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울링 (소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울링은 스피커에서 출력된 소리가 마이크로 되돌아가면서 발생하는 발진 현상으로, 앰프, 마이크, 스피커로 이어지는 정궤환에 의해 발생한다. 이는 바르크하우젠 안정성 기준에 따라 특정 주파수에서 소리가 증폭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삐" 또는 "키잉"과 같은 소리로 들릴 수 있다. 하울링은 마이크와 스피커의 거리, 지향성, 주파수 응답을 조절하거나 이퀄라이저, 피드백 억제기 등의 기술적 대처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전기 기타 연주에서는 의도적으로 피드백을 사용하여 독특한 음향 효과를 만들기도 하며, 대중음악과 현대 클래식 음악에서도 널리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향 공학 - 오디오 엔지니어
오디오 엔지니어는 음향 녹음, 강화, 방송 장비 설치 및 작동을 담당하는 전문가로, 연구 개발을 통해 새로운 오디오 기술을 개발하고 건축, 전기, 음악, 심리 음향학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며 음반 제작의 각 단계를 담당한다. - 음향 공학 - 무대 모니터 시스템
무대 모니터 시스템은 라이브 환경에서 연주자가 자신의 연주를 명확히 듣도록 돕는 시스템으로, 웨지형 스피커나 인이어 모니터를 통해 소리를 전달하여 연주자의 정확한 연주와 밴드와의 조화를 가능하게 하며, 맞춤형 믹스, 모니터 믹서, 이퀄라이저, 앰프, 인이어 모니터, 베이스 셰이커 등의 장비가 사용되어 더욱 효과적인 모니터링 환경을 제공한다. - 음향 효과 - 메아리
메아리는 소리가 반사되어 다시 들리는 현상을 의미하며, 음향학적으로 음파가 단단한 표면에 부딪혀 발생하고, 자연 현상, 음파 탐지, 의료 영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음향 효과 - 이퀄라이저
이퀄라이저는 음향 기기나 소프트웨어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량을 조절하여 음색을 보정하거나 변화시키는 장치로, 통신 시스템 왜곡 보정에 사용되던 것이 음악 감상, 음향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파라메트릭, 그래픽, 디지털 등 다양한 종류와 쉘빙형, 피킹형 등의 주파수 대역 형태를 가진다.
하울링 (소리) | |
---|---|
개요 | |
이름 | 하울링 |
다른 이름 | 음향 피드백 라르센 효과 |
원리 | |
발생 원인 | 오디오 시스템 내에서 소리가 순환 경로를 형성하여 발생 |
순환 경로 | 마이크 - 앰프 - 스피커 - 마이크 |
발생 조건 | 마이크가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를 다시 받아들임 특정 주파수에서 시스템 이득이 1 이상이 됨 위상이 정합됨 |
현상 | |
소리 | 날카로운 소리 또는 울림 |
주파수 | 특정 주파수에서 반복적으로 증폭 |
영향 | |
음향 시스템 | 품질 저하, 장비 손상 가능성 |
청중 | 불쾌감, 청력 손상 위험 |
제어 및 방지 방법 | |
마이크 위치 조정 | 스피커에서 멀리 떨어뜨림 |
스피커 방향 조정 | 마이크를 향하지 않도록 함 |
음량 조절 | 적정 수준으로 유지 |
이퀄라이저 사용 | 피드백 주파수 감쇠 |
노이즈 게이트 사용 | 특정 레벨 이하의 신호 차단 |
피드백 서프레서 사용 | 자동으로 피드백 주파수 감지 및 제거 |
음향 환경 개선 | 흡음재 설치 |
마이크 종류 변경 | 지향성 마이크 사용 |
디지털 신호 처리 (DSP) | 피드백 제거 알고리즘 적용 |
활용 | |
음악 | 의도적으로 하울링을 사용하여 독특한 사운드 연출 |
전자 악기 | 기타 이펙터, 신디사이저 등 |
2. 역사와 이론
바르크하우젠 안정성 기준에 따르면, 충분히 높은 이득을 가진 피드백 루프에서 위상 지연이 360도의 정수 배수이고 해당 주파수에서의 이득이 1과 같을 때 안정적인 진동이 발생한다. 소신호 이득이 1보다 크면 해당 주파수에서 시스템이 진동하기 시작하는데, 이는 해당 주파수에서 잡음이 증폭되기 때문이다. 출력단에서 클리핑이 시작될 때까지 소리 레벨이 증가하여 루프 이득이 정확히 1이 된다. 이것은 전자 발진기의 원리와 같다.
