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이브리드 자전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브리드 자전거는 로드스터 자전거와 산악 자전거의 장점을 결합하여 개발된 자전거의 한 종류이다. 20세기 초부터 유틸리티 로드스터가 성인용 자전거의 주류였으나, 1970년대 레크리에이션 사이클링 붐과 산악 자전거의 등장으로 하이브리드 자전거가 개발되었다. 하이브리드 자전거는 트레킹 바이크, 크로스 바이크, 커뮤터 바이크, 시티 바이크, 컴포트 바이크 등으로 세분화되며, 각 종류별로 자전거 여행, 포장 및 비포장 도로 주행, 통근, 도시 주행, 편안한 승차감 등 특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이클 종류 - 삼륜차
    삼륜차는 세 개의 바퀴를 가진 차를 통칭하며, 삼륜 마차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동력 장치 개발과 함께 발전해 왔고, 오늘날에는 어린이용과 성인용으로 나뉘어 여러 용도로 활용되며 다양한 형태로 분류된다.
  • 사이클 종류 - 고정 기어 자전거
    고정 기어 자전거는 페달과 뒷바퀴가 고정되어 페달을 밟아야 움직이고 멈추면 바퀴도 멈추며, 변속기가 없어 가볍고 묘기가 가능하지만, 브레이크 없는 주행은 불법이다.
하이브리드 자전거
개요
유형다목적 자전거
다른 이름크로스 바이크 (cross bike)
피트니스 바이크 (fitness bike)
특징
설명산악 자전거와 로드 자전거의 특성을 결합
편안한 승차 자세와 효율적인 페달링 제공
다양한 지형에서 주행 가능
핸들바플랫 바 (flat bar) 또는 라이즈 바 (rise bar)
타이어중간 굵기의 타이어 (폭 28-42mm)
프레임가볍고 내구성이 좋은 소재 (알루미늄, 카본)
기어다양한 기어비를 제공하여 다양한 경사도에 적응 가능
브레이크디스크 브레이크 또는 V-브레이크
추가 장착랙 (rack)
펜더 (fender)
라이트 (light)
활용
용도통근
레저
피트니스
투어링
장점다양한 지형에서 안정적인 주행
편안한 승차감
다양한 액세서리 장착 가능
단점로드 자전거에 비해 속도가 느림
산악 자전거에 비해 험한 지형 주행에 부적합
참고 사항
관련 용어하이브리드 자전거 (hybrid bicycle)
시티 바이크 (city bike)
투어링 자전거 (touring bicycle)

2. 역사

20세기 초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까지, 유틸리티 로드스터는 영국과 대영 제국 대부분 지역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성인용 자전거를 구성했다. 영국에서는 1970년대 초 레크리에이션 사이클링 붐으로 인해 제조업체들이 경량의 23lbs에서 30lbs의 저렴한 변속기 스포츠 자전거, 실제로 당시 레이싱 자전거를 약간 개조한 버전에 집중하면서 로드스터의 인기가 눈에 띄게 감소했다.[9] 1980년대에 영국의 자전거 이용자들은 도로 전용 자전거에서 산악 자전거와 같은 모든 지형 모델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산악 자전거의 튼튼한 프레임과 적재 능력은 유틸리티 자전거로서의 추가적인 다재다능함을 제공하여 이전에 로드스터가 수행했던 역할을 빼앗았다. 1990년까지 로드스터는 거의 사라졌고, 영국의 연간 자전거 판매는 280만 대라는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지만, 거의 모두가 산악 및 로드/스포츠 모델이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에서는 다른 상황이 발생하고 있었는데, 로드스터는 중국, 인도, 태국, 베트남 및 북서 유럽 일부 지역과 같은 국가에서 여전히 널리 제작되고 사용되고 있다.

