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태경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1968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와 길림대학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학생운동 참여, 북한 민주화 운동, 대북 민간 방송 운영 등의 활동을 거쳐 2011년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국회의원이 되었다. 이후 새누리당, 바른정당, 바른미래당, 미래통합당을 거치며 제19, 20, 21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중도우파 성향으로, 북한인권 개선, 윤창호법 발의 등 다양한 정치 활동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니엘고등학교 동문 - 이채익
이채익은 웅상초등학교, 개운중학교, 브니엘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울산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한 후 영남화학에서 근무했으며, 울산시의회 의원, 울산광역시 남구청장,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해운조합 이사장으로 활동한다. - 브니엘고등학교 동문 - 김영배 (1967년)
김영배는 고려대학교와 시라큐스대학교를 졸업하고 학생운동, 청와대 비서관, 성북구청장을 거쳐 제21대, 22대 국회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대한민국 정치인이다. - 새로운보수당 - 김웅 (정치인)
법조인 출신 김웅은 검사로 활동하다 검경 수사권 조정에 반대하며 사직 후 새로운보수당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 제21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 현재는 법무법인 남당 변호사로 활동하고 《검사내전》을 저술했다. - 새로운보수당 - 지상욱
지상욱은 연세대학교와 스탠퍼드 대학교, 도쿄 대학에서 토목공학 및 건축공학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세대학교 연구교수를 거쳐 자유선진당 대변인으로 정계에 입문, 제20대 국회의원, 바른미래당 정책위원회 의장, 새로운보수당 공동대표, 여의도연구원 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국민의힘 서울특별시당 수석부위원장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뉴라이트 - 김문수 (정치인)
김문수는 1970년대 노동운동을 시작으로 1990년 민중당 창당에 참여하며 정계에 입문, 3선 국회의원과 경기도지사를 거쳐 윤석열 정부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으로 재직 중이며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노동운동가 출신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뉴라이트 - 한승조
한승조는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및 명예교수를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지만, 2005년 일본 잡지에 식민지 지배 옹호 글을 기고하여 사회적 논란을 일으켜 고려대학교 명예교수직에서 사퇴했다.
하태경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하태경 |
로마자 표기 | Ha Tae-keung |
출생일 | 1968년 4월 26일 |
출생지 | 부산광역시 동구 |
국적 | 대한민국 |
![]() | |
학력 | |
대학교 | 지린대학교 대학원 |
정치 경력 | |
직업 | 정치인, 활동가 |
소속 정당 | 국민의힘 (2020년-현재) |
과거 소속 정당 | 한나라당 (2011–2012) 새누리당 (2012–2016) 바른정당 (2017–2018) 바른미래당 (2018–2020) 새로운보수당 (2020) |
국회의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기장군 제2선거구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제1선거구 (2016년 5월 30일 – 현재) |
정당 대표 | 새로운보수당 대표 (2020년 1월 5일 – 2020년 2월 17일) |
기타 | |
종교 | 개신교 |
배우자 | 김숙영 |
자녀 | 2남 1녀 |
웹사이트 | 하태핫태 국회의원 하태경 블로그 |
2. 생애
1968년 부산에서 태어나 부산푸니엘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 입학하여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국제협력 석사 학위를, 중국 길림대학교 대학원에서 세계경제학과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6]
대학 시절 전두환 정부에 반대하는 학생 운동에 참여했으며, 친북 성향의 NL계 조직인 전대협 간부를 역임했다. 1991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고 목포교도소에서 복역했다. 이후 북한의 실태를 알고 북한 민주화를 요구하는 인권운동가로 전향, 2005년 대북 민간방송국인 열린북한방송을 개국하여 대표를 역임했다.[19][20]
2011년 10월 한나라당에 입당했고,[30] 2012년 제19대 총선에 새누리당 소속으로 부산 해운대구·기장군 을에 출마, 당선되어 국회에 입성했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새누리당을 탈당, 바른정당 창당에 참여했다. 바른정당에서 자유한국당과 홍준표 대표를 강하게 비판했으며,[32][33] 통합파와 자강파 간 분열 시 자강파에 속하며 개혁보수를 주장했다.[34] 바른미래당 창당 후 2018년 전당대회에 출마, 최고위원에 당선되었다.[36][37]
2019년 바른미래당 비당권파가 결성한 새로운보수당 창당준비위원장으로 추대되었고,[38] 2020년 새로운보수당이 자유한국당 등과 합당하며 미래통합당에 합류했다.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해운대구 갑 선거구에 출마, 3선에 성공했다.[39]
