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뮤지컬대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뮤지컬대상은 1995년 시작된 대한민국 뮤지컬 시상식으로, 우수한 작품과 예술가를 발굴하고 한국 뮤지컬 발전에 기여해왔다. 초기에는 창작 뮤지컬의 성장을 견인했으며, 2000년대에는 라이선스 뮤지컬의 인기와 함께 시상 부문과 심사 방식의 변화를 겪었다. 2010년대 이후에는 창작 뮤지컬 지원을 강화하고 다양한 장르를 포용하며, 스타 배우 배출과 팬덤 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최우수 작품상, 연출상, 연기상 등 주요 부문 시상을 통해 한국 뮤지컬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며, 앙상블상, 인기스타상, 특별상 등을 통해 뮤지컬계의 다양한 노력을 조명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뮤지컬상 -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은 문화, 연예, 예술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을 선정하여 시상하는 행사로, 누리꾼 투표와 전문가 의견을 종합하여 후보자를 선정하고 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수상자를 결정하며, 영화, 드라마, K-POP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상이 이루어진다. - 대한민국의 뮤지컬상 - 더 뮤지컬 어워즈
더 뮤지컬 어워즈는 2007년부터 개최되어 뮤지컬 분야의 뛰어난 작품, 배우, 스태프에게 상을 수여하며 한국 뮤지컬계의 발전과 성장에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뮤지컬 시상식이다. - 대한민국의 예술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문화예술진흥법에 근거하여 2005년 9월 29일 출범한 대한민국의 문화예술 지원 기관으로, 위원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며 사무처장은 위원장의 지시를 받아 사무를 처리한다. - 대한민국의 예술 - 국립오페라단
국립오페라단은 1962년 국립극장 소속으로 창단되어 재단법인으로 독립한 대한민국의 오페라 단체로서, 정기 공연, 국내외 교류, 교육 사업 등을 통해 오페라 발전과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상 - 백상예술대상
백상예술대상은 대한민국 영화 및 텔레비전 분야의 시상식으로, 매년 봄에 개최되어 영화, TV, 연극 부문에서 다양한 상을 시상하며, 1965년 영화 부문을 시작으로 현재는 JTBC에서 중계 방송을 진행한다. - 대한민국의 상 - 동아연극상
동아연극상은 동아일보가 주최하여 대한민국의 연극 발전에 기여한 인물과 작품을 시상하는 연극상이다.
한국뮤지컬대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주최 | 한국뮤지컬협회 |
위치 | 서울특별시 |
시작일 | 2022년 1월 10일 |
시작 연도 | 1995년 |
재개 연도 | 2013년 |
최다 후보 | 7회 - "레드북" |
네트워크 | 네이버 TV |
관련 정보 | |
주요 | 한국뮤지컬대상 |
기타 | |
한국어 명칭 | 한국뮤지컬대상 |
로마자 표기 | Hanguk Myujikeol Daesang |
2. 역사
한국뮤지컬대상은 1995년 처음 개최된 이후 한국 뮤지컬 시장의 성장과 함께 발전해왔다. 초기에는 창작 뮤지컬 발굴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후 라이선스 뮤지컬의 인기를 반영하여 시상 부문을 조정하였다. 2000년대에는 시장의 급격한 성장에 발맞춰 질적 성장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고, 2010년대 이후에는 다양성과 창작 뮤지컬 지원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해왔다.
역대 주요 수상작은 다음과 같다.
회수 | 연도 | 작품 | |
---|---|---|---|
1회 | 1995년 | 스타가 될 거야[1] | |
2회 | 1996년 | 명성황후[1] | |
3회 | 1997년 | 겨울 나그네[1] | |
4회 | 1998년 | 한네[1] | |
5회 | 1999년 | 애니깽[1] | |
6회 | 2000년 | 태풍[1] | |
7회 | 2001년 | 수상작 없음[1] | |
8회 | 2002년 | 더 플레이[1] | |
9회 | 2003년 | 로미오와 줄리엣[1] | |
10회 | 2004년 | 마리아 마리아[1] | |
11회 | 2005년 | 아이 러브 유[1] | |
12회 | 2006년 | 오! 당신이 잠든 사이[1] | |
13회 | 2007년 | 댄싱 섀도우[1] | |
14회 | 2008년 | 내 마음의 풍금[1] | |
15회 | 2009년 | 대장금[1] | |
16회 | 2010년 | 영웅[1] | |
17회 | 2011년 | 셜록홈즈[1] | |
회차 | 연도 | 창작 | 라이센스 |
18회 | 2012년 | 왕세자 실종사건 | 라카지[1] |
19회 | 2013년 | 그날들 | 레미제라블[1] |
2. 1. 제정 배경 및 초기 (1995~2000)
1995년, 한국 뮤지컬 시장은 성장 가능성은 있었지만, 아직 대중적인 인기를 얻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뮤지컬 배우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우수한 창작 뮤지컬을 발굴하여 한국 뮤지컬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국뮤지컬대상 시상식이 제정되었다.제1회 한국뮤지컬대상은 1995년에 개최되었으며, 뮤지컬 '스타가 될 거야'가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하였다. 이 작품은 당시 젊은이들의 꿈과 열정을 그려내며 큰 호응을 얻었으며, 나현희가 여자 연기상을 수상하며 주목받았다.
1996년 제2회 시상식에서는 일제에 의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명성황후의 일대기를 그린 뮤지컬 '명성황후'가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하며 한국 창작 뮤지컬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윤호진이 연출상을, 김성녀가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초기 시상식에서는 남경주, 최정원 등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활동하는 1세대 뮤지컬 배우들이 인기스타상을 수상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회수 | 연도 | 작품 |
---|---|---|
1회 | 1995년 | 스타가 될 거야 |
2회 | 1996년 | 명성황후 |
3회 | 1997년 | 겨울 나그네 |
4회 | 1998년 | 한네 |
5회 | 1999년 | 애니깽 |
6회 | 2000년 | 태풍 |
2. 2. 발전 및 성장기 (2001~2010)
2000년대 초반, 한국 뮤지컬 시장은 라이선스 뮤지컬의 인기와 함께 급격하게 성장했다. 이 시기, 한국뮤지컬대상은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 성장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며, 시상 부문과 심사 방식에 변화를 꾀했다. 특히, 창작 뮤지컬 부문과 라이선스 뮤지컬 부문을 분리하여 시상하고, 작품상 외에도 연출, 극본, 음악, 연기 등 다양한 부문에 대한 시상을 강화했다.이 시기에 오페라의 유령, 지킬 앤 하이드, 맘마미아! 등 대형 라이선스 뮤지컬들이 흥행하며, 한국 뮤지컬 시장의 규모를 확장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또한, 영웅, 대장금 등 창작 뮤지컬 역시 작품성과 대중성을 인정받으며, 한국 뮤지컬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오만석, 조승우, 옥주현 등 새로운 스타 배우들이 등장하며 뮤지컬 팬덤 문화가 형성되기 시작한 시기이기도 하다.
