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립왕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립 왕 전쟁은 1675년부터 1676년까지 뉴잉글랜드에서 잉글랜드 식민지 주민과 아메리카 원주민 간에 벌어진 무력 충돌이다. 왐파노아그족 족장 메타코멧(필립 왕)의 지도 아래, 식민지 팽창에 저항하는 원주민과 식민지 주민 간의 갈등이 고조되어 전쟁이 발발했다. 존 사사몬의 죽음과 왐파노아그족 전사들의 처형이 전쟁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으며, 초기에는 원주민들이 우세했으나, 식민지 연합군의 반격과 모호크족의 개입으로 전세가 역전되었다. 메타코멧의 사망과 주요 원주민 지도자들의 잇따른 체포 및 처형으로 전쟁은 종결되었으며, 이로 인해 식민지 주민과 원주민 모두에게 막대한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입혔다. 전쟁 이후 원주민 사회는 붕괴되었고, 왐파노아그족은 모든 땅을 잃었으며, 식민지 주민들은 자신감을 얻어 독립 의식을 키우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필립왕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정착지에 대한 아메리카 원주민의 공격을 묘사한 19세기 채색 목판화
정착지에 대한 아메리카 원주민의 공격 (19세기 채색 목판화)
분쟁 명칭필립왕 전쟁
일부 명칭제1차 인디언 전쟁
메타컴의 전투
메타코메트의 전투
포메타코메트의 반란
메타코메트의 반란
시기1675년 6월 20일 - 1678년 4월 12일
장소뉴잉글랜드 (매사추세츠주, 코네티컷주, 로드아일랜드주, 메인주)
관련 장소메인주
참여 세력원파노아그족
니프머크족
포더크족
나러갠섯족
나샤웨이족
와바나키 연맹
반대 세력뉴잉글랜드 연합
모히건족
피쿼트족
모호크족
지휘관메타코메트 (사망)
위타무 (사망)
캐넌체트 (사망)
어와숀크스
무타움프
매도카완도
모그 헤건
상대 지휘관조시아 윈슬로
존 레버렛
존 윈스럽 (2세)
윌리엄 터커
벤저민 처치
마이클 피어스
조지 데니슨
월터 글렌돌
존 앨리스
언캐스
오네코
로빈 카사시몬
하몬 개럿 캐샤웨트
병력 규모약 3,500명 (아메리카 원주민), 약 3,500명 (연합군)
결과뉴잉글랜드 연합의 승리
와바나키족의 승리 (메인주)
전투필립왕 전쟁
사망자 및 사상자약 3,000명 이상 (아메리카 원주민), 약 2,000명 이상 (연합군)
관련 사건
강화캐스코 조약 (1678년)

2. 역사적 배경

폴 리비어가 그린 필립 왕의 초상화(1772년). 벤자민 처치의 ''The Entertaining History of King Philip's War''에 실렸다.


필립 왕의 본명은 메타코멧(Metacomet)이다. 그는 유럽식 복장과 관습을 받아들여 식민지인들로부터 필립 왕이라고 불렸다. 메타코멧은 왐파노아그 부족의 족장이었던 마사소이트의 아들이었다.[66] 마사소이트는 식민지 주민들과 평화 협정을 맺는 등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다.

하지만, 1628년에서 1640년 사이에 세일럼, 보스턴 등 매사추세츠 만 주변에 많은 잉글랜드 이민자들이 정착하면서 상황은 점차 변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이 지역의 여러 알곤킨어족 부족들의 영토로 점차 확장해 나갔다.

피쿼트 전쟁에서 잉글랜드 식민주의자들과 함께 싸웠던 나래건셋족의 지도자 미안토노모는 1640년대에 알곤킨족 집단을 모아 식민주의자들에게 함께 맞서려 했으나, 코네티컷에서 식민주의자들에게 붙잡혀 모히건 사켐 언커스에 의해 처형되면서 실패로 돌아갔다.

로드아일랜드, 플리머스,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코네티컷, 뉴헤이븐 식민지는 각기 왐파노아그족, 니프묵족, 나래건셋족, 모히건족, 피쿼트족 등 뉴잉글랜드의 여러 부족들과 개별적인 관계를 발전시켰다. 이웃 부족들은 역사적으로 서로 경쟁 관계에 있었다. 식민지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뉴잉글랜드인들은 해안 평야와 코네티컷 강 계곡으로 정착지를 확장했고, 1675년까지 보스턴과 코네티컷 강 정착지 사이의 내륙에 여러 개의 작은 마을을 건설했다.

전쟁의 결정적 원인은 늘어난 영국인 개척자와 그만큼 늘어난 토지 수요였다. 식민지인들은 마사소이트와 합의했던 경계를 넘어 토지를 구입하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원주민들은 좁은 영토로 제한되게 되었다. 메타코멧과 같은 원주민 지도자들은 점점 줄어드는 토지에 분개했다.[68]

분쟁의 직접적인 계기가 된 것은 1675년 존 사사몬이라는 "기도하는 인디언"(기독교로 개종한 인디언)의 죽음이었다. 사사몬은 필립 왕의 조언자이자 친구이기도 했지만,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두 사람은 결별했다.[69] 그는 인디언과 식민지인들 사이에서 통역가로 활동했다. 1675년 1월 29일 그의 시신이 발견되었고, 식민지인들은 조사 끝에 왐파노아그족 전사 3명을 사사몬 살해 혐의로 기소했다. 이들은 필립 왕의 최측근 부관 중 한 명이었으며, 12명의 영국인과 6명의 기도하는 인디언 배심원은 이들에게 사형을 선고했다.[70] 오늘날까지 필립 왕의 부하가 실제로 살인을 저질렀는 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69]

2. 1. 식민지 확장과 원주민과의 갈등

영국 식민지 주민들은 지속적으로 토지를 확장하려 했고, 이는 원주민과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원주민들은 토지를 공유하는 개념을 가지고 있었지만, 영국인들은 사유재산 제도를 따랐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했다.[68]

마사소이트 추장이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와무숫타(알렉산더)가 추장 자리를 계승했지만, 식민지 법원에 의해 심문을 받던 중 질병으로 사망했다. 원주민 사회에서는 식민지인들이 추장을 독살했거나 함부로 다뤄 사망에 이르게 했다는 소문이 돌았다.[67] 이후 메타코멧(필립 왕)이 추장 자리를 이어받았다.[67]

식민지인들은 마사소이트와 합의했던 경계를 넘어 토지를 구입하기 시작했고, 이는 원주민들을 좁은 영토로 몰아넣었다. 특히 왐파노아그 족의 수도인 마운트 호프에서 몇 마일 떨어지지 않은 곳에 스완지 타운이 건설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고, 플리머스 의회는 무력을 동원해 왐파노아그족의 토지를 강제로 매각하도록 했다.[69]

1675년, "기도하는 인디언" (기독교로 개종한 인디언)이자 필립 왕의 조언자였던 존 사사몬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식민지인들은 왐파노아그족 전사 3명을 살해 혐의로 기소했고, 이들은 사형을 선고받았다.[70] 이 사건은 전쟁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2. 2. 종교적, 문화적 갈등

영국 식민지 주민들은 원주민들에게 기독교로의 개종을 강요하고, 원주민에게 불리한 재판을 하여 원주민들의 반감을 샀다.[9] 원주민에게는 '토지를 판다'는 개념이 없었고, 종교는 개인의 선택으로 받아들이는 것이었지만, 부족 전체에 강요하는 백인들의 방식은 원주민 사회에서 이해할 수 없는 것이었다.[11]

백인들은 원주민 사회가 합의제로 운영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했다. 원주민 사회에서 추장은 부족을 대표하는 수장이나 군주가 아니라, 단순한 조정자였지만 백인들은 추장과 맹약을 맺으면 원주민들이 모두 따를 것이라고 잘못 생각했다.