크로스바이크는 1980년대 중반, 산악 자전거의 감각을 유지하면서 포장 도로에서의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등장했으며, CAT로 명명되었다. 등장 초기 몇 년 동안은 '''크로스오버 바이크'''라고도 불렸으며, 이 명칭에서 당시 크로스바이크의 정의를 엿볼 수 있다.[9]

당시에는 크로스바이크 라인업이 각 회사별로 적었지만, 1990년대에 산악 자전거(MTB)가 쇠퇴하고 불황이 닥치면서, 1990년대 중반부터 각 자전거 판매 회사들이 크로스바이크 판매에 주력하게 되었고, 2000년대 중반 이후 각 회사에서 많은 제품이 출시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

3. 종류

20세기 초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까지, 유틸리티 로드스터는 영국과 대영 제국 대부분 지역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성인용 자전거였다. 1980년대에 영국의 자전거 이용자들은 도로 전용 자전거에서 산악 자전거와 같은 모든 지형 모델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산악 자전거의 튼튼한 프레임과 적재 능력은 유틸리티 자전거로서의 추가적인 다재다능함을 제공하여 로드스터의 역할을 대체했다. 1990년까지 로드스터는 거의 사라졌지만,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에서는 로드스터가 여전히 널리 제작되고 사용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전거는 사용 용도에 따라 트레킹 바이크, 크로스 바이크, 커뮤터 바이크, 시티 바이크, 컴포트 바이크 등으로 나뉜다.

3. 1. 트레킹 바이크

경량 트레킹 자전거


트레킹 자전거는 자전거 여행에 필요한 흙받이, 패니어 랙, 조명 등을 모두 갖춘 하이브리드 자전거이다.[3][4]

3. 2. 크로스 바이크

크로스 바이크는 자전거 프레임을 사용하며, 레이싱 또는 스포츠/투어링 자전거와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레이싱 또는 스포츠/투어링 자전거보다 더 직립된 라이딩 자세를 제공하기 위해 거의 평평한 핸들바를 장착한다.[2] 일반적인 레크리에이션 및 유틸리티 용도로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자전거로, 사이클로크로스 경기에 참가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레이싱 자전거인 사이클로크로스 자전거와는 다르다. 크로스 바이크는 대부분의 레이싱 또는 스포츠/투어링 모델에 장착된 것보다 약간 더 넓은 반 트레드 타이어(약 2.86cm~약 3.17cm)를 사용하는 700c (ISO 622) 자전거 바퀴를 장착한다.[1]

타이어 폭과 트레드를 늘린 것은 크로스 바이크가 자갈, 낙엽, 단단하게 다져진 모래, 얕은 진흙 등 포장 또는 비포장 자전거 도로에서 마주칠 수 있는 거친 또는 지저분한 표면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대부분의 크로스 바이크는 적당한 비포장 도로 사용과 경량에 맞춰져 있으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펜더, 조명 또는 짐받이 랙이 장착되지 않는다. 더 큰 700c 바퀴는 포장된 표면에서 약간 더 빠르며 장거리 여행이나 투어링 목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2]

하이브리드 자전거는 전경 자세가 얕은 설계의 프레임에 플랫 바 핸들을 채용하고, 타이어 두께는 25~38mm 정도로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펑크 방지 성능을 확보한 (단, 자갈길이나 비포장 도로는 로드 레이서와 마찬가지로 취약함) 약간 두꺼운 타이어를 장착한 모델이 많다. 또한, 앞 포크에 서스펜션 기구가 조합된 것도 있다. 좁은 의미로는, MTB의 구동계 (브레이크, 변속기, 크랭크, 스프라켓 등)에 26인치 또는 700C 사이즈의 로드용 타이어를 조합하여, 보다 정지 주행에 적합하게 만든 차종이었지만, 최근에는 더욱 로드 모델에 가까워지고 있다. 국제 룰에 따른 경기가 없기 때문에 명확한 차량 규정은 없다 (제조사, 모델의 콘셉트에 따라 다름).

"크로스바이크(X-Bike, Cross Bike)"라는 명칭이 의미하는 범위는 일본어와 영어로 다르며, 서양 및 영어권에서는 "오프로드차인 MTB와 온로드차인 로드바이크를 융합한 혼성 자전거"라는 의미의 "하이브리드 바이크" (Hybrid bicycle)라는 명칭이 일본어에서의 "크로스바이크"가 의미하는 범위와 가깝다.