C. Paul Boner 박사는 음향 피드백에 대한 초기 학문적 연구를 수행했다.[2][3] Boner는 음향 피드백, 실내 링 모드, 실내 음향 시스템 이퀄라이징 기술에 대한 기본 이론을 정립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피드백이 발생할 때 정확히 한 주파수에서 발생하며, 스피커의 신호 체인에서 해당 주파수에 매우 좁은 노치 필터를 삽입하여 피드백을 멈출 수 있다고 보았다.[4] 그는 White Instruments의 설립자인 Gifford White와 함께 특정 방의 특정 피드백 주파수를 위한 노치 필터를 수작업으로 제작했다.[5]
2. 1. 발생 원리
스피커에서 출력된 소리의 일부가 마이크로 되돌아가면서 생기는 발진 현상이다. 마이크, 앰프, 스피커, 음향, 마이크로 이어지는 경로를 따르는 정궤환(영어: positive feed-back영어)이 원인이다.[23] 바르크하우젠 안정성 기준에 따라 피드백 조건이 충족되면 안정적인 진동이 발생한다. 즉, 충분히 높은 이득을 가진 피드백 루프에서 위상 지연이 360 도의 정수 배수이고, 해당 주파수에서의 이득이 1과 같을 경우 진동이 발생한다.마이크로 얻은 음성 신호를 앰프로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할 때 발생한다. 스피커에서 출력이 충분히 클 경우, 마이크를 스피커에 가까이 하면 진폭이 큰 규칙적인 전기 신호가 얻어진다. 대부분의 경우 그 소리는 불쾌감을 동반하는 중~고주파의 "삐", "키잉"과 같은 소리이지만, 비교적 낮은 "부웅", "보오"와 같은 소리인 경우도 있다. 연속적인 과대 입출력이 일어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스피커가 손상되는 등, 기기에 손상을 줄 수도 있다.[23]
스피커에서 나온 마이크 입력 소리를 한 번 혹은 여러 차례에 걸쳐 마이크가 잡음으로써, 원음이 이중으로 들리거나 에코처럼 들리는 현상을 하울링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잘못된 것이다. 또한, 컴퓨터나 휴대 전화 등의 음성 통신에서, 스피커가 아닌 네트워크 등을 통해 음성이 피드백되어, 원음이 이중으로 들리거나 여러 번 들리는 현상도 마찬가지로 하울링이 아니다. 음성의 피드백에 의한 현상이라는 점에서는 같지만, 하울링이라는 용어는 어디까지나 비교적 짧은 주기의 피드백에 의해 규칙적인 공진이 일어나, 원음과는 전혀 다른 큰 진폭의 전기 신호가 발생하는 것, 혹은 그 소리를 가리킨다.