다음은 2001년부터 2010년까지의 한국뮤지컬대상의 주요 수상작들이다.
회수 | 연도 | 작품 |
---|---|---|
7회 | 2001년 | 수상작 없음 |
8회 | 2002년 | 더 플레이 |
9회 | 2003년 | 로미오와 줄리엣 |
10회 | 2004년 | 마리아 마리아 |
11회 | 2005년 | 아이 러브 유 |
12회 | 2006년 | 오! 당신이 잠든 사이 |
13회 | 2007년 | 댄싱 섀도우 |
14회 | 2008년 | 내 마음의 풍금 |
15회 | 2009년 | 대장금 |
16회 | 2010년 | 영웅 |
2. 3. 성숙기 및 새로운 도전 (2011~현재)
2010년대 이후, 한국 뮤지컬 시장은 더욱 성숙해지고 다양한 시도와 실험이 이루어지는 시기를 맞이한다. 한국뮤지컬대상은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창작 뮤지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다양한 장르와 형식의 뮤지컬을 포용하기 위해 노력한다.특히 소극장 창작 뮤지컬의 약진, 웹툰/드라마 원작 뮤지컬의 증가, K-뮤지컬의 해외 진출 등 새로운 경향과 현상들을 반영하여 시상식을 운영한다. 그날들, 레미제라블 등 작품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뮤지컬들이 꾸준히 등장하며 한국 뮤지컬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회차 | 연도 | 창작 | 라이센스 |
---|---|---|---|
18회 | 2012년 | 왕세자 실종사건 | 라카지 |
19회 | 2013년 | 그날들 | 레미제라블 |
[1]
한국뮤지컬대상의 주요 부문별 역대 수상자 목록은 다음과 같다.
3. 주요 부문별 역대 수상자
참고:
### 최우수 작품상
1995년 스타가 될 거야를 시작으로, 명성황후, 영웅, 셜록홈즈 등 쟁쟁한 작품들이 수상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한다.
### 연출상
1995년 번데기의 이종훈 연출가를 시작으로, 명성황후의 윤호진, 영웅의 윤호진 연출가 등이 수상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한다.
### 극본상
1995년 번데기의 오은희 작가를 시작으로, 셜록홈즈의 노우성 작가 등이 수상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한다.
### 작곡상
1995년 스타가 될 거야의 김형석 작곡가를 시작으로, 번지 점프를 하다의 Will Aronson|윌 아론슨영어 음악감독 등이 수상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한다.
### 음악상
1996년 사랑은 비를 타고의 최귀섭 음악감독을 시작으로, 번지점프를 하다의 Will Aronson|윌 아론슨영어 음악감독 등이 수상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한다.
### 안무상
1995년 스타가 될 거야의 서병구 안무가를 시작으로, 라카지의 서병구 안무가 등이 수상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한다.
### 무대미술상
1995년 스타가 될 거야의 박동우 무대미술가를 시작으로, 영웅의 박동우 무대미술가 등이 수상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한다.
### 기술상
1995년 번데기의 손진숙 기술감독을 시작으로, 잭더리퍼의 권도경 기술감독 등이 수상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한다.