원래는 오프로드용 산악 자전거의 프레임과 부품을 기반으로, 길 밖의 블록 타이어에서 길 위의 슬릭 타이어로 변경한 것을 가리켰다. 오래된 돌길이 남아있는 유럽 등 포장이 좋지 않은 길이 많은 국가에서는 MTB처럼 앞 서스펜션을 가진 타입이 많지만, 포장이 깨끗한 일본의 경우, 서스펜션이 없는 노상 주행 위주의 크로스바이크가 다수이며, 일본 외에서는 서스펜션이 있는 모델이 일본 전용으로 서스펜션 없이 출시되는 경우가 있다 (예: CENTURION CROSS LINE 50R). 로드바이크 프레임 기반 차량과 산악 자전거 프레임 기반 차량이 있으며 부품도 둘 다 사용되고 있다.

명확한 정의가 없는 탓에, "크로스바이크"에는 '''트레킹 바이크''', '''피트니스 바이크''', '''스피드 바이크''', '''어반 바이크''', '''컴포트 크로스''' 등, 제조사에 따라 다양한 명칭이 있다. 또한 품질도 저렴한 시티 사이클 기반에서 로드바이크나 산악 자전거를 기반으로 한 것까지, 폭넓은 모델이 있다.

사용 용도는 폭넓으며, 통근·통학에서 쇼핑과 같은 일상적인 사용에서, 포타링·팬 라이드 지향의 사이클리스트 등에게 인기가 있는 카테고리이다. 또한, 와이드 비율의 부품을 탑재한 차종은, 힘이 없는 사람이라도 가벼운 기어비를 사용하여 고갯길 등의 포장된 언덕길을 주행할 수 있다. 이 점은 고갯길 등의 산간부를 달리는 것을 불가피하게 되는 일본의 지형에서는 강점이 되며, 하루에 고갯길을 포함한 100~200km를 달리는 롱 라이드에 크로스바이크를 사용하는 사람도 있다.

크로스바이크와 유사한 차종으로, 로드바이크의 드롭 핸들을 플랫 바 핸들로 변경한 플랫 바 로드라고 불리는 카테고리도 있으며, 크로스바이크의 일종으로 간주되는 경우도 있다.

크로스바이크는 1980년대 중반, 산악 자전거의 감각을 유지하면서 포장 도로에서의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등장했으며, CAT로 명명되었다. 등장 초기 몇 년 동안은 '''크로스오버 바이크'''라고도 불렸으며, 이 명칭에서 당시 크로스바이크의 정의를 엿볼 수 있다.[9]

당시에는 크로스바이크 라인업이 각 회사별로 적었지만, 1990년대에 산악 자전거(MTB)가 쇠퇴하고 불황이 닥치면서, 1990년대 중반부터 각 자전거 판매 회사들이 크로스바이크 판매에 주력하게 되었고, 2000년대 중반 이후 각 회사에서 많은 제품이 출시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

3. 3. 커뮤터 바이크 (Commuter Bike)

커뮤터 바이크는 짧거나 긴 거리를 통근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하이브리드 자전거이다. 일반적으로 변속 기어, 비교적 가벼운 29mm 타이어가 장착된 700c 휠, 짐받이, 풀 펜더, 그리고 다양한 짐받이 바구니나 패니어 부착에 적합한 마운팅 포인트를 갖춘 프레임을 특징으로 한다. 때로는 체인에 바지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인 가드를 덮기도 한다. 잘 갖춰진 커뮤터 바이크는 일반적으로 출근이나 퇴근 시 이른 아침이나 늦은 저녁 시간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전면 및 후면 라이트를 갖추고 있다.[2]

3. 4. 시티 바이크 (City Bike)

2005년 자이언트 Innova는 전형적인 700c 하이브리드 시티 자전거의 예시이다.


