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계는 죽은 자의 영혼이 가는 세계를 의미하며, 다양한 문화권의 신화와 종교에서 저승, 지하세계, 사후세계 등으로 묘사된다. 켈트 신화의 안운, 일본 신화의 황천, 그리스 로마 신화의 타르타로스 등이 대표적이다. 각 문화권의 명계는 고유한 특징을 가지며, 한국 신화에서는 지옥으로 불리고, 염라대왕, 흑백무상, 맹파 등 다양한 신들이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후 세계 - 낙원
낙원은 여러 종교와 문화에서 이상적인 장소를 의미하며, 고대 이란어에서 유래하여 에덴동산, 천국, 정토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사후 세계 - 황천
황천은 고대 중국과 일본 신화에서 죽은 자의 세계를 가리키는 말로, 문화권에 따라 개념과 묘사가 다르며, 지하세계, 요미노쿠니(黄泉國), 요모츠쿠니(ヨモツクニ) 등으로 불리며 삶과 죽음에 대한 상징적 개념으로 해석되고 기독교 문헌에서 지옥을 가리키기도 한다. - 지옥 - 악마
악마는 여러 종교와 문화권에서 악한 초자연적 존재 또는 악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기독교의 사탄, 이슬람교의 이블리스와 같이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뿔, 날개, 꼬리 등의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사회적 현상의 원인으로 지목되거나 철학 및 문학 작품에서 다양한 문제를 다루는 데 사용된다. - 지옥 - 사탄
사탄은 원래 "적대자"를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였으나,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악마, 유혹자, 또는 인간 내면의 부정적인 면모를 상징하는 존재로 다양하게 해석되며 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악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 비교신화학 -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인류학자이자 신화학자로, 《황금 가지》를 통해 마법, 종교, 문화 진화론을 연구했으며 고대 그리스와 로마 문헌 번역 및 주석 작업에도 기여했다. - 비교신화학 - 세계축
세계축은 천상과 지상을 잇는 상징적인 축으로서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우주의 중심이나 세계의 근원으로 간주되며, 질서와 혼돈, 신성함과 세속됨, 인간과 초월적 존재 사이의 연결을 상징하고 심리적 안정, 사회적 질서 유지, 영적인 깨달음 추구 등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는 개념이다.
명계 |
---|
2. 세계의 저승
세계 각 문화권에는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한 다양한 믿음이 존재한다. 다음은 그 목록이다.
민족, 종교, 또는 지역 | 저승의 이름 |
---|---|
그리스 로마 신화 | 타르타로스 |
와가와가 신화 | 히요요아 |
슬라브 신화 | 나브, 비라지 |
오로모 신화 | 에케라 |
마야 신화 | 시발바 |
아즈텍 신화 | 믹틀란 |
튀르크-몽골 | 타마그 |
잉카 신화 | 우쿠 파차 |
이누이트 신화 | 아들리분 |
유대 신화 | 세올, 아바돈, 테홈 (카발라에서), 토페트, 초아 로타챗, 두다엘 |
조로아스터교 | 두자크 |
푸에블로 신화 | 시파프 |
호피 신화 | 마스키 |
위 표에 언급된 일부 지역 외에도 다양한 문화권에서 저승에 대한 관념을 가지고 있으며, 더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한국