### 남우주연상
연도 | 배우 | 뮤지컬 |
---|---|---|
1995 | 박철호 | 징게맹게 너른들 |
1996 | 남경읍 | 사랑은 비를 타고 |
1997 | 남경주 | 고래사냥 |
1998 | 유희성 | 심청, 명성황후 |
1999 | 송용태 | 애니깽, 남자넌센스 |
2000 | 허준호 | 겜블러 |
2001 | 김성기 | 드라큘라 |
2002 | 유준상 | 더 플레이 |
2003 | 김장섭 | 사랑은 비를 타고 |
2004 | 조승우 | 지킬 앤 하이드 |
2005 | 오만석 | 헤드윅 |
2006 | 송용태 | 프로듀서스 |
2007 | 류정한 | 쓰릴 미 |
2008 | 김법래 | 노트르담 드 파리 |
2009 | 김무열 | 스프링 어웨이크닝 |
2010 | 정성화 | 영웅 |
2011 | 김우형 | 아이다 |
2012 | 김준수 | 엘리자벳 |
2013 | 정성화 | 레 미제라블 |
### 여우주연상
연도 | 배우 | 뮤지컬 |
---|---|---|
1995 | 나현희 | 스타가 될거야 |
1996 | 김성녀 | 7인의 신부 |
1997 | 윤복희 | 빠담빠담빠담 |
1998 | 김원정, 이태원 | 명성황후 |
1999 | 전수경 | 라이프 |
2000 | 이정화 | 태풍 |
2001 | 최정원 | 시카고 |
2002 | 전수경 | 키스 미, 케이트 |
2003 | 서지영 | 풋루스 |
2004 | 강효성 | 마리아 마리아 |
2005 | 배해선 | 아이다 |
2006 | 오나라 | 김종욱 찾기 |
2007 | 김선영 | 에비타 |
2008 | 김소현 | 마이 페어 레이디 |
2009 | 홍지민 | 드림걸즈 |
2010 | 최정원 | 키스 미, 케이트 |
2011 | 조정은|조정은한국어 | 피맛골 연가 |
2012 | 옥주현 | 엘리자벳 |
2013 | 정선아 | 아이다 |
### 남우조연상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한다.
### 여우조연상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한다.
### 남우신인상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한다.
### 여우신인상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한다.
### 앙상블상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한다.
### 인기스타상
회차 | 연도 | 남자 배우 | 여자 배우 |
---|---|---|---|
1 | 1995 | 남경주 | 하희라 |
2 | 1996 | 남경주 | 윤석화 |
3 | 1997 | 남경주, 김민수 | 이정화, 최정원 |
8 | 2002 | 남경주, 주원성, 허준호 | 김선경, 이혜경, 최정원 |
9 | 2003 | 남경주, 이건명 | 김선경, 이혜경 |
10 | 2004 | 남경주 | 김선경 |
11 | 2005 | 오만석 | 이영미 |
12 | 2006 | 오만석 | 김소현 |
13 | 2007 | 오만석, 조승우 | 오나라, 윤공주 |
14 | 2008 | 윤형렬 | 바다 |
15 | 2009 | 홍광호 | 바다 |
16 | 2010 | 김준수 | 정선아 |
17 | 2011 | 김준수 | 윤공주 |
18 | 2012 | 김준수 | 김선영 |
19 | 2013 | 조승우, 김준수 | 김소현, 옥주현 |
### 프로듀서상
연도 | 수상자 |
---|---|
2005 | 김용현 |
2006 | 설도윤 |
2007 | 송승환 |
2008 | 윤호진 |
2009 | 신춘수 |
### 특별상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한다.
3. 1. 최우수 작품상
한국뮤지컬대상의 최우수 작품상은 해당 연도 최고의 뮤지컬 작품에게 수여되는 가장 권위 있는 상이다. 창작 뮤지컬과 라이선스 뮤지컬을 번갈아 시상하거나, 두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하기도 한다. 역대 수상작들을 통해 한국 뮤지컬의 발전 과정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회차 | 연도 | 작품 | 비고 |
---|---|---|---|
1 | 1995 | 스타가 될 거야 | |
2 | 1996 | 명성황후 | |
3 | 1997 | 겨울 나그네 | |
4 | 1998 | 한네 | |
5 | 1999 | 애니깽 | |
6 | 2000 | 태풍 | |
7 | 2001 | 수상작 없음 | |
8 | 2002 | 더 플레이 | |
9 | 2003 | 로미오와 줄리엣 | |
10 | 2004 | 마리아 마리아 | |
11 | 2005 | 아이 러브 유 | |
12 | 2006 | 오! 당신이 잠든 사이 | |
13 | 2007 | 댄싱 섀도우 | |
14 | 2008 | 내 마음의 풍금 | |
15 | 2009 | 대장금 | |
16 | 2010 | 영웅 | |
17 | 2011 | 셜록홈즈 | |
18 | 2012 | 왕세자실종사건 | 창작 |
라카지 | 라이선스 | ||
19 | 2013 | 그날들 | 창작 |
레미제라블 | 라이선스 |
3. 2. 연출상
최우수 연출상 | ||||
---|---|---|---|---|
# | 년도 | 수상자 | 뮤지컬 | 제작사 |
1회 | 1995 | 이종훈 | 번데기 | 극단 맥토 |
2회 | 1996 | 윤호진 | 명성황후 | 뮤지컬프러덕션 에이콤 |
3회 | 1997 | 배해일 | 쇼코미디 | 서울뮤지컬컴퍼니 |
4회 | 1998 | 이종훈 | 한네 | 서울시립뮤지컬단 |
5회 | 1999 | 박종선 | 피가로의 결혼 | 서울시립뮤지컬단 |
6회 | 2000 | 한진섭 | 겜블러 | 신시뮤지컬컴퍼니 |
7회 | 2001 | 김철리 | 듀엣 | 신시뮤지컬컴퍼니 |
8회 | 2002 | 임영웅 | 키스 미, 케이트 | 신시뮤지컬컴퍼니 |
9회 | 2003 | 유희성 | 로미오와 줄리엣 | 서울예술단 |
10회 | 2004 | 윤석화 | 토요일 밤의 열기 | |
11회 | 2005 | 한진섭 | 아이러브유 | 설앤컴퍼니, CJ엔터테인먼트 |
12회 | 2006 | 이윤택 | 화성에서 꿈꾸다 | 경기도 문화의전당 |
13회 | 2007 | 김달중 | 스핏파이어 그릴 | 충무아트홀, 쇼노트, CJ엔터테인먼트 |
14회 | 2008 | 조광화 | 내 마음의 풍금 | 쇼틱커뮤니케이션즈 |
15회 | 2009 | 이지나 | 대장금 | MBC, PMC프러덕션 |
16회 | 2010 | 윤호진 | 영웅 | 에이콤인터내셔널 |
17회 | 2011 | 김효경 | 투란도 | |
18회 | 2012 | 서재형 | 왕세자 실종사건 | |
19회 | 2013 | 장유정 | 그날들 |
3. 3. 극본상