1620년 왐파노아그족은 백인 이주민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추위, 질병, 기아로 고통받는 이주민들을 돕기도 했으며, 1621년 가을 추수감사절에는 마사소이트 추장이 많은 식량을 가져오기도 했다. 그러나 백인 이주민들은 원주민의 토지를 요구하고, 기독교로 개종을 강요하는 등 원주민들에게 반감을 사는 행동을 했다.

백인과의 우호 관계를 중시했던 마사소이트 추장이 사망하고, 그의 아들 왐수타(영어명 알렉산더)가 새로운 추장이 되었지만, 백인들은 계속해서 이주지를 확대하여 원주민들의 땅을 침범했다. 왐수타는 백인들과의 평화 합의를 위해 노력했지만, 의문의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마사소이트의 둘째 아들 메타코메트(영어명 필립)가 새로운 추장이 되면서 백인과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메타코메트는 백인들의 계속되는 배신에 결국 아버지 대대로 이어온 우호 관계를 포기하게 된다.

2. 3. 외교적 노력의 실패

마사소이트 추장은 식민지 주민들과 평화 협정을 맺는 등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였다.[66] 그러나 마사소이트가 죽은 후, 그의 아들 와무숫타(알렉산더)가 추장이 되었으나, 식민지 법원에 끌려가 심문을 받던 중 질병으로 사망한다.[67] 부족 내에서는 식민지인들이 와무숫타를 독살했거나 함부로 다루어 사망하게 했다는 소문이 돌았다.[67]

와무숫타의 죽음 이후, 그의 동생 메타코멧(필립 왕)이 추장이 되었다.[67] 메타코멧은 점점 줄어드는 토지에 분개했고, 상황을 늦추거나 반전시킬 방법을 찾고 있었다.[68] 특히 플리머스 식민지 의회가 무력을 써서 왐파노아그족의 토지를 강제로 매각하도록 강요하자, 메타코멧의 분노는 커져만 갔다.[69]

초기 플리머스 식민지스콴토마사소이트와 같은 원주민 지도자와의 초기 동맹을 통해 왐파노아그 영토 전체에 대한 선제적 권리를 주장했다.[9] 그러나 잉글랜드의 토지 소유권 주장은 원주민 지도력에 대한 오해에 기반했는데, 이는 마사소이트를 지역 지도자 남펌프(위타무) 아래 다른 영토 주장이 존재했음에도 불구하고 원주민 "왕"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9]

마사소이트(오사메퀸)의 죽음으로 인해 정착민들과의 원주민 외교는 붕괴되었는데, 식민주의자들이 마사소이트에게 했던 것과 같은 역할을 왐수타와 협상하려 했지만, 토지의 여성 원주민 통치자들 (소웅크스카스)을 무시하고 사코넷과 포카셋 땅이 자유롭게 주어졌다고 잘못 주장했기 때문이다.[11] 이는 식민주의자들과 원주민들 사이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켰다.

메타코멧의 지도 아래 있는 왐파노아그 부족은 플리머스 식민지와 협정을 맺었지만, 수십 년 동안 조약이 식민주의자들이 새로운 영토에 정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메타콤은 그의 형이자 추장인 왐수타가 사망한 후 1662년에 포카노켓의 사켐이자 왐파노아그 연맹의 그랜드 사켐이 되었다. 왐수타는 그의 아버지 마사소이트가 1661년 사망한 이후 족장이 되었다. 그러나 그는 결국 식민지인들을 불신했다.

식민지 정착민의 가축이 왐파노아그 농장과 식량 저장고에 지속적으로 침입했고, 왐파노아그의 정기적인 불만에도 불구하고 가축 침입을 막기 위한 식민지인들의 노력이 미미했기 때문에 왐파노아그와 정착민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12]

3. 전쟁의 발발



필립왕의 인디언식 본명은 메타코멧(Metacomet)으로, 유럽식 복장과 관습을 받아들여 식민지인들은 그를 필립왕이라고 불렀다. 그는 왐파노아그 부족의 족장이었던 마사소이트의 아들이었다.[66] 마사소이트는 식민지 주민들과 평화 협정을 맺는 등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으나, 그가 죽은 후 메타코멧의 형 와무숫타(서양식 이름은 알렉산더)가 추장 자리를 계승하면서 상황이 변했다. 식민지 법원에서 심문을 이유로 와무숫타를 끌고 갔고, 그 과정에서 와무숫타가 질병으로 사망했기 때문이다. 부족 내에서는 식민지인들이 추장을 독살했거나, 적어도 함부로 다루어 사망에 이르게 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형의 죽음 이후 메타코멧이 추장 자리를 계승했다.[67]

전쟁의 결정적 원인은 영국인 개척자의 증가와 그에 따른 토지 수요 증가였다. 식민지인들은 마사소이트와 합의했던 경계를 넘어 들어오기 시작했고, 개척자들의 토지 구입이 늘어나면서 인디언은 좁은 영토로 제한되었다. 메타코멧 같은 인디언 지도자들은 점점 줄어드는 토지에 분개했고, 상황을 늦추거나 반전시킬 방법을 찾고 있었다.[68] 특히 그의 신경을 자극한 것은 왐파노아그 족의 수도 마운트 호프에서 몇 마일 떨어져 있지 않은 스완지 타운 건설이었다. 플리머스 식민지 의회는 무력을 써서 왐파노아그족의 토지를 마을 개척자에게 매각하도록 강제하기 시작했다.[69]

1675년 존 사사몬 (기독교로 개종한 기도하는 인디언)의 죽음은 분쟁의 계기가 되었다. 사사몬은 필립왕의 조언자이자 친구였지만,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두 사람은 결별했다.[69] 그는 인디언과 식민지인들 사이에서 통역가로 활동했다. 1675년 1월 29일 그의 시신이 발견되었고, 식민지인들은 왐파노아그족 전사 3명을 사사몬 살해 혐의로 기소했다. 이들 중에는 필립왕의 최측근 부관도 한 명 포함되어 있었다. 12명의 영국인과 6명의 기도하는 인디언 배심원은 살인 혐의로 기소된 인디언에게 사형을 선고했다.[70] 오늘날까지 필립 왕의 부하가 실제로 살인을 저질렀는 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69]

필립왕은 마운트 호프에 가까운 본거지에서 전투 준비를 시작했으며, 영국인 농장을 덮쳐 자산을 약탈했다. 이에 대응하여 조시아 윈슬로 주지사는 민병대를 소집하고 필립왕의 본거지를 향해 진군을 시작하여 전쟁이 시작되었다.[71]

3. 1. 존 사사몬의 죽음

존 사사몬은 기도하는 인디언(기독교로 개종한 원주민)으로, 메타코멧의 조언자이자 친구였으나,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메타코멧과 결별했다.[69] 그는 인디언과 식민지인들 사이에서 통역가이자 문화적 중재자로 활동했다. 하버드 대학교 출신인 그는 메타코멧의 통역사이자 조언자였으며, 플리머스 식민지 총독에게 메타코멧이 식민지 정착지에 대한 공격을 계획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1675년 1월 29일, 사사몬의 시신이 얼음으로 덮인 아소웜세트 연못에서 발견되었다.[70] 플리머스 식민지 관리들은 원주민 증인의 증언에 따라 메타코멧의 고문 중 한 명을 포함한 3명의 왐파노아그족을 체포했다. 12명의 식민지 개척자와 6명의 원주민 장로로 구성된 배심원단은 그들을 사사몬 살인 혐의로 유죄 판결했고, 1675년 6월 8일 (구력) 플리머스에서 교수형에 처했다.[20]

사사몬의 죽음은 플리머스 식민지가 네마스켓 강 주변 토지 구매를 억제하는 데 연루된 고문을 체포하는 구실이 되었다.[21] 감금 상태에서 플리머스 식민지에 대한 토지 양도 서명을 막은 고문인 토비아스와 다른 체포된 사람들은 네마스켓의 모든 토지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는 서명을 강요받았다. 사사몬이 죽고 토지 증서가 서명되면서 연못 주변의 토지는 공식적으로 미들버리 타운의 일부로 인정되었고 영국 정착촌에 개방되었다.

