹사이트
- 임원 및 회원 명부
- 이사회 결의안 (서명 권한이 있는 임원이 POC 회원 가입을 신청하도록 승인하는 내용)
- 회원 수준 (정회원 또는 준회원)
- 국제 연맹 회원 증명서 (단, 국제 연맹이 회원에게 먼저 각 국가 올림픽 위원회의 인정을 받도록 요구하는 경우는 예외. 정회원이 되려면 국제 연맹 회원 자격이 필요.)
- 공증된 진술서 (지원하는 스포츠 협회가 POC와 함께 국가 수준에서 해당 스포츠의 유일하고 합법적인 관리 기관임을 명시)
- 전국 선수권 대회 관련 문서 (최소 2번의 연례 전국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고, POC에 적절하게 인증된 지원자, 결과, 사진 및 관련 보도 자료를 포함)
- 언론 보도 자료 (지원자가 POC 회원 자격을 모색하고 있음을 명시하는 기사가 일반 발행되는 3개의 주요 일간지에 게재. 해당 간행물의 사본뿐만 아니라 관련 신문사의 간행 증명서도 POC에 제출)
- 이의 제기: 지원하는 종목과 동일한 종목을 대표한다고 주장하는 다른 스포츠 단체가 있다면, 간행일로부터 15일 이내에 POC 회원 위원회에 해당 스포츠 협회의 회원 가입에 대한 반대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5]
- POC 회원 위원회 심사 및 총회 승인: POC 회원 위원회는 제출된 서류를 검토 후 POC에 권고안을 제시하며, 지원 협회의 POC 회원 자격은 회원 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POC 총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5]
- 임시 회원 자격 부여 및 정회원 자격 심사: POC가 지원자의 정회원 또는 준회원 자격을 승인하면, 해당 협회의 국가 및 국제 수준에서의 성과를 검토하여 1년 동안 임시 자격이 부여된다.[5]
POC 회원은 POC 총회의 3/4 투표로 자격이 정지되거나 제명될 수 있다.[6]
POC 회원 자격 변동 사례는 다음과 같다.
- 2005년: 필리핀 농구 협회(BAP) 제명, 필리핀 농구 협회(Samahang Basketbol ng Pilipinas)로 대체[7]
- 필리핀 가라테 연맹 → 카라테 필리피나스
- 필리핀 수영 연맹 → 필리핀 아쿠아틱스
- 필리핀 배구 연맹 → 필리핀 전국 배구 연맹
- 필리핀 볼링 의회 → 필리핀 볼링 연맹
- 아르니스 필리핀 → 필리핀 에스크리마 칼리 아르니스 연맹
- 필리핀 드래곤 보트 연맹: POC 회원 자격 철회
4. 1. 회원 등급
국가 스포츠 협회(NSAs)로 인정받는 스포츠 협회는 필리핀 올림픽 위원회의 회원이다. 필리핀 올림픽 위원회 내에는 정회원과 준회원의 두 가지 회원 등급이 있다. 필리핀 올림픽 위원회는 스포츠 종목을 인정하기 위해 인증 또한 부여한다.[5]4. 2. 정회원 목록
국가 연맹 | 하계 또는 동계 | 본부 |
---|---|---|
필리핀 양궁 | 하계 | 케손 시티,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육상 | 하계 | 마닐라 |
필리핀 배드민턴 협회 | 하계 | 파시그,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아마추어 야구 협회 | 하계 | 마닐라 |
필리핀 농구 협회 | 하계 | 파시그,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당구 스포츠 연맹 | 하계 | 마닐라 |
필리핀 볼링 연맹 | 하계 | 타기그,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권투 연맹 | 하계 | 마닐라 |
필리핀 카누-카약 연맹 | 하계 | 타이타이, 리잘 |
필리핀 체스 연맹 | 하계 | 파시그,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통합 사이클 연맹 | 하계 | 타가이타이, 카비테 |
필리핀 댄스스포츠 연맹 | 하계 | 파시그,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e스포츠 기구 | 하계 | 만달루용,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승마 협회 | 하계 | 마카티,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펜싱 협회 | 하계 | 파시그,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축구 연맹 | 하계 | 파시그,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골프 협회 | 하계 | 파시그,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체조 협회 | 하계 | 마닐라 |
