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응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응선은 1883년 김옥균, 윤웅렬 등의 주선으로 일본 유학을 떠나 도야마 육군학교에서 신식 군사 교육을 받았다. 1884년 조련국 부장에 임명되었으나 청나라 교관 초빙으로 파직되었고, 그해 갑신정변에 참여하여 병조의 군사 일부를 지휘하며 왕을 호종하다가 청나라 군에게 살해되었다. 사후 복권 및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급진개화파 - 메이지 유신
메이지 유신은 1868년부터 1880년대 후반 일본에서 일어난 정치, 경제, 사회의 급격한 개혁으로, 도쿠가와 막부 붕괴 후 천황 중심의 근대 국가를 건설하고 폐번치현, 징병제, 학제 개혁, 서구 문물 수용 등을 통해 근대화와 부국강병을 이끌었으나 사회적 혼란과 불평등을 야기하여 다양한 평가가 존재하는 시기이다. - 급진개화파 - 권동진
권동진은 조선 말기 개화파 관료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을미사변 가담 후 천도교에 입교, 3·1 운동 민족대표, 신간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광복 후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반탁운동을 전개했다. - 갑신정변 - 김홍집
김홍집은 조선 말기 온건 개화파 정치가로서 일본에 수신사로 다녀온 후 개화사상을 수용하고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을 주도했으나, 친일 정책과 단발령으로 민심을 잃고 아관파천 때 살해당하며 조선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일본 간섭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갑신정변 - 유길준
유길준은 조선 후기 개화 사상가이자 정치가, 언론인으로, 서구 문물을 접한 후 갑신정변 연루, 갑오개혁 참여, 아관파천 이후 망명, 애국계몽운동 전개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으나, 근대화에 기여했음에도 친일 행적에 대한 비판도 있는 인물이다. - 1884년 사망 - 그레고어 멘델
오스트리아 제국의 수도사이자 생물학자인 그레고어 멘델은 완두콩 교배 실험을 통해 유전 현상을 연구하여 멘델의 유전 법칙을 발견했으며, 그의 연구는 20세기 초 재발견되어 현대 유전학의 기초가 되었다. - 1884년 사망 - 베드르지흐 스메타나
베드르지흐 스메타나는 체코의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로, 민족 의식을 고취하는 작품 활동과 《팔려간 신부》, 《나의 조국》 등의 작품을 통해 체코 국민 음악의 기초를 확립하고 국제적으로도 널리 알려졌다.
| 하응선 |
|---|
2. 생애
하응선은 1883년(고종 20년) 김옥균, 윤웅렬 등 개화파 인사들의 주선으로 일본 유학생에 선발되어 일본 도쿄로 갔다. 그해 조선 개화파의 부탁으로 신문 간행을 위해 초빙되었던 일본인 우시바(牛場皁藏) 등이 일본으로 돌아갈 때 조선인 유학생 17명을 동반하였는데, 이때 하응선도 그중 한 명이었다. 1884년 1월 서재필, 이규완, 신응희, 임은명(林殷明), 신중모(申重模), 윤영관(尹泳寬), 정행징(鄭行徵) 등 13명과 함께 도야마 육군 학교(戶山陸軍學校)에 입교하여 신식 군사 교육을 받았다. 같은 해 7월 도야마 육군하사관학교의 7개월 단기 과정을 마치고 서재필, 서재창 등 수료생들과 함께 귀국하였다.
1884년 12월 조련국 부사관장으로 갑신정변에 참여하여 병조의 군사 일부를 인솔, 지휘하고 사관생도 출신들과 함께 왕을 수행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러나 청나라 군의 개입으로 갑신정변이 3일 만에 실패하면서, 민씨 척족과 청나라군의 공격을 받았다. 그는 왕을 호종하던 홍영식, 박영교, 사관생도 7명과 함께 살해되었다.
1895년 3월 1일 법무대신 서광범의 건의로 복권되었다가 김홍집 내각의 실각으로 추탈되었다. 1910년(융희 4년) 조선 건국 이후 각종 정변과 개혁 시 참화를 당한 인물들을 신원, 사면복권시키고 관직을 추증하자, 그해 7월 18일 순종의 특명으로 서재창, 윤영관(尹泳觀), 백낙운(白樂雲) 등과 함께 증 통정대부 규장각부제학에 추증되었다.
2. 1. 일본 유학
1883년(고종 20년) 김옥균, 윤웅렬 등 개화파 인사들의 주선으로 일본 유학생에 선발되어 일본 도쿄로 갔다. 그해 조선 개화파의 부탁으로 신문 간행을 위해 초빙되었던 일본인 우시바(牛場皁藏) 등이 일본으로 돌아갈 때 조선인 유학생 17명을 동반하였는데, 하응선은 이때 유학생의 한 사람이었다. 1884년 1월 서재필, 이규완, 신응희, 임은명(林殷明), 신중모(申重模), 윤영관(尹泳寬), 정행징(鄭行徵) 등 13명과 함께 도야마육군학교(戶山陸軍學校)에 입교하여 신식 군사 교육을 받았다.그해 7월 토야마 육군하사관학교의 7개월 단기 과정을 마치고 서재필, 서재창 등 수료생들과 함께 귀국하였다.
2. 2. 갑신정변 참여와 최후
1884년 12월 조련국 부사관장으로 갑신정변에 참여하여 병조의 군사 일부를 인솔, 지휘하고 사관생도 출신들과 함께 왕을 수행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러나 청나라 군의 개입으로 갑신정변이 3일만에 실패하면서, 민씨 척족과 청나라군의 공격을 받았다. 그는 왕을 호종하던 홍영식, 박영교, 사관생도 7명과 함께 살해되었다.2. 3. 사후
1895년 3월 1일 법무대신 서광범의 건의로 복권되었다가 김홍집 내각의 실각으로 추탈되었다. 1910년(융희 4년) 조선 건국 이후 각종 정변과 개혁 시 참화를 당한 인물들을 신원, 사면복권시키고 관직을 추증하자, 그해 7월 18일 순종의 특명으로 서재창, 윤영관(尹泳觀), 백낙운(白樂雲) 등과 함께 증 통정대부 규장각부제학에 추증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