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카리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카리 주는 터키 동남부에 위치한 주로, 5개의 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도는 하카리 군이다. 쿠르드족이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쿠르드어와 튀르키예어를 사용한다. 역사적으로 아시리아인들이 거주했으나, 1915년 아시리아인 학살 이후 인구가 감소했다. 14세기 티무르의 침략 이후 시리아 정교회 신자들이 피난했으며, 오스만 제국 시기에는 하카리 토후국이 존재했다. 1927년 튀르키예 공화국 수립 이후 튀르키예화 정책이 추진되었고, 1987년부터 2002년까지 비상사태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아나톨리아 지역 - 에르주룸주
에르주룸주는 터키 동부의 고지대에 위치한 네 번째로 넓은 주로, 대륙성 기후와 다양한 지형을 가지며, 역사적 문명의 지배를 받아왔고, 현재는 농업, 축산업, 관광업이 발달했다. - 동아나톨리아 지역 - 무슈주
무슈 주는 터키 동부의 쿠르드족 다수 지역에 위치하며, 다양한 산맥과 평원, 아름다운 호수 및 튤립 평원을 포함한 자연 경관과 무슈 공항 등의 교통망을 갖춘 6개의 구로 나뉜 행정 구역을 가진다. - 튀르키예령 쿠르디스탄 - 마르딘주
마르딘주는 튀르키예 남동부에 위치하며 다양한 민족과 종교 집단이 거주하는 언어적, 민족적, 종교적 다양성을 보이는 주로, 아시리아인들에게 오랜 역사를 가진 지역으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수도원들이 남아있다. - 튀르키예령 쿠르디스탄 - 하카리
하카리는 터키 동남부 하카리주의 주도로, 복잡한 역사를 거치며 다양한 민족과 문화의 영향을 받았고, 아시리아인 학살 이후 쿠르드족이 주로 거주하며 쿠르드족 인권 문제가 발생하는 지역이다. - 튀르키예의 주 - 마르딘주
마르딘주는 튀르키예 남동부에 위치하며 다양한 민족과 종교 집단이 거주하는 언어적, 민족적, 종교적 다양성을 보이는 주로, 아시리아인들에게 오랜 역사를 가진 지역으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수도원들이 남아있다. - 튀르키예의 주 - 부르사주
부르사주는 터키 북서부에 위치하며 지중해성 및 대륙성 기후를 보이고, 울루다르 산을 중심으로 겨울 스포츠가 발달했으며, 터키 내에서 높은 인구 증가율을 보이는 주이다.
하카리주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튀르키예의 주 |
공식 명칭 | 하카리 일리 (Hakkâri ili) |
쿠르드어 명칭 | 파레즈게하 쾔레메르그 (Parêzgeha Colemêrgê) |
로마자 표기 | Hakkâri ili |
행정 | |
중심 도시 | 하카리 |
총 자치체 수 | 5 |
주지사 | 알리 첼리크 (Ali Çelik, 국가 임명) |
면적 | |
총 면적 | 7,095 km²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23년) | 287,625명 |
인구 밀도 | 2023년 기준 1km²당 약 40명 |
지역 번호 | 0438 |
기타 | |
웹사이트 | http://www.hakkari.gov.tr |
2. 행정 구역
하카리 주는 5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2. 1. 하위 행정 구역

하카리 주는 5개의 군으로 나뉜다. 주도는 '''굵게''' 표시한다.