뮤지컬의 스토리와 대본을 담당하는 작가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탄탄한 구성과 흥미로운 스토리, 감동적인 대사 등이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된다. 창작 뮤지컬의 경우, 극작가가 작곡/작사를 겸하는 경우도 많다.# | 연도 | 수상자 | 뮤지컬 | 제작사 |
---|---|---|---|---|
1회 | 1995 | 오은희 | 번데기 | 극단 맥토 |
2회 | 1996 | 김정숙 | 블루 사이공 | 극단 모시는사람들 |
3회 | 1997 | 해당작 없음 | ||
4회 | 1998 | 해당작 없음 | ||
5회 | 1999 | 해당작 없음 | ||
6회 | 2000 | 해당작 없음 | ||
7회 | 2001 | 오은희 (작사, 극본상) | 오! 해피데이 | 서울뮤지컬컴퍼니 |
8회 | 2002 | 김수경 | 더 플레이 | 인터커뮤니티, 퍼포먼스 바다 |
9회 | 2003 | 해당작 없음 | ||
10회 | 2004 | 유혜정 | 마리아 마리아 | |
11회 | 2005 | 추민주 (작사,극본상) | 빨래 | 명랑씨어터 수박 |
12회 | 2006 | 장유정 | 오! 당신이 잠든 사이 | 극단 연우무대 |
13회 | 2007 | 박용전 | 오디션 | 오픈런뮤지컬컴퍼니 |
14회 | 2008 | 이희준 | 내 마음의 풍금 | 쇼틱커뮤니케이션즈 |
15회 | 2009 | 박인선 | 스페셜레터 | 악어컴퍼니, 극단i-company, CJ엔터테인먼트 |
16회 | 2010 | 한아름 | 영웅 | 에이콤인터내셔널 |
17회 | 2011 | 노우성 | 셜록홈즈 | |
18회 | 2012 | 오미영 | 식구를 찾아서 | |
19회 | 2013 | 한정석 | 여신님이 보고 계셔 |
3. 4. 작곡상
뮤지컬의 음악을 작곡한 사람에게 주는 상이다. 뮤지컬 넘버의 멜로디, 가사, 오케스트레이션 등 음악적인 완성도가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된다. 창작 뮤지컬의 경우, 극작가가 작곡/작사를 겸하는 경우도 많다.회차 | 연도 | 수상자 | 뮤지컬 | 비고 |
---|---|---|---|---|
1회 | 1995 | 김형석 | 스타가 될거야 | 최우수 작곡가 |
2회 | 1996 | 최귀섭 | 사랑은 비를 타고 | 음악상 |
3회 | 1997 | 최종혁 | 어느 곳에도 나의 발자국은 남아있지 않다 | 음악상 |
4회 | 1998 | 최창권, 최귀섭 | 심청 | 음악상 |
5회 | 1999 | 정치용 | 눈물의 여왕 | 음악상 |
6회 | 2000 | 김대성 | 태풍 | 음악상 |
7회 | 2001 | 정민선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음악상 |
8회 | 2002 | - | - | - |
9회 | 2003 | 데니악 바르탁 | 로미오와 줄리엣 | 음악상 |
10회 | 2004 | 차경찬 | 마리아 마리아 | 음악상 |
11회 | 2005 | 박용전 | 밑바닥에서 | 음악상 |
12회 | 2006 | 강상구 | 화성에서 꿈꾸다 | 음악상 |
13회 | 2007 | 장소영 | 싱글즈 | 작곡상 |
14회 | 2008 | 김문정, 최주영 | 내 마음의 풍금 | 작곡상 |
15회 | 2009 | 이지수 | 기발한 자살여행 | 작곡상 |
16회 | 2010 | 김동성 | 남한산성 | 작곡상 |
17회 | 2011 | 최종윤 | 셜록홈즈 | 작곡상 |
18회 | 2012 | Will Aronson|윌 아론슨영어 | 번지 점프를 하다 | 음악상 |
19회 | 2013 | 원미솔 | 해를 품은 달 | 음악상 |
3. 5. 음악상
뮤지컬 음악 전반을 담당하는 음악감독, 편곡자, 연주자 등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작곡, 편곡, 연주, 음향 등 음악적인 완성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회차 | 연도 | 수상자 | 작품 | 비고 |
---|---|---|---|---|
2 | 1996 | 최귀섭 | 사랑은 비를 타고 | |
3 | 1997 | 최종혁 | 어느 곳에도 나의 발자국은 남아있지 않다 | |
4 | 1998 | 최창권, 최귀섭 | 심청 | |
5 | 1999 | 정치용 | 눈물의 여왕 | |
6 | 2000 | 김대성 | 태풍 | |
7 | 2001 | 정민선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
9 | 2003 | 데니악 바르탁 | 로미오와 줄리엣 | |
10 | 2004 | 차경찬 | 마리아 마리아 | |
11 | 2005 | 박용전 | 밑바닥에서 | |
12 | 2006 | 강상구 | 화성에서 꿈꾸다 | |
13 | 2007 | 박칼린 | 댄싱 섀도우 | |
14 | 2008 | 이나영 | 씨왓아이워너씨 | |
15 | 2009 | 원미솔 | 드림걸즈 | |
16 | 2010 | 피터 케이시 | 영웅 | |
17 | 2011 | 엄기영 | 투란도 | |
18 | 2012 | 윌 에러슨 | 번지점프를 하다 | 작곡 |
19 | 2013 | 원미솔 | 해를 품은 달 |
3. 6. 안무상
한국뮤지컬대상 안무상은 뮤지컬의 안무를 담당하는 안무가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뮤지컬 넘버에 맞춰 배우들의 움직임과 동선을 구성하고, 춤과 동작을 통해 극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능력이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된다.역대 한국뮤지컬대상 안무상 수상자 | ||||
---|---|---|---|---|
# | 연도 | 수상자 | 뮤지컬 | 제작사 |
1회 | 1995 | 서병구 | 스타가 될거야 | 프로덕션 아콤 |
2회 | 1996 | 국수호 | 광개토대왕 | 서울특별시뮤지컬단 |
3회 | 1997 | 안애순 | 어느 곳에도 나의 발자국은 남아있지 않다 | 서울시립무용단 |
4회 | 1998 | 해당 없음 | ||
5회 | 1999 | 최청자 | 지붕 위의 바이올린 | 서울특별시뮤지컬단 |
6회 | 2000 | 박일규 | 태풍 | 서울시립극단 |
7회 | 2001 | 정은정 | 시카고, 렌트 | 신시뮤지컬컴퍼니 |
8회 | 2002 | 박상규 | 토미 | 극단 대중 |
9회 | 2003 | 변사라 | 풋루스 | 뮤지컬컴퍼니 대중 |
10회 | 2004 | 서정선 | 카르멘 | |
11회 | 2005 | 이란영 | 하드락 카페-Lost In Paradise | 서울뮤지컬컴퍼니 |
12회 | 2006 | 안애순 | 바람의 나라 | 서울예술단 |