오늘날까지 필립 왕의 부하가 실제로 살인을 저질렀는 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69] 이 사건은 필립 왕 전쟁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70]

3. 2. 왐파노아그족 전사 3명의 처형

1675년 기독교로 개종한 '기도하는 인디언' 존 사사몬이 사망한 채 발견되었다. 그는 필립 왕(메타코멧)의 조언자이자 친구였으나,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둘 사이는 멀어졌다.[69] 사사몬은 인디언과 식민지인들 사이에서 통역가로 활동했는데, 1675년 1월 29일 그의 시신이 발견되자 식민지인들은 왐파노아그족 전사 3명을 살해 혐의로 기소했다. 이들 중에는 필립 왕의 최측근 부관도 포함되어 있었다. 12명의 영국인과 6명의 '기도하는 인디언'으로 구성된 배심원단은 이들에게 사형을 선고했다.[70] 하지만 오늘날까지도 필립 왕의 부하들이 실제로 살인을 저질렀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69]

4. 전쟁의 전개



필립왕(메타코멧)은 왐파노아그 부족 족장 마사소이트의 아들이었다.[66] 마사소이트는 식민지 주민들과 평화 협정을 맺었으나, 그가 죽은 후 추장 자리를 계승한 메타코멧의 형 와무숫타(알렉산더)가 식민지 법원의 심문을 받던 중 사망하면서 부족 내에 불만이 커졌다.[67]

전쟁의 결정적 원인은 영국인 개척자의 증가와 그에 따른 토지 수요 증가였다. 식민지인들은 마사소이트와 합의했던 경계를 넘어 토지를 구입했고, 인디언들은 좁은 영토로 내몰렸다. 메타코멧은 특히 왐파노아그 족의 수도 마운트 호프 근처 스완지 타운 건설에 분노하여 플리머스 의회가 무력으로 왐파노아그족 토지를 매각하도록 강제했다.[69]

원주민들은 주로 마을이나 농장을 습격하고 도망치는 게릴라 전술을 사용했다. 당시 영국 식민지에는 정규군이 없어 무장한 일반인 민병대가 전쟁을 담당했다. 전쟁 후반 모호크족 전사들이 민병대에 합세하면서 전황이 기울었다.

원주민 전사들은 민간인을 공격해 포로로 삼았는데, 메리 로란드슨의 비망록은 당시 인디언 문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72]

1676년 7월, 벤자민 처치 대장 부대는 수백 명의 인디언을 잡았지만, 필립왕은 번번히 탈출했다. 영국 측에 전향한 인디언 포로 사면 권한으로 처치 부대는 크게 증가했다.[73] 결국 1676년 8월 12일, 필립 왕은 로드아일랜드 늪지대에 은신해 있다가 포카셋 인디언에게 살해되었고, 전쟁은 영국군의 압도적인 승리로 끝났다.[74]

4. 1. 초기 전투 (1675년)

1675년 존 사사몬이라는 "기독교로 개종한 인디언"의 죽음이 분쟁의 계기가 되었다.[69] 사사몬은 필립왕의 조언자이자 친구였지만,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두 사람은 결별했다.[69] 사사몬은 인디언과 식민지인들 사이에서 통역가로 활동하다가 1675년 1월 29일 시신으로 발견되었다. 식민지인들은 조사 끝에 왐파노아그족 전사 3명을 사사몬 살해 혐의로 기소했는데, 이들은 필립왕의 최측근 부관 중 한 명이었다. 12명의 영국인과 6명의 기도하는 인디언 배심원은 이들에게 사형을 선고했다.[70] 오늘날까지 필립 왕의 부하가 실제로 살인을 저질렀는지는 논란이 되고 있다.[69]

필립왕은 마운트 호프 근처 본거지에서 전투를 준비했고, 영국인 농장을 덮쳐 약탈했다. 이에 죠시아 윈슬로 주지사는 민병대를 소집하고 필립왕의 본거지로 진군하여 전쟁이 시작되었다.[71]

포카노켓 부족은 1675년 6월 20일, 필립 왕의 승인 없이 스완지의 플리머스 식민지 정착지에 있는 농가를 공격하여 여러 가옥을 불태웠다.[22] 6월 23일, 한 지역 소년이 집 앞에서 포카노켓족을 보고 사격하여 그를 죽였다. 포카노켓족은 6월 24일 스완지에 전면적인 공격을 가해 3명이 사망했다. 1675년 6월 27일, 뉴잉글랜드 지역에서 개기월식이 일어났고, 뉴잉글랜드의 여러 부족들은 이것을 식민지 주민들을 공격하는 좋은 징조라고 생각했다. 플리머스와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관리들은 6월 28일, 마운트 호프의 로드아일랜드주 브리스톨에 있는 왐파노아그 마을을 파괴하는 징벌적인 군사 원정을 보냈다.

전쟁은 빠르게 확산되어 포덩크 부족과 닙묵 부족이 참여하게 되었다. 1675년 여름 동안, 원주민들은 매사추세츠주 미들보로, 매사추세츠주 다트머스 (7월 8일), 매사추세츠주 멘던 (7월 14일), 매사추세츠주 브룩필드 (8월 2일), 매사추세츠주 랭커스터 (8월 9일)를 공격했다. 9월 초에는 매사추세츠주 디어필드, 매사추세츠주 헤들리, 매사추세츠주 노스필드를 공격했다.

휠러스 서프라이즈와 이어진 브룩필드 포위전은 1675년 8월, 머터웸프가 이끄는 닙묵족과 토머스 휠러와 에드워드 허친슨의 지휘를 받는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식민지 개척자들 사이에서 벌어졌다. 이 전투는 1675년 8월 2일 휠러의 방심한 부대에 대한 닙묵족의 기습으로 시작되었다. 휠러 부대에서 8명이 매복 공격으로 사망했다.[24] 매복 공격 이후에는 매사추세츠주 브룩필드에 대한 공격이 있었고, 이에 따라 식민지 군대의 잔여 병력이 포위되었다. 닙묵족은 이틀 동안 정착민들을 괴롭혔고, 이후 사이먼 윌라드 소령의 지휘를 받는 새로운 식민지 군대의 공격으로 쫓겨났다.[25]

뉴잉글랜드 연합은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플리머스 식민지, 뉴헤이븐 식민지, 코네티컷 식민지로 구성되었으며, 1675년 9월 9일 원주민에게 전쟁을 선포했다. 로드아일랜드 및 프로비던스 플랜테이션 식민지는 중립을 유지하려 했지만, 전쟁의 많은 부분이 로드아일랜드 땅에서 벌어졌고, 프로비던스와 워릭은 원주민으로부터 광범위한 피해를 입었다.