2020년경부터 e스포츠 선수의 불공정 계약 문제 등 젊은 남성들이 관심을 갖는 문제에 관심을 보이며 젊은 남성층에서 인기를 얻었다. 2022년 대선에 출마하여 여성가족부 폐지 등 반페미니즘 공약을 내세웠다.[20]
그 외 미시간 주립 대학교 객원 연구원, SK텔레콤 경영경제연구소 수석 연구원 등을 역임했고, 이명박 정부 시절 뉴라이트 운동에도 참여했다. 저서로는 『만화 김정은 입문』 등이 있다.[16][19]
2022년 7월 제8회 한중 차세대 정치 지도자 懇談會에 참석,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한다고 밝혔다.[22]
2023년 10월, 제22대 총선에 서울 지역구 출마를 선언했다.[23] 서울 중구·성동구 을 지역구 출마를 결정했으나,[24] 2024년 3월 당내 예비선거에서 이혜훈 전 의원에게 패배했다. 하태경은 예비선거 과정에 부정이 있었다며 서울시 선거관리위원회에 조사를 요구했다.[25]
2. 1. 학생 운동과 수감 생활
1968년 부산에서 태어났다.[28] 서울대 물리학과에 입학하여 1990년에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28] 대학교 재학 중 전두환 정부 시기에 학생운동에 참여했다.[28] 전대협 조국통일위원회 간부로 활동하는 등 NL계 학생운동을 하다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병역을 면제받았다.[28] 1993년 목포교도소에서 출소한 후 문익환 목사가 주도했던 《통일맞이》의 정책연구원으로 활동하며 임수경, 임종석 등과 친분을 유지했다.[29]2. 2. 북한 인권 운동
하태경은 1990년대 초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에서 활동하며 임수경, 임종석과 함께 학생운동을 했다.[1] 1991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목포교도소에서 복역했다.[28][4][2] 출소 후에도 문익환 목사가 주도한 《통일맞이》에서 활동하며 임수경, 임종석 등과 친분을 유지했다.[29]중화인민공화국에서 탈북자들을 돕던 중, 북한 주민들이 굶어 죽고 고문받는 모습을 목격하면서 북한 민주화 운동가로 전향했다.[30] 미국 정부와 의회에 대북 민간 방송의 필요성을 호소하여 600000USD의 자금을 유치, 2005년 열린북한방송을 개국하고 러시아와 미국의 단파채널을 임차해 방송을 시작했다.[30] 열린북한방송을 통해 북한 주민들에게 외부 소식을 전하고 북한 내 민주화의 씨앗을 싹 틔우는 역할을 했다.[30] 2011년 국가인권위원회로부터 대한민국 인권상을 수상했다.[30] 같은 해 9월 '북한 반인도범죄 철폐를 위한 국제연대'(ICNK)를 결성했다.[30][31]
3. 정치 활동
1968년 부산직할시 동구에서 태어난 하태경은 1986년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 입학하여 학생운동에 참여했다.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조국통일위원회 간부로 활동하며 NL계 학생운동을 하다가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2년형을 선고받기도 했다.[28] 출소 후에도 문익환 목사가 주도했던 《통일맞이》의 정책연구원으로 활동하며 임수경, 임종석 등과 교류했다.[29]
중화인민공화국에서 탈북자들을 돕던 중 북한 주민들의 참혹한 현실을 목격하고 북한 민주화 운동가로 전향했다. 미국 정부와 의회에 대북 민간 방송의 필요성을 호소하여 600000USD를 유치, 2005년 열린북한방송을 개국하고 러시아와 미국의 단파채널을 통해 방송을 시작했다.[30][31] 2011년에는 국가인권위원회로부터 대한민국인권상을 수상했다.[30][31]
2011년 한나라당에 입당, 제19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소속으로 해운대구·기장군 을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새누리당을 탈당하여 바른정당 창당에 참여했고, 자유한국당과 홍준표 대표를 강하게 비판했다.[32][33] 바른정당 분열 시기에는 개혁보수를 주장하는 자강파에 속했다.[34] 김세연 의원 탈당 이후에는 부산 지역 유일의 바른정당 소속 의원이었다.[35]
바른미래당 창당 후, 2018년 9 · 2 전당대회에 출마하여 22.86%의 득표율로 2위를 기록, 최고위원에 당선되었다.[36][37] 2019년 12월 바른미래당 비당권파가 결성한 새로운보수당 창당준비위원장으로 추대되었다.[38]
2020년경에는 e스포츠 선수의 불공정 계약 문제,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정규직 전환 문제, 온라인 게임의 확률 조작 의혹 등 젊은 남성들이 관심을 갖는 문제에 관심을 보이며 젊은 남성층에서 인기를 얻었다. 2022년 대선에도 출마하여 여성가족부 폐지와 남녀 공동 징병제 등 반페미니즘 공약을 내세웠다.[20]
2022년 7월 서울에서 열린 제8회 한중 차세대 정치 지도자 간담회에 참석하여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22]
2023년 10월,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서울 지역구 출마를 선언했다.[23] 서울 중구·성동구 을 지역구 출마를 결정했으나,[24] 2024년 3월 당내 예비선거에서 이혜훈 전 의원에게 패배했다. 하태경은 예비선거 과정에 부정이 있었다며 서울시 선거관리위원회에 조사를 요구했다.[25]
3. 1. 새누리당 국회의원 (19-20대)
2011년 하태경은 보수적인 새누리당(당시 한나라당)에 입당했고,[6] 같은 해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당선되었다.[1][2] 2012년 제19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공천을 받아 당선되어 '개혁보수' 정치인으로 활동했다.[19] 2016년 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했다.[1][2]3. 2. 미래통합당 및 국민의힘 국회의원 (21대)
2020년 새로운보수당이 자유한국당 등과 합당하면서 미래통합당으로 통합됨에 따라 미래통합당에 합류했다.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해운대구 갑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며 3선 의원이 되었다.[39] 같은 해 7월 무투표로 미래통합당 부산시당 위원장에 선출되었다.[21]4. 정치 성향 및 입장
