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요는 타인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상황을 다루는 법적 개념으로, 사적 필요와 공적 필요로 구분된다. 사적 필요는 개인적인 이유로 타인의 재산을 침해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침해자는 피해를 보상해야 한다. 반면, 공적 필요는 공공의 이익을 위해 공무원이 사유 재산을 사용하는 경우를 뜻하며, 보상 여부는 관련 판례에 따라 달라진다. 주요 사례로는 빈센트 대 레이크 이리 운송 회사 사건과 수로코 대 기어리 사건, 웨그너 대 밀워키 상호 보험 회사 사건 등이 있다. 한국 민법에서는 긴급피난 조항을 통해 유사한 상황을 규정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미법 - 기소
기소는 검사가 피고인에 대해 법원에 재판을 요구하는 행위이며, 형사소송 절차의 한 단계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 영미법 - 배심제
배심제는 법정에서 시민들로 구성된 배심원단이 증거를 심리하고 평결을 내리는 제도로, 대배심과 소배심으로 나뉘며, 영미법 체계 국가에서 주로 시행되고, 한국에서는 국민참여재판 제도가 시행된다. - 법률 용어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법률 용어 - 권리장전 (영국)
권리장전은 1689년 영국 의회가 왕권 남용 방지, 의회 권한 강화, 국민의 권리와 자유 보장을 위해 제정한 법률로, 입헌군주제의 초석을 다지고 다른 국가 헌법에 영향을 주었다.
필요 | |
---|---|
필요 (불법 행위) | |
필요 | 비상 상황에서 더 큰 피해를 막기 위해 행해진 불법 행위에 대한 변론 |
관할권 | 영국, 미국 |
개요 | |
설명 | 범죄 또는 불법 행위 혐의에 대한 변호. 피고는 범죄 행위를 저질렀지만 더 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함. 공익이 개인의 권리보다 중요할 때 적용됨. |
유형 | |
공공 필요 | 공공 또는 다수의 개인을 보호하기 위한 개입 |
사적 필요 | 자신 또는 소수의 개인을 보호하기 위한 개입 |
영국법 | |
적용 | 일반적으로 범죄 행위에 대한 변호로 적용됨. 민사 소송에서는 매우 제한적으로만 적용됨. |
사례 | F v West Berkshire Health Authority [1990] 2 AC 1 (HL): 무능력한 성인 여성의 피임 시술은 필요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음. Re A (Conjoined Twins) [2001] Fam 147: 분리 수술을 받지 않으면 모두 사망할 결합 쌍둥이의 분리 수술은 살인죄에 대한 변호가 될 수 있음. London Borough of Southwark v Williams [1971] Ch 734: 주택이 없는 사람들의 주택 점유는 필요에 의한 변호가 될 수 없음. |
미국법 | |
개요 | 개인의 자유와 재산에 대한 고의적인 침해를 정당화할 수 있음. |
공공 필요 | 공공재산의 파괴는 허용되지만, 정부는 보상해야 함. 마우스 사건 |
사적 필요 | 개인 재산의 파괴는 허용되지만, 손해에 대한 배상 책임이 있음. 빈터 대 포레스트 사건 |
사례 | 미국 대 홈즈: 조난된 보트의 승객을 구하기 위해 승객을 바다에 던지는 것은 살인에 대한 변호가 될 수 있음 (논란의 여지가 있음). |
2. 사적 필요 (Private Necessity)
'''사적 필요'''(私的必要, Private Necessity)는 개인적인 이유로 타인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경우를 말한다. 재산 소유자는 필요에 의한 침해를 하는 개인에게 폭력을 사용할 수 없지만, 침해로 인해 발생한 손해에 대해서는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한 바람 때문에 낙하산 강하자가 의도치 않게 근처 농부의 밭에 착륙하여 농부의 귀한 장미를 짓밟은 경우, 낙하산 강하자는 사적 필요를 주장할 수 있지만 장미에 대한 피해는 보상해야 한다. 이때 농부는 재산 방어를 위해 폭력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폭행 혐의로 책임을 질 수 있다.