다음 식민지 원정은 다가올 겨울을 위해 코네티컷 강을 따라 버려진 밭에서 작물을 회수하는 것이었고, 100명에 가까운 농부와 민병대, 그리고 마차를 몰 운전사들이 참여했다.

4. 2. 식민지 연합군의 반격

뉴잉글랜드 연합은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플리머스 식민지, 뉴헤이븐 식민지, 코네티컷 식민지로 구성되었으며, 1675년 9월 9일 원주민에게 전쟁을 선포했다.[25] 로드아일랜드 및 프로비던스 플랜테이션 식민지는 중립을 유지하려 했지만, 전쟁의 많은 부분이 로드아일랜드 땅에서 벌어졌고, 프로비던스와 워릭은 원주민으로부터 광범위한 피해를 입었다.

식민지 연합군은 다가올 겨울을 위해 코네티컷 강을 따라 버려진 밭에서 작물을 회수하기 위해 100명에 가까운 농부와 민병대, 그리고 마차 운전사들을 파견했다. 1675년 9월 12일,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민병대와 닙묵 사켐 무타웸프가 이끄는 원주민 무리 사이에 블러디 브룩 전투가 벌어졌다. 원주민들은 디어필드에서 해들리로 수확물을 운반하는 마차 행렬을 호위하던 식민지 개척자들을 매복 공격했다. 이 전투에서 민병대원 79명을 포함하여 최소 40명의 민병대원과 17명의 마부들이 사망했다.[25]

1675년 10월 5일, 원주민들은 당시 코네티컷 강 유역에서 가장 큰 정착지였던 스프링필드, 매사추세츠를 공격했다.[26] 그들은 스프링필드의 건물 거의 전부를 불태웠는데, 여기에는 마을의 곡물 제분소도 포함되었다.[26] 무사히 탈출한 주민 대부분은 정착지 내 몇 안 되는 요새 망루 중 하나를 건설했던 주민 마일스 모건의 집에 몸을 숨겼다.[26] 모건을 위해 일하던 원주민 하인이 간신히 탈출하여 메이저 새뮤얼 애플턴의 지휘하에 있던 매사추세츠 만 병사들에게 알렸고, 그들은 스프링필드로 진입하여 공격자들을 몰아냈다.[26]

뉴잉글랜드 식민지들은 민병 1,000명과 원주민 동맹자 150명을 모아 이전에는 소집한 적 없는 규모의 군대를 편성했다. 조시아 윈슬로 총독은 1675년 11월, 나라간셋 공격을 지휘했다. 로드아일랜드 식민지에 흩어져 있는 원주민 마을을 찾아 불태우고, 나라간셋의 주요 요새를 공격했으며, 그 전투는 그레이트 스왐프 전투에서 절정에 달했다. 나라간셋 부족에서 약 600명이 살해되었고, 사켐을 맡았던 카논체트가 민족 연합의 수장을 이어받았다. 매사추세츠만, 플리머스, 로드아일랜드 식민지에 빼앗긴 땅을 되찾고, 전진하면서 길가의 타운에 불을 질렀으며, 1676년 3월에는 프로비던스를 불태웠다.

4. 3. 그레이트 스왐프 전투 (1675년 12월)

1675년 11월 2일, 플리머스 식민지 총독 조시아 윈슬로는 플리머스, 매사추세츠, 코네티컷 민병대의 연합군을 이끌고 내러개싯 족을 공격했다. 식민지인들은 내러개싯 족과 그들의 동맹을 불신했다. 식민지군은 로드 아일랜드를 지나면서 내러개싯 족이 버리고 간 여러 원주민 마을을 발견하고 불태웠는데, 내러개싯 족은 얼어붙은 늪에 있는 거대한 요새로 후퇴했다. 12월의 소빙하기 추위로 늪이 얼어붙어 비교적 쉽게 건너갈 수 있었다. 1675년 12월 19일, 식민지군은 로드아일랜드주 사우스킹스타운 근처에서 내러개싯 족 요새를 발견하고 약 1,000명의 병력으로 공격했다. 이 병력에는 약 150명의 피쿼트 족과 모히칸 족 동맹군이 포함되었다. 민병대는 약 600명의 내러개싯 족을 살해한 것으로 추정된다.[27] 그들은 5acre 이상의 면적인 요새를 불태우고 부족의 겨울 식량 대부분을 파괴했다.

대부분의 내러개싯 족 전사들은 얼어붙은 늪으로 도망쳤다. 식민지군은 약 70명이 사망하고 150명 이상이 부상당했으며, 여기에는 많은 장교들이 포함되었다. 생존한 민병대는 장기적인 작전을 수행할 물자가 부족했기에 집으로 돌아갔다. 로드 아일랜드의 인근 마을들은 부상자들이 집으로 돌아갈 수 있을 때까지 그들을 돌보았다.

1675년 12월 그레이트 스왐프 전투에서 내러개싯 족의 요새를 공격하는 식민지 군대를 묘사한 판화

4. 4. 모호크족의 개입 (1676년)

1675년 12월, 메타코멧은 뉴욕의 스카흐티코크에 겨울 캠프를 설치했다. 그가 뉴욕으로 이동한 이유는 이 분쟁에서 모호크의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서였던 것으로 보인다. 뉴욕은 중립적인 입장이었지만, 주지사 에드먼드 앤드로스는 왐파노아그 족장의 도착에 우려를 표했다. 앤드로스의 승인 하에, 또는 자발적으로, 알곤킨족의 전통적인 라이벌인 모호크족은 이듬해 2월 메타코멧 휘하의 500명의 전사 부대를 기습 공격했다. 이 기습으로 70명에서 460명 사이의 왐파노아그족이 사망했다. 메타코멧은 뉴잉글랜드로 철수했고, 모호크족은 알곤킨족의 정착지를 공격하고 보급대를 매복하면서 그를 추격했다.[28][29]

이후 몇 달 동안, 모호크족의 공격에 대한 두려움으로 일부 왐파노아그족은 식민지 주민에게 항복했다. 한 역사가가 모호크족이 메타코멧의 군대와 교전하기로 결정한 것을 "필립을 위한 전쟁을 잃게 한 결정타"라고 묘사했다.

4. 5. 원주민 연합의 저항 (1676년)

1676년, 원주민 연합은 뉴잉글랜드 식민지를 상대로 대대적인 저항을 이어갔다. 이들은 식민지 정착촌을 공격하고 파괴하며 백인 정착민들을 몰아내고자 했다.

2월, 필립 왕은 1,500명의 왐파노아그, 닙묵, 내러갠셋 전사들을 이끌고 랭커스터를 기습 공격했다. (랭커스터 습격) 이들은 요새화된 가옥들을 공격하고, 조셉 롤랜슨 목사의 집을 불태워 30명 이상을 학살했다. 롤랜슨 목사의 아내 메리 롤랜슨은 포로로 잡혀갔으며, 이후 그녀의 경험을 담은 책은 베스트셀러가 되었다.[32] 원주민들은 마을의 다른 집들도 파괴하고 북쪽으로 후퇴했다.[72]

3월 12일, 원주민 연합은 플리머스 플랜테이션을 공격했다. 비록 마을은 함락되지 않았지만, 이 공격은 원주민들이 식민지 영토 깊숙이 침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후 2주 동안 롱메도(Longmeadow, Massachusetts) (스프링필드 근처), 말보로, 심즈버리가 공격받았다. 원주민들은 파투켓과 블랙스톤 정착촌 사이에서 피어스 대위와 매사추세츠 군인 부대를 몰살시켰다. 또한 여러 식민지인들을 고문하여 죽이고, 로드아일랜드 컴벌랜드(Cumberland)의 나인 멘스 미저리(Nine Men's Misery)에 매장했다.[72] 3월 29일에는 프로비던스 정착촌이 불탔다.

