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효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효명은 세종 시대의 인물로, 명재상 하연의 장남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병조좌랑, 사헌부지평 등을 역임하며 정치, 감찰 활동을 했다. 1437년 당상관 징계를 주청하고 흥천사 보수 중지를 건의하기도 했으며, 군자감부정, 훈련원 부사를 거쳐 39세에 요절했다. 사후 이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묘소는 충청북도 청원군 현도면으로 이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양 하씨 - 하태경
    1968년 부산 출생의 하태경은 학생운동과 북한 민주화 운동가 활동 후 2011년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3선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개혁보수를 표방하는 정치인이다.
  • 진양 하씨 - 하대돈
    하대돈은 부산고와 서울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국가재건최고회의 행정관, 국회 운영위원회 행정실장, 국무총리 정보비서관, 제10대 국회의원, 한국관광공사 사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행정가이다.
  • 조선의 관료 - 박성빈 (조선)
    박성빈은 1871년에 태어나 무과에 급제하고 동학 농민 운동에 가담했으며, 아들 박정희는 대통령이 되었다.
  • 조선의 관료 - 김응우
    김응우는 김일성의 고조부로 평안도 대동 출신이며, 북한에서는 제너럴 셔먼호 격침에 기여했다고 주장하나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는 비판이 있고, 김일성 가문으로 이어진 전주 김씨이다.
  • 진주시 출신 - 문세광
    문세광은 1974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박정희 대통령 암살 미수와 육영수 여사 살해를 저지른 범인으로, 조총련의 영향을 받아 좌익 사상에 심취하여 범행을 계획했으며 사형 집행되었다.
  • 진주시 출신 - 서주석
    서주석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외교안보 전문가로, 한국국방연구원에서 근무하며 민주당계 정권에서 외교안보 정책 수립에 관여했고,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각각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 수석비서관, 국방부 차관, 국가안보실 제1차장을 역임하며 남북 합의 도출에 기여했으나, 5.18 민주화운동 왜곡 활동에 참여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하효명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가선대부 하효명
한자 표기嘉善大夫 河孝明
출생일1403년
출생지경상도 진주 여사촌
사망일1441년 (39세)
사망지한성부
국적조선
본관진양
직업무관
종교유교(성리학)
관직 정보
임기 시작1436년 2월 1일
임기 종료1438년 4월 30일
군주조선 세종대왕 이도
직책병조 훈련원 예하 부사
경력무관 출신
서훈증이조참판
가족 정보
아버지하연

2. 생애

하효명은 세종조 명재상이자 청백리인 영의정 하연 선생의 장남으로 출생하여 어려서부터 총명함이 자자했으며 청년으로 성장하면서 출중함이 세종에게까지 알려지게 되자 세종은 하효명에게 무반으로 나갈 것을 적극 권유하자,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다.[1] 1433년 7월 병조좌랑으로 재직시, 경복궁 근정전 추녀머리가 폭우로 무너지자 세종은 보수를 명하는 동시에 하효명을 보수공사의 책임자인 별좌(別坐)에 임명하였다.[1] 이후 무관 출신으로 실무요직인 사헌부지평에 기용되어 정치 문제의 시시비비에 대한 언론 활동과 백관에 대한 규찰과 탄핵, 풍속 교정, 억울한 일을 풀어주는 등 감찰을 담당하였다.[1]

또한, 1437년(세종 19) 당시 당상관들이 파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녹봉을 청하는 신문고를 울리자 사풍(士風)의 아름답지 못한 일이라며 이들을 징계할 것을 주청하였으며[1] 나라 살림살이가 넉넉지 못한 이유로 흥천사(興天寺)의 보수 중지를 건의하기도 했다.[1] 이어 군량미 등 군수품의 저장·관리·출납을 맡아보던 군자감부정 겸 정3품의 훈련원 부사(副使)에 올랐으며 이후 39세의 나이로 요절하여 세상을 떠났다.[1]

2. 1. 가계

본관은 진양(晉陽)이다. 아버지는 하연이며 어머니는 정경부인 성주 이씨로, 개성 부윤 이존성의 딸이다.

2. 2. 관직 생활

하효명은 세종조 명재상이자 청백리인 영의정 하연 선생의 장남으로 출생하여 어려서부터 총명함이 자자했으며 청년으로 성장하면서 출중함이 세종에게까지 알려지게 되자 세종은 하효명에게 무반으로 나갈 것을 적극 권유하자,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다.[1] 1433년 7월 병조좌랑으로 재직시, 경복궁 근정전 추녀머리가 폭우로 무너지자 세종은 보수를 명하는 동시에 하효명을 보수공사의 책임자인 별좌(別坐)에 임명하였다.[1] 이후 무관 출신으로 실무요직인 사헌부지평에 기용되어 정치 문제의 시시비비에 대한 언론 활동과 백관에 대한 규찰과 탄핵, 풍속 교정, 억울한 일을 풀어주는 등 감찰을 담당하였다.[1]

또한, 1437년(세종 19) 당시 당상관들이 파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녹봉을 청하는 신문고를 울리자 사풍(士風)의 아름답지 못한 일이라며 이들을 징계할 것을 주청하였으며[1] 나라 살림살이가 넉넉지 못한 이유로 흥천사(興天寺)의 보수 중지를 건의하기도 했다.[1] 이어 군량미 등 군수품의 저장·관리·출납을 맡아보던 군자감부정 겸 정3품의 훈련원 부사(副使)에 올랐으며 이후 39세의 나이로 요절하여 세상을 떠났다.[1]

2. 3. 사후

하효명은 1447년(세종 29) 증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

3. 가족 관계

3. 1. 직계 후손

3. 2. 관련 인물

4. 묘소

원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안산경찰서와 안산시청 청사 사이에 있었으나, 1970년대 말에 안산 지역의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충청북도 청원군 현도면 우록리 영당곡으로 이장되었다.

참조

[1] 논문 河承武의 晉陽河氏 家門人物硏究 2015
[2] 웹인용 '한국신학교육자상'수상 연합뉴스 http://m.yna.co.kr/k[...] 2019-11-23
[3] 웹인용 한국신학교육자상 수상 매일종교신문 http://m.dailywrn.co[...] 2019-11-23
[4] 웹사이트 하승무 가문, 부산지역 유일, 대한민국 병역명문가 선정 http://m.viva100.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