사적 필요 특권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피고가 실제로 위협을 받았거나 상당한 해가 발생하려 한다고 합리적으로 생각했어야 한다. 미국 판례인 Vincent v. Lake Erie Transp. Co.는 사적 필요에 대한 중요한 사례를 보여준다.
2. 1. 사례: 빈센트 대 레이크 이리 운송 회사 (Vincent v. Lake Erie Transportation Co.)
미국 법에서 사적 필요의 특권을 설명하기 위해 가장 자주 인용되는 판례는 ''Vincent v. Lake Erie Transp. Co.''(109 Minn. 456, 124 N.W. 221 (1910))이다.;사실 관계
피고 레이크 이리(Lake Erie)는 원고 빈센트(Vincent)의 부두에 정박하여 피고 소유의 증기선 ''레이놀즈(Reynolds)''에서 화물을 하역하고 있었다. 평소와 달리 심한 폭풍이 발생했다. 레이크 이리는 안전하게 부두를 떠날 수 없었고, 대신 증기선의 갑판원들은 ''레이놀즈''를 부두에 묶어두었고, 로프가 닳고 끊어지기 시작하자 계속해서 로프를 교체했다. 갑자기 거센 바람이 불어 배가 부두에 부딪히면서 부두가 심하게 파손되었다.
;쟁점
사적 필요로 인해 타인의 재산에 손해가 발생한 경우 보상이 필요한가?
;판결
(오브라이언(O'Brien) 판사) 그렇다. 사적 필요는 타인의 재산을 점유하거나 손상시키는 것을 요구할 수 있지만, 보상은 필요하다. 만약 폭풍이 시작될 때 ''레이놀즈''가 항구에 들어왔고, 바람이 배를 부두에 부딪히게 했다면, 이러한 자연력으로 인해 빈센트는 손해배상을 받을 수 없었을 것이다. 피고 레이크 이리는 의도적으로 ''레이놀즈''를 부두에 묶어두었다. 만약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 배가 침몰하여 부두에 발생한 손해보다 훨씬 더 큰 손해가 발생했을 수 있다. 비록 이것이 신중한 행동이었지만, 레이크 이리는 빈센트에게 발생한 손해에 대해 여전히 책임을 져야 한다.
;반대 의견
(루이스(Lewis) 판사) 부두를 건설하고 사업을 운영하는 사람은 폭풍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해의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루이스 판사는 다수 의견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빈센트가 레이크 이리로 인해 발생한 손해의 위험을 감수했다고 믿었다.
''빈센트 대 레이크 이리(Vincent v. Lake Erie)'' 판결은 공공 정책적 관점에서 사적 시민들이 그들의 손실에 대해 보상받을 것이라고 보장한다. 빈센트는 수리 비용에 대해 보상받을 것이고, 레이크 이리는 그들의 배가 침몰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다.
3. 공적 필요 (Public Necessity)
공적 필요는 공무원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 사유 재산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 전체에 더 큰 이익이 된다면, 사유 재산의 파괴나 사용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피해를 입은 개인이 항상 보상을 받는 것은 아니다.
공공의 필요에 의한 재산권 침해는 손해배상 책임이 면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적 필요와 구별된다. 미국 법에서는 이에 대해 상반된 두 가지 판례가 존재한다.
- Surocco v. Geary영어 (1853)
- Wegner v. Milwaukee Mutual Ins. Co.영어 (1991)
Wegner v. Milwaukee영어 판결은 공공에게 이익이 되는 손실을 무고한 시민이 아닌 공공이 부담해야 한다고 판시했다. 반면, Wegner영어와 유사한 사건(예: Lech v. City of Greenwood Village영어)에서는 Surocco영어 판례에 따라 공공 필요 교리를 적용하여 개인이 더 큰 공공의 선을 위해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이처럼 법원은 공공 정책의 문제로 사안을 결정한다.