나인 멘스 미저리(Nine Men's Misery) 유적지. 필립 왕 전쟁 당시 피어스 대위의 부대가 고문을 받아 죽은 곳이다.


4월 21일, 서드버리에서 전투가 벌어졌다. (서드버리 전투) 원주민들은 새벽에 마을을 기습하여 수비대 막사를 포위하고 여러 집과 농장을 불태웠다. 인근 마을에서 온 지원군은 원주민의 매복에 걸려 큰 피해를 입었다. 사무엘 워즈워스 대위는 이 매복에서 70명의 민병대원 중 절반과 함께 목숨을 잃었다. 이 전투는 원주민 연합의 마지막 주요 승리였다.

메리 롤랜슨의 포로 경험은 당시 원주민 사회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72] 그녀는 닙묵족에게 사로잡혀 황무지를 끌려다녔으며, 포로 생활 동안 원주민들의 문화와 전쟁 방식을 관찰할 수 있었다.[33]

4. 6. 전세 역전과 필립 왕의 죽음

1676년 봄, 연합 부족들은 플리머스 식민지를 공격하며 절정에 달했지만, 마을은 공격을 견뎌냈다. 원주민들은 식민지 영토 깊숙이 침투하여 여러 정착촌을 공격하고, 나인 멘스 미저리에서 식민지 사람들을 고문하여 죽이기도 했다. 로드아일랜드와 프로비던스 플랜테이션 식민지 내 정착촌은 약탈 및 소실되었고, 주민들은 아퀴드넥 섬의 뉴포트포츠머스로 쫓겨났다. 코네티컷 강 마을들은 자체 보호를 위해 대규모 무장 집단으로 일해야 했다.[34] 스프링필드, 햇필드, 해들리, 노샘프턴 등은 요새화와 민병대 강화로 자리를 지켰지만, 노스필드, 디어필드 등은 버려졌다.

마운트 호프의 미저리 늪에서 필립왕이 사망한 장소


벤자민 처치: 미국 육군 레인저의 아버지


그러나 메타코멧(필립 왕)의 동맹들이 그를 배신하기 시작하면서 전세는 역전되었다. 7월 초까지 400명 이상이 식민지 주민들에게 항복했고, 메타코멧은 아소엄셋 연못으로 피신했지만, 식민지 주민들은 원주민 동맹과 함께 기습 부대를 조직하여 그를 추적했다. 결국 메타코멧은 브리스톨의 마운트 호프에서 벤자민 처치 대장과 조시아 스탠디시 대장이 이끄는 팀에 의해 사망했다. 그는 1676년 8월 12일 존 올더먼이라는 인디언에게 총을 맞고 사망했으며,[37] 그의 시신은 참수, 토막 났고 머리는 플리머스에 전시되었다.

처치 대장과 그의 병사들은 1676년 8월 28일 매사추세츠주 리호보스의 아나완 록에서 포카셋 전쟁 추장 아나완을 생포했다. 그는 메타코멧의 주요 지휘관이었으며, 그의 생포는 필립 왕 전쟁의 마지막 사건이었다. 그 역시 참수되었다.

뉴잉글랜드 식민지들은 민병 1,000명과 원주민 동맹자 150명을 모아, 이전에는 소집한 적 없는 규모의 군대를 편성했다. 조시아 윈슬로 총독은 1675년 11월, 나라간셋족 공격을 지휘하여, 로드아일랜드 식민지에 흩어져 있는 원주민 마을을 찾아 불태우고, 나라간셋의 주요 요새를 공격했다. 이 전투에서 나라간셋 부족에서 살해된 자는 약 600명에 달했고, 사켐(지도자)을 맡았던 카논체트가 민족 연합의 수장을 이어받았다. 매사추세츠만 식민지, 플리머스, 로드아일랜드 식민지에 빼앗긴 땅을 되찾기 위해 전진하면서 길가의 타운에 불을 질렀으며, 1676년 3월에는 프로비던스를 불태웠다.

이 전쟁은 1년 남짓으로 결착을 보았지만, 17세기의 뉴잉글랜드 지방에서 최대의 참사였으며, 미국 식민지 시대의 역사에서 가장 비참한 싸움으로 여기는 사람이 많다.

1676년이 되자, 뉴잉글랜드 식민지 연합군은 미닛맨을 활용하여 반격에 나섰다.[62] 정착지에 반기를 들고 싸움을 건 원주민 중, 나라간셋족의 카논체트 추장은 1676년 4월 3일에 체포되어 처형당했다. 완파노아그족의 메타코멧 추장은 마운트 호프로 탈출했지만, 3개월 후인 8월 12일에 민병에게 살해당하면서 침략자 측이 승리하는 형태로 전쟁은 종결되었다.

5. 북부 전선 (메인 및 아카디아)

뉴햄프셔 주 도버에서 벌어진 리처드 월드론에 대한 원주민의 보복 (1689년)


필립왕 전쟁 초기, 메인과 뉴햄프셔의 영국 정착민들은 와바나키 이웃과 평화롭게 살았다. 그러나 전쟁 소식이 전해지자, 안드로스코긴 사가모어 모그 헤곤과 페놉스콧 사가모어 매도카완도의 지도 아래 와바나키족은 식민지 정착촌을 공격했다. 이에 리처드 월드론과 찰스 프로스트가 이끄는 식민지 군대가 대응했다.[39][40]

5. 1. 와바나키 연합의 참전



전쟁 발발 전, 메인과 뉴햄프셔의 영국 정착민들은 와바나키 이웃과 평화롭게 살았다. 식민지 주민들은 어업, 목재 수확, 원주민과의 무역에 종사했으며, 1657년까지 영국의 마을과 무역소는 케네벡 강 동쪽 해안을 따라 뻗어 있었다. 이 커뮤니티들은 흩어져 있었고 요새가 부족했는데, 이는 그 시점까지 와바나키족과 식민지 주민 간의 우호적인 관계를 반영했다.[38]

스와지에서 왐파노아그족의 공격 소식을 들은 요크의 식민지 주민들은 1675년 6월 케네벡 강을 거슬러 올라가 와바나키족에게 호의의 표시로 총과 탄약을 넘겨줄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와바나키족은 무역소를 습격하고 정착민을 공격하기 시작했다.[39][40] 안드로스코긴 사가모어 모그 헤곤과 페놉스콧 사가모어 매도카완도의 지도 아래, 와바나키족은 사코 강 동쪽의 식민지 정착촌을 파괴했다. 원주민들은 1675년, 1676년, 1677년에 세 차례의 주요 공격을 감행했는데, 대부분 대규모 식민지 대응으로 이어졌다. 리처드 월드론과 찰스 프로스트가 북부 지역에서 식민지 군대를 이끌었으며, 월드론은 미크마크족을 아카디아에서 공격하는 병력을 보내기도 했다.

