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만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만석은 5세부터 유학을 배우고 경서에 능통했던 인물이다. 진양 하씨 사직공파 제23세손이자 사천조동 문중의 제4세 장손으로, 인의예지를 가르치고 충과 효를 중시하는 가풍을 진작하는 데 기여했다. 효종과 영조 시대에 가선대부와 지중추부사를 역임했다. 하만석의 증조부는 하태원이며, 아버지 하응철은 가선대부였다. 후손으로는 하재세와 하승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37년 사망 - 낙천군
조선 영조 시대 왕족 낙천군은 선조의 서자 경창군의 후손으로 태어났으나 숙종의 아들 연령군의 양자로 입양되었고 요절하여 후사가 없어 양자 문제와 제사 봉행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 1737년 사망 - 윌리엄 웨이크
윌리엄 웨이크는 잉글랜드의 성직자이자 캔터베리 대주교로, 프랑스 성직 관련 문제에 관심을 가지며 프랑스 가톨릭 교회와의 통합을 모색했고 비국교도에 대해 관대한 입장을 취했으며, 성공회 서품을 옹호하고 에라스투스주의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힌 《영국 교회와 성직자의 상태... 역사적으로 고찰》 등의 저서를 남겼다. - 1658년 출생 - 이이명
이이명은 조선 숙종, 경종, 영조 시대의 문신으로, 노론의 핵심 인물이었으며, 숙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연잉군(영조)을 지지했고, 서양 문물에 개방적인 입장을 보였다. - 1658년 출생 - 김창업
김창업은 조선 시대 문인이자 화가로, 영의정 김수항의 아들이며 기사환국 이후 은둔하며 시문과 그림에 몰두했고, 단원 김홍도의 스승 중 한 명이자 숙종 때 연행록을 저술했다. - 조선 효종 - 심재
심재는 조선 중기 문신으로, 좌의정 심희수의 후손이며, 문과 급제 후 여러 요직을 거쳐 경기도 관찰사, 이조판서, 대사헌 등을 역임했으나 갑술환국으로 관작이 추탈되었다. - 조선 효종 - 정축하성
정축하성은 1636년 병자호란 때 조선이 청나라에 맞서 남한산성에서 항전했으나 청군의 빠른 진격과 보급 부족으로 인조가 항복을 결정하며 조선이 청나라의 속국이 된 사건이다.
하만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가선대부 하만석 |
![]() | |
출생일 | 1658년 2월 20일 |
사망지 | 사천 조동 |
사망일 | 1737년 7월 28일 |
국적 | 조선 |
직책 | 정2품 지중추부사 |
본관 | 진양 |
별명 | 자 여인(汝仁), 호 초암(樵菴) |
군주 | 효종, 영조 |
경력 | 지중추부사 |
직업 | 문신, 유학자 |
종교 | 유교(성리학) |
배우자 | 정부인 전주 이씨 |
자녀 | 하유서(河有瑞) |
부모 | 부 하응철(河應澈, 가선대부), 모 정부인 밀양박씨 |
2. 생애
하만석은 효종과 영조 대에 가선대부를 거쳐 정2품 지중추부사를 역임했다.[1]
2. 1. 가학
하만석은 부친 하응철 선생에게 5세부터 유학의 근본을 배워, 관례 나이에 학문이 출중하여 경서에 대한 이해와 필체가 뛰어났다. 진양하씨 사직공파 23세손이자 '''사천조동 문중'''의 제4세 장손으로 문중을 빛냈다.[1]그는 평소 자녀들에게 '''인의예지(仁義禮智)'''를 가르치고, 하문(河門)이 삼한시대부터 고려와 조선에 이르기까지 '''충(忠)과 효(孝)'''를 근본으로 하는 가풍과 가훈의 정신을 널리 알리고 드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1]
2. 2. 가르침
하만석은 부친인 하응철 선생에 의해 5세부터 유학의 근본부터 배우기 시작하여 관례의 나이에 이를 즈음에 학문이 출중하여 경서에 대한 깨우침과 필서가 뛰어났다. 그는 진양하씨 사직공파 제23세손이자 '''사천조동 문중'''의 제4세 장손으로 문중을 현달케 했다. 그는 평소에 자녀들에게 '''인의예지(仁義禮智)'''를 교육하고 하문(河門)이 삼한시대부터 고려에 이어 조선에 이르기까지 '''충과 효'''를 근본으로 하는 가풍과 가훈의 정신을 진작(振作)하고 고양(高揚)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1]2. 3. 관직
하만석은 효종과 영조 대에 가선대부를 거쳐 정2품 지중추부사를 역임했다.[1]3. 가계
하만석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하연을 직계 선조로 한다. 하연 선생의 영정은
3. 1. 선조
- 증조부: '''하태원'''(河太沅, 진양 하씨 사직공파 사천조동 문중 창문)
- 조부: 하도(河圖) (유학자)
- 아버지: '''하응철'''(河應澈, 가선대부)
- 어머니: 엉부인 밀양 박씨
- 장자: 하유서(河有瑞, 유학자)
- 장손: 하윤징(河潤澄, 유학자)
- 증손: 하덕량(河德良, 유학자)
- 고손: 하용우(河龍佑, 유학자)
3. 2. 후손
참조
[1]
논문
河承武의 晉陽河氏 家門人物硏究
2015
[2]
웹인용
'한국신학교육자상'수상 연합뉴스
http://m.yna.co.kr/k[...]
2019-12-15
[3]
웹인용
한국신학교육자상 수상 매일종교신문
http://m.dailywrn.co[...]
2019-12-15
[4]
웹사이트
하승무 가문, 부산지역 유일, 대한민국 병역명문가 선정
http://m.viva100.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