지옥|地獄|Jiok한국어 [7]2. 2. 동아시아
중국 민간 신앙 / 도교에서는 밍지에(Míngjiè) 陰間|음간중국어, 황천(Huángquán) 黃泉|황천중국어, 띠위(Dìyù) 地獄|지옥중국어 등으로 불린다.[7] 신토에서는 요미 黄泉, 네노쿠니 根の国, 지옥 地獄 등으로 불린다.[7] 한국 신화에서는 지옥|地獄|Jiok한국어으로 불린다.[7]2. 3. 남아시아
인도 신화에서 나라카(야마로카)와 파탈라는 저승에 해당한다.[7]2. 4. 서아시아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저승은 이르칼라이다.[7]2. 5. 유럽
민족, 종교, 지역 | 저승의 이름 |
---|---|
그리스 종교 | 엘리시움, 아스포델 평원, 타르타로스 |
게르만 종교 | 헬, 나스트론드, 니플헬 |
켈트 신화 | 안운, 마그 멜, 두브노스 |
이집트 종교 | 아아루, 두아트, 네테르-케르테트, 아멘티 |
에스토니아 신화 | 토오넬라 |
핀란드 신화 | 투오넬라 |
조지아 신화 | 퀘스크넬리 |
헝가리 신화 | 알빌라그 |
히타이트 신화 | 당쿠쉬 다간지파쉬/당쿠쉬 테칸(Dankuš tekan) (어두운 땅) |
라트비아 신화 | 아이즈사울레 |
리투아니아 신화 | 아나필리스 산 |
로마 신화 | 오르쿠스, 인페리 디, 아베르누스 |
루마니아 신화 | 타르믈 셀랄트 |
알바니아 신화 | 페리 |
2. 6. 아메리카
아즈텍 신화에서 믹틀란은 명계의 최하층으로, 죽은 자들이 가는 곳이다.2. 7. 기타 지역
민족, 종교, 또는 지역 | 저승의 이름 |
---|---|
알바니아 신화 | 페리 |
아즈텍 신화 | 믹틀란 |
메소포타미아 종교 | 이르칼라 |
바두이 & 순다 신화 | 부아나 라랑 |
불교 | 나락 (또한 니라야) |
켈트 신화 | 안운, 마그 멜, 두브노스 |
중국 민간 신앙 / 도교 | 밍지에(음간), 황천(황천), 띠위(지옥) |
기독교 신화 | 지옥, 타르타로스, 연옥, 하데스 |
이집트 종교 | 아아루, 두아트, 네테르-케르테트, 아멘티 |
에스토니아 신화 | 토오넬라 |
피지 신화 | 부로투, 무리무리야[7] |
핀란드 신화 | 투오넬라 |
조지아 신화 | 퀘스크넬리 |
게르만 종교 | 헬, 나스트론드, 니플헬 |
그리스 종교 | 엘리시움, 아스포델 평원, 타르타로스 |
구안체 신화 | 에체이데, 구아요타 |
힌두교 | 파탈라, 나락 또는 야말로카 |
히타이트 신화 | 당쿠쉬 다간지파쉬/당쿠쉬 테칸 (어두운 땅) |
호피 신화 | 마스키 |
헝가리 신화 | 알빌라그 |
잉카 신화 | 우쿠 파차 |
이누이트 신화 | 아들리분 |
이슬람 신화 | 자하남, 시진 |
자이나교 | 나락, 아도 로카 (하계) |
신토 | 요미, 네노쿠니, 지옥 |
유대 신화 | 세올, 아바돈, 테홈 (카발라에서), 토페트, 초아 로타챗, 두다엘 |
한국 신화 | 지옥 |
라트비아 신화 | 아이즈사울레 |
리투아니아 신화 | 아나필리스 산 |
말레이 신화, 인도네시아 신화 | 알람 가이비 (보이지 않는 영역) |
만다교 | 어둠의 세계 |
마오리 신화 | 하와이키, 라로헨가, 랑기 투아레아, 테 토이-오-응아-랑가, 우랑가-오-테-라 |
마푸체 신화 | 펠루마위다, 데긴, 웬레우푸, 응구체마위 |
마야 신화 | 시발바 또는 메트날 |
멜라네시아 신화 (피지 포함) | 불루, 부로투, 무리무리야, 나바가타이, 투마 |
오로모 신화 | 에케라 |
조로아스터교 | 두자크 |
필리핀 신화 | 카사난 |
폴리네시아 신화 | 아바이키, 불루투, 이바, 루아-오-밀루, 응가-아투아, 풀루투, 랑기 투아레아, 테 토이-오-응아-랑가, 우랑가-오-테-라 |
푸에블로 신화 | 시파프 |
로마 신화 | 오르쿠스, 인페리 디, 아베르누스 |
루마니아 신화 | 타르믈 셀랄트 |
슬라브 신화 | 나브, 비라지 |
수메르 신화 | 쿠르, 후부르 |
튀르크-몽골 | 타마그 |
베트남 신화 | 음부, 지옥 |
와가와가(뉴기니) 신화 | 히요요아 |
다양한 종교 및 신화에서 저승은 죽음 이후의 세계로 여겨지며, 각 문화권마다 저승을 다스리거나 수호하는 신 또는 영적 존재들이 등장한다.