하태경은 중도우파 정치 성향[11]을 가지며, 극좌와 극우 양극단의 극단주의적 정치에 반대한다. 2017년 대통령 선거(2017년 대통령 선거) 이후 극좌 통합진보당 해산과 유사하게 극우 자유한국당의 해산을 옹호하는 발언을 했다.[12] 또한 자유한국당으로 복귀한 바른정당 의원들을 비난했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새누리당을 탈당해 바른정당으로 갔으며, 바른정당 의원으로 있으면서 자유한국당과 홍준표 대표를 향해 "종북몰이하는 극우 정당은 해산해야 한다", "국민을 향해 막말로 총질한다"며 강하게 비판했다.[32][33]
반일 감정(한국 내 반일 감정)에 반대하며 2019년 일본 제품 불매운동(2019년 일본 제품 불매운동)을 비판했다.[13]
2014년 일베저장소를 옹호하는 발언[15] 등 대중영합주의적인 것으로 보이는 행동과 발언으로 비판을 받았다.[14]
2020년경에는 e스포츠 선수의 불공정 계약 문제,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정규직 전환 문제, 온라인 게임의 확률 조작 의혹 등 젊은 남성들이 관심을 갖는 문제에 관심을 보였기 때문에 젊은 남성층에서 인기가 높다. 2022년 대선에도 출마하여 여성가족부 폐지와 남녀 공동 징병제 등 반페미니즘 공약을 내세웠다.[20]
5. 논란
하태경은 2005년 서울대학교 대학 동문 인터넷 게시판에 '독도는 국제적 분쟁지역으로 공인돼 있다'는 글을 게재하여 "독도가 우리나라 땅이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국제 분쟁지역화하려는 일본 우익단체들의 술책에 동조했다"는 비판을 받았다.[87] 2008년 대북 인터넷 매체인 데일리NK 칼럼에서는 "일제시대 우리 조상은 일본 제국을 자신의 조국이라고 생각했을 가능성이 높았다고 생각한다"며 "조국이 일본이었다면 조국이 참가하는 전쟁에 조국을 응원하는 것은 정상참작의 사유가 되지 않을까"라는 글을 썼다.[87] 그는 〈친일인명사전 분명히 잘못됐다〉는 칼럼에서 "천황 찬양한 예술인까지 친일파로 분류하는 건 부적절"하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88]
이 논란은 2012년 4월 6일 일제에 의해 피해를 입은 할머니들이 하태경의 국회의원 후보 사퇴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으로까지 확대되었다.[89][90]
하태경은 독도관에 대해 "외국 사이트에 가보면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표시한 곳도 많은 것이 현실"이라며 "독도가 대한민국 땅임을 확고히 하려면 국제사회에서 전략을 잘 짜서 대응해야 한다는 본래 취지가 왜곡 전달됐다"고 했다. 친일파 옹호에 대해서는 "내 주장의 요지는, 반드시 역사에 기록돼야 할 친일파와 그렇지 않은 당시 사람들은 구분해야 한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후 오마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2004년 일본 시마네현에서 '다케시마의 날'을 제정한 것 때문에 "독도가 분쟁지역으로 인식되는 만큼 전략을 잘 짜서 대처해야 한다는 취지의 글이었다"며 "선거기간 중 후보들이 이 문제를 집중 제기했지만 (유권자들에게) 통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전 세계 지도 가운데 독도를 대한민국 땅으로 표시한 지도는 1.5%밖에 안될 만큼 국제사회는 독도가 한국 땅이란 점을 모른다고 밝히고 그런데 '분쟁지역으로 공인됐다'는 표현을 썼기 때문에 언론에서 '매국노다, 친일파다'고 몰아붙인 것이다"고 해명했다.[91] 한편 하태경선거대책본부는 선거 기간 중 일본은 독도 침탈 중단하고 외교 청서를 폐기하라는 성명서를 내기도 했다. 성명에는 각국의 세계 지도에 독도가 한국 영토로 표기된 사례가 전체 3380건 중 49건(1.5%)에 불과한 현실을 지적하며 외교적 노력을 주문했다.[92]
하태경은 한국 내 반일 감정에 반대하며 2019년 2019년 일본 제품 불매운동을 비판했다.[13] 또한 2014년 일베저장소를 옹호하는 발언 등[15] 포퓰리즘적인 것으로 보이는 행동과 발언으로 비판을 받았다.[14]
2013년 10월, 하태경의 부산 사무소 전 사무실장에게 중국 선양시에서 발송된 협박 내용의 소포가 도착했다.[26]
6. 경력
기간 | 내용 |
---|---|
1993년 ~ 1994년 | 통일맞이 연구원 |
1998년 | 미국 미시간 주립 대학교 객원연구원 |
2002년 ~ 2005년 | SK텔레콤 동북아협력팀, 경영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
2005년 | 미국 워싱턴 국제민주주의연구소 객원연구원 |
2005년 ~ 2012년 4월 | (사)열린북한방송 대표 |
2009년 10월 ~ 2012년 4월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
2012년 6월 ~ 2014년 6월 | 새누리당 북한인권및탈북자납북자위원회 위원장 |
2012년 10월 ~ 2012년 12월 | 새누리당 대한민국대통합위원회 실무총괄간사 |
2014년 9월 | 새누리당 보수혁신특별위원회 위원 |
2016년 5월 | 새누리당 부산시당 혁신위원회 혁신위원장 |
2016년 11월 |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위원 |
2017년 2월 ~ 2018년 2월 | 바른정당 부산광역시당 위원장 |
2017년 3월 | 바른정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
2017년 5월 | 제19대 대통령선거 바른정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후보검증특별위원회 부위원장 |
2017년 6월 ~ 2018년 2월 | 바른정당 최고의원 |
2018년 2월 ~ 2018년 6월 | 바른미래당 최고위원 |
2018년 9월 ~ 2020년 1월 | 바른미래당 최고위원 |
바른미래당 부산시당위원장 | |
2020년 1월 ~ 2020년 2월 | 새로운보수당 책임대표 및 공동대표 |
2020년 3월 ~ 2020년 4월 | 미래통합당 부산시당 2020 통합 선거책위위원회 공동선거대책본부장 |
2020년 5월 ~ 2020년 9월 | 미래통합당 부산시당 위원장 |
2020년 7월 ~ 2020년 9월 | 미래통합당 인천국제공항 공정채용 태스크포스 위원장 |
2020년 9월 ~ 2021년 7월 | 국민의힘 부산시당 위원장 |
2020년 9월 ~ 2024년 1월 | 국민의힘 부산시당 해운대구 갑 당협위원장 |
2020년 9월 | 국민의힘 인천국제공항 공정채용 태스크포스 위원장 |
2020년 9월 | 국민의힘 호남 동행 국회의원 발대식 명예의원(광주광역시) |
2020년 9월 | 국민의힘 북한의 우리 국민 사살·화형 만행 진상조사 태스크포스 위원 |