- 추쿠르차 군
- 데레칙 군 (2018년 신설)
- '''하카리 군''' (주도)
- 셰민딜리 군
- 위크세코바 군
3. 인구
하카리주는 터키 쿠르디스탄[7]에 위치하며, 인구의 압도적인 다수는 쿠르드족이다.[8] 이 지역은 부족 사회의 특징을 강하게 나타내며, 쿠르드족 대부분은 이슬람교 수니파의 샤피이 학파를 따른다. 솁딘리 지역 주변에서는 낙시반디 수피 교단의 영향력이 강하다.[9]
역사적으로 이 지역에는 상당한 규모의 기독교 아시리아인 인구가 거주했으나, 1915년 아시리아인 학살을 겪으며 그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11] 과거 아시리아인과 쿠르드족 사이에는 토지와 가축 문제 등으로 인한 분쟁이 있었지만, 대체로 공존하는 관계를 유지했다. 당시 아시리아인들은 쿠르드족보다는 기독교 소수 민족을 적대시했던 오스만 제국에 대해 더 큰 불만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12]
언어적으로는 쿠르드어가 주로 사용되며, 특히 농촌 지역에서 지배적이다. 도시 지역에서는 터키 다른 지역에서 온 군인 및 공무원들의 영향으로 튀르키예어도 함께 사용된다.[15] 하카리주의 구체적인 인구 변화 추이와 민족 및 종교 구성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역사적 인구 변화
하카리주의 인구는 1927년부터 2023년까지 일부 연도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왔다.[40][41][42][43][44] 연도별 상세 인구 변화는 아래 표와 같다.연도 | 인구 수 |
---|---|
1927 | 25,016 |
1935 | 33,109 |
1940 | 36,446 |
1945 | 35,124 |
1950 | 44,207 |
1955 | 54,824 |
1960 | 67,766 |
1965 | 83,937 |
1970 | 102,312 |
1975 | 126,036 |
1980 | 155,463 |
1985 | 182,645 |
1990 | 172,479 |
2000 | 236,581 |
2007 | 246,469 |
2010 | 251,302 |
2015 | 278,775 |
2020 | 280,514 |
2023 | 287,625 |
3. 2. 종교
하카리주는 쿠르드족 인구가 압도적으로 많으며,[8] 이들 대부분은 이슬람교 수니파의 샤피이 학파를 따른다. 솁딘리 지역을 중심으로는 낙시반디 수피 교단의 영향력이 강하다.[9]과거 이 지역에는 기독교를 믿는 아시리아인 인구가 상당수 존재했으나,[11] 1915년 아시리아인 학살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1881년~1882년 반 주의 일부였던 하카리 산자크의 인구 중 기독교인은 약 18% (1,066명)를 차지했으나,[13] 1945년 인구 조사에서는 단 1명의 개신교 신자만이 기록될 정도로 그 수가 줄었다. 1965년 조사에서는 약 700명의 기독교인이 집계되었으나, 여전히 전체 인구 대비 극소수에 불과했다.
1945년 인구 조사 당시에는 소수의 유대인 (34명)이 가장 큰 종교적 소수 집단을 이루었으나, 이들은 1948년 이후 이스라엘 건국과 함께 대부분 이주하였다.[14] 이후 1950년대와 1960년대 인구 조사에서는 주민의 99% 이상이 무슬림으로 기록되었다.
3. 3. 민족 구성
하카리주는 터키 쿠르디스탄[7]에 위치하며, 쿠르드족이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한다.[8] 이 지역은 부족 사회의 특징을 보이며, 쿠르드족 대부분은 이슬람교 수니파의 샤피이 학파를 따른다. 솁딘리 주변에서는 수피교단인 낙시반디의 영향력이 강하다.[9] 주요 쿠르드족 부족으로는 도스키, 에르투시, 게르디, 헤르키, 지르키, 피냐니시 등이 있다.[10]1915년 아시리아인 학살 이전까지는 상당수의 기독교 아시리아인 인구가 여러 부족을 이루며 거주했다. 대표적인 아시리아인 부족으로는 질루, 데즈, 바즈, 트쿠마, 탈, 티야리가 있었다.[11] 아시리아인과 쿠르드족의 관계는 토지와 가축을 둘러싼 분쟁, 상호 약탈 행위, 여행객 강탈 등 반복되는 갈등에도 불구하고 공존하는 양상을 보여 '긴장된 공존'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당시 아시리아인들은 쿠르드족보다는, 기독교 소수 민족을 불충성스러운 비무슬림으로 간주하며 적대시했던 오스만 제국에 대해 더 큰 불만을 가졌던 것으로 여겨진다.[12]
