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우메아의 발견에 대한 논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우메아의 발견에 대한 논란은 2005년 하우메아 왜행성의 발견과 명명 과정에서 발생한 국제적인 분쟁이다. 마이클 E. 브라운이 이끄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팀은 2004년에 하우메아를 발견했지만, 발표를 늦추는 동안 호세 루이스 오르티스 모레노가 이끄는 스페인 시에라네바다 천문대 팀이 2005년에 하우메아를 발견했다고 주장하며 발견 우선권을 다퉜다. 논쟁은 데이터 접근과 과학적 윤리 문제로 번졌으며, 국제천문연맹은 브라운 팀이 제안한 하우메아를 명칭으로 채택했지만, 발견자는 명시하지 않았다. 이 결정은 국제천문연맹의 정치적 편향성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과학적 발견 과정에서의 투명성과 정직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논란 - PD수첩의 황우석 사건 보도
    《PD수첩의 황우석 사건 보도》는 MBC PD수첩이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 연구 윤리 및 논문 조작 의혹을 제기하여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과학계 자정 노력과 연구 윤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언론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논의를 촉발한 사건이다.
  • 2006년 논란 - Essjay 사건
    Essjay 사건은 2007년 위키백과 편집자 Essjay가 종교학 박사 학위 및 교수 경력을 사칭한 사건으로, 위키백과의 신뢰성 문제와 온라인 정보의 책임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 2005년 논란 - Live at The Gaslight 1962
    `Live at The Gaslight 1962`는 1962년 뉴욕 가스라이트 카페에서 녹음된 밥 딜런의 공연 실황 음반으로, 그의 초기 대표곡들과 블루스, 포크 음악 스타일을 담고 있어 딜런의 초기 경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2005년 논란 - PD수첩의 황우석 사건 보도
    《PD수첩의 황우석 사건 보도》는 MBC PD수첩이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 연구 윤리 및 논문 조작 의혹을 제기하여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과학계 자정 노력과 연구 윤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언론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논의를 촉발한 사건이다.
하우메아의 발견에 대한 논란
개요
주제왜행성 하우메아의 발견에 대한 논란
주요 논점발견의 우선권 주장
발견 과정의 윤리적 문제
천문학계의 관행과 정책
배경
하우메아카이퍼 벨트 천체
빠른 자전
독특한 형태
위성 보유
발견 주장 그룹호세 루이스 오르티스 모레노 그룹 (시에라 네바다 천문대, 스페인)
마이클 브라운 그룹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미국)
논란의 시작
발견 발표마이클 브라운 그룹: 2005년 7월 29일
호세 루이스 오르티스 모레노 그룹: 2005년 7월 27일 (비공식)
소스 코드 접근 의혹오르티스 그룹이 브라운 그룹의 관측 로그에 접근했다는 의혹 제기
오르티스 그룹은 이를 부인
우선권 논쟁오르티스 그룹이 먼저 발견했다는 주장
브라운 그룹은 공식 발표가 먼저였다는 주장
국제천문연맹 (IAU)의 결정
명명권하우메아 (Haumea)로 명명
하우메아의 위성들은 하와이 신화에 따라 명명
발견자공식적으로 발견자를 지정하지 않음
논란의 지속
과학계의 반응일부 천문학자들은 IAU의 결정에 비판적
발견 과정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논의 지속
법적 문제브라운 그룹은 오르티스 그룹을 고소하지 않음
영향
천문학계의 윤리천문학 데이터 공유 및 접근에 대한 새로운 규정 필요성 대두
명명 절차천체 명명 절차의 개선 필요성 제기
과학적 협력국제적인 과학 협력의 중요성 강조
추가 정보
참고 자료관련 과학 논문 및 기사
IAU의 공식 발표
관련 인물호세 루이스 오르티스 모레노
마이클 브라운

2. 발견 및 발표

마이클 E. 브라운이 이끄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altech) 팀은 2004년 12월 28일, 2004년 5월 6일에 칠레 세로 토롤로 범아메리카 천문대와 미국 팔로마 천문대에서 1.3m SMARTS 망원경으로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하우메아를 발견했다.[1][2] 발견 당시 크리스마스 시즌이었기 때문에, 브라운 팀은 하우메아에 '산타'라는 별명을 붙였다.[1][2] 하지만 명왕성보다 작은 크기였기 때문에, 브라운 팀은 바로 발표하지 않고 추가 관측을 진행했다.[3][4][5]

마이클 E. 브라운


선(先) 발견 하우메아의 이미지는 1955년에 팔로마 천문대에서 처음 기록되었다.