2020년 12월 ~ 2021년 3월 | 국민의힘 4.7 재보궐선거 공약개발단 지역공약 개발단 부산팀 위원장 |
2021년 3월 ~ 2021년 4월 | 국민의힘 부산시당 4.7 부산시장 보궐선거 선거대책위원회 총괄본부장 |
2021년 4월 ~ 2021년 5월 | 부산미래혁신위원회 위원장 |
2022년 1월 ~ 2022년 3월 | 국민의힘 부산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선거대책위원장단 공동선거대책위원장 겸 선거대책본부 부산 인재영입위원장 |
2022년 1월 ~ 2022년 3월 |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선거 정책본부 게임특별위원장 |
2022년 5월 ~ 2022년 6월 | 국민의힘 제8회 지방선거 부산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선대위원장 |
2022년 6월 ~ 2022년 7월 | 국민의힘 해수부 공무원 피격사건 진상조사 TF 위원장 |
2023년 5월 ~ 2024년 4월 | 국민의힘 북한인권및탈북자납북자위원회 위원장 |
2023년 5월 ~ 2023년 8월 | 국민의힘 시민사회 선진화 특별위원회 위원장 |
2024년 9월 ~ | 제19대 보험연수원 원장 |
7. 의정 활동
하태경은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 해운대구·기장군 을 지역구에 새누리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제20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해운대구 갑 지역구에서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임기 | 정당 | 소속 위원회 |
---|---|---|
2012년 5월 ~ 2016년 5월 (제19대) | 새누리당 | |
2016년 5월 ~ 2020년 5월 (제20대) | 새누리당 → 바른정당 → 바른미래당 | |
2020년 5월 ~ 2024년 5월 (제21대) |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새누리당을 탈당하여 바른정당 창당에 참여했고, 바른정당 의원으로 있으면서 자유한국당과 홍준표 대표를 강하게 비판했다.[32][33] 바른정당이 통합파와 자강파로 분열될 때 자강파에 속하면서 개혁보수를 강하게 주장하였다.[34] 이후 바른미래당 창당에 합류하여 최고위원을 역임하였고, 새로운보수당 창당준비위원장을 거쳐 미래통합당에 합류하였다.
하태경은 2013년 "우리민족끼리 가입하면 다 종북으로 보는 것은 오산"이라고 주장했고,[72] 같은 해 종북 개념은 국가보안법 위반에 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15년에는 김기종의 변호사를 '북변'이라고 지칭하며 민변과 갈등을 빚기도 했다.[73]
8. 주요 활동
하태경은 1968년 부산에서 태어났다.[1] 전두환 군사독재 시절 민주화 운동가로 활동했으며,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에서 임수경, 임종석과 함께 활동했다.[1] 1991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금되었다가[4][2] 1993년 석방되었다.[5]
2000년대 들어 북한인권운동에 참여,[6][1][2] 2011년 대한민국 인권상을 수상했다.
2011년 새누리당(당시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정치에 입문,[6] 같은 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1][2] 2016년 재선.[1][2]
2016년 정치 스캔들 당시 새누리당 탈당 후 바른정당 창당에 참여.[1] 2017년 바른정당 대표 경선에 출마했으나 이혜훈에게 패배, 부대표 역임.
2018년 바른미래당 창당 후 당 대표 선거에 출마,[8] 손학규에게 패배하여 2위를 기록하고 부대표가 되었다.[9][1][2]
2020년 1월 5일, 바른미래당 탈당, 미래통합당에 합류하여 공동대표를 역임, 미래한국당 출범 전까지 유지. 이후 국민의힘 소속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제1선거구 국회의원 당선.
2021년 6월 11일, 202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출마 선언.[10]
하태경은 중도우파적 정치 성향으로,[11] 극좌와 극우 양극단 정치를 반대한다. 2017년 대선 이후 극좌 통합진보당 해산과 유사하게 극우 자유한국당 해산 옹호.[12]
반일 감정에 반대, 2019년 일본 제품 불매운동 비판.[13]
일베저장소 옹호 발언 등 포퓰리즘적 행동과 발언으로 비판받기도 함.[15][14]
8. 1.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설립 주도
하태경은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UN에 참여하는 모든 국가가 동참할 것을 촉구하고자 2000년부터 당시 유엔인권위원회(현 유엔 인권 이사회)의 각국 대표, NGO들과 만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 도입을 촉구하는 활동을 해왔다.[41] 2009년부터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설립을 위해 유엔 인권 이사회 회원국을 상대로 설득 작업을 진행해 왔다.[42]2004년 처음 임명된 유엔인권특별보고관은 2005년부터 매년 보고서를 제출했지만, 이 보고서는 북한 인권 침해 실태를 대략적으로 파악하는 수준에 그쳤다. 그래서 북한 인권 문제를 더 구체적이고 심도 있게 조사 및 기록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43][44][45] 하태경은 2009년부터 북한의 반인도 범죄자를 국제사법재판소(ICC)에 제소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데 결정적 기여를 할 북한인권조사위원회 설립을 촉구하는 활동을 시작하였다.
2009년 11월, 하태경은 런던의 영국 정부와 의회, 브뤼셀의 EU, 헤이그의 국제형사재판소를 방문하여 COI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2010년 5월에는 서울에서 노르웨이의 본데빅 전 총리, 김영삼 전 대통령 등을 초청하여 국제회의를 개최했다. 2010년 9월에는 브뤼셀의 벨기에, 독일, 프랑스 정부를 방문하여 COI 설립 동의를 얻어냈고, 2011년에는 독일, 영국, 체코를 방문하여 COI 설립 지지를 이끌어냈다.