연도 | 총 인구 | 구분 | 인구 | 비율 (%) | 비고 | |
---|---|---|---|---|---|---|
1881-1882[13] | 5,896 | 종교 | 당시 반 주 소속 하카리 산자크 기준 | |||
무슬림 | 4,830 | 81.9 | ||||
기독교인 | 1,066 | 18.1 | ||||
1945 | 35,124 | 종교 | ||||
무슬림 | 34,688 | 98.8 | ||||
유대인 | 34 | 0.1 | 1948년 이후 대부분 이스라엘로 이주[14] | |||
기독교인 (프로테스탄트) | 1 | 0.0 | ||||
모어 | 쿠르드어 | 30,830 | 87.8 | |||
튀르키예어 | 4,002 | 11.4 | ||||
1950 | 44,207 | 모어 | 쿠르드어 | 39,552 | 89.5 | |
튀르키예어 | 3,977 | 9.0 | ||||
1955 | 54,824 | 종교 | 무슬림 | 54,809 | 100.0 | (99.97% 반올림) |
모어 | 쿠르드어 | 48,446 | 88.4 | |||
튀르키예어 | 6,295 | 11.5 | ||||
1960 | 67,766 | 종교 | 무슬림 | 67,740 | 100.0 | (99.96% 반올림) |
모어 | 쿠르드어 | 54,655 | 80.6 | |||
튀르키예어 | 13,033 | 19.2 | ||||
1965 | 83,937 | 종교 | 터키 마지막 인구 조사 | |||
무슬림 | 83,221 | 99.1 | ||||
기독교인 | 704 | 0.8 | ||||
모어 | 쿠르드어 | 72,365 | 86.2 | |||
튀르키예어 | 10,357 | 12.3 |
1980년대에는 농촌 지역에서는 주로 쿠르드어가 사용되었고, 도시 지역에서는 터키 다른 지역에서 온 군인과 민간 관리들의 영향으로 쿠르드어와 튀르키예어가 함께 사용되었다.[15]
4. 역사
하카리 지역은 고대부터 여러 문명의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아시리아인과 쿠르드족의 역사와 깊은 관련을 맺어왔다. 중세에는 티무르의 침략 이후 아시리아 동방교회의 중요한 피난처이자 중심지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 시기에는 명목상의 지배 아래 쿠르드족의 자치가 이루어지기도 했으나 점차 중앙집권화되었다. 19세기에는 쿠르드 세력 간의 갈등과 아시리아인에 대한 탄압 및 학살 사건이 발생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아시리아인 학살이 더욱 심화되어 많은 아시리아인이 희생되거나 피난길에 올랐다. 튀르키예 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튀르키예화 정책의 일환으로 특별 행정 구역으로 관리되며 장기간 외부인의 접근이 제한되기도 했다.
4. 1. 고대와 중세
14세기, 티무르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도시들을 대대적으로 파괴했다. 특히 바그다드 정복과 티크리트 파괴는 니네베 근처 마르 마타이 수도원에 피신해 있던 시리아 정교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티무르는 이 지역의 기독교인뿐만 아니라 이스마일파, 수니파, 시아파 무슬림까지 무차별적으로 공격했다.[16]이 과정에서 살아남은 소수의 사람들은 하카리와 그 주변 지역의 아시리아인들에게 피난처를 찾았다. 이로 인해 하카리 지역은 동방 교회의 중요한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당시 교회는 완전한 붕괴를 막기 위해 세습 계승 제도를 통해 많은 주교와 총대주교를 배출하기도 했다.[16]
그러나 16세기에 이르러서는 타브리즈나 니시비스와 같이 과거 번성했던 여러 도시에서 아시리아인들의 모습은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동방 교회의 수장은 1553년까지 바그다드에서 마라가로 거처를 옮겼다.[16]
4. 2. 오스만 제국 시기
16세기부터 하카리 지역은 명목상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었으나, 실제로는 쿠르드족이 다스리는 하카리 토후국이 존재했다.[17] 쿠르드족은 이 지역에 아르메니아인 농민들을 정착시키기도 했다.[18]19세기에 들어 오스만 제국은 탄지마트 개혁을 통해 중앙집권화를 추진했고, 이로 인해 하카리 토후국은 해체되고 오스만 제국의 직접적인 통치 아래 놓이게 되었다.[19] 오스만 통치 시기 하카리는 반주에 속한 산작(행정 구역)이었으며, 바슈칼레가 수도 역할을 했다. 1880년부터 1888년까지는 잠시 빌라예트(주)로 승격되기도 했다.[12] 1920년경에는 정부 소유 광산에서 납이 생산되어 탄환 제조에 사용되었다.[20]