이후 브라운 팀이 위성을 발견하고, 하우메아 자체가 다른 해왕성 바깥 천체보다 더 암석질이며 위성이 얼음질인 것을 확인했다.[19] 또한 근처 천체의 소행성족을 발견하여, 충돌로 인해 하우메아의 얼음 맨틀이 부서져 나간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6]

2005년 7월 7일, 브라운의 딸이 태어나 논문 발표가 늦어졌고,[7] 7월 20일, 브라운 팀은 9월 학술회 발표를 위한 초록을 온라인에 공개하면서 하우메아에 K40506A라는 코드를 부여했다.[8][9]

호세 루이스 오르티스 모레노가 이끄는 스페인 시에라네바다 천문대 팀은 2003년에 촬영한 사진을 분석하여 2005년 7월 하우메아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다.[4][10][11][12] 오르티스 팀은 소행성체 센터(MPC)에 발견 사실을 보고하였고,[13] 2005년 7월 29일, MPC는 오르티스 팀의 보고서를 공개했다. 같은 날 기자회견에서 오르티스 팀은 하우메아를 "10번째 행성"으로 칭하기도 했다.[15]

오르티스 팀의 파블로 산토스 산스는 2003년 3월 7일, 9일, 10일에 촬영한 사진에서 하우메아를 찾아냈으며, 이미 발견된 천체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브라운의 초록에서 발견한 천체와 매우 유사한 듯한 천체의 설명을 보고 칼텍의 관측 기록(코드 K40506A)을 검색했으나, 정보량이 충분하지 않아 같은 천체인지 확인할 수 없었다고 한다.[4][10][11][12]

오르티스 팀은 2005년 7월 27일 소행성체 센터에 이메일을 보내 발견 사실을 알렸고,[13] 다음 날 마요르카섬 아마추어 천문대의 레이네르 스토스에게 추가 관측을 요청했다. 스토스는 1955년 팔로마 천문대가 촬영한 사진에서 하우메아를 찾아냈고,[8] 오르티스 팀은 새 자료를 포함해 7월 29일 소행성체 센터에 두 번째 보고서를 보냈다.[14] 이 보고서에는 칼텍 기록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14]

2005년 7월 29일, 하우메아는 임시 명칭 2003 EL61을 받았으며,[16] "2003"은 스페인 측의 발견 사진을 기준으로 한 날짜이다.[16] 2006년 9월 7일, 정식으로 소행성체 번호 (136108) 2003 EL61로 소행성체 목록에 등재되었다.[17]

2. 1. 브라운 측

마이클 E. 브라운이 이끄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altech) 팀은 2004년 12월 28일, 2004년 5월 6일에 칠레 세로 토롤로 범아메리카 천문대와 미국 팔로마 천문대에서 1.3m SMARTS 망원경으로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하우메아를 발견했다.[38][39] 발견 당시 크리스마스 시즌이었기 때문에, 브라운 팀은 하우메아에 '산타'라는 별명을 붙였다.[1][2] 하지만 명왕성보다 작은 크기였기 때문에, 브라운 팀은 바로 발표하지 않고 추가 관측을 진행했다.[40][41][42]

이후 브라운 팀이 위성을 발견하고, 하우메아 자체가 다른 해왕성 바깥 천체보다 더 암석질이며 위성이 얼음질인 것을 확인했다.[56] 또한 근처 천체의 소행성족을 발견하여, 충돌로 인해 하우메아의 얼음 맨틀이 부서져 나간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43]

2005년 7월 7일, 브라운의 딸이 태어나 논문 발표가 늦어졌고,[44] 7월 20일, 브라운 팀은 9월 학술회 발표를 위한 초록을 온라인에 공개하면서 하우메아에 K40506A라는 코드를 부여했다.[45][46][8][9]

2. 2. 오르티스 측

호세 루이스 오르티스 모레노가 이끄는 스페인 시에라네바다 천문대 팀은 2003년에 촬영한 사진을 분석하여 2005년 7월 하우메아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다.[4][10][11][12][41][47][48][49] 오르티스 팀은 소행성체 센터(MPC)에 발견 사실을 보고하였고,[50] 2005년 7월 29일, MPC는 오르티스 팀의 보고서를 공개했다. 같은 날 기자회견에서 오르티스 팀은 하우메아를 "10번째 행성"으로 칭하기도 했다.[52]

오르티스 팀의 파블로 산토스 산스는 2003년 3월 7일, 9일, 10일에 촬영한 사진에서 하우메아를 찾아냈으며, 이미 발견된 천체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브라운의 초록에서 발견한 천체와 매우 유사한 듯한 천체의 설명을 보고 칼텍의 관측 기록(코드 K40506A)을 검색했으나, 정보량이 충분하지 않아 같은 천체인지 확인할 수 없었다고 한다.[4][10][11][12]