13회 | 2007 | 크리스 베일리 | 댄싱 섀도우 | 신시뮤지컬컴퍼니 |
14회 | 2008 | 데이비드 스완 | 마이 페어 레이디 | Tri-Pro, OD 뮤지컬컴퍼니 |
15회 | 2009 | 최인숙 | 로미오 앤 줄리엣 | Sguk 엔터테인먼트 |
16회 | 2010 | 서병구 | 올댓재즈 | |
17회 | 2011 | 오재익 | 늑대의 유혹 | |
18회 | 2012 | 서병구 | 라카지 | |
19회 | 2013 | 오재익, 정도영 | 그날들 |
3. 7. 무대미술상
무대미술상 | ||||
---|---|---|---|---|
# | 연도 | 수상자 | 뮤지컬 | 제작사 |
1 | 1995 | 박동우 | 스타가 될거야 | 프로덕션 에이콤 |
2 | 1996 | 박동우 | 명성황후 | 프로덕션 에이콤 |
3 | 1997 | 박동우 | 겨울 나그네 | 에이콤 |
4 | 1998 | 윤정섭 | 한네 | 서울시립뮤지컬단 |
5 | 1999 | 변창순 (의상) | 바리-잊혀진 자장가 | 서울예술단 |
6 | 2000 | 이태섭 (의상) | 록 햄릿 | 서울뮤지컬컴퍼니 |
7 | 2001 | 이수동(의상) | 시카고, 렌트, 듀엣 | 신시뮤지컬컴퍼니 |
올댓재즈 | 스타써치21 | |||
8 | 2002 | 김준섭 (무대미술) | 틱, 틱... 붐! | 신시뮤지컬컴퍼니 |
9 | 2003 | 천경순, 하성옥 (무대미술) | 고려의 아침 | 서울예술단 |
10 | 2005 | 서숙진 (무대) |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 | 설앤컴퍼니, RUC, CJ엔터테인먼트 |
11 | 2006 | 황연희 (의상) | 불의 검 | 코코즘 |
12 | 2007 | 박성민 | 싱글즈 | 악어컴퍼니, 오디뮤지컬컴퍼니, CJ엔터테인먼트 |
13 | 2008 | 정승호 | 내 마음의 풍금 | 쇼틱커뮤니케이션즈 |
14 | 2009 | 로빈 와그너 (무대) | 드림걸즈 | 오디뮤지컬컴퍼니, CJ엔터테인먼트, 샤롯데씨어터 |
15 | 2010 | 박동우 | 영웅 | 에이콤인터내셔널 |
16 | 2011 | 여신동 | 모비딕 |
3. 8. 기술상
한국뮤지컬대상의 기술상은 뮤지컬의 기술적인 부분을 담당하는 스태프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조명, 음향, 특수효과 등 기술적인 완성도와 안정성을 통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 정도가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된다.연도 | 수상자 | 작품 | 비고 |
---|---|---|---|
1995 | 손진숙 | 번데기 | |
1996 | 김현숙 | 명성황후 | |
1997 | 김기영 | 쇼코미디 | 음향 |
1997 | 김영수 | 브로드웨이42번가 | 무대감독 |
1998 | 이상봉 | 심청 | 조명 |
1999 | 이영주 | 드라큘라 | 기술감독 |
1999 | 구유진 | 라이프 | 분장 |
2000 | 김유선 | 태풍 | 분장 |
2001 | 민경수 | 시카고, 로마의 휴일 | 조명 |
2002 | 손민식 | 카바레, 틱틱붐 | 무대감독 |
2003 | 이종일 | 태풍 | 기술감독 |
2004 | 김미경 | 그리스 | |
2005 | 유석용 | 아이다 | 기술감독 |
2006 | 구윤영 | 바람의 나라 | 조명 |
2007 | 권도경 | 애니 | 음향 |
2008 | 백시원 | 스위니 토드 | 조명 |
2009 | 노병우 | 드림걸즈 | 무대감독 |
2010 | 김유선 | 모차르트 | |
2011 | 권도경 | 잭더리퍼 | |
2012 | 민경수 | 두 도시 이야기 | 조명 |
2013 | 강국현 | 벽을 뚫는 남자 |
3. 9. 남우주연상
한국뮤지컬대상의 남우주연상은 뛰어난 연기력과 가창력으로 주연 역할을 훌륭하게 소화한 남자 배우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캐릭터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몰입, 관객을 사로잡는 무대 장악력이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된다.연도 | 수상자 | 작품 | 비고 |
---|---|---|---|
1995 | 박철호 | 징게맹게 너른들 | 서울예술단 |
1996 | 남경읍 | 사랑은 비를 타고 | 서울뮤지컬컴퍼니 |
1997 | 남경주 | 고래사냥 | 환퍼포먼스 |
1998 | 유희성 | 심청, 명성황후 | 서울예술단, 프로덕션에이콤 |
1999 | 송용태 | 애니깽, 남자넌센스 | 서울예술단, 서울뮤지컬컴퍼니 |
2000 | 허준호 | 겜블러 | 신시뮤지컬컴퍼니 |
2001 | 김성기 | 드라큘라 | 극단 갖가지 |
2002 | 유준상 | 더 플레이 | 인터커뮤니티, 퍼포먼스 바다 |
2003 | 김장섭 | 사랑은 비를 타고 | 오디뮤지컬컴퍼니 |
2004 | 조승우 | 지킬 앤 하이드 | 오디뮤지컬컴퍼니 |
2005 | 오만석 | 헤드윅 | 쇼노트 |
2006 | 송용태 | 프로듀서스 | 설앤컴퍼니, CJ엔터테인먼트 |
2007 | 류정한 | 쓰릴 미 | 뮤지컬해븐 |
2008 | 김법래 | 노트르담 드 파리 | NDPK |
2009 | 김무열 | 스프링 어웨이크닝 | 뮤지컬해븐, CJ엔터테인먼트 |
2010 | 정성화 | 영웅 | 에이콤인터내셔널 |
2011 | 김우형 | 아이다 | 신시뮤지컬컴퍼니, CJ엔터테인먼트, 문화방송 |
2012 | 김준수 | 엘리자벳 | EMK뮤지컬컴퍼니 |
2013 | 정성화 | 레 미제라블 | 레미제라블코리아 |
3. 10. 여우주연상
여우주연상 | |||||
---|---|---|---|---|---|
회차 | 연도 | 수상자 | 뮤지컬 | 제작사 | |
1회 | 1995 | 나현희 | 스타가 될거야 | 뮤지컬 프로덕션 에이콤 | |
2회 | 1996 | 김성녀 | 7인의 신부 | 신시뮤지컬컴퍼니 | |
3회 | 1997 | 윤복희 | 빠담빠담빠담 | 극단 유 | |
4회 | 1998 | 김원정, 이태원 | 명성황후 | 프로덕션 에이콤 | |
5회 | 1999 | 전수경 | 라이프 | 신시뮤지컬컴퍼니 | |
6회 | 2000 | 이정화 | 태풍 | 서울예술단 | |
7회 | 2001 | 최정원 | 시카고 | 신시뮤지컬컴퍼니 | |
8회 | 2002 | 전수경 | 키스 미, 케이트 | 신시뮤지컬컴퍼니 | |
9회 | 2003 | 서지영 | 풋루스 | 뮤지컬컴퍼니 대중 | |
10회 | 2004 | 강효성 | 마리아 마리아 | ||
11회 | 2005 | 배해선 | 아이다 | 신시뮤지컬컴퍼니, CJ엔터테인먼트 문화방송 | |
12회 | 2006 | 오나라 | 김종욱 찾기 | CJ엔터테인먼트, 뮤지컬해븐프로덕션 | |