모그 헤곤은 블랙 포인트(메인 주 스카버러), 웰스, 다마리스코브 섬과 같은 마을을 반복적으로 공격했고, 이에 민병대는 이전에 무장한 약 40척의 슬루프와 12척의 약 27215.55kg 선박으로 선단을 건설했다. 메인의 어업은 와바나키 선단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으며, 세일럼의 기록에는 메인에서 한 번의 습격으로 20척의 케치가 도난당하고 파괴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41]

와바나키족은 1677년에 평화를 청했고, 전투는 카스코 조약 (1678년)으로 끝났다. 이 조약에 따라 각 영국 가정은 매년 와바나키족에게 1페크의 옥수수를 지불하면 메인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42]

전쟁이 끝날 무렵, 약 400명의 정착민이 사망했고, 메인의 어업 경제는 황폐화되었으며, 원주민들은 메인 동부와 북부에서 권력을 유지했다. 사망한 원주민의 정확한 수는 없지만, 100명에서 300명 사이로 추정된다.[41]

5. 2. 주요 전투 및 사건



전쟁 발발 전, 메인과 뉴햄프셔의 영국 정착민들은 와바나키 족과 평화롭게 살았다. 식민지 주민들은 어업, 목재 수확, 원주민과의 무역에 종사했으며, 1657년까지 영국의 마을과 무역소는 케네벡 강 동쪽 해안을 따라 뻗어 있었다. 이 커뮤니티들은 흩어져 있었고 요새가 부족했는데, 이는 당시까지 와바나키족과 식민지 주민 간의 우호적인 관계를 반영한 것이었다.[38]

스와지에서 왐파노아그족의 공격 소식을 들은 요크의 식민지 주민들은 1675년 6월 케네벡 강을 거슬러 올라가 와바나키족에게 호의의 표시로 총과 탄약을 넘겨줄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와바나키족은 무역소를 습격하고 정착민을 공격하기 시작했다.[39][40] 안드로스코긴 사가모어 모그 헤곤과 페놉스콧 사가모어 매도카완도의 지도 아래 와바나키족은 사코 강 동쪽의 식민지 정착촌을 파괴했다. 원주민들은 1675년, 1676년, 1677년에 세 차례의 주요 공격을 감행했는데,(1675년, 1676년, 1677년) 대부분 대규모 식민지 대응으로 이어졌다. 리처드 월드론과 찰스 프로스트가 북부 지역에서 식민지 군대를 이끌었으며, 월드론은 미크마크족을 아카디아에서 공격하는 병력을 보내기도 했다.

모그 헤곤은 블랙 포인트(메인 주 스카버러), 웰스, 다마리스코브 섬과 같은 마을을 반복적으로 공격했고, 이에 민병대는 약 40척의 슬루프와 12척의 30톤 선박으로 선단을 건설했다. 메인의 어업은 와바나키 선단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으며, 세일럼의 기록에는 메인에서 한 번의 습격으로 20척의 케치가 도난당하고 파괴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41]

와바나키족은 1677년에 평화를 청했고, 전투는 카스코 조약 (1678년)으로 끝났다. 이 조약에 따라 각 영국 가정은 매년 와바나키족에게 1페크의 옥수수를 지불하면 메인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42]

전쟁이 끝날 무렵, 약 400명의 정착민이 사망했고, 메인의 어업 경제는 황폐화되었으며, 원주민들은 메인 동부와 북부에서 권력을 유지했다. 사망한 원주민의 정확한 수는 없지만, 100명에서 300명 사이로 추정된다.[41]

5. 3. 카스코 조약 (1678년)

와바나키족은 1677년에 평화를 제안했고, 전투는 카스코 조약 (1678년)으로 끝났다. 이 조약에 따라 정착민들은 메인으로 돌아갈 수 있었는데, 각 영국 가정은 매년 와바나키족에게 1페크의 옥수수를 바쳐야 했다.[42]

전쟁 결과, 약 400명의 정착민이 사망했고, 메인의 어업 경제는 황폐화되었으며, 원주민들은 메인 동부와 북부에서 권력을 유지했다. 사망한 원주민의 정확한 수는 없지만, 100명에서 300명 사이로 추정된다.[41]

6. 전쟁의 결과

필립왕 전쟁은 뉴잉글랜드 지역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플리머스에서 로드아일랜드 식민지에 이르기까지 징병 연령 남성의 10분의 1이 사망하는 인구 감소를 겪었고, 이로 인해 경제가 근본적으로 뒤집혔다.[64] 뉴잉글랜드 지방의 타운은 과반수가 이 무력 충돌에 휘말렸다.[65] 왐파노아그족과 동맹 부족은 수천 명이 공개 처형되거나 노예로 전락했고, 왐파노아그족은 땅을 모두 잃었다.

전사한 메타코멧(추장)의 유해는 정착민들에 의해 능지처참 당했고, 창에 꽂힌 머리는 24년 동안 정착지의 마을에 전시되었다. 포로가 된 메타코멧 추장의 가족을 비롯한 원주민들은 노예로서 서인도 제도 등으로 팔려갔다. 정착민들은 "사령관"이 없다는 원주민 문화를 이해할 수 없었고, 메타코멧을 "전쟁을 시작한 주모자"라고 일방적으로 간주하고 부당한 모욕을 가하며 승리를 축하했다.

이 전쟁은 미국인에게 독립 의식이 싹트게 된 계기가 되었다. 뉴잉글랜드 지방의 정착민들은 유럽 정부나 군의 지원 없이도 자력으로 적에게 맞설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고, 자신들을 본국 영국에서 분리하고 별개의 집단 의식을 갖기 시작했다.[65]

6. 1. 인명 피해 및 경제적 손실

이 전쟁으로 식민지 주민 600명 이상이 사망했고, 포로로 잡혀 처형되거나 버뮤다에 노예로 팔려간 원주민을 포함하면 사망자는 6,000명이 넘었다.[75] 이는 영국 성인 남성 인구의 8%에 해당하는 큰 숫자였다. 뉴잉글랜드 원주민 인구는 60%에서 80%까지 감소했으며,[74] 전쟁 후 남은 왐파노아그족은 약 400명에 불과했다. 메타코멧(필립 왕)의 아들과 아내도 버뮤다에 노예로 팔려갔으며, 오늘날 버뮤다 인구 중 많은 수가 이들의 후손이다. 살해된 메타코멧의 시신은 4조각으로 잘리고 머리는 막대기에 꽂혀 전시되었다.

전쟁으로 인해 뉴잉글랜드 식민지 주민 약 65,000명 중 1,000명 이상이 사망했고, 원주민은 3,000명 이상이 사망했다.[2] 뉴잉글랜드 마을의 절반 이상이 원주민 전사들의 공격을 받았고, 많은 마을이 완전히 파괴되었다.[44]

플리머스 식민지는 성인 남성 인구의 약 8%를 잃었고,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하면 피해는 더욱 컸다. 원주민의 피해는 훨씬 더 커서, 약 2,000명의 남성이 전쟁에서 사망했고, 3,000명 이상이 질병이나 기아로 사망했다. 수백 명에서[50][51] 천 명이 넘는 원주민 포로가 노예로 팔려갔다.

로드아일랜드 식민지는 전쟁으로 황폐화되었고, 주요 도시인 프로비던스가 파괴되었다.

1676년까지 지역 원주민 인구는 전염병으로 인해 약 10,000명으로 감소했다. 부족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부족명인구
내러개싯족약 4,000명
닙묵족약 2,400명
매사추세츠족과 파투켓족약 2,400명
왐파노아그족과 포카노켓족1,000명 미만



이들 중 약 4명 중 1명이 전사로 여겨졌으며, 강철 칼, 토마호크, 플린트락 머스킷을 무기로 사용했다.