오르티스 팀은 2005년 7월 27일 소행성체 센터에 이메일을 보내 발견 사실을 알렸고,[50] 다음 날 마요르카섬 아마추어 천문대의 레이네르 스토스에게 추가 관측을 요청했다. 스토스는 1955년 팔로마 천문대가 촬영한 사진에서 하우메아를 찾아냈고,[45] 오르티스 팀은 새 자료를 포함해 7월 29일 소행성체 센터에 두 번째 보고서를 보냈다.[51] 이 보고서에는 칼텍 기록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51]

2005년 7월 29일, 하우메아는 임시 명칭 2003 EL61을 받았으며,[53] "2003"은 스페인 측의 발견 사진을 기준으로 한 날짜이다.[53] 2006년 9월 7일, 정식으로 소행성체 번호 (136108) 2003 EL61로 소행성체 목록에 등재되었다.[54]

3. 발견 논쟁

두 팀의 발표 이후, 발견 우선권을 둘러싼 논쟁이 발생했다. 브라운 팀은 오르티스 팀이 자신들의 관측 데이터를 부당하게 사용했다고 주장하며 국제천문연맹에 문제를 제기했다.[58] 오르티스 팀은 데이터 접근 사실은 인정했지만, 부정행위는 부인했다.[59]

브라운은 특종을 놓쳤다는 실망감을 가졌지만, 오르티스 팀의 발견을 축하했다. 브라운은 하우메아의 발견 발표를 에리스의 발견 발표로 가린 것에 대해 사과하였으며, 누군가 자신들의 데이터에 접근하였던 것을 보고 다시 특종을 놓칠 수 있다는 위기감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오르티스는 데이터를 찾아본 것이 자신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이후 웹 서버에 발견 발표 전 날 접근한 것이 시에라네바다 천문대이며, 오르티스 팀이 2003년 사진에서 하우메아를 찾을 수 있을 만한 데이터였다는 것을 알게 되자, 브라운은 사기를 의심하고 8월 9일 오르티스에게 설명을 요구했다. 오르티스는 브라운의 "천체 숨기기" 선호가 다른 천문학자들을 소외시키고 과학에 해를 끼쳤다고 답했다.[57]

8월 15일, 브라운 팀에서 오르티스 팀이 칼텍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는 사실을 표기하지 않아 과학계의 윤리를 위반하였으므로, 발견자의 지위를 박탈할 것을 국제천문연맹에 공식적으로 요구하였다.[58] 오르티스는 이후 칼텍의 관측 기록을 보았다는 것은 인정하였지만, 새로운 천체가 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과정의 일환이었을 뿐이라며 부정 행위를 부인하였다.[59] 브라운은 오르티스 팀이 28개월 동안 데이터를 보고 가만히 있다가, 초록을 발표한 6일 사이에 우연히 동시에 하우메아를 식별했다고 지적하며, 자신의 초록을 보기 전에 하우메아를 자체적으로 식별한 것이 맞냐는 의심을 품었다.[55]

3. 1. 데이터 접근 논란

브라운 팀은 오르티스 팀이 캘텍의 관측 기록에 접근하여 하우메아 발견에 이용했다고 주장했다.[58] 오르티스는 캘텍 관측 기록을 확인한 것은 인정했지만, 새로운 천체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한 과정이었다고 반박했다.[59]

브라운은 오르티스 팀이 28개월 동안 데이터를 보유하다가 초록을 발표한 6일 사이에 하우메아를 식별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자신의 초록을 보기 전에 하우메아를 자체적으로 식별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55][18] 8월 15일,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altech) 팀은 국제천문연맹(IAU)에 오르티스 팀이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altech) 데이터 사용을 인정하지 않아 과학적 윤리를 위반했다며 발견 지위 박탈을 요청했다.[21]

3. 2. 국제천문연맹의 결정

국제천문연맹(IAU)은 소행성 발견에 대한 규약에 따라, 최초로 궤도 결정을 위한 충분한 위치 데이터를 제출한 사람에게 발견 공로를 부여하고, 명명 우선권을 부여한다. 하지만 하우메아의 발견에 대한 논쟁으로 인해, IAU는 2008년 9월 17일, 소천체 명명 위원회 (CSBN)와 행성계 명명 실무 그룹 (WGPSN)의 결정에 따라 칼텍 팀이 제안한 ''하우메아''로 명명한다고 발표했다.[28][29] CSBN의 투표 결과는 매우 근소했으며, 단 한 표 차이로 결정되었다.[12][10]