2. 2. 거리
피드백 전 이득을 최대화하기 위해, 마이크로폰으로 되돌아가는 음향 에너지의 양을 가능한 한 줄여야 한다. 자유 공간에서 소리의 압력은 거리에 따라 감소하고, 폐쇄된 공간에서는 잔향 거리로 알려진 거리까지 감소하므로, 마이크로폰을 스피커 시스템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뜨려 놓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마이크로폰은 스피커 앞에 위치해서는 안 되며, 마이크를 사용하는 사람은 마이크를 스피커 인클로저를 향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1]2. 3. 지향성
확성기와 마이크는 불균일한 지향성을 가져야 하며, 이상적으로는 상쇄되는 방향으로 서로의 최대 감도를 벗어나야 한다. PA 시스템 스피커는 종종 혼 시스템을 통해 중음 및 고음 영역에서 지향성(및 우수한 에너지 변환 효율)을 얻는다. 때로는 우퍼가 카디오이드 특성을 갖기도 한다.전문적인 설비에서는 메인 스피커를 밴드나 아티스트로부터 멀리 배치하고, 각 밴드 멤버를 향해 여러 개의 작은 스피커, 즉 모니터를 설치하여 피드백을 회피하는데, 이는 음향 강화 애플리케이션에서 흔히 사용되는 카디오이드 지향성 마이크를 활용하여 마이크가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설치한다. 이 구성은 피드백 기회를 줄이고 청중과 연주자를 위한 음압 레벨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1]
2. 4. 주파수 응답
음향 증폭 시스템의 고유 주파수 응답은 거의 항상 이상적으로 평탄하지 않다. 이는 루프 이득이 가장 높은 주파수에서 음향 피드백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며, 이는 모든 주파수에서 평균 이득보다 훨씬 높은 공진일 수 있다. 따라서 이 주파수에서 이득을 줄이기 위해 어떤 형태의 이퀄라이제이션을 적용하는 것이 유용하다.[1]피드백은 공연 전에 음향 시스템의 링잉 아웃을 통해 수동으로 줄일 수 있다. 음향 엔지니어는 피드백이 발생할 때까지 마이크의 레벨을 높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엔지니어는 이퀄라이저에서 해당 주파수를 감쇠시켜 해당 주파수에서 피드백을 방지하면서 다른 주파수에서 충분한 볼륨을 허용할 수 있다. 많은 전문 음향 엔지니어는 귀로 피드백 주파수를 식별할 수 있지만, 다른 엔지니어는 실시간 분석기를 사용하여 링잉 주파수를 식별한다.[1]
자동 피드백 억제기를 사용하여 피드백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중 일부는 주파수를 약간 이동시켜 작동하며, 이러한 상향 이동은 해결되지 않은 피드백의 울부짖는 소리 대신 ''짹짹'' 소리를 낸다. 다른 장치는 날카로운 노치 필터를 사용하여 문제의 주파수를 필터링한다. 적응형 알고리즘은 이러한 노치 필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1]
3. 대처 방법
하울링은 공진 현상이므로, 이 조건을 깨뜨리면 해소된다. 이퀄라이저, 리미터, 딜레이 등의 장비를 사용하거나, 마이크와 스피커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정하여 하울링을 방지할 수 있다.
3. 1. 일반적인 대처
이벤트 회장 등에서는 일반적으로 PA의 이퀄라이징으로 하울링을 방지하지만, 노래방이나 사용 장비에 그러한 기능이 없는 환경에서는 음량 과다, 마이크와 스피커의 위치 관계에 주의하는 것만으로 하울링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하울링은 공진 현상이므로 조건이 맞지 않으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맞춰진 조건을 깨면 해소된다. 또한 공진 부분만 억제·제거하는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도 있다. 해소를 시도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믹서 또는 앰프의 출력을 낮춘다.
- 마이크와 스피커의 거리를 멀리한다.
- 마이크와 스피커의 상대 각도를 바꾼다.
- 이퀄라이저로 발진하는 주파수를 감쇠시킨다.[24]
- 리미터를 사용하여 하울링이 일어나지 않는 음량을 유지한다. 리미터는 기타 과대 입력에 의한 스피커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 딜레이를 사용하여 2~3 밀리초 정도 출력을 늦춘다. 이것은 마이크와 스피커의 거리를 가상으로 멀리하는 효과가 있다.
- 하울링 제거 기능이 있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사용한다.[23] (하울링의 감지와 위의 기능을 자동적으로 수행한다).