내러간셋, 왐파노아그, 포덩크, 닙묵 부족은 큰 손실을 입었고, 여러 소규모 부족은 사실상 사라졌다. 살아남은 원주민들은 서부와 북부 부족 및 난민 공동체에 합류하거나, 일부는 남부 뉴잉글랜드로 돌아갔다.[46]

전쟁의 여파로 징병 연령의 전체 남성 10분의 1을 잃는 인구 격감으로 인해 플리머스에서 로드아일랜드 식민지 일대의 경제는 근본적으로 뒤집혔다.[64] 뉴잉글랜드 지방의 타운은 과반수가 이 무력 충돌에 휘말렸다.[65] 완파노아그족과 동맹 부족은 수천 명이 공개 처형되거나 노예로 전락했고, 완파노아그족은 땅을 모두 잃었다.

전사한 메타코메트 추장의 유해는 정착민들에 의해 능지처참 당했고, 창에 꽂힌 머리는 24년 동안 정착지의 마을에 전시되었다. 포로가 된 메타코메트 추장의 가족을 비롯한 원주민들은 노예로서 서인도 제도 등으로 팔려갔다.

6. 2. 원주민 사회의 붕괴

필립왕 전쟁으로 뉴잉글랜드 지역 원주민 사회는 궤멸적인 타격을 입었다. 많은 원주민이 죽거나, 도망치거나, 노예로 팔려나가면서 뉴잉글랜드 원주민 인구는 60%에서 80%까지 감소했다.[74] 전쟁 후 왐파노아그족은 약 400명만이 살아남았다.[74] 메타코멧(필립왕)의 아내와 아들을 포함한 많은 원주민은 버뮤다 등지로 노예로 팔려갔다.[74] 오늘날 버뮤다 주민 중 상당수는 이때 끌려온 원주민들의 후손이다. 살해된 메타코멧의 시신은 네 조각으로 잘렸고, 머리는 막대기에 꽂혀 전시되었다.[74]

전쟁 결과, 1,000명 이상의 식민지 주민과 3,000명의 원주민이 사망했다.[2] 뉴잉글랜드 마을의 절반 이상이 원주민 전사들의 공격을 받았고, 많은 마을이 완전히 파괴되었다.[44] 내러갠셋족, 왐파노아그족, 포덩크족, 닙묵족 등은 큰 피해를 보았고, 여러 소규모 부족은 사실상 멸족했다.[46]

약 1,000명의 기독교로 개종한 원주민들은 전쟁에서 살아남아 처음에는 내틱에, 이후 다른 세 개의 "기도 마을"에 정착했다. 이들은 자율성이 증가하여 지방 법률에 따라 일반 법원의 허가 없이는 토지 판매가 금지되었다. 그러나 1720년에서 1750년 사이, 원주민을 경멸하는 앵글로 정착민들이 증가하면서 원주민들은 내틱을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다.[47]

로드아일랜드 식민지는 전쟁으로 황폐화되었고, 주요 도시인 프로비던스가 파괴되었다. 로드아일랜드 의회는 뉴잉글랜드 연합 식민지가 내러갠셋족을 도발하여 전쟁을 일으켰다고 비난했다.[48]

플리머스 식민지는 성인 남성 인구의 약 8%를 잃었고, 원주민의 피해는 더욱 커서 전쟁에서 약 2,000명의 남성이 사망하고 3,000명 이상이 질병이나 기아로 사망했다. 수백 명에서 천 명이 넘는 원주민 포로가 노예로 팔려갔다.[50][51]

그러나 케이프 코드 등 일부 지역의 원주민 공동체는 전쟁에서 살아남았다. 1695년 이후 플리머스가 매사추세츠 식민지에 통합되면서 원주민 자원에 대한 압력이 커지고 마을 통합이 추진되었다. 플리머스 군, 브리스톨 군, 케이프 상부 및 중부 등에 인디언 공동체가 형성되었다.[52]

플리머스에서 로드아일랜드 식민지 일대에서는 징병 연령 남성의 10분의 1을 잃는 인구 격감으로 경제가 크게 타격을 입었다.[64] 왐파노아그족과 동맹 부족은 수천 명이 처형되거나 노예로 전락했고, 왐파노아그족은 땅을 모두 잃었다.[65]

전사한 메타코멧 추장의 유해는 정착민들에 의해 능지처참되었고, 창에 꽂힌 머리는 24년 동안 전시되었다. 포로가 된 메타코멧 추장의 가족을 비롯한 원주민들은 노예로서 서인도 제도 등으로 팔려갔다.[65]

6. 3. 식민지 사회의 변화

이 전쟁으로 식민지 주민 600명 이상이 사망했고, 이는 영국 성인 남성 인구의 8%에 달하는 큰 숫자였다.[75] 그러나 원주민에게는 더 큰 충격이 가해져, 뉴잉글랜드 원주민 인구는 60%에서 80%까지 감소했다.[74] 살아남은 왐파노아그족은 400명 정도에 불과했다. 메타코멧의 아들과 아내를 포함한 많은 원주민이 버뮤다 등지로 노예로 팔려갔다.[45]

전쟁 이후에도 원주민들의 저항은 계속되었지만, 그 규모는 필립왕 전쟁에 비해 매우 작았다. 1,000명 이상의 식민지 주민과 3,000명의 원주민이 사망했으며,[2] 뉴잉글랜드 마을의 절반 이상이 공격받았고, 많은 마을이 파괴되었다.[44] 내러간셋, 왐파노아그, 포덩크, 닙묵 부족은 큰 피해를 입었고, 여러 소규모 부족은 사실상 사라졌다.

약 1,000명의 기독교 원주민이 살아남아 처음에는 내틱에, 이후 다른 세 개의 "기도 마을"에 정착했다. 이들은 자율성이 증가하여 지방 법률에 따라 토지 판매가 금지되기도 했다. 그러나 1720년에서 1750년 사이, 내틱은 백인 마을로 급격히 변화했는데, 이는 원주민을 경멸하는 앵글로 정착민들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원주민들은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지만, 대부분 우스터와 보스턴 사이 지역에 머물며 친척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47]

로드아일랜드 식민지는 전쟁으로 황폐화되었고, 주요 도시인 프로비던스가 파괴되었다. 로드아일랜드 의회는 전쟁의 책임을 뉴잉글랜드 연합 식민지에 돌리는 공식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48]

메인, 뉴햄프셔, 매사추세츠 북부 지역에서는 이후 수십 년 동안 분쟁이 계속되었다.[53] 1689년 윌리엄 왕 전쟁을 시작으로 74년 동안 여섯 차례의 전쟁이 벌어졌으며, 뉴잉글랜드와 아카디아 사이의 경계를 둘러싼 분쟁이 주된 원인이었다.[54][55][56]

플리머스에서 로드아일랜드 식민지 일대에서는 징병 연령 남성의 10분의 1을 잃는 인구 격감으로 경제가 크게 흔들렸다.[64] 뉴잉글랜드의 많은 타운이 전쟁에 휘말렸고,[65] 왐파노아그족과 동맹 부족은 수천 명이 처형되거나 노예로 전락했으며, 왐파노아그족은 모든 땅을 잃었다.