3. 저승의 신과 인물
호주 원주민 신화의 바이아미, 잉가나, 아카드 신화의 에레쉬키갈 등이 저승과 관련된 신으로 언급된다. 알바니아 신화에서는 E Bukura e Dheut, 투르크-몽골 신화에서는 에르리크, 아르메니아 신화에서는 스판다라메트가 저승과 관련되어 있다.
아즈텍 신화에서는 믹틀란테쿠틀리와 믹테카시우아틀이 저승을 다스리는 신으로 등장하며, 찰메카시우알트와 찰메카틀이 이들을 옹호한다. 바빌로니아 신화에서는 에라, 네르갈 등이 저승의 신으로 나타난다. 발리 신화에서는 바타라 칼라, 본교 신화에서는 gNyan, 가나안 신화에서는 모트가 저승과 관련되어 있다.
켈트 신화에서는 에드, 아로운 등이 저승의 신으로 등장하며, 중국 민간 신앙과 불교에서는 염라대왕이 저승을 다스리는 왕으로 나타난다. 기독교에서는 사탄, 루시퍼 등이 저승과 관련된 존재로 언급된다. 이집트 신화에서는 아누비스, 오시리스 등 다양한 신들이 저승과 관련되어 있다.
엘람 신화의 자브루, 에스토니아 신화의 바나파간, 에트루리아 신화의 카룬, 피지 신화에서는 데게이, 핀란드 신화에서는 칼마, 투오니 등이 저승의 신으로 나타난다.
그리스 신화의 하데스, 페르세포네, 게르만 종교의 헬, 하이더 신화의 타'쳇, 힌두교에서는 야마가 저승의 신으로 등장한다.
호피 신화의 마사우, 헝가리 신화의 외르되그, 잉카 신화의 수파이, 인도네시아 신화에서는 바타라 칼라, 이누이트 신화에서는 세드나가 저승과 관련되어 있다.
일본 신화에서는 이자나미노미코토, 유대교에서는 사탄, 크메르 신화에서는 프레아 에이사우르가 저승과 관련된 존재로 나타난다. 라트비아 신화의 벨리, 레반트 신화의 모트, 룬다 신화의 칼룬가 등도 저승과 관련되어 있다.
마오리 신화에서는 히나, 마야 신화에서는 아 푸치, 멜라네시아 신화에서는 데게이 등이 저승과 관련되어 있다.
나바호 신화의 에스차나틀레히, 니퀴란 신화의 믹탄테오트, 페르시아 신화에서는 앙그라 마이뉴, 필리핀 신화에서는 마그와옌/마구아옌, 페니키아 신화에서는 호론이 저승과 관련되어 있다.
폴리네시아 신화의 히나, 로마 신화의 오르쿠스, 플루토, 러시아 신화의 디야볼 등도 저승과 관련된 존재로 언급된다.
슬라브 신화의 크르노보그, 수메르 신화에서는 에레쉬키갈, 튀르크 신화의 에르리크, 요루바 신화의 에수, 주니 신화의 우헤포노 등도 저승과 관련된 신으로 나타난다.
3. 1. 한국
불교의 염라대왕과 중국 민간 신앙의 염라대왕, 흑백무상, 우두마면, 맹파, 종규 등이 한국의 명계와 관련된 신 또는 영적 존재로 언급될 수 있다.[1] 베트남 신화의 꽝 꿍, 십전염왕, 흑백무상, 두우짜우맛응아, 맹파도 참고할 수 있다.[1]
3. 2. 동아시아
冥界|명계중국어는 중국 민간 신앙에서 사람이 죽은 뒤에 가는 사후세계로 여겨진다.