보컬이나 스피치에서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폰#기타 취급에 관한 주의 사항에 있는 것처럼 윈드 스크린의 후부까지 막아 버리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3. 2. 기술적인 대처
하울링을 해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4. 의도적인 사용
음향 피드백은 때때로 음악적인 효과를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전기 기타 연주자들은 기타 앰프의 높은 게인(증폭)을 이용하거나 기타를 스피커에 가까이 가져가는 방식으로 피드백을 활용한다. 디스토션 이펙터를 사용하면 더 쉽게 피드백을 만들 수 있다.[1]
비틀즈의 "I Feel Fine", "It's All Too Much", 지미 헨드릭스의 "Foxy Lady", "Crosstown Traffic", 데이비드 보위의 "Little Wonder", 더 스트로크스의 "New York City Cops", 벤 폴즈 파이브의 "Fair" 등에서 피드백이 사용되었다.[1]
일렉트릭 기타나 일렉트릭 베이스에서 앰프의 출력(연주음)이 바디나 현과 공진하여 픽업에서 감지되면 정궤환이 일어나는데, 이를 이용하여 의도적으로 하울링을 일으키는 피드백 주법이 있다.
4. 1. 대중음악에서의 활용
블루스와 로큰롤 기타리스트들이 음향 피드백을 의도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윌리 존슨, 조니 왓슨, 링크 레이 등이 대표적이다.[6] AllMusic의 리치 언터버거에 따르면, 상업적인 록 음반에서 피드백을 처음 사용한 것은 1964년에 녹음된 비틀즈의 "I Feel Fine" 도입부였다.[6] 제이 호지슨은 존 레논이 세미 어쿠스틱 기타를 앰프에 기대어 만들어낸 이 피드백이 피드백 왜곡을 선보인 최초의 차트 1위 곡이라고 동의한다.[1]더 후의 1965년 히트곡 "Anyway, Anyhow, Anywhere"와 "My Generation"에서 피트 타운센드는 피드백을 조작하여 전자의 곡에서는 확장된 솔로를, 후자의 곡에서는 앰프 앞에서 기타를 흔들어 끓어오르는 소리를 만들었다. 캔드 히트의 "Fried Hockey Boogie" 역시 헨리 베스틴이 솔로 연주에서 기타 피드백을 사용하여 고도로 증폭된 왜곡된 부기 스타일의 피드백을 만들어냈다. 1963년, 십대 브라이언 메이와 그의 아버지는 피드백을 내도록 의도적으로 설계된 그의 시그니처 기타 레드 스페셜을 맞춤 제작했다.[7][8]
1965년 이후 피드백은 더 몽크스,[9] 제퍼슨 에어플레인, 벨벳 언더그라운드, 그레이트풀 데드에 의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제프 벡, 피트 타운센드, 데이브 데이비스, 스티브 메리엇, 지미 헨드릭스와 같은 일렉트릭 기타 연주자들은 기타를 앰프의 스피커에 가까이 대어 피드백을 의도적으로 유발하면서 록 음악의 두드러진 특징이 되었다. 헨드릭스의 몬터레이 팝 페스티벌에서 "Can You See Me?" 공연에서 피드백의 한 예시를 들을 수 있는데, 전체 기타 솔로는 앰프 피드백을 사용하여 만들어졌다.[10] 재즈 기타리스트 가보르 자보는 자신의 음악에 통제된 피드백을 사용한 초기 재즈 뮤지션 중 한 명으로, 그의 라이브 앨범 ''The Sorcerer'' (1967)에서 두드러진다.[11] 루 리드는 그의 앨범 ''Metal Machine Music'' (1975)을 다양한 속도로 연주된 피드백 루프만으로 만들었다.
오디오 피드백은 1980년대 많은 언더그라운드 록 밴드의 특징이 되었다. 미국의 노이즈 록 밴드 소닉 유스(Sonic Youth)는 록 피드백 전통을 작곡 및 고전적 접근 방식과 융합했으며, 기타리스트 겸 프로듀서 스티브 알비니(Steve Albini)의 그룹 빅 블랙(Big Black) 또한 노래 구성에 제어된 피드백을 사용했다. 1990년대의 얼터너티브 록 운동과 함께, 피드백은 너바나(Nirvana), 레드 핫 칠리 페퍼스(Red Hot Chili Peppers),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Rage Against the Machine) 및 스매싱 펌킨스(the Smashing Pumpkins)와 같이 갑자기 주류가 된 밴드들에 의해 대중적인 사용이 다시 급증했다. 믹싱 콘솔을 자체적으로 다시 공급하여 소리를 생성하는 "노 인풋 믹서" 방식은 나카무라 토시마루(Toshimaru Nakamura)와 같은 실험 전자 음악 및 노이즈 음악 실무자들에 의해 채택되었다.