왜소 행성의 이름으로 제안되었던 이베리아 여신 ''아타에치나''의 묘사


IAU는 발표문에 발견 날짜를 2003년 3월 7일로, 발견 장소를 시에라네바다 천문대로 기록했지만, 발견자 이름은 공란으로 남겨두었다.[30][31][32] 이는 오르티스 팀의 최초 관측 날짜를 인정한 것이지만, 발견자 논란을 의식하여 최종 발견자를 명시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4. 명명

국제천문연맹의 규정에 따라, 소행성체 발견자는 소행성체 센터에 궤도를 결정할 만한 충분한 자료를 먼저 제시한 곳에 명명 우선권이 주어졌다.[47] 이 요건을 충족한 오르티스 팀은 이베리아반도명계의 신 아타에치나를 제안했다. 아타에치나는 그리스 신화페르세포네와 동급이다.[47] 하지만, 해왕성궤도 공명이 안정적으로 일어나는 천체에만 그리스 지하신의 이름을 붙인다는 관행이 있고, 하우메아의 공명은 불안정하다는 점에서, 이름이 적절하지 않다는 관점도 있었다.[67]

고전적 카이퍼대 천체의 명명에 대한 국제천문연맹 규정에 따라,[60] 2006년 9월 브라운 팀은 "위성이 발견된 장소를 기리기 위해" 하와이 신화의 이름을 따 왜행성과 위성의 이름을 제안했다.[61][62] 하우메아는 마우나케아 천문대가 위치한 하와이섬의 수호신이다. 또한 하우메아는 지구의 여신 파파와 동일시되는데,[63] 이 왜행성은 다른 카이퍼대 천체와 달리 두꺼운 얼음층이 없고 거의 전부 암석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적절하다는 평을 받았다.[43][64] 여기에 하우메아는 자신의 몸이 떨어져나가 많은 아이들이 생기는 출생과 번영의 여신인데,[63] 왜행성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얼음 천체 무리에 대응한다.[43] 왜행성의 위성 둘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되었다고 추정되며,[43] 하우메아의 딸 히이아카나마카의 이름을 땄다.[64]

천체의 발견자가 누군지에 대한 논란으로 인해, 왜행성의 이름을 정하는 과정이 지연되었다. 2008년 9월 17일 국제천문연맹 내 왜행성의 명명을 담당하는 소천체 명명 위원회(CSBN)와 행성계 명명 실무단(WGPSN)은 브라운 팀의 제안인 하우메아를 채택하였다.[65][66] 소천체 명명 위원회에서는 투표 결과가 한 표 차이로 결정될 정도로 격전을 벌였다.[47][49] 하지만 발견 일자는 2003년 3월 7일로, 발견 위치는 시에라네바다 천문대로 기록되었으며, 발견자의 이름은 빈칸으로 남았다.[67][68][69]

4. 1. 하우메아 이름의 의미

국제천문연맹의 규정에 따르면, 소행성체 발견자는 소행성체 센터에 궤도를 결정할 만한 충분한 자료를 먼저 제시한 곳에 우선권이 주어졌다.[47] 이 요건을 충족한 오르티스 팀은 이베리아반도명계의 신 아타에치나를 제안했으나, 해왕성과의 안정적인 궤도 공명을 이루는 천체에만 지하 신의 이름을 붙인다는 관행에 따라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있었다.[67]

고전적 카이퍼대 천체의 명명에 대한 국제천문연맹 규정에 따라,[60] 브라운 팀은 하와이 신화의 이름을 따 왜행성과 위성의 이름을 제안했다.[61][62] 하우메아는 마우나케아 천문대가 위치한 하와이섬의 수호신이다.[61][62] 또한, 하우메아는 지구의 여신 파파와 동일시되는데,[63] 이는 왜행성이 대부분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과 부합한다고 평가받았다.[43][64] 더불어 하우메아는 다산과 출산의 여신으로, 몸에서 여러 아이들이 태어나는 신화적 특징은 하우메아족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이름으로 적절하다는 평가를 받았다.[63][43] 왜행성의 두 위성 히이아카나마카는 하우메아의 딸들의 이름을 땄다.[64]

천체의 발견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논란으로 인해, 왜행성의 이름을 정하는 과정이 지연되었다. 2008년 9월 17일, 국제천문연맹은 소천체 명명 위원회(CSBN)와 행성계 명명 실무단(WGPSN)의 투표 결과, 브라운 팀의 제안인 하우메아를 채택하였다.[65][66] 하지만 발견 날짜는 2003년 3월 7일, 발견 장소는 시에라네바다 천문대로 기록되었으며, 발견자의 이름은 빈칸으로 남았다.[67][68][69]