3. 1. 사례 1: 수로코 대 기어리 (Surocco v. Geary)
Surocco v. Geary영어는 1853년 캘리포니아 대법원 판결이다. 샌프란시스코 대화재 당시, 샌프란시스코 시장 기어리(Geary)는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해 원고 수로코(Surocco)의 집을 철거하도록 명령했다. 수로코는 집이 폭파되지 않았다면 더 많은 소유물을 구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시장을 고소했다.;쟁점
:임박한 공공 재난을 막기 위해 타인의 사유 재산을 파괴하는 경우, 해당 행위자가 책임을 져야 하는가?
;판결
:캘리포니아 대법원은 필요의 권리는 자연법에 따라 사회와 정부와는 별개로 존재하며, 개인의 권리는 임박한 필요라는 더 높은 법에 양보해야 한다고 판시했다. 불이 붙었거나 불이 붙을 상황에 처한 집은 제거하는 것이 적법한 공공 유해이며, 그렇지 않으면 한 사람이 도시 전체를 파괴할 수도 있다고 보았다. 재판부는 화재를 막기 위해 수로코의 집을 폭파하는 것이 필요했으며, 만약 더 많은 소유물을 옮기도록 집 폭파를 지연했다면 너무 늦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따라서 시장에게는 손해배상 책임이 없다고 판결했다.
이 판결은 침입자가 피해를 입힌 경우 재산 소유자에게 보상해야 한다는 사적 필요 교리와는 다르다.
3. 2. 사례 2: 웨그너 대 밀워키 상호 보험 회사 (Wegner v. Milwaukee Mutual Ins. Co.)
미네아폴리스 경찰이 범죄 혐의자를 체포하기 위해 웨그너의 집에 최루탄과 충격 수류탄을 발사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웨그너는 미국 헌법 수정 제5조와 유사하게 자신의 재산이 공공의 목적으로 "수용"되었으므로 시가 보상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미네아폴리스 시를 고소했다. 시는 경찰의 행위가 적법한 경찰권 행사였기 때문에 수용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하급 법원은 시의 행위가 정당하다고 판결했지만, 웨그너는 주 대법원에 항소했다.쟁점경찰이 용의자를 체포하는 과정에서 재산 피해를 입은 집주인에게 시가 보상해야 하는가?
판결(톰야노비치 판사) 그렇다. 미네소타주 헌법에 따라 정부는 공공의 목적으로 사유지를 수용할 때 발생하는 모든 피해에 대해 토지 소유자에게 보상해야 한다. 경찰의 합리적인 행동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헌법 조항은 공공의 목적으로 재산을 개선하는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수용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보상이 필요하며, 공공 필요 교리가 적용되어도 수용은 인정되어야 한다. 공정성과 정의에 따라, 공익을 위해 웨그너가 혼자 손실을 부담하는 것은 부당하며, 시가 손실을 부담해야 한다. 또한 개별 경찰관은 개인적으로 책임이 없으며, 공공이 손실을 부담해야 한다.
4. 한국 민법상 긴급피난 (제761조)
Vincent v. Lake Erie Transportation Co.영어 사건은 자기 또는 타인의 법익에 대한 현재의 위난을 피하기 위한 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긴급피난이 성립하여 불법행위 책임이 면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위난을 피할 수 없을 정도로 긴급해야 하며, 상당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Surocco v. Geary.영어 사건에서는 공익을 위한 긴급피난의 경우, 개인의 재산권을 침해하더라도 불법행위 책임이 면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한국 민법 제761조의 해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Wegner v. Milwaukee Mutual Ins. Co.영어 사건은 공권력 행사에 의한 긴급피난의 경우에도, 개인에게 특별한 희생이 발생한 경우 국가가 손실보상을 해야 할 의무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한국 민법상 긴급피난 규정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서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