4. 2. 현대 클래식 음악에서의 활용
폐쇄 회로 피드백은 초기 실험적인 전자 음악 작곡에서 두드러진 특징이었지만, 의도적인 음향 피드백을 음향 재료로 사용하는 것은 존 케이지의 데이비드 튜더가 연주한 ''Variations II''(1961)와 로버트 애슐리의 ''The Wolfman''(1964)과 같은 작품을 통해 더욱 두각을 나타냈다. 스티브 라이히는 앰프 앞에 일련의 마이크를 앞뒤로 흔들어 그의 작품 ''진자 음악''(1968)에서 오디오 피드백을 광범위하게 사용한다.[12] 휴 데이비스[12]와 알빈 루시에[12] 모두 그들의 작품에서 피드백을 사용한다. 롤랜드 카인은 "사이버네틱 음악"이라고 칭한 자신의 작곡 작품 대부분을 피드백을 통합한 오디오 시스템을 기반으로 했다.[13][14] 더 최근의 예로는 라라 스타닉,[12] 폴 크라넨,[12] 앤 웰머,[12] 아담 바산타,[15] 레슬리 플래니건,[16] 로널드 보어센[17] 및 에르판 압디[18]의 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다.4. 3. 피치 피드백
기타와 앰프 사이의 각도를 변경하여 피드백만으로 멜로디를 만들 수 있다. 예시로는 툴의 "잠비", 로버트 프립이 데이비드 보위의 "히어로즈" (앨범 버전)에서 한 기타 연주, 그리고 지미 헨드릭스의 "태양으로부터의 세 번째 돌"과 몬터레이 팝 페스티벌에서의 "와일드 씽" 라이브 공연 등이 있다.[1]토니 비스콘티는 "히어로즈"에서 프립의 작업에 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Fripp stood in the right place with his volume up at the right point and getting feedback... Fripp had a technique in those days where he measured the distance between the guitar and the speaker where each note would feed back. For instance, an 'A' would feed back maybe at a distance of four feet from the speaker, whereas a 'G' would feed back maybe three and a half feet from it. He had a strip that they would place on the floor, and when he was playing the note 'F' sharp he would stand on the 'F' sharp strip on the floor and 'F' sharp would feed back better. He really worked this out to a fine science, and we were playing this at a terrific level in the studio, too.|프립은 볼륨을 적절하게 올리고 피드백을 얻을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섰다. 프립은 당시 각 음이 피드백되는 기타와 스피커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A'는 스피커에서 약 약 1.22m 정도에서 피드백되는 반면 'G'는 약 약 1.07m 정도에서 피드백되었다. 그는 바닥에 놓을 스트립을 가지고 있었고, 'F' 샤프 음을 연주할 때는 스트립의 'F' 샤프 지점에 서서 'F' 샤프가 더 잘 피드백되도록 했다. 그는 이것을 매우 정교한 과학으로 연구했고, 우리는 스튜디오에서도 엄청난 수준으로 연주했다.영어[19][1]
5. 그 외의 하울링
레코드 재생 시, 재생음의 진동이 스피커에서 바닥이나 책상 등을 거쳐 레코드 플레이어로 전달되어 카트리지에까지 그 진동이 미칠 경우, 마이크와 마찬가지로 정궤환이 발생할 수 있다.[23]
일렉트릭 기타나 일렉트릭 베이스에서 앰프의 출력(연주음)이 바디나 현과 공진하여 픽업에서 감지되면 정궤환이 일어난다. 이를 이용하여 의도적으로 하울링을 일으키는 피드백 주법이 있다. 이 피드백으로 얻어지는 소리의 주파수(음정)가 너무 높아지면 듣기 거슬리는 소리가 나므로, 하울링이라고 부르며 구별한다. 현이 진동하지 않더라도 픽업 내의 코일이 진동하면 하울링이 일어나기 쉽다. 이 대책으로 코일을 왁스에 담가 굳히는 방법이 있다. 고가의 픽업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음색도 변하기 때문에 일부러 왁스 처리를 하지 않은 상품도 있다.[23]
