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원은 대구의학전문학교(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를 졸업하고, 제4대 경상북도 의사회장을 역임한 인물이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영덕 선거구 무소속으로 당선되어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며 보사위원회 간사를 맡았고, 국민의료법 제정 및 면허세법 개정에 관여했다. 국회의원 임기 이후에는 양조장과 동해여객 회사를 경영했으며, 1974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의사 - 원용덕
    원용덕은 일제강점기 만주국 군의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창설에 참여했으며, 정치적 사건에 개입하여 정치 군인으로 평가받았고, 4·19 혁명 이후 구속되었다가 사면된 인물이다.
  • 일제강점기의 의사 - 박동균 (1919년)
    박동균(1919년)은 일제강점기 만주군 군의관으로 복무하고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 창설에 참여하여 육군의무감, 육군군의학교 초대 교장을 역임했으며, 간호장교 제도 창설에 기여했으나 2008년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었다.
  • 대한민국의 의사 - 박경철
    박경철은 '시골의사'라는 필명으로 알려진 대한민국의 의사이자 작가, 투자 전문가, 방송인으로, 안동신세계연합클리닉 원장이며 경제, 사회 문제에 대한 소신 발언과 강연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의사 - 이병주 (1912년)
    이병주(1912년)는 대구사범학교 졸업 후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의학박사이자 정치인으로, 대한결핵협회 이사, 민주공화당 창당준비위원, 재단법인 성균관 이사장을 역임하고 제7·8·9대 국회의원 및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위원, 그리고 민주공화당 주요 직책과 국회 예산결산위원장을 지냈다.
  • 경북대학교 동문 - 이진숙 (언론인)
    이진숙은 문화방송의 기자 및 간부로 활동하다가 대전문화방송 사장을 역임했고, 걸프 전쟁 등 다양한 보도 활동을 펼쳤으며,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2024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직무가 정지되었다.
  • 경북대학교 동문 - 김윤환 (1932년)
    김윤환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으로 5선 국회의원, 대통령비서실장, 정무장관을 역임하며 정권 창출에 기여하여 "킹 메이커"라는 별명을 얻었으나, 민주국민당 대표최고위원을 지내기도 했으며 신장암으로 사망했다.
한국원
기본 정보
대한민국 헌정회 로고
대한민국 헌정회 로고
출생1923년 12월 1일
사망2010년 4월 1일 (향년 86세)
본관청주 한씨
학력
학력경성고등상업학교 졸업
국방대학원 졸업
경력
경력제6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제7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제8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제9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제10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 중앙집행위원
제12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국회 건설위원장
국회 예산결산위원장
민주정의당 정책위원회 의장
상훈
상훈국민훈장 무궁화장

2. 생애

한국원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인 대구의학전문학교를 졸업했다. 경상북도 의사회장, 경상북도 보건과장, 국광병원 의사 및 병원장 등을 역임했다[1].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며, 국회의원 재직 중 국민의료법 제정, 면허세법 개정 법안 제출 등에 관여했다[4]. 그 외 양조장, 동해여객 회사를 경영하기도 했다[4]. 1974년에 사망했다[5].

2. 1. 의료 활동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인 대구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1949년 5월 1일부터 1950년 4월 30일까지 제4대 경상북도 의사회장을 역임했으며[3], 경상북도 보건과장, 국광병원 의사 및 병원장 등을 역임했다[1].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된 후, 국회의원 재직 중에는 국민의료법 제정에 관여하고, 면허세법 개정 법안을 제출하는 등 보건의료 분야에서 활동했다[4].

2. 2. 정치 활동

한국원은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영덕군 선거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4] 국회의원 재직 중에는 보사위원회 간사를 맡았으며, 국민의료법 제정에 관여하고 면허세법 개정 법안을 제출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4]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영양군 선거구에 자유당 소속으로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청송군·영덕군 선거구에 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했으나 역시 낙선했다.

선거명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락비고
제2대 총선경북 영덕군무소속7,184표20.67%1위당선초선
제3대 총선경북 영양군자유당4,087표21.56%2위낙선
제6대 총선경북 청송군·영덕군민주당2,313표3.65%7위낙선


2. 3. 정계 은퇴 이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인 대구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1949년 5월 1일부터 1950년 4월 30일까지 제4대 경상북도 의사회장을 역임했으며[3], 경상북도 보건과장, 국광병원 의사 및 병원장 등을 역임했다.[1]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 영덕 선거구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보사위원회 간사를 맡았다. 국회의원 재직 중 국민의료법 제정에 관여하고, 면허세법 개정 법안을 제출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4]

이후 양조장, 동해여객 회사를 경영하는 등 기업인으로 활동하다 1974년에 사망했다.[4][5]

3.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50년 총선경북 영덕군무소속7,184표20.67%1위당선초선
1954년 총선경북 영양군자유당4,087표21.56%2위낙선
1963년 총선경북 청송군·영덕군민주당19632,313표3.65%7위낙선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10-31
[2] 웹사이트 현세록 - 의원공 한국원 http://www.cheongjuh[...] 2023-10-31
[3] 웹사이트 "::: 경상북도의사회 :::" https://www.igbma.or[...] 2023-10-31
[4] 웹사이트 "자료일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s://db.history.g[...] 2023-10-31
[5] 웹사이트 新八道紀(신팔도기) (184) 盈德(영덕) <3> https://newslibrary.[...] 1979-04-30
[6] 뉴스 新八道記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9-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