중국 민간 신앙에서 명계는 여러 신들과 영혼들이 존재하는 곳이다. 명계의 주요 신들은 다음과 같다.
신/영 | 설명 |
---|---|
염라대왕 | 명계를 다스리는 왕 |
흑백무상 | 죽은 사람의 영혼을 명계로 인도하는 두 명의 신 |
우두마면 | 소의 머리와 말의 얼굴을 한 명계의 신 |
맹파 | 죽은 사람이 환생하기 전 마시는 망각의 수프를 만드는 신 |
종규 | 악귀를 쫓는 신 |
3. 3. 남아시아
불교와 중국 민간 신앙에서는 염라대왕이 명계와 관련된 신으로 등장한다. 중국 민간 신앙에서는 흑백무상, 우두마면, 맹파, 종규 등도 명계와 관련되어 있다.[1] 힌두교에서는 야마가 명계의 신으로 묘사된다.[1]
3. 4. 서아시아
아카드 신화에서는 알루, 아누, 아눈나키, 에레쉬키갈, 에템무, 갈루, 훔바바, 마미투, 네르갈, 우트나피쉬팀 등이 저승과 관련되어 있다. 바빌로니아 신화에서는 에라, 네르갈, 닌릴, 수르수나부, 우르샤나비, 우트나피쉬팀 등이 저승과 관련되어 있다.3. 5. 유럽
그리스 신화에서는 케르베로스, 카론, 하데스, 플루토, 케레스, 페르세포네, 타나토스, 에리스, 헤르메스, 헤라가 명계와 관련되어 있다.[1]게르만 종교에서는 가름르, 헬, 란, 니드호그가 명계와 관련되어 있다.[1]
로마 신화에서는 케르베로스, 데아 타키타, 디스 파테르, 에게스테스, 파메스, 인페리 디, 라렌타, 레툼, 리비티나, 모르스, 오르쿠스, 플루토, 프로세르피나, 비두스가 명계와 관련되어 있다.[1]
3. 6. 아메리카
아메리카 지역의 신화에 등장하는 저승 관련 신들은 다음과 같다.신화 | 관련 신 |
---|---|
아즈텍 신화 | 믹틀란테쿠틀리, 믹테카시우아틀 (옹호자: 찰메카시우알트, 찰메카틀) |
호피 신화 | 마사우 |
잉카 신화 | 수파이, 비차마 |
마야 신화 | 아 푸치 (영주: 훈-카메, 부쿠브-카메) |
멜라네시아 신화 | (피지 신화 포함) 데게이, 라투마이불루, 사무라요 |
내러갠셋 신화 | 체피 |
나바호 신화 | 에스차나틀레히 |
니퀴란 신화 | 믹탄테오트 |
푸에블로 신화 | 이야티쿠 |
유라크 신화 | 응아 |
주니 신화 | 우헤포노 |
참조
[1]
웹사이트
Underworld
http://www.thefreedi[...]
2010-07-01
[2]
서적
Contemporary Art and Classical Myth
2011
[3]
서적
Myths of the Underworld Journey: Plato, Aristophanes, and the 'Orphic' Gold Tablets
2004
[4]
서적
Underworlds: Philosophies of the Unconscious from Psychoanalysis to Metaphysics
2014
[5]
서적
The Descent to the Underworld in Literature, Painting, and Film, 1895–1950
2001
[6]
서적
The Descent to the Underworld in Literature, Painting, and Film, 1895–1950
2001
[7]
서적
Fiji and the Fijians
Heylin
1858
[8]
웹사이트
コトバンク-冥界
https://kotobank.jp/[...]
[9]
간행물
ポクナモシリ(あの世)
http://www.ainu-muse[...]
特急列車車内誌『THE JR Hokkaido』 2017年8月号 提供サイト:公益財団法人 アイヌ民族文化財団
[10]
서적
アイヌ文化で読み解く「ゴールデンカムイ」
集英社新書
2019
[11]
웹인용
Underworld
http://www.thefreedi[...]
2010-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