5. 논란의 영향

소행성체 센터의 수장 브라이언 G. 마스든은 과거 이름 분쟁에서 마이클 브라운을 지지했던 것처럼,[70],[33] 이번에도 브라운을 지지했다. 마스덴은 "언젠가 후대는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정확히 알고, 마이클 브라운이 모든 인정을 받을 것이다"라고 말했다.[67],[30] 또한, 발견자 이름을 빈칸으로 둔 것에 대해 "발견자에 대해 고의적으로 애매하게 한 것으로 [...] 국제적인 분쟁을 초래하고 싶지 않다"고 밝혔다.[48],[71],[70] 마스덴은 이 분쟁 전체를 17세기 초 목성큰 4개 위성의 발견자가 갈릴레오 갈릴레이인지 시몬 마리우스인지 일어난 논란 이후 제일 최악의 분쟁이라고 칭했다.[48],[71],[11] 이 논쟁은 결국 갈릴레오가 승리했다.[34]

오르티스 팀은 이에 반발하며, 만약 아타에키나가 적절하지 않았다면 양쪽 모두에 해당하지 않는 제3의 이름을 고를 수 있었다며, 국제천문연맹이 정치적으로 편향되었다고 주장했다. 아일랜드 신화의 다그다가 "중립적"인 이름으로 제안되었지만, 결국 채택되지 않았다는 루머도 등장했다.[72],[35] 오르티스는 "만족하지 않으며, 국제천문연맹이 안타까운 결정을 내렸고 나쁜 선례를 남겼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48],[11] 스페인 신문 ABC는 이 결정을 "미국의 점령"이라 표현했으며, 국제천문연맹에 미국 천문학자가 스페인보다 10배 많았다는 점에서 정치적인 영향이 컸다고 주장했다.[73],[36]

이름 발표 직후, 브라운은 발견자가 누군지 특정하지 않고 명명권을 주는 경우는 흔하지 않지만, "충분히 좋은 해결책이라 생각한다"며, 결과에 만족한다고 밝혔다.[48],[11] 이후 브라운은 하우메아의 위성 히이아카와 나마카의 발견자로 인정되었다.[69],[32] 발견 5주년에 브라운은 자신의 블로그에 발견의 중요성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올렸지만, 논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74],[37]

5. 1. 과학 윤리 문제

브라이언 G. 마스든 하버드 MPC의 수장이자 이전 명명 논쟁에서 브라운을 지지했던 그는[33] 오르티스 팀의 데이터 접근은 과학 윤리 위반이라는 비판하였다.[30] 그는 국제천문연맹(IAU) 목록에서 발견자의 이름이 비워져 있는 것에 대해 언급하며 "그것은 이 천체의 발견자에 대해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만들었습니다 [...] 우리는 국제적인 사건을 일으키고 싶지 않았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 모든 논란을 갈릴레이 위성에 대한 누가 목성갈릴레이 위성을 발견했는지에 대한 갈릴레오 갈릴레이시몬 마리우스 사이의 17세기 초 논쟁 이후 최악의 사태라고 불렀다.[11] 이 논쟁은 결국 갈릴레오가 승리했다.[34]

오르티스 팀은 이의를 제기하며 만약 ''아타에키나''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IAU가 적어도 어느 쪽에도 유리하지 않은 제3의 이름을 선택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IAU의 정치적 편향성을 비난했다. 아일랜드 신화의 신의 이름이자 "중립적"인 이름인 ''다그다''가 실제로 CSBM의 한 구성원에 의해 제안되었지만 결국 사용되지 않았다는 소문이 돌았다.[35] 오르티스는 "나는 행복하지 않다. 나는 [IAU]의 결정이 유감스럽고 좋지 않은 선례를 남긴다고 생각한다."[11]라고 말했다. 스페인 신문 ABC는 이 결정을 "미국의 정복"이라고 부르며, 미국이 IAU에 스페인보다 10배나 많은 천문학자를 보유했기에 정치적 요소가 큰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36]

이름 발표 직후, 브라운은 공식적인 발견자로 인정받지 않고 천체의 이름을 짓도록 허락받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고 언급했지만, 결과에 만족하며 "이것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최선의 해결책이라고 생각한다"고 선언했다.[11] 그는 두 개의 위성, 히이아카와 나마카의 발견에 대한 완전한 인정을 받았다.[32]