13회 | 2007 | 김선영 | 에비타 | 설앤컴퍼니, RUG, CJ엔터테인먼트 | |
14회 | 2008 | 김소현 | 마이 페어 레이디 | 프라이프로, 오디뮤지컬컴퍼니 | |
15회 | 2009 | 홍지민 | 드림걸즈 | 오디뮤지컬컴퍼니,CJ엔터테인먼트,샤롯데씨어터 | [3] |
16회 | 2010 | 최정원 | 키스 미, 케이트 | ||
17회 | 2011 | 조정은|조정은한국어 | 피맛골 연가 | ||
18회 | 2012 | 옥주현 | 엘리자벳 | ||
19회 | 2013 | 정선아 | 아이다 |
3. 11. 남우조연상
한국뮤지컬대상의 남우조연상은 주연 배우를 뒷받침하며 극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 남자 조연 배우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안정적인 연기력과 앙상블과의 조화, 극의 흐름에 대한 이해 등이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된다.[3]연도 | 배우 | 뮤지컬 | 제작사 |
---|---|---|---|
1995 | — | | | |
1996 | 김민수 | 명성황후 | |
1997 | 송용태 | 빠담빠담빠담 | 극단 유 |
1998 | 곽은태 | 한네 | 서울시립가무단 |
1999 | 이인철 | 걸즈 앤 가이즈 | 민광대 |
2000 | 고미경 | 페임 | 뮤지컬 프로덕션 아콤 |
2001 | 김진태 | 시카고 | 신시뮤지컬컴퍼니 |
2002 | 임춘길 | 더 플레이 | 인터커뮤니티, 공연바다 |
2003 | 조승룡 | 몽골 | 아콤 인터내셔널 |
2004 | 이석준 | 블루스 브라더스 | |
2005 | 김재만 | 돈키호테 | 오디뮤지컬컴퍼니 |
2006 | 이희정 | 프로듀서스 | 설앤컴퍼니, CJ엔터테인먼트 |
2007 | 성기윤 | 춤추는 그림자 | 신시뮤지컬컴퍼니 |
2008 | 서범석 | 노트르담 드 파리 | NDPK |
2009 | 조정석 | 스프링 어웨이크닝 | |
2010 | 최민철 | 몬테크리스토 | |
2011 | 이건명 | 잭더리퍼 | |
2012 | 김호영 | 라카지 | |
2013 | 이지훈 | 엘리자벳 |
3. 12. 여우조연상
Best Supporting Actress영어는 주연 배우를 뒷받침하며 극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 여자 조연 배우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안정적인 연기력과 앙상블과의 조화, 극의 흐름에 대한 이해 등이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된다.최우수 조연 여우상 | ||||
---|---|---|---|---|
회차 | 연도 | 수상자 | 뮤지컬 | 제작사 |
1 | 1995 | — | ||
2 | 1996 | 최정원 | 사랑은 비를 타고 | 서울뮤지컬컴퍼니 |
3 | 1997 | 전수경 | 42번가 | 삼성영상사업단 |
4 | 1998 | 이정화 | 42번가 | 삼성영상사업단 |
심청 | 아츠팀 | |||
5 | 1999 | 임선애 | 하드 락 카페 | 서울뮤지컬컴퍼니 |
6 | 2000 | 고미경 | 태풍 | 서울공연예술 |
7 | 2001 | 방주란 | 브라더스 | 학전 |
8 | 2002 | 서지영 | 더 플레이 | 인터커뮤니티, 퍼포먼스 바다 |
9 | 2003 | 이경미 | 우리동네 | Since 뮤지컬 컴퍼니 |
10 | 2004 | 문희경 | 미녀와 야수 | |
11 | 2005 | 정영주 | 배트 보이 | Since 뮤지컬 컴퍼니 |
12 | 2006 | 김선경 | 프로듀서스 | 설앤컴퍼니, CJ엔터테인먼트 |
13 | 2007 | 이혜경 | 스핏파이어 그릴 | 충무아트홀, 쇼노트, CJ엔터테인먼트 |
14 | 2008 | 박준면 | 내가Show | 뮤지컬 헤븐, CJ엔터테인먼트 |
15 | 2009 | 김경선 | 자나, 돈트 | Since 뮤지컬 컴퍼니, 인터파크INT, 세종문화회관 |
16 | 2010 | 정영주 | 빌리 엘리어트 | |
17 | 2011 | 구원영 | ||
18 | 2012 | 오소연한국어 | ||
19 | 2013 | 박준면 |
3. 13. 남우신인상
한국뮤지컬대상 남우신인상은 해당 연도에 데뷔하거나 새롭게 주목받기 시작한 남자 배우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잠재력, 성장 가능성, 신선한 매력 등이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되며, 미래의 스타 배우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데 기여하는 의미를 가진다.연도 | 배우 | 뮤지컬 | 제작사 |
---|---|---|---|
1995 | 주원성 | 그리스 록큰롤 | 신시뮤지컬컴퍼니 |
1996 | 김법래 | 아틀란티스 2045 | 서울공연예술 |
1997 | 서창우 | 겨울 나그네 | 아콤 |
1998 | 류정한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 삼성영상사업단 |
1999 | 오재익 | 하드 락 카페 | 서울뮤지컬컴퍼니 |
2000 | 조정근 | 태풍 | 서울공연예술 |
2001 | 이건명 | 렌트 | 신시뮤지컬컴퍼니 |
2002 | 윤영석 | 오페라의 유령 | 제미로-RUG |
2003 | 민영기 | 로미오와 줄리엣 | 서울공연예술 |
2004 | 박건형 | 토요일 밤의 열기 | (정보 없음) |
2005 | 김수용 | 배트 보이: 더 뮤지컬 | 신시뮤지컬컴퍼니 |
2006 | 김다현 | 폴 인 러브 | 씨네라인-2 |
2007 | 김도현 | 싱글즈 | 악어컴퍼니, 오디뮤지컬컴퍼니, CJ 엔터테인먼트 |
2008 | 조정석 | 나의 마음의 풍금 | (정보 없음) |
2009 | 박동하 | 42번가 | CJ 엔터테인먼트, 설앤컴퍼니 |
2010 | 김준수 | 모차르트! | (정보 없음) |
김세용, 이지명, 임선우, 정진호한국어 | 빌리 엘리어트 | (정보 없음) | |
2011 | 박은태 | 프랑켄슈타인 | (정보 없음) |
2012 | 카이 | 두 도시 이야기 | (정보 없음) |
2013 | 전동석 | 해를 품은 달 | (정보 없음) |
3. 14. 여우신인상
여우신인상은 해당 연도에 데뷔하거나 새롭게 주목받기 시작한 여자 배우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요약에 따르면 잠재력과 성장 가능성, 신선한 매력 등이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되며, 미래의 스타 배우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데 기여하는 의미 있는 상이다.여우신인상 | ||||