또한, 하태경은 COI 설립의 결정적 모멘텀을 제공할 북한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ICNK)[46] 창립에도 미국의 Human Rights Watch, 영국의 세계기독연대(Christian Sloidarity Worldwide)와 함께 주도적 역할을 했다.[47][48] ICNK는 유엔 내에 북한 반인도범죄 조사위원회 설립을 목적으로 전 세계 40여 개 이상의 인권단체들과 개인 활동가들로 구성된 국제연대이다.[49]
2013년 3월 2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 이사회 제22차 회의에서 이사국의 만장일치로 채택된 결의안을 바탕으로 북한인권조사위원회[50]가 구성되었다. 이 위원회는 1년간의 조사 활동을 통해 작성한 보고서를 2014년 2월 17일 공식 발표하며 북한 인권범죄의 '책임자'를 국제사법재판소(ICC)에 회부하도록 권고했다.[51] 유엔 인권 이사회는 2014년 5월 6일, 북한에 대한 보편적 정례인권검토(UPR) 보고서를 최종 확정했다. 이 보고서에 대해 북한은 83개 권고안에 대해서는 거부, 185개 권고안에 대해서는 2014년 9월 유엔인권이사회 회의 전까지 답변하기로 했다.[52]
8. 2. 천안함 함대 이외수 강연 비판
2013년 11월 20일,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은 이외수가 '천안함 함대'의 상징을 가지고 있는 해군 제2함대에서 강연한 사실을 비난하는 공식 논평을 냈다. 하태경은 이외수가 2010년 트위터에 천안함 피격 사건을 소설에 비유한 것을 언급하며, 이것이 '천안함 폭침은 북한의 소행'이라는 정부 발표를 겨냥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진짜 사나이' 제작진에게 방송 중지를 요청했고, 국방부와 함께 사과할 것을 요구했다.[53][54][55][56][57][58][59][60][61][62][63]이에 이외수는 트위터에 "의원님, 군대 안 가려고 국적 포기한 고위층 자녀들보다 황당하겠습니까. 저는 그래도 병역은 필했습니다"라는 글을 올려 반발했다. 그러나 제작진은 결국 하태경의 뜻에 따라 강연을 통편집하기로 결정하였다.
'진짜 사나이' 제작진은 같은 달 22일 이외수의 촬영분을 편집하기로 결정하고 "천안함 사태로 전사한 장병과 유가족에게 죄송하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제작진은 "의도치 않게 논란이 커지는 것 같아 이런 결정을 내렸다"며 통편집 배경을 밝혔지만, 일각에서는 방송가까지 정치적 압력이 손을 뻗친 것이라며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8. 3. 이석기 관련 발언
하태경은 2012년 3월 28일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에 출연,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2번 이석기 후보가 과거 북한의 지하조직 민혁당 경기남부위원장 출신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석기 후보의 경우, 법원 판결로 공개됐기에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64][65] 하태경은 이석기 후보에게 과거 경력에 대해 떳떳하게 공개하라고 주장했다.하지만 통합진보당은 "2005년 8월 국방부 기무사가 이석기 후보에 대해 '북의 공작원, 간첩'이라는 허위사실을 공표한 바 있는데 이와 관련된 소송에서 이석기 후보가 승소한 바 있다"고 반박했다. 통합진보당은 "이 후보 등을 북한과 직접적으로 연계된 것처럼 발언한 하 후보나 하 후보의 발언을 교묘하게 각색해 이 후보를 '북 지하조직원'으로 날조한 조선일보는 이에 대한 법적 처벌을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64][65]
하태경이 주장한 민혁당 판결문에 따르면 이석기는 과거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 반국가단체의 간부로서 김일성 생일을 축하하는 유인물을 전국 대학가에 뿌리고, 북한의 사상을 그대로 따른 강령으로 활동해 왔다. 재판 당시 이 후보를 변호했던 이는 이정희 통합진보당 공동대표의 남편 심재환 변호사였다.[66]
이후 이석기는 국정원에 의해 북한을 추종하는 지하혁명조직 RO를 결성하여 경찰서, 지구대나 무기고, 통신, 유류시설 등 국가기간 시설을 파괴하는 등 대한민국 국가전복 및 내란을 모의한 혐의가 드러났으며, 국회의 체포동의안이 가결되면서 구속되었다. 이 사건은 RO의 내부고발자에 의해 드러났으며 제보자는 법원에서 RO가 북한과 연계돼 있고 이석기 의원이 RO의 총책이라고 주장했다.[67]
하태경은 이석기의 구속에 대해 이석기 그룹이 통일부, 노동부, 농림부 장관 등을 맡고 청와대에 진출했다면, 북한은 자신의 추종그룹이 정권에 진출한 것을 믿고 남침을 할 수도 있었다면서, 이들이 과대망상에 불과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극소수 테러집단이 위험한 이유는 자신들끼리 똘똘 뭉치는 광신도 집단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68]
8. 4. 가습기 살균제 특별위원회 활동