전쟁에서 사망한 메타코멧 추장의 유해는 능지처참되었고, 머리는 창에 꽂혀 24년 동안 전시되었다. 포로로 잡힌 메타코멧 추장의 가족을 포함한 원주민들은 서인도 제도 등으로 노예로 팔려갔다. 정착민들은 원주민 문화를 이해하지 못하고 메타코멧을 "전쟁을 시작한 주모자"로 일방적으로 간주하며 모욕했다.

필립 왕 전쟁은 뉴잉글랜드 정착민들이 유럽의 지원 없이 자력으로 적에게 맞설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했고, 이는 미국인에게 독립 의식이 싹트는 계기가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King Philip's War https://historyofmas[...] 2017-05-31
[2] 서적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www.usahistor[...] The MacMillan Company 1904
[3] 웹사이트 'Weltering in their own blood': Puritan Casualties in King Philip's War https://go.gale.com/[...] Westfield State University 2009
[4] 뉴스 America's Guardian Myths https://www.nytimes.[...] 2007-09-07
[5] 간행물 Casco, Treaty of ABC-CLIO
[6] 서적 This Land Is Their Land Bloomsbury Publishing 2019
[7] 웹사이트 King Philip's War – British-Native American Conflict https://www.britanni[...]
[8] 논문 Reinventing Benjamin Church: Virtue, Citizenship and the History of King Philip's War in Early National America 1996
[9] 서적 Our Beloved Kin: A New History of King Philip's War Yale University press
[10] 서적 Memory lands: King Philip's War and the place of violence in the northeast 2018
[11] 서적 Our Beloved Kin: A New History of King Philip's War Yale University Press
[12] 논문 King Philip's Herds: Indians, Colonists, and the Problem of Livestock in Early New England https://www.jstor.or[...] 1994-10
[13] 논문 By 'Treachery and Seduction': Indian Baptism and Conversion in the Roger Williams Code https://www.jstor.or[...] 2014-04
[14] 서적 Mount Hope: A New England Chronicle https://archive.org/[...] The Viking Press 1959
[15] 서적 Our Beloved Kin: A New History of King Philip's War Yale University Press
[16] 보고서 Historical Statistics of the United States: Colonial Times to 1970 http://www2.census.g[...] 1975
[17] 웹사이트 New England Colonies in 1677 https://education.na[...] National Geographic
[18] 문서
[19] 서적 The American Colonies in the Seventeenth Century 1904
[20] 서적 The Sovereignty and Goodness of God Bedford/St. Martin's
[21] 서적 Our Beloved Kin: A New History of King Philip's War Yale University Publishing
[22] 서적 The History of King Philip's War http://babel.hathitr[...] HathiTrust 1865-06-05
[23] 웹사이트 Moon Eclipse calculation http://www.hermit.or[...]
[24] 웹사이트 Captain Thomas Wheeler's Narrative https://archive.org/[...]
[25] 서적 Indian History, Biography and Genealogy: Pertaining to the Good Sachem Massasoit of the Wampanoag Tribe, and His Descendants https://books.google[...] Zerviah Gould Mitchell
[26] 웹사이트 Miles Morgan http://ritaren.tripo[...]
[27] 웹사이트 Roger Williams: King Philip's War https://www.nps.gov/[...]
[28] 서적 After King Philip's War: Presence and Persistence in Indian New Englan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2000
[29] 서적 Unconquered: The Iroquois League at War in Colonial America https://archive.org/[...] Greenwood 2006
[30] 서적 Our Beloved Kin: A New History of King Philip's War Yale University Press
[31] 서적 Our Beloved Kin: A New History of King Philip's War Yale University Press
[32] 웹사이트 The Narrative of the Captivity and the Restoration of Mrs. Mary Rowlandson http://www.library.c[...] City University of New York
[33] 서적 Our Beloved Kin: A New History of King Philip's War Yale University Press
[34] 서적 History of Simsbury, Granby, and Canton; from 1642 to 1845 https://archive.org/[...] Press of Case, Tiffany and Burnham
[35] 서적 Memory lands: King Philip's War and the place of violence in the northeast 2018
[36] 웹사이트 NRHP nomination for Second Battle of Nipsachuck Battlefield (redacted) https://preservation[...] Rhode Island Preservation 2016-09-23
[37] 서적 1850
[38] 서적 American Beginnings: Exploration, Culture, and Cartography in the Land of Norumbega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5
[39] 서적 King Philip's War: Colonial Expansion, Native Resistance, and the End of Indian Sovereignt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0
[40] 서적 New England Treaties, North and West University Publications of America / Nexis-Lexis
[41] 서적 Coastal Maine: A Maritime History Countryman 2002
[42] 서적 The History of New-Hampshire Robert Aitken 1784
[43] 간행물 The History Corner: Joshua Fisher (1621–1672) Colonial Inn-keeper and Surveyor, Part 1 https://archives.pro[...] 2021-04-17
[44] 웹사이트 1675 – King Philip's War http://colonialwarsc[...] Society of Colonial Wars in the State of Connecticut 2016-01-08
[45] 서적 2019
[46] 간행물 As if in a Great Darkness: Native American Refugees of the Middle Connecticut River Valley in the Aftermath of King Philip's War: 1677–1697 1995-06-01
[47] 서적 Behind the Frontier: Indians in Eighteenth-Century Eastern Massachusetts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6
[48] 서적 Bi-centenary of the Burning of Providence in 1676: Defence of the Rhode Island System of Treatment of the Indians, and of Civil and Religious Liberty. An Address Delivered Before the Rhode Island Historical Society https://archive.org/[...] Providence Press Company 2019-02-11
[49] 웹사이트 History – Colonial Era – Cochecho Massacre https://web.archive.[...] Seacoast NH 2015-08-12
[50] 서적 Brethren by Nature: New England Indians, Colonists, and the Origins of American Slavery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
[51] 서적 2019
[52] 서적 Behind the Frontier
[53] 웹사이트 Storm Clouds over Wabanakiak: Confederacy Diplomacy Until Dummer's Treaty (1727) https://web.archive.[...] Passamaquoddy Tribe at Pleasant Point 2016-05-19
[54] 서적 The History of the State of Maine 1832
[55] 서적 From Migrant to Acadian: A North American Border People, 1604–1755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56] 서적 The Road to Canada: The Grand Communications Route from Saint John to Quebec 2005
[57] 웹사이트 History of King Philip's War [フィリップ王戦史] https://historyofmas[...] 2021-11-12
[58] 서적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www.usahistor[...] The MacMillan Company 2020-08-31
[59] 웹사이트 'Weltering in their own blood': Puritan Casualties in King Philip's War https://go.gale.com/[...] 웨스트필드 주립대학 2024-03-25
[60] 뉴스 America's Guardian Myths https://www.nytimes.[...] 2007-09-06
[61] 서적 The Encyclopedia of North American Indian Wars, 1607-1890: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ABC-CLIO
[62] 문서 世界の歴史21
[63] 웹사이트 King Philip's War - British-Native American Conflict https://www.britanni[...] 2018-09-20
[64] 간행물 Reinventing Benjamin Church: Virtue, Citizenship and the History of King Philip's War in Early National America 1996-12-01
[65] 웹사이트 1675 - King Philip's War http://colonialwarsc[...] Society of Colonial Wars in the State of Connecticut 2016-01-08
[66] 서적 한권으로 보는 미국사 100장면 가람기획 1995-11-27
[67] 서적 2006
[68] 서적 2006
[69] 문서 "From Thanksgiving to War: Native Americans in Criminal Cases of Plymouth Colony, 1630–1675" 2001
[70] 서적 2006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1-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