---|---|---|---|---|
# | 연도 | 배우 | 뮤지컬 | 제작사 |
1회 | 1995 | 최정원 | 마지막 춤을 나와 함께 | 극단 신화 |
2회 | 1996 | 김정숙 | 7인의 신부 | 신시 뮤지컬 컴퍼니 |
3회 | 1997 | 오정해 | 쇼 코미디 | 서울시립가무단 |
4회 | 1998 | 이지은 | 지하철 1호선 | 극단 학전 |
5회 | 1999 | 이혜경 | 피가로의 결혼 | 서울시립가무단 |
6회 | 2000 | 김선영 | 페임 | 아컴 |
7회 | 2001 | 김영주 | 렌트 | 신시 뮤지컬 컴퍼니 |
8회 | 2002 | 배해선 | 그녀를 사랑해줘 | 오디 뮤지컬 컴퍼니 |
9회 | 2003 | 조정은 | 로미오와 줄리엣 | 서울공연예술 |
10회 | 2004 | 소냐 | 지킬 앤 하이드 | |
11회 | 2005 | 옥주현 | 아이다 | 신시 뮤지컬 컴퍼니, CJ엔터테인먼트, 문화방송 |
12회 | 2006 | 윤공주 | 드라큘라 | 다인컬쳐, 바다 뮤지컬 컴퍼니 |
13회 | 2007 | 이민아 | 헤어 페인팅 | 장강 |
14회 | 2008 | 바다 | 노트르담 드 파리 | NDPK |
15회 | 2009 | 임혜영 | 42번가 | |
16회 | 2010 | 차지연 | 서편제 | |
17회 | 2011 | 송상은 | 스프링 어웨이크닝 | |
18회 | 2012 | 아이비 | 시카고 | |
19회 | 2013 | 박지연 | 레 미제라블 |
3. 15. 앙상블상
앙상블상 | |||
---|---|---|---|
# | 연도 | 수상작 | 제작사 |
5회 | 1999 | 피가로의 결혼 | 서울특별시 뮤지컬단 |
6회 | 2000 | 도박사 | 신시 뮤지컬 컴퍼니 |
7회 | 2001 | 듀엣 | |
8회 | 2002 | 키스 미, 케이트 | |
9회 | 2003 | 로미오 앤 줄리엣 | 서울예술단 |
10회 | 2004 | 토요일 밤의 열기 | |
11회 | 2005 | 아이 러브 유 | 설앤컴퍼니, CJ 엔터테인먼트 |
12회 | 2006 | 미스 사이공팀 | KCMI, 조선일보사, DAUM |
13회 | 2007 | 스핏파이어 그릴 | 충무아트홀, 쇼노트, CJ 엔터테인먼트 |
14회 | 2008 | 내 마음의 풍금 | 쇼틱 커뮤니케이션즈 |
15회 | 2009 | 대장금 | MBC, PMC Production |
16회 | 2010 | 키스 미, 케이트 | 신시컴퍼니 |
17회 | 2011 | 아가씨와 건달들 | |
18회 | 2012 | 라카지 | |
19회 | 2013 | 브로드웨이 42번가 |
앙상블상은 주·조연 배우 외에, 여러 역할을 소화하며 극의 전체적인 완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 앙상블 배우들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앙상블 배우들의 호흡과 조화, 춤, 노래, 연기 등 다방면에서의 실력이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된다.
3. 16. 인기스타상
인기스타상은 관객 투표나 온라인 투표 등을 통해 선정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은 배우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연기력, 가창력뿐만 아니라 스타성과 팬덤의 영향력 등이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작용한다. 초기에는 남녀 배우 각각 1명씩 선정했으나, 이후 통합하여 1~2명을 선정하기도 하고, 다시 남녀 배우를 각각 선정하는 등 시상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역대 인기스타상 수상자 | |||||
---|---|---|---|---|---|
회차 | 연도 | 남자 배우 | 작품 | 여자 배우 | 작품 |
1 | 1995 | 남경주 | 하희라 | ||
2 | 1996 | 남경주 | 사랑은 비를 타고 | 윤석화 | 명성황후 |
3 | 1997 | 남경주, 김민수 | 이정화, 최정원 | ||
8 | 2002 | 남경주, 주원성, 허준호 | 김선경, 이혜경, 최정원 | ||
9 | 2003 | 남경주, 이건명 | 김선경, 이혜경 | ||
10 | 2004 | 남경주 | 페퍼민트 | 김선경 | 해당 작품 없음 |
11 | 2005 | 오만석 | 이영미 | ||
12 | 2006 | 오만석 | 김소현 | ||
13 | 2007 | 오만석, 조승우 | 맨 오브 라만차 | 오나라, 윤공주 | 김종욱 찾기 |
14 | 2008 | 윤형렬 | 바다 | ||
15 | 2009 | 홍광호 | 바다 | ||
16 | 2010 | 김준수 | 모차르트! | 정선아 | |
17 | 2011 | 김준수 | 윤공주 | ||
18 | 2012 | 김준수 | 엘리자벳 | 김선영 | |
19 | 2013 | 조승우, 김준수 | 김소현, 옥주현 |
3. 17. 프로듀서상
프로듀서상은 해당 연도에 훌륭한 작품을 제작하거나, 뮤지컬 산업 발전에 기여한 제작자 또는 기획사 대표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작품의 기획, 투자, 캐스팅, 마케팅 등 제작 전반에 걸친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연도 | 수상자 | 주요 작품 및 활동 |
---|---|---|
2005 | 김용현 | 서울뮤지컬컴퍼니 대표 |
2006 | 설도윤 | 모티스 공연사업 총괄이사, 설앤컴퍼니 대표이사 |
2007 | 송승환 | PMC프러덕션 대표이사 |
2008 | 윤호진 | 에이콤 인터내셔널 대표 |
2009 | 신춘수 | 오디뮤지컬컴퍼니 대표 |
3. 18. 특별상
특별상 | ||||
---|---|---|---|---|
# | 연도 | 수상자 | 뮤지컬 | 제작사 |
1 | 1995 | — | ||
2 | 1996 | 최연호 (무대 미술가) | 명성황후 | 뮤지컬 제작사 아컴 |
3 | 1997 | 채경호 | 겨울 나그네 | 아컴 |
브로드웨이 42번가 합창단 | ||||
4 | 1998 | 김영환 (뉴욕 공연 추진 위원회 위원장) | 명성황후 | |
환 퍼포먼스 | 난타 | |||
오현주 | 한네 | 서울시립가무단 | ||
5 | 1999 | 김상열 | ||
6 | 2000 | 김민기 (학전 대표) | 학전 | |
최종봉 (가교 대표) | 가교 | |||
7 | 2001 | 정우 스님 (신시뮤지컬컴퍼니 후원 회장) | 신시뮤지컬컴퍼니 | |
8 | 2002 | 박명성 (신시뮤지컬컴퍼니 대표) | 신시뮤지컬컴퍼니 | |