통근형 자전거와 유사하게, 시티 바이크는 도시 통근에 더 최적화되어 있다.[2] 유럽형 시티 바이크와 달리, 산악 자전거의 유산, 기어, 강력하면서도 가벼운 프레임 구조를 가지고 있다.[2][5][6][7] 보통 26인치 (ISO 559) 크기의 바퀴, 더 직립적인 좌석 위치, 깨진 유리와 같이 도시에서 흔히 발견되는 도로 위험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중량급" 약 3.81cm에서 약 4.95cm 두께의 벨티드 타이어를 특징으로 한다.[2][8] 산악 자전거에서 파생된 견고한 용접된 크로몰리 또는 알루미늄 프레임을 사용하여, 시티 바이크는 깊은 포트홀, 배수구 덮개, 도시 연석에서 뛰어넘는 것과 같은 도시의 위험을 처리하는 데 더 능숙하다.[2][8] 시티 바이크는 합리적으로 빠르면서도 견고하고 예측 가능한 핸들링을 갖도록 설계되었으며, 모든 기상 조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전체 펜더가 장착되어 있다.[2] 일부 시티 바이크는 산악 자전거와 유사하게 체인 가드나 서스펜션 포크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야간이나 악천후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전면 및 후면 조명 시스템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2]

3. 5. 컴포트 바이크 (Comfort Bike)

컴포트 바이크(Comfort Bike)는 하이브리드 자전거의 하위 분류로, 구형 ''로드스터''와 ''스포츠 로드스터'' 자전거의 현대적인 버전이다.[2] 현대적인 컴포트 자전거는 종종 변속기 대신 내부 기어 허브를 갖추고 있다. 일반적으로 키가 큰 헤드 튜브가 있는 개조된 산악 자전거 프레임을 사용하여 직립 라이딩 자세를 제공하며, 26인치(ISO 559) 또는 28인치(ISO 622) 휠과 약 4.45cm 또는 약 4.95cm "미들급" 부드럽거나 세미 슬릭 타이어를 사용한다. 컴포트 자전거는 일반적으로 전면 서스펜션 자전거 포크, 넓고 푹신한 안장이 있는 시트 포스트 서스펜션, 그리고 직립 자세로 라이딩하는 동안 쉽게 손이 닿도록 설계된 드롭 센터, 각진 노스 로드 스타일 핸들바와 같은 기능을 통합한다.

자이언트 브랜드의 세도나 컴포트 자전거가 플로리다 더니든의 피넬라스 트레일에 있다.


트렉 네비게이터 200 컴포트 자전거

4. 플랫바 로드

로드바이크의 드롭 핸들을 플랫 바 핸들로 변경한 '''플랫 바 로드'''라고 불리는 차종이 있으며, 하이브리드 자전거의 일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heldon Brown's Bicycle Glossary – Hybrid Bicycle http://sheldonbrown.[...] 2008-11-07
[2] 서적 Richard's 21st Century Bicycle Book https://archive.org/[...] Overlook Press
[3] 웹사이트 Trekking bike http://www.ctc.org.u[...] Cyclists' Touring Club 2010-09-24
[4] 웹사이트 Sheldon Brown's Bicycle Glossary – Trekking Bicycle http://www.sheldonbr[...]
[5] 간행물 A City Bike Sampler Outside Magazine 1992-03
[6] 서적 Sports Medicine Secrets Elsevier Health Sciences
[7] Article Museum of Mountain Bike Art & Technology http://www.mombat.or[...]
[8] 문서
[9] 문서 日本製としては初の量産型マウンテンバイクであるアラヤ・[[マディフォックス]]シリーズをベースに、専用設計フレームに700Cホイールを装備した「クロスオーバーバイク」ことMF700-CX-Fが発売されたことが、同社の1988年度版カタログで確認できる。これはホリゾンタル型とスローピング型の二種類のフレームで発売され、変速系は[[サンツアー]]、ブレーキ系は[[吉貝機械金属|ダイアコンペ]]、クランクセットは[[スギノエンジニアリング|スギノ]]を用いていた。まだ開発されていない[[Vブレーキ]]の代わりに[[カンチレバーブレーキ|カンチブレーキ]]であること以外は、現在の典型的なクロスバイクの形状が完成されたものであった。
[10] 뉴스 하이브리드 자전거란 무엇인가? http://biketool.tist[...] 2018-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