19세기에는 하카리 지역에서 쿠르드 세력 간의 경쟁도 나타났다. 로완디즈를 중심으로 한 소란 에미레이트의 미르 무함마드는 주변 경쟁 세력을 몰아내고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으나,[21] 1838년 하카리의 아시리아인을 정복하려다 실패했다. 결국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끝에 그의 에미레이트는 해체되었다.[22]
미르 무함마드가 몰락한 후, 보탄 지역의 베디르 칸 베그(Bedir Khan Beg)가 하카리의 아시리아인 지역을 차지하려 했다.[23] 그는 당시 하카리 아시리아 교회의 총대주교 시문 17세 아브라함과 하카리의 쿠르드 에미르 누르 알라 사이의 갈등을 이용했다. 베디르 칸은 누르 알라와 동맹을 맺고 1843년 여름, 하카리의 아시리아인들을 공격하여 대규모 학살을 자행하고 살아남은 이들을 노예로 삼았다. 1846년에는 티아리(Tyari) 부족에 대한 또 다른 학살이 일어났다. 이러한 학살에 놀란 서구 열강은 오스만 제국에 개입을 압박했고, 결국 베디르 칸은 1847년 크레타로 추방되었다.[24]
4. 3. 1차 세계대전과 아시리아인 학살
제1차 세계 대전 직전, 동방 아시리아 교회의 총대주교 시문 19세 베냐민(Shimun XIX Benyamin)은 전쟁 발발을 예상하며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특혜를 약속받았다.[25] 그러나 전쟁이 시작되자마자, 하카리(Hakkari) 북쪽의 아시리아인과 아르메니아인 마을들은 오스만 군대와 협력한 쿠르드족 비정규군의 공격을 받아 약탈당했다. 이는 아시리아인 학살의 일부였다.[26][27] 일부 아시리아인들은 오스만 노동대대에 강제로 징집되어 나중에 처형되기도 했다.[28]결정적인 계기는 총대주교의 형제가 콘스탄티노플 유학 중 오스만 당국에 포로로 잡힌 사건이었다. 오스만 제국은 아시리아인들에게 중립을 지킬 것을 요구하며 경고의 의미로 그를 처형했다.[29][30] 이에 총대주교는 1915년 4월 10일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했다.[29]
선전포고 이후 아시리아인들은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는 쿠르드족 비정규군의 공격에 직면했다. 하카리 지역 대부분의 아시리아인들은 산 정상으로 피신해야 했고, 마을에 남은 이들은 학살당했다.[29] 시문 베냐민 총대주교는 포위된 아시리아인들을 구하기 위해 몰래 당시 러시아령 우르미아로 이동하여 러시아 측에 구원군 파견을 요청했다.[29] 그러나 러시아 측이 요청이 비현실적이라며 거절하자, 총대주교는 하카리로 돌아와 살아남은 약 5만 명의 아시리아인들을 이끌고 험준한 산악 지대를 넘어 우르미아로 피난길에 올랐다.[29] 이 피난 과정에서 수천 명이 추위와 굶주림으로 목숨을 잃었다.[29] 1924년 튀르키예 공화국 정부는 하카리 지역에 남아있던 마지막 기독교인 주민들을 추방했다.[31]
4. 4. 튀르키예 공화국
지역 주민의 튀르키예화를 위해[32] 1927년 6월 법률 1164호가 통과되어 총감찰청(Umumi Müffetişlik|우무미 뮈페티쉴리크tr, UM) 설립이 허용되었다.[33][34] 이에 따라 하카리주는 시이르트, 반, 마르딘, 비트리스, 샨르우르파, 엘라즈으, 그리고 디야르바키르 주와 함께 제1총감찰청에 포함되었다.[35] 제1총감찰청은 1928년 1월 1일 디야르바키르에 처음 설치되었으며,[36] 민간, 사법, 군사 문제에 대한 광범위한 권한을 가진 총감찰관이 통치했다.[34] 총감찰관 직책은 1952년 민주당 정부 시기에 해체되었으나,[37] 하카리주는 1965년까지 외국인의 출입이 금지된 상태로 남아 있었다.[35]1987년 7월부터 2002년 8월까지 하카리주는 OHAL 비상사태 지역에 속했다.[38] 이 기간 동안 하카리주는 일반 주지사보다 더 많은 권한을 가진 소위 '수퍼주지사'의 통치를 받았다. 이 수퍼주지사는 OHAL 지역 내 다른 모든 주지사들에 대한 지휘권을 가졌으며, 마을 주민들을 영구적으로 이주시키고 재정착시킬 권한까지 부여받았다.[39]
참조
[1]
뉴스
Li Colemêrgê boriyên gaza xwezayî hatin danîn
https://www.rudaw.ne[...]