2016년 7월 발족된 가습기살균제 사고 진상규명과 피해구제 및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약했다. 하태경 의원은 피해 신청자의 질환(疾患) 분석을 위한 과거 질병 자료의 확보가 시급하다며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보유한 의무보존기간이 경과한 의료 기록물의 폐기를 잠정 중단할 것을 요청했다.[74] 2017년 7월 26일 모기살충제 '홈키파'로 유명한 독일 생활화학제품회사 헨켈홈케어코리아가 '가습기 한번에 싹'이라는 가습기살균제를 제조·판매한 사실을 은폐했다는 것을 밝혀냈다.[75] 이 제품은 2011년 11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전수조사에서 모니터링되지 않은 제품이었다. 옥시레킷벤키저와 같은 외국계 회사라는 점에서 커다란 도덕적 치명상을 입혔다. 하태경 의원은 헨켈의 가습기살균제 제조 사실을 파악하고 제품 성분, 제조량, 유통량, 판매량 등 세부 내역을 요청했으나, 헨켈 측은 "2011년에 단종된 제품으로, 2011년 가습기살균제 사태 당시 제조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 "제품의 MSDS(물질안전보건자료)를 분실한 상태라 독성 성분이 들어 있었는지 여부도 알려줄 수 없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하태경 의원은 후속 보도자료에서 '헨켈이 의원실에 제출한 가습기살균제 제품 기획서의 문서 파일의 디지털 정보가 2016년 5월 26일로 기록된 경위를 따져묻는 과정에서 헨켈 아시아지역준법담당 전무이사가 스스로 밝혔다'면서 '본 의원실이 지난 7월 가습기 살균제 관련 자료를 요구하기 이전에 헨켈은 이미 대책회의를 진행했던 것'이라고 밝혔다.[76]8. 5. 윤창호법 대표 발의
윤창호 사건 이후 음주운전 처벌 강화를 골자로 한 '윤창호법'을 대표 발의했으며, 해당 법안에는 103명의 국회의원이 공동 참여했다. 윤창호법은 '도로교통법 일부개정안'과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으로 구성되어 있다.[77]- '도로교통법 일부개정안'은 음주운전 가중처벌 기준을 '3회 위반 시 가중처벌'에서 '2회 위반 시 가중처벌'로 강화하고, 음주 수치 기준을 '최저 0.05% 이상~최고 0.2% 이상'에서 '최저 0.03% 이상~최고 0.13% 이상'으로 엄격히 하는 것이다.
-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은 음주운전으로 인해 사망자가 발생할 경우 음주운전자를 살인죄처럼 처벌한다는 내용이다.[77]
2018년 11월 29일,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은 국회 본회의에서 재석 250명 중 찬성 248명, 기권 2명으로 가결 처리됐다. 다만 원안은 '음주운전으로 사람을 숨지게 할 경우 5년 이상의 징역'이었으나, 법제사법위원회 논의 과정에서 '3년 이상의 징역'으로 변경되었다.[78] 해당 법은 2018년 12월 18일부터 시행되었다.[79]
2018년 12월 7일, '도로교통법 일부개정안'은 재석 의원 158명 가운데 찬성 143명, 반대 1명, 기권 14명으로 본회의를 통과했다. 해당 법안은 공포 후 6개월 뒤부터 시행된다.[80]
9. 저서
- 《북한 인권실태와 북한인권운동의 쟁점 분석》, 자유기업원, 2009년 12월 20일
- 《만화 김정은》, 시대정신(한기홍), 2011년 1월 14일
- 《민주주의는 국경이 없다》, 글통, 2011년 9월 24일
- 《삐라에서 디도스까지》, 글통, 2013년 3월 30일
10.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
2012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기장군 을 | 새누리당 | 42,426표 (44.80%) | 1위 | 당선 | 초선 |
2016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갑 | 새누리당 | 51,197표 (51.75%) | 1위 | 당선 | 재선 |
2020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갑 | 미래통합당 | 78,971표 (59.47%) | 1위 | 당선 | 3선 |
참조
[1]
뉴스
http://news1.kr/arti[...]
2019-08-07
[2]
뉴스
https://www.ajunews.[...]
2019-08-07
[3]
웹사이트
[21대 국회를 이끄는 사람들 {{!}} 미래통합당 하태경 당선인(부산 해운대갑)] "불공정 타파로 세대 벽 허물어야"
http://www.naeil.com[...]
2020-05-31
[4]
뉴스
https://news.v.daum.[...]
2019-08-07
[5]
뉴스
http://www.newstown.[...]
2019-08-07
[6]
뉴스
N. Korean rights activist to run for Assembly
https://www.koreatim[...]
2019-08-07
[7]
뉴스
http://www.donga.com[...]
2019-08-07
[8]
뉴스
https://www.hankooki[...]
2019-08-07
[9]
뉴스
https://news.sbs.co.[...]
2019-08-07
[10]
뉴스
https://www.kgnews.c[...]
2021-08-06
[11]
뉴스
From Prison to the President's Office: A Former Radical Helps Shape Korean Detente
https://www.wsj.com/[...]
2019-08-07
[12]
뉴스
https://www.yna.co.k[...]
2019-08-07
[13]
뉴스
http://www.segye.com[...]
2019-08-06
[14]
웹사이트
http://news.kmib.co.[...]
2019-12-13
[15]
웹사이트
http://news.khan.co.[...]
2019-12-13
[16]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01-11
[17]
웹사이트
임수경, 탈북자·하태경에 ‘변절자’ 막말
https://m.khan.co.kr[...]
2012-06-03
[18]
웹사이트
임수경, 탈북자ㆍ하태경에 폭언 파문
https://www.yna.co.k[...]
2012-06-03
[19]
웹사이트
새누리당은 종북뻐꾸기 하태경 의원을 즉각 제명하라!
http://www.newstown.[...]
2013-07-15
[20]
웹사이트
국민의힘 대선 주자 인터뷰 하태경은 누구
https://mobile.busan[...]
2021-10-04
[21]
웹사이트
통합당 부산시당위원장 17일 선출…하태경 의원 단독 신청
https://www.yna.co.k[...]
2020-07-16
[22]
웹사이트
하태경 ''하나의 중국' 원칙 절대적으로 지지한다'
https://www.busan.co[...]