윤동하 (중앙무대 대표) | 중앙무대 | |||
9 | 2003 | 울산광역시립무용단 | 처용 | 서울예술기획 |
10 | 2004 | 기획상: 박명성 (신시뮤지컬컴퍼니 대표) | 신시뮤지컬컴퍼니 | |
11 | 2005 | 프로듀서상: 김용현 (서울뮤지컬컴퍼니 대표) | 서울뮤지컬컴퍼니, CJ 엔터테인먼트 | |
12 | 2006 | 프로듀서상: 설도윤 (모티스 공연사업부 이사, ㈜설앤컴퍼니 대표) | 모티스 공연사업부 | |
13 | 2007 | 프로듀서상: 송승환 (PMC Production 대표) | PMC Production | |
14 | 2008 | 프로듀서상: 윤호진 (ACOM International 대표) | ACOM International | |
15 | 2009 | 프로듀서상: 신춘수 (OD Musical Company 대표) | OD Musical Company | |
16 | 2010 | 성남아트센터 |
4. 비판과 논란
한국뮤지컬대상은 그 권위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비판과 논란에 직면해 왔다.
- 특정 기획사 및 작품 편향성 논란: 시상 내역을 살펴보면 특정 기획사나 작품에 상이 몰리는 경향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 심사 기준의 공정성 문제: 심사 기준과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아, 심사의 공정성에 대한 의문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 인기투표 과열 현상: 인기상 등 일부 부문은 인기투표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아, 작품성보다는 팬덤의 크기에 따라 수상 결과가 좌우된다는 비판이 있다.
뮤지컬계는 이러한 비판과 논란을 인지하고, 자체적인 개선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5. 한국 뮤지컬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뮤지컬대상은 한국 뮤지컬 산업과 문화 전반에 걸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긍정적인 영향으로는 창작 뮤지컬 활성화, 신인 배우 발굴, 뮤지컬 시장 확대, 국제 교류 증진 등이 있다. 실제로 역대 수상작들을 살펴보면, 초기에는 명성황후[1], 겨울 나그네[2], 애니깽[3]과 같이 역사적 사실이나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한 창작 뮤지컬이 주를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상업성에 치중하여 작품의 다양성이 부족해지고, 과도한 경쟁을 유발한다는 부정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특히, 일부 수상작들은 대중성과 흥행에는 성공했지만, 작품성 면에서는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 예를 들어, 2001년에는 심사 기준에 부합하는 작품을 찾기 어려워 수상작이 없었다.[4]
다음 표는 역대 최우수작품상 수상작들을 나타낸다.
회차 | 연도 | 작품 | |
---|---|---|---|
1회 | 1995년 | 스타가 될 거야 | |
2회 | 1996년 | 명성황후 | |
3회 | 1997년 | 겨울 나그네 | |
4회 | 1998년 | 한네 | |
5회 | 1999년 | 애니깽 | |
6회 | 2000년 | 태풍 | |
7회 | 2001년 | 수상작 없음 | |
8회 | 2002년 | 더 플레이 | |
9회 | 2003년 | 로미오와 줄리엣 | |
10회 | 2004년 | 마리아 마리아 | |
11회 | 2005년 | 아이 러브 유 | |
12회 | 2006년 | 오! 당신이 잠든 사이 | |
13회 | 2007년 | 댄싱 섀도우 | |
14회 | 2008년 | 내 마음의 풍금 | |
15회 | 2009년 | 대장금 | |
16회 | 2010년 | 영웅 | |
17회 | 2011년 | 셜록홈즈 | |
18회 | 2012년 | 왕세자실종사건 | 라카지 |
19회 | 2013년 | 그날들 | 레미제라블 |
6. 전망과 과제
한국뮤지컬대상의 미래 발전 방향과 해결해야 할 과제는 다음과 같다.
- 심사 투명성 강화: 심사위원 선정 과정 및 기준을 공개하고, 심사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공정성과 신뢰도를 높인다.
- 다양한 장르 포용: 주류 뮤지컬 외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작품을 발굴 및 지원하여 한국 뮤지컬의 다양성을 확보한다.
- 지역 뮤지컬 지원 확대: 지역 특색을 살린 창작 뮤지컬을 육성하고, 지역 공연장 인프라를 개선하여 지역 주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한다.
- 국제적 시상식으로 도약: 해외 우수 작품 초청 및 한국 뮤지컬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여 국제 교류를 활성화하고 한국 뮤지컬의 위상을 높인다.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한국 뮤지컬은 더 많은 관객에게 사랑받는 문화 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Dreamgirls Sweeps Korea Musical Awards
https://www.koreatim[...]
2009-10-27
[2]
웹사이트
"The Harmonium in My Memory'' Wins 6 Korea Musical Awards"
http://english.chosu[...]
2012-11-19
[3]
웹사이트
Dreamgirls Sweeps Korea Musical Awards
https://www.koreatim[...]
2012-11-19
[4]
뉴스
한국뮤지컬대상 시상식 올해 열리지 못한다
http://sports.chosun[...]
스포츠 조선
2014-10-27
[5]
뉴스
커지는 뮤지컬 시장, 위축되는 뮤지컬 시상식…또 폐지수순 밟을까
https://n.news.naver[...]
헤럴드 경제
2019-11-05
[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koreamusi[...]
2011-11-1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