2019-07-23
[2]
웹사이트
Türkiye Mülki İdare Bölümleri Envanteri
https://www.e-icisle[...]
2022-12-19
[3]
웹사이트
İl ve İlçe Yüz ölçümleri
https://www.harita.g[...]
General Directorate of Mapping
2023-09-19
[4]
웹사이트
Yöneticilerimiz
http://www.hakkari.g[...]
Hakkari Valiliği
2023-10-22
[5]
뉴스
PKK's Nihilism Fostering Divisions among Turkey's Kurds
https://eurasianet.o[...]
2010-05-21
[6]
서적
After Civil War: Division, Reconstruction, and Reconciliation in Contemporary Europ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7]
서적
Kurdish Culture and Identity
Zed Books
[8]
서적
Activists in Office: Kurdish Politics and Protest in Turkey (Studies in Modernity and National Ident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0
[9]
학술지
124 - Proche-Orient, géopolitique de la crise (premier trimestre 2007) Le Kurdistan irakien
2007
[10]
서적
aşiretler Raporu
Kaynak Yayınları
2014
[11]
서적
Revival and Awakening: American Evangelical Missionaries in Iran and the Origins of Assyrian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5
[12]
학술지
Hakkari
https://gedsh.bethma[...]
2020-11-21
[13]
서적
Ottoman population 1830-1914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4]
학술지
Hakkari bölgesinde yaşamış dini topluluklar
https://dergipark.or[...]
2016
[15]
서적
Ethnic Groups in the Republic of Turkey
[16]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17]
서적
Eastern Turkey: An Architectural & Archaeological Survey, Volume I
https://books.google[...]
Pindar Press
1989-12-31
[18]
서적
A People Without a State: The Kurds from the Rise of Islam to the Dawn of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2016
[19]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20]
서적
Armenia and Kurdistan
http://www.wdl.org/e[...]
H.M. Stationery Office
[21]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22]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23]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24]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25]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26]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27]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28]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29]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30]
웹사이트
The Assyrian Tragedy
http://www.aina.org/[...]
2020-05-20
[31]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32]
웹사이트
Young Turk social engineering : mass violence and the nation state in eastern Turkey, 1913- 1950
https://pure.uva.nl/[...]
2020-04-08
[33]
웹사이트
Üçüncü Umumi Müfettişliği'nin Kurulması ve III. Umumî Müfettiş Tahsin Uzer'in Bazı Önemli Faaliyetleri
https://dergipark.or[...]
2020-04-08
[34]
서적
Minorities and Nationalism in Turkish Law
Routledge
2016-04-22
[35]
서적
The Settlement Issue in Turkey and the Kurds: An Analysis of Spatical Policies, Modernity and War
BRILL
2007-01-01
[36]
웹사이트
Young Turk social engineering : mass violence and the nation state in eastern Turkey, 1913- 1950
https://pure.uva.nl/[...]
2020-04-08
[3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urk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04-17
[38]
웹사이트
Case of Dogan and others v. Turkey
https://www.refworld[...]
2019-11-12
[39]
서적
The Settlement Issue in Turkey and the Kurds
Brill
[40]
간행물
Genel nüfus sayımı 2000: Hakkari
T.C. Başbakanlık Devlet İstatistik Enstitüsü
[41]
웹사이트
Genel Nüfus Sayımları
https://biruni.tuik.[...]
2023-03-01
[42]
웹사이트
Population Of SRE-1, SRE-2, Provinces and Districts
https://biruni.tuik.[...]
TÜİK
2024-05-10
[43]
웹사이트
Genel Nüfus Sayımları
https://biruni.tuik.[...]
[44]
웹사이트
tuik
https://kutuphane.t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