2022-07-22
[23]
웹사이트
“제2, 제3의 하태경 필요”… 중진 의원 험지 출마 목소리 커지는 與
https://www.segye.co[...]
2023-10-09
[24]
웹사이트
링 밖에 있지만…오세훈·인요한에 與 후보들 '헬프콜' 쇄도
https://www.yna.co.k[...]
2024-02-27
[25]
웹사이트
선관위, 與 서울 중·성동을 부정경선 제보 조사
https://www.yna.co.k[...]
2024-03-13
[26]
웹사이트
하태경 의원 사무실에 중국서 발송한 협박소포(종합)
https://www.yna.co.k[...]
2013-10-07
[27]
뉴스
노벨물리학상 꿈꾸던 하태경, "문익환 목사 별세 후 '좌'에서 '우'로 변신"
http://news.sportsse[...]
스포츠서울
2012-04-19
[28]
뉴스
6명 中 1명 軍 미필…새누리 질병-민주 수형
http://media.daum.ne[...]
머니투데이
2012-03-23
[29]
뉴스
새누리당은 종북 하태경 의원을 즉각 제명하라! 애국시민단체 대표 5인 성명서 발표
http://www.newstown.[...]
뉴스타운
2013-07-15
[30]
인터뷰
문익환 "북 가보니 못살아 이상사회 아니야"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11-09-24
[31]
시론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32]
뉴스인용
바른정당 하태경 “홍준표, 국민에게 막말로 총질”
http://news.khan.co.[...]
2018-02-05
[33]
뉴스인용
바른정당 토론회서 "종북몰이는 극우"…한국당 해산 주장도
http://www.yonhapnew[...]
2017-07-09
[34]
웹인용
[신율의출발새아침] 하태경 '개혁보수의 깃발 이렇게 쉽게 포기하나'
http://www.ytn.co.kr[...]
[35]
뉴스인용
하태경, 김세연 탈당에 “제가 PK 유일 바른정당 의원…마지막 자존심 지킬 것”
http://news.donga.co[...]
2018-01-09
[36]
뉴스
바른미래당 전당대회 현역 출마 러시… 손학규는 8일 출마선언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8-08-07
[37]
뉴스
바른미래당, 전당대회…손학규 신임 대표 선출
https://news.sbs.co.[...]
SBS NEWS
2018-09-02
[38]
뉴스
청바지 입은 ‘변혁’ 신당 공식화‥“선수후남으로 150석”
http://www.donga.com[...]
news.donga.com
2019-12-08
[39]
웹사이트
하태경 ‘문 정부 장관’ 꺾고 3선
https://news.joins.c[...]
[40]
보고서
4·13 총선국회의원 당선자 전과현황
http://www.cubs.or.k[...]
바른사회시민회의
2016-04-00
[41]
웹인용
하태경의원 유엔인권이사회 참관기, 웨이브신문, 2013-05-31
http://worldwave.co.[...]
2014-05-16
[42]
웹사이트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 '북한 내부 문제에 주목하라', MBN, 2013-03-18
http://mbn.mk.co.kr/[...]
[43]
간행물
Failure to Protect: A Call for the UN Security Council to Act in North Korea
The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HRNK)
2006-10-30
[43]
간행물
North Korea – Case to Answer – A Call to Act
Christian Solidarity Worldwide
2007-06-20
[43]
보고서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UN Human Rights Council
2013-02-17
[44]
웹사이트
보도자료 원문, Pillay urges more attention to human rights abuses in North Korea, calls for international inquiry
http://www.ohchr.org[...]
2013-01-14
[45]
보고서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UN Human Rights Council
2013-02-01
[46]
웹사이트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설립의 이해와 전망
http://asaninst.org/[...]
2013-05-24
[47]
웹사이트
유엔북한인권특별보고관에서 유엔 COI로, 데일리안
http://www.dailian.c[...]
2013-03-12
[48]
웹인용
하태경 의원, 유엔인권이사회 참관기
http://worldwave.co.[...]
2014-05-16
[49]
웹사이트
ICNK 홈페이지
http://www.stopnkcri[...]
[50]
백과사전
북한인권조사위원회 [北韓人權調査委員會, Commission of Inquiry]
네이버 지식백과,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51]
웹사이트
유엔 COI 北인권 보고서, 안보리 공식문건으로 회람
http://news1.kr/arti[...]
2014-04-20
[52]
웹사이트
하태경, 유엔서 北인권조사위 설립 촉구
http://www.yonhapnew[...]
2013-03-10
[53]
웹인용
(SS탐사-2013 방송결산③) '임성한부터 일베까지' 황당 TV 베스트5, 스포츠서울
http://news.sportsse[...]
2013-12-23
[54]
웹사이트
‘진짜사나이’ 이외수 강연 이변없이 통편집 ‘논란 피했다’, 뉴스엔
http://www.newsen.co[...]
2013-12-15
[55]
웹사이트
'진짜사나이' 군생활 최대위기, '시청률 추락', 미디어오늘
http://www.mediatoda[...]
2013-12-09
[56]
웹사이트
(정동칼럼)하태경 의원이 한 일에 반대하는 이유, 경향신문
http://news.khan.co.[...]
2013-12-01
[57]
웹사이트
언론으로서 존재가치를 상실한 MBC, 미디어오늘
http://www.mediatoda[...]
2013-11-30
[58]
웹사이트
'진짜사나이' 이외수 통편집…이경재 "여당 때문 아냐", 미디어뉴스
http://www.mediaus.c[...]
2013-11-26
[59]
웹사이트
(전문)이외수 ‘진짜사나이’ 강연 편집 MBC 공식입장, 서울신문
http://www.seoul.co.[...]