필리핀 핸드볼 연맹 | 하계 | 파시그,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하키 협회 | 하계 | 파시그,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아이스하키 연맹 | 동계 | 케손 시티,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스케이팅 연맹 | 동계 | 만달루용,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유도 연맹 | 하계 | 마닐라 |
가라테 필리피나스 스포츠 연맹 | 하계 | 파시그,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킥복싱 협회 | 하계 | 파사이,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쿠라쉬 스포츠 연맹 | 하계 | 마닐라 |
필리핀 론볼 협회 | 하계 | 안헬레스 시티, 팜팡가 |
필리핀 근대 5종 협회 | 하계 | 만달루용,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무에타이 협회 | 하계 | 파시그,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네트볼 연맹 | 하계 |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펜칵 실랏 협회 | 하계 | 마닐라 |
필리핀 조정 협회 | 하계 | 케손 시티,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럭비 풋볼 연맹 | 하계 | 만달루용,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요트 협회 | 하계 | 마카티,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самбо 연맹 | 하계 | 다바오 시티, 다바오 델 수르 |
필리피나스 세팍타크로 협회 | 하계 | 파시그,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사격 협회 | 하계 | 파시그,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스케이트보드 및 롤러 스포츠 협회 | 하계 | 바코르, 카비테 |
필리핀 스키 및 스노보드 연맹 | 동계 | 벨플라워, 캘리포니아 |
필리핀 소프트 테니스 협회 | 하계 | 라스 피냐스,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아마추어 소프트볼 협회 | 하계 | 마카티,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서핑 연합 | 하계 | 마카티,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스쿼시 아카데미 | 하계 | 마카티,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수영 연맹 | 하계 | 파시그,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탁구 연맹 | 하계 | 마닐라 |
필리핀 태권도 협회 | 하계 | 마닐라 |
필리핀 테니스 협회 | 하계 | 마닐라 |
필리핀 토너먼트 브리지 협회 | 하계 | 마카티,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트라이애슬론 | 하계 | 파시그,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배구 연맹 | 하계 | 타기그, 메트로 마닐라 |
필리핀 역도 협회 | 하계 | 마닐라 |
필리핀 레슬링 협회 | 하계 | 마닐라 |
필리핀 우슈 연맹 | 하계 | 마닐라 |
4. 3. 준회원 목록
준회원 단체 |
---|
3D 에어 스포츠 및 취미 협회 |
필리핀 크리켓 협회 |
필리핀 덕핀 볼링 협의회 |
필리핀 에스크리마 칼리 아르니스 연맹 |
필리핀 폴로 선수 연맹 |
필리핀 수중 하키 |
필리피나스 장애물 스포츠 연맹 |
필리핀 파워리프팅 협회 |
베트남 무술 보비남 필리핀 |
4. 4. 인정 회원 목록
인정 회원 |
---|
필리핀 아메리칸 태클 풋볼 협회 |
필리핀 자동차 협회 |
필리핀 컬링 동계 스포츠 협회 |
필리핀 전국 오토바이 스포츠 및 안전 협회 |
필리핀 핀수영 연맹 |
필리핀 플로어볼 협회 |
필리핀 전국 럭비 리그 |
필리핀 폴 & 에어리얼 스포츠 협회 |
필리핀 윈드서핑 협회 |
필리핀 촉구볼 협회 |
필리핀 웨이크보드 및 수상스키 협회 |
필리핀 세계 시카란 아르니스 브라더후드 |
4. 5. 회원 가입 절차
2009년 2월부터 국가 종목별 연맹(NSA)이 필리핀 올림픽 위원회(POC) 회원(정회원 또는 준회원)으로 가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야 한다.[5]- 필요 서류 제출
NSA는 다음 서류를 POC에 제출해야 한다.