건축 음향에서 스피커 등의 발성과 방의 고유 진동수가 공진하는 것을 하울링 또는 "소리가 돈다"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23]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 생방송에서 스튜디오에서 시청자(청취자)에게 전화를 거는 경우를 예로 든다. 시청자가 그 방송의 음성을 들을 수 있는 상황일 때, 수화기가 그 음성을 잡아 스튜디오로 되돌리면 정궤환이 발생하거나, 에코가 걸린 것처럼 들리거나, 혹은 SF 효과음과 같은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럴 때 종종 사회자가 "텔레비전(라디오) 앞에서 떨어져 주세요", "음량을 낮춰 주세요"라고 지시하는 것은 정궤환의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서이다(역전 참조).[23]
참조
[1]
서적
Understanding Records
2010
[2]
웹사이트
C. Paul Boner, PhD.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Charles Paul Boner
http://www.utexas.ed[...]
[4]
논문
Behavior of Sound System Response Immediately Below Feedback
1966
[5]
웹사이트
Operator Adjustable Equalizers: An Overview
https://web.archive.[...]
Rane Corporation
1990
[6]
웹사이트
'I Feel Fine' song review
http://www.allmusic.[...]
[7]
뉴스
Hey, what's that sound: Homemade guitar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1-08-17
[8]
Youtube
Brian May Interview
https://www.youtube.[...]
The Music Biz
1992
[9]
서적
Black Monk Time: A Book About the Monks
Carson Street Publishing
1995
[10]
웹사이트
can you see me by jimi hendrix
https://web.archive.[...]
YouTube
2014-06-12
[11]
웹사이트
GABOR SZABO'S EQUIPMENT (GUITARS)
http://www.dougpayne[...]
Doug Payne
2020-01-21
[12]
서적
Between Air and Electricity - Microphones and Loudspeakers as Musical Instruments
Bloomsbury Academic
2017
[13]
웹인용
Cybernetic Music
https://kayn.nl/
2024-04-28
[14]
간행물
The Time of Roland Kayn's Cybernetic Music
http://www.thomaspat[...]
2024-04-28
[15]
웹사이트
Small Movements by Adam Basanta
http://microphonesan[...]
2017-12-22
[16]
웹사이트
Speaker Feedback Instruments by Lesley Flanigan
http://microphonesan[...]
2017-12-22
[17]
웹사이트
Sound in a Jar by Ronald Boersen
http://microphonesan[...]
2017-12-22
[18]
웹사이트
Points of Contact by Erfan Abdi
http://microphonesan[...]
2017-12-22
[19]
뉴스
Classic Tracks: 'Heroes'
http://www.soundonso[...]
Sound On Sound
2004-10
[20]
웹사이트
The Wire 300: Keith Moliné on the rise of Noise - the Wire
https://www.thewire.[...]
[21]
웹인용
Boss DF-2 SUPER Feedbacker & Distortion
https://bossarea.com[...]
2021-10-13
[22]
웹사이트
The halldorophone: The ongoing innovation of a cello-like drone instrument
http://www.nime.org/[...]
[23]
웹사이트
하울링의 원인과 억제│Tips│유용한 정보│야마하 사운드 시스템 주식회사
https://www.yamaha-s[...]
ヤマハサウンドシステム株式会社
2023-01-24
[24]
웹사이트
"하울링"의 발생 원인과 억제 방법 {{!}} 사운드 시스템 설계 {{!}} TOA 주식회사
https://www.toa.co.j[...]
TOA株式会社
2023-01-24
[25]
백과사전
Absalon Larsen
http://www.denstored[...]
[26]
서적
무대음향 1
교보문고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