2013-11-22
[60]
웹사이트
'진짜사나이' 강연 불방…이외수 "사살당한 기분"(종합),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
2013-11-22
[61]
웹사이트
(사설)‘北 천안함 소행’ 부인한 소설가가 ‘해군 강연’이라니, 세계일보
http://www.segye.com[...]
2013-11-21
[62]
웹사이트
이외수-하태경 ‘설전’ 점입가경…새누리·국방부 가세, 한겨레
http://www.hani.co.k[...]
2013-11-21
[63]
웹사이트
이외수 천안함 강연 "천안함 소설이라 해놓고 진짜사나이는 나가고 싶었나?", 조선닷컴
http://news.chosun.c[...]
2013-11-20
[64]
뉴스
민주화운동 양심수, 북한 간첩으로 둔갑시키다니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12-03-29
[65]
뉴스
통합 진보당에 과거 북한 연결된 지하조직원 5명이상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2-03-28
[66]
뉴스
北지하조직원 이석기, ‘민혁당’ 판결문에는..
http://www.upkorea.n[...]
업코리아
2012-03-30
[67]
웹사이트
법정에 선 제보자 "RO 북한과 연계…이석기 의원이 총책"
http://news.jtbc.co.[...]
[68]
웹사이트
<긴급인터뷰> 'NL출신' 하태경이 말하는 이석기는?
http://www.ilyosisa.[...]
[69]
웹사이트
하태경 의원은 통합진보당으로 가라
http://mediawatch.kr[...]
미디어워치
2013-07-04
[70]
뉴스
새누리 "민주당이 오히려 국조파행 원인 제공"(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7-11
[71]
뉴스
하태경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해야"
http://news1.kr/arti[...]
뉴스1
2013-05-17
[72]
뉴스
하태경 “우리민족끼리 가입했다고 다 종북으로 보는 건 오산”
http://www.polinews.[...]
폴리뉴스
2012-04-06
[73]
뉴스
민변, ‘종북몰이로 명예훼손’ 하태경 의원 상대 손배소 패소
http://news.kbs.co.k[...]
KBS 뉴스
[74]
블로그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피해 사실 규명 위해 보건복지부 보유 의료 기록물 긴급 보존 요청
http://radiohaha.net[...]
하태경블로그
2016-07-25
[75]
블로그
모기살충제 1위 브랜드 ‘홈키파’ 가습기살균제 판매 사실 은폐
http://radiohaha.net[...]
하태경블로그
2017-07-25
[76]
블로그
헨켈 독일 본사도 가습기살균제 제조 은폐 동조했다
http://radiohaha.net[...]
하태경블로그
2017-08-12
[77]
뉴스
음주운전 처벌강화 ‘윤창호법’, 하태경 의원 등 103명 공동발의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8-10-21
[78]
뉴스
여야, 음주운전 처벌 강화 '윤창호법' 가결 처리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8-11-29
[79]
뉴스
윤창호법 시행 첫날… 술 취한 운전대 여전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8-12-18
[80]
뉴스
‘윤창호법’ 국회 통과…음주운전 2회이상 최고 징역 5년
http://www.hani.co.k[...]
한겨레
2018-12-07
[81]
뉴스
[여의도 인싸] 하태경 이준석은 왜 ‘워마드’와 전면전에 나섰나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9-01-08
[82]
웹인용
민경욱 "中 공산당 개입 증거"…'Follow the party' 무슨 뜻
https://www.edaily.c[...]
이데일리
2020-05-21
[83]
웹인용
민경욱 "Follow the Party"에 하태경 "Leave the Party" 응수
https://www.edaily.c[...]
이데일리
2020-05-25
[84]
웹인용
하태경 "민경욱 선거 조작 의혹 자체가 조작..국제 망신"(종합)
https://www.edaily.c[...]
이데일리
2020-05-31
[85]
뉴스
하태경 “美대선 부정선거라는 민경욱, 국제망신…제명해야”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20-11-10
[86]
뉴스
트럼프 대선 불복 시위에 포착된 민경욱…“국제 망신”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20-12-14
[87]
뉴스
새누리 하태경 '독도 분쟁지역·친일 옹호' 파장
http://media.daum.ne[...]
노컷뉴스
2012-04-02
[88]
칼럼
<하태경 칼럼> 친북파 청산 기준 세우면 친일파 청산 보인다
http://www.dailynk.c[...]
데일리NK
2008-05-08
[89]
뉴스
일제피해 할머니들, '민족에 막말' 하태경 후보 사퇴 촉구
http://www.dailiang.[...]
데일리중앙
2012-04-06
[90]
뉴스
일제징용피해자 유족 하태경후보 망발에 분노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2-04-06
[91]
뉴스
"내가 왜 새누리당이냐고? 진보당 당권파 때문"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92]
블로그
하태경 블로그
http://blog.naver.co[...]
하태경 블로그
[93]
뉴스
하태경-윤상직, 선거조직 거래 의혹
http://mbn.mk.co.kr/[...]
MBN
2016-01-08
[94]
뉴스
선거조직 뒷거래 의혹 윤상직 장관, 하태경 의원에 넘겨받는 대신 송금?
http://starn.hankyun[...]
한국경제
2016-01-0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명태균 “윤석열·김건희, 인사권·공천권 5대5로 가지기로 했다더라”
[돌비뉴스] "정치와 거리 두고 있는데…" 하태경, 극우 유튜버들 '고발' | JTBC 뉴스
피해자 언급은 없이…장제원 사망에 여당 “마음 아파” “명예훼손 말라”
하태경 보험연수원장, 인카금융 사외이사 맡기로...이해상충 비판
김남국 없고 대선 전후도 없네…위메이드 국회 방문 기록보니 – 바이라인네트워크
[주간 리포트] 부산시 블록체인 특구, 선장 잃은 배 과연 어디로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