서류 종류 | 설명 |
---|---|
공식 주소 및 연락처 | 전화, 팩스, 이메일 주소 포함 |
공식 웹사이트 | |
임원 및 회원 명부 | |
이사회 결의안 | 서명 권한이 있는 임원이 POC 회원 가입을 신청하도록 승인하는 내용 |
회원 수준 명시 | 정회원 또는 준회원 |
국제 연맹 회원 증명서 | 지원하는 종목을 국제적으로 관할하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가 인정하는 관련 국제 연맹의 회원 증명서. 단, 국제 연맹이 회원에게 먼저 각 국가 올림픽 위원회의 인정을 받도록 요구하는 경우는 예외. 정회원이 되려면 국제 연맹 회원 자격이 필요. |
공증된 진술서 | 지원하는 스포츠 협회가 POC와 함께 국가 수준에서 해당 스포츠의 유일하고 합법적인 관리 기관임을 명시 |
전국 선수권 대회 관련 문서 | 최소 2번의 연례 전국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고, POC에 적절하게 인증된 지원자, 결과, 사진 및 관련 보도 자료를 포함 |
언론 보도 자료 | 지원자가 POC 회원 자격을 모색하고 있음을 명시하는 기사가 일반 발행되는 3개의 주요 일간지에 게재. 해당 간행물의 사본뿐만 아니라 관련 신문사의 간행 증명서도 POC에 제출 |
- 이의 제기
만약 필리핀에서 지원하는 종목과 동일한 종목을 대표한다고 주장하는 다른 많은 스포츠 단체가 있다면, 간행일로부터 15일 이내에 POC 회원 위원회에 지원 스포츠 협회의 회원 가입에 대한 반대 의견을 제출해야 한다.[5]
- POC 회원 위원회 심사 및 총회 승인
POC 회원 위원회는 필요한 서류가 모두 제출된 후 POC에 권고안을 제시한다. 지원 협회의 POC 회원 자격은 회원 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POC 총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5]
- 임시 회원 자격 부여 및 정회원 자격 심사
만약 지원자의 정회원 또는 준회원 자격이 POC에 의해 승인되면, 해당 협회의 국가 및 국제 수준에서의 성과에 대한 검토를 거쳐 1년 동안 임시 자격이 부여된다.[5]
- NSA 회장 자격
POC 회원으로서 지원하는 NSA 회장은 현직 회원이 아니어야 한다.[5]
4. 6. 회원 자격 정지 및 제명
POC 회원은 POC 총회의 3/4 투표로 필리핀 올림픽 위원회에서 자격이 정지되거나 제명될 수 있다.[6]2005년에는 1936년에 설립된 필리핀 농구 협회(BAP)가 BAP와 POC 간의 리더십 분쟁으로 인해 제명되었다. 이후 필리핀 농구 협회(Samahang Basketbol ng Pilipinas)로 대체되었다.[7]
필리핀 가라테 연맹은 2018년 4월 세계 가라테 연맹이 인정을 박탈한 후 POC 회원 자격을 잃었으며, 카라테 필리피나스로 대체되었다. 필리핀 수영 연맹은 거버넌스 문제로 인해 세계 수영 연맹(World Aquatics)으로부터 인정을 박탈당한 후 2023년에 POC 회원 자격이 취소되고 새로 설립된 필리핀 아쿠아틱스로 이전되었다.[8]
필리핀 배구 연맹은 리더십 위기로 인해 2015년에 인정을 박탈당했으며, 2021년에 필리핀 전국 배구 연맹이 설립될 때까지 임시적으로 Larong Volleyball sa Pilipinas로 대체되었다. 2016년, POC는 법적 문제로 인해 필리핀 볼링 의회의 회원 자격을 취소하고 필리핀 볼링 연맹으로 대체했다. 아르니스 필리핀은 2017년에 필리핀 에스크리마 칼리 아르니스 연맹으로 대체되었다.
필리핀 드래곤 보트 연맹은 IDBF에 대한 POC 및 PSC 개입으로 인해 POC에서 회원 자격을 철회했다.
참조
[1]
뉴스
NEW BY-LAWS
http://olympic.ph/in[...]
Philippine Olympic Committee
2016-10-31
[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Philippine Olympic Committee
http://www.olympic.p[...]
2015-11-22
[3]
뉴스
POC looks to finally have HQ: 'Nakikitira lang kami sa facilities ng PSC'
https://tiebreakerti[...]
2021-01-09
[4]
뉴스
POC amendments come into play
https://www.philstar[...]
2023-01-15
[5]
웹사이트
Requirements needed in applying for POC Membership
http://olympic.ph/wp[...]
2016-10-31
[6]
뉴스
POC takes over karatedo affairs after federation stripped of recognition by world body
https://www.spin.ph/[...]
2018-05-14
[7]
웹사이트
FIBA suspends RP
https://www.philstar[...]
2024-02-02
[8]
웹사이트
Buhain leads reformed Philippine swimming body
https://www.philstar[...]
2024-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