이 사건은 과학적 발견 과정에서 투명성과 정직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5. 2. 국제천문연맹의 역할

국제천문연맹왜소행성 하우메아의 발견자 분쟁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중재 역할을 수행했다.[11] 소행성체 센터의 수장 브라이언 G. 마스든은 발견자를 빈칸으로 둔 결정에 대해 "국제적인 분쟁을 초래하고 싶지 않았다"고 밝혔다.[48][71][11][30] 그는 이 분쟁을 갈릴레오 갈릴레이시몬 마리우스 사이의 갈릴레이 위성 발견 논쟁 이후 최악의 분쟁이라고 칭했다.[48][71][11][34]

하지만 오르티스 팀은 국제천문연맹의 결정에 반발하며, 정치적으로 편향되었다고 주장했다.[72][35] 만약 아타에키나가 부적절했다면 제3의 중립적인 이름을 선택할 수 있었음에도 그러지 않았다는 것이다.[72][35] 실제로 "중립적"인 이름으로 아일랜드 신화의 신 다그다가 제안되었지만 채택되지 않았다는 루머도 있었다.[72][35] 오르티스는 국제천문연맹의 결정에 불만을 표하며 "안타까운 결정이며 나쁜 선례를 남겼다"고 말했다.[48][11] 스페인 언론 ABC는 이 결정을 "미국의 점령"이라 표현하며, 국제천문연맹에 미국 천문학자가 스페인보다 10배 많다는 점을 들어 정치적인 영향이 컸다고 주장했다.[73][36]

이름 발표 직후, 브라운은 발견자가 특정되지 않고 명명권이 주어진 것에 대해 "충분히 좋은 해결책"이라며 만족감을 표했다.[48][11]

5. 3. 관련 인물들의 반응

브라이언 G. 마스덴 소행성체 센터 수장은 과거 이름 분쟁에서 마이클 브라운을 지지했던 것처럼,[70][33] 이번에도 브라운을 지지했다. 마스덴은 "언젠가 후대는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정확히 알고, 마이클 브라운이 모든 인정을 받을 것이다"라고 말했다.[67][30] 또한, 발견자 이름을 빈칸으로 둔 것에 대해 "발견자에 대해 고의적으로 애매하게 한 것으로 [...] 국제적인 분쟁을 초래하고 싶지 않다"고 밝혔다.[70] 마스덴은 이 분쟁을 17세기 초 목성큰 4개 위성의 발견자가 갈릴레오 갈릴레이인지 시몬 마리우스인지에 대한 논란 이후 최악의 분쟁이라고 칭했다.[48][71][11] 이 논쟁은 결국 갈릴레오가 승리했다.[34]

오르티스 팀은 국제천문연맹의 결정에 반발하며, 만약 아테히나가 적절하지 않았다면 양쪽 모두에 해당하지 않는 제3의 이름을 고를 수 있었다며, 국제천문연맹이 정치적으로 편향되었다고 주장했다. 아일랜드 신화의 다그다가 "중립적"인 이름으로 제안되었지만, 결국 채택되지 않았다는 루머도 등장했다.[72][35] 오르티스는 "만족하지 않으며, 국제천문연맹이 안타까운 결정을 내렸고 나쁜 선례를 남겼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48][11] 스페인 신문 ABC는 이 결정을 "미국의 점령"이라 표현했으며, 국제천문연맹에 미국 천문학자가 스페인보다 10배 많았다는 점에서 정치적인 영향이 컸다고 주장했다.[73][36]

이름 발표 직후, 브라운은 발견자가 누군지 특정하지 않고 명명권을 주는 경우는 흔하지 않지만, "충분히 좋은 해결책이라 생각한다"며, 결과에 만족한다고 밝혔다.[48][11] 이후 브라운은 하우메아의 위성 히이아카와 나마카의 발견자로 인정되었다.[69][32] 발견 5주년에 브라운은 자신의 블로그에 발견의 중요성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올렸지만, 논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74][37]

