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스돔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스돔과는 농어목에 속하는 물고기 과로, 좌우로 납작한 체형과 작은 빗비늘을 가지며, 전 세계에 분포한다. 하스돔과는 하스돔아과와 어름돔아과의 두 아과로 나뉘며, 일부 학자들은 수염돔과를 하스돔과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하스돔과는 계통 분류 연구에 따라 다른 위치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일부 종은 식용으로 이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하스돔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정보
이름그렁트 (물고기)
Haemulon album
학명Haemulidae
명명자T. N. Gill, 1885
동의어Pomadasyidae Regan, 1913
Inermiidae Jordan, 1923
하위 분류
아과Haemulinae Gill, 1885
Plectorhynchinae Jordan & Thompson 1912
Anisotremus
Boridia
Brachydeuterus
Conodon
Diagramma
Emmelichthyops
Genyatremus
Haemulon
Haemulopsis
Isacia
Microlepidotus
Orthopristis
Parakuhlia
Parapristipoma
Plectorhinchus
Pomadasys
Xenichthys
Xenistius
Xenocys
일반 정보
영어 이름Grunt

2. 분포

하스돔과는 농어목에 속하는 과로,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 등 전 세계의 따뜻한 바다에 널리 분포한다. 주로 연안의 암초나 산호초 지역에서 서식하며, 일부 종은 강 하구의 기수역에서도 발견된다. 그러나 담수에서 발견되는 경우는 드물다.[8]

3. 형태

하스돔과 어류는 일반적으로 좌우로 납작하게 측편된 체형을 가진다. 몸은 작은 빗비늘로 덮여 있다. 입은 작고, 턱에는 작고 촘촘한 이빨이 나 있다. 등지느러미는 하나로, 가시 부분과 부드러운 부분으로 나뉜다. 뒷지느러미는 3개의 가시와 6~18개의 연조로 구성된다. 꼬리지느러미는 형태가 다양하다.[1]

4. 하위 분류

하스돔과는 크게 하스돔아과(Haemulinae)와 어름돔아과(Plectorhinchinae)의 두 아과로 나뉜다. 일부 학자들은 수염돔과(Hapalogeniidae)를 별도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형태 및 생태적 특징이 유사하여 하스돔과에 포함시키기도 한다.[8][9]

4. 1. 하스돔아과 (Haemulinae)

아니소트레무스속( ''Anisotremus'') , ''Boridia'', 브라키데우테루스속(''Brachydeuterus''), 코노돈속(''Conodon''), ''Emmelichthyops'', 하물론속( ''Haemulon''), ''Haemulopsis'', ''Isacia'', ''Microlepidotus'', 오르토프리스티스속(''Orthopristis''), ''Parakuhlia'', 하스돔속( ''Pomadasys''), ''Xenichthys'', ''Xenistius'', ''Xenocys'' 속을 포함한다.

  • ''Emmelichthyops''속은 유일종 Emmelichthyops atlanticus영어를 포함한다.
  • 하물론속은 Haemulon vittatum영어(이전의 Inermia vittata영어)을 포함한다.

4. 2. 어름돔아과 (Plectorhinchinae)

어름돔아과(Plectorhinchinae)에는 다음 속들이 속한다.

  • 디아그램마속( ''Diagramma'')
  • 벤자리속( ''Parapristipoma'')
  • 어름돔속( ''Plectorhinchus'')
  • ''Genyatremus''


5. 계통 분류

다음은 2017년 베탕쿠르(Betancur-R) 등[12]과 2018년 휴스(Hughes)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13]

베탕쿠르(Betancur-R) et al., 2017휴스(Hughes) et al., 2018


6. 이용

하스돔과 어류는 일부 지역에서 식용으로 중요하게 여겨진다. 특히 일본에서는 이사키, 쵸쵸코쇼다이, 코로다이 등이 수산 중요 종으로 취급되어 어획 대상이 된다.[8]

참조

[1] 논문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biotaxa.org/[...]
[2]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grunts (Teleostei, Haemulidae), with an emphasis on the ecology, evolution, and speciation history of New World species
[3] 서적 Fishes of the World https://sites.google[...] Wiley 2021-03-19
[4] 웹사이트
[5]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6] 논문 Daily cleaning activity and diversity of clients of the barber goby, ''Elacatinus figaro'', on rocky reefs in southeastern Brazil 2000-09
[7] 간행물 2021-03-19
[8] 서적 日本の海水魚
[9] 서적 Fishes of the World Fourth Edition
[10] 웹사이트
[11]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12] 웹인용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Version 4 https://sites.google[...] 2017
[13] 문서 Comprehensive phylogeny of ray-finned fishes (Actinopterygii) based on transcriptomic and genomic da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