참조

[1] 웹사이트 Santa et al. http://www.astrobio.[...] NASA Astrobiology Magazine 2008-10-16
[2] 웹사이트 Haumea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1-03-25
[3] 웹사이트 Haumea http://www.mikebrown[...] Mike Brown's Planets 2008-09-22
[4] 웹사이트 The Great Beyond: Say hello to Haumea http://blogs.nature.[...] Blogs.nature.com 2009-07-14
[5] 웹사이트 Piecing Together the Clues of an Old Collision, Iceball by Iceball https://www.nytimes.[...] 2010-11-15
[6] 간행물 A collisional family of icy objects in the Kuiper belt https://authors.libr[...]
[7] 웹사이트 Lilah Binney Brown http://www.gps.calte[...] 2006-08-25
[8]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rail of the discovery of 2003 EL61 http://www.gps.calte[...] Caltech
[9] conference 56.12 Photometric observations of a very bright TNO with an extraordinary lightcurve. http://aas.org/archi[...] 2010-11-15
[10] 웹사이트 La historia de Ataecina vs Haumea http://www.infoastro[...] infoastro.com 2008-09-29
[11] 웹사이트 Controversial dwarf planet finally named 'Haumea'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9-07-14
[12] 웹사이트 Haumea: Dwarf-Planet Name Game https://skyandtelesc[...] SkyandTelescope.com 2009-07-14
[13] 웹사이트 New world found in outer solar system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9-07-14
[14] 뉴스 Minor Planet Electronic Circular 2005-O36 : 2003 EL61 http://www.minorplan[...] Minor Planet Center (MPC) 2011-07-05
[15] 웹사이트 Estados Unidos "conquista" Haumea http://www.abc.es/20[...] 2008-09-18
[16] 웹사이트 IAUC 8577: 2003 EL_61, 2003 UB_313, 2005 FY_9; C/2005 N6 http://www.cbat.eps.[...] IAU: Central Bureau for Astronomical Telegrams 2011-07-05
[17] 웹사이트 Solar System Exploration: Planets: Dwarf Planets http://solarsystem.n[...] Solarsystem.nasa.gov 2010-09-21
[18] 웹사이트 Astronomer denies improper use of web data https://www.newscien[...] NewScientist.com 2005-09-21
[19] 간행물 Keck Observatory Laser Guide Star Adaptive Optics Discovery and Characterization of a Satellite to the Large Kuiper Belt Object 2003 EL61 http://authors.libra[...] 2005-09-02
[20] 뉴스 One Find, Two Astronomers: An Ethical Brawl https://www.nytimes.[...] 2006-08-25
[21] 뉴스 One Find, Two Astronomers:An Ethical Brawl https://www.nytimes.[...] 2006-08-16
[22] 뉴스 Astronomer denies improper use of web data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6-08-16
[23] 뉴스 Naming of astronomical objects: Minor planets http://www.iau.org/p[...] 2008-11-17
[24] 웹사이트 Dwarf planets: Haumea http://web.gps.calte[...] 2008-09-18
[25] 뉴스 IAU names fifth dwarf planet Haumea http://www.iau.org/p[...] IAU Press Release 2008-09-17
[26] 서적 Handbook of Polynesian Mythology https://books.google[...] ABC-CLIO
[27] 웹사이트 News Release – IAU0807: IAU names fifth dwarf planet Haumea http://www.iau.org/p[...] 2008-09-18
[28] 웹사이트 Dwarf planet named after Hawaiian goddess by Chris Bailey | Hawaii Magazine: Discover Hawaii http://www.hawaiimag[...] Hawaiimagazine.com 2009-07-14
[29] 웹사이트 Planet gets name from isle goddess | starbulletin.com | News | /2008/09/19/ http://archives.star[...] Archives.starbulletin.com 2009-07-14
[30] 웹사이트 Controversial dwarf planet finally named 'Haumea'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8-09-19
[31] 웹사이트 2003 UB 313 named Eris https://astrogeology[...] USGS Astrogeology Research Program 2007-01-05
[32] 뉴스 Dwarf Planets and their Systems http://planetaryname[...] US Geological Survey Gazetteer of Planetary Nomenclature 2008-09-17
[33] 웹사이트 Brian Marsden, gatekeeper of the solar system http://www.mikebrown[...] MikeBrown 2017-07-18
[34] 웹사이트 The Galileo Project | Science | Simon Marius http://galileo.rice.[...] Galileo.rice.edu 2010-09-21
[35] 웹사이트 Welcome to the solar system, Haumea, Hi'iaka, and Namaka http://www.planetary[...] Planetary.org – The Planetary Society Blog 2009-07-14
[36] 웹사이트 Estados Unidos "conquista" Haumea – Nacional Sociedad – Nacional http://www.abc.es/20[...] ABC.es 2008-09-20
[37] 웹사이트 Mike Brown's Planets: A ghost of Christmas past http://www.mikebrown[...] Mikebrownsplanets.com 2009-12-29
[38] 웹인용 Santa et al. http://www.astrobio.[...] NASA Astrobiology Magazine 2005-09-10
[39] 웹인용 Haumea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40] 웹인용 Haumea http://www.mikebrown[...] Mike Brown's Planets 2008-09-17
[41] 웹인용 The Great Beyond: Say hello to Haumea http://blogs.nature.[...] Blogs.nature.com 2008-09-22
[42] 웹인용 Piecing Together the Clues of an Old Collision, Iceball by Iceball https://www.nytimes.[...] 2007-03-20
[43] 저널 A collisional family of icy objects in the Kuiper belt https://authors.libr[...]
[44] 웹인용 Lilah Binney Brown http://www.gps.calte[...]
[45] 웹인용 The electronic trail of the discovery of {{mp|2003 EL|61}} http://www.gps.calte[...] Caltech
[46] Observed 6:00-7:15pm 56.12 Photometric observations of a very bright TNO with an extraordinary lightcurve. http://aas.org/archi[...] 2005-09-08
[47] 웹인용 La historia de Ataecina vs Haumea http://www.infoastro[...] infoastro.com 2008-09-26
[48] 웹인용 Controversial dwarf planet finally named 'Haumea'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8-09-18
[49] 웹인용 Haumea: Dwarf-Planet Name Game https://skyandtelesc[...] SkyandTelescope.com
[50] 웹인용 New world found in outer solar system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5-07-29
[51] 뉴스 Minor Planet Electronic Circular 2005-O36 : 2003 EL61 http://www.minorplan[...] Minor Planet Center (MPC) 2005-07-29
[52] 웹인용 Estados Unidos "conquista" Haumea http://www.abc.es/20[...] 2008-09-20
[53] 웹인용 IAUC 8577: 2003 EL_61, 2003 UB_313, 2005 FY_9; C/2005 N6 http://www.cbat.eps.[...] IAU: Central Bureau for Astronomical Telegrams
[54] 웹인용 Solar System Exploration: Planets: Dwarf Planets http://solarsystem.n[...] Solarsystem.nasa.gov
[55] 웹인용 Astronomer denies improper use of web data https://www.newscien[...] NewScientist.com 2005-09-21
[56] 저널 Keck Observatory Laser Guide Star Adaptive Optics Discovery and Characterization of a Satellite to the Large Kuiper Belt Object 2003 EL61 http://authors.libra[...] 2005-09-02
[57] 뉴스 One Find, Two Astronomers: An Ethical Brawl https://www.nytimes.[...] 2005-09-13
[58] 뉴스 One Find, Two Astronomers:An Ethical Brawl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5-09-13
[59] 뉴스 Astronomer denies improper use of web data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5-09-21
[60] 뉴스 Naming of astronomical objects: Minor planets http://www.iau.org/p[...]
[61] 웹인용 Dwarf planets: Haumea http://web.gps.calte[...] 2008-09-17
[62] 뉴스 IAU names fifth dwarf planet Haumea http://www.iau.org/p[...] IAU Press Release 2008-09-17
[63] 서적 Handbook of Polynesian Mythology https://books.google[...] ABC-CLIO
[64] 웹인용 News Release – IAU0807: IAU names fifth dwarf planet Haumea http://www.iau.org/p[...] 2008-09-17
[65] 웹인용 Dwarf planet named after Hawaiian goddess by Chris Bailey | Hawaii Magazine: Discover Hawaii http://www.hawaiimag[...] Hawaiimagazine.com 2009-06-07
[66] 웹인용 Planet gets name from isle goddess | starbulletin.com | News | /2008/09/19/ http://archives.star[...] Archives.starbulletin.com 2008-09-19
[67] 웹인용 Controversial dwarf planet finally named 'Haumea'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8-09-19
[68] 웹인용 2003 UB 313 named Eris https://astrogeology[...] USGS Astrogeology Research Program 2006-09-14
[69] 뉴스 Dwarf Planets and their Systems http://planetaryname[...] US Geological Survey Gazetteer of Planetary Nomenclature
[70] 웹인용 Brian Marsden, gatekeeper of the solar system http://www.mikebrown[...] MikeBrown 2010-10-18
[71] 웹인용 The Galileo Project | Science | Simon Marius http://galileo.rice.[...] Galileo.rice.edu 2004-01-14
[72] 웹인용 Welcome to the solar system, Haumea, Hi'iaka, and Namaka http://www.planetary[...] Planetary.org – The Planetary Society Blog 2008-09-17
[73] 웹인용 Estados Unidos "conquista" Haumea – Nacional Sociedad – Nacional http://www.abc.es/20[...] ABC.es 2010-09-21
[74] 웹인용 Mike Brown's Planets: A ghost of Christmas past http://www.mikebrown[...] Mikebrownsplanets.com 2009-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