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보화진흥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정보화진흥원은 대한민국의 정보화 촉진을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1987년 한국전산원으로 시작하여 한국정보사회진흥원과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통합을 거쳐 2020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주요 기능은 정보화 기본 계획 수립 지원, 정보문화 창달, 국가 정보통신망 관리, 정보격차 해소, 정보화 국제협력 등이다. 전자정부 지원, 정보화 역기능 대응, 정보격차 해소, 국가 정보통신 인프라 고도화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조직은 원장, 부원장, 감사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기업 -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은 부동산 시장 안정과 소비자 권익 보호를 위해 설립된 공공기관으로, 부동산 감정 평가에서 부동산 가격 공시 및 시장 관리 등으로 업무를 확대하여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대구광역시의 기업 - 대구문화방송
대구문화방송은 1963년 한국방송공사 대구방송국으로 개국하여 대구와 경북 지역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지역 민영방송으로, 2023년 창사 60주년을 맞이했다. - 공공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971년 한국과학원으로 설립되어 대학원 중심 연구기관으로 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통합 및 분리 독립 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이전,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갖춘 대한민국의 국립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이다. - 공공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1965년 설립되어 경제 성장과 기술 발전을 목표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며,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의 통합 및 분리를 거쳐 현재 독립된 연구 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 1987년 설립된 기업 - KT&G
KT&G는 대한제국에서 시작된 담배 전매제도의 역사를 이어받아 한국전매공사를 거쳐 민영화된 기업으로, 담배 제조·판매를 주력으로 하면서 인삼, 제약, 호텔, 문화 사업 등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과거 인종차별적 광고 논란이 있었다. - 1987년 설립된 기업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공단은 1987년 국민연금법에 의해 설립된 공공기관으로, 국민의 노후, 사망, 장애에 대비한 연금 지급과 복지 사업을 통해 국민 복지 증진을 목표로 하며, 세계 3대 연기금으로 성장하여 기금 운용, 노후 설계 서비스 제공, 장애 심사 등을 수행한다.
한국정보화진흥원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
형태 | 공공기관, 법인사업자 |
창립 | 1987년 1월 16일 (개업) |
창립자 | 정부 |
이후 회사 | 해당 사항 없음 |
해체 | 해당 사항 없음 |
시장 정보 | 비상장 |
웹사이트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조직 | |
모기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자회사 | 한국정보화진흥원사내근로복지기금 |
인물 | |
원장 | 문용식 |
고용 | |
임원 | 11명(상임 기관장 1명, 상임 이사 1명, 비상임 이사 8명, 비상임 감사 1명) |
직원 | 289명 |
무기계약직 | 77명 |
비정규직 | 35명(기간제) |
산업 및 서비스 | |
산업 | 서비스, 부동산 |
서비스 | 컴퓨터설비자문, 기타통신판매, 주차장운영업, 임대, 정보처리및컴퓨터운용, 연구관리및개발업 |
재무 정보 (2014년 기준) | |
자본금 | 93,489백만원 |
매출액 | 249,310백만원 |
영업 이익 | -4,895백만원 |
순이익 | -1,110백만원 |
예산 (2015년 기준) | |
총 수입 | 424,536백만원(정부지원수입 357,770백만원) |
2. 연혁
1987년 '''한국전산원'''(NCA)으로 설립되었다. 2006년 '''한국정보사회진흥원'''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2009년 5월 22일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을 통합하며 현재 이름(한국정보화진흥원)으로 변경하였다.[7] 2010년 11월 4일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센터를 개소하였고, 현재 공공데이터포털(사이트)과 공공정보활용지원센터를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다. 2015년 7월 27일, 본사를 서울특별시 중구 무교동에서 대경권 혁신도시인 대구광역시 동구 신서동으로 이전하였다.[7]
2. 1. 한국정보사회진흥원
1987년 '''한국전산원'''(NCA)으로 설립되었으며, 2006년 '''한국정보사회진흥원'''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7]2. 2. 한국정보문화진흥원
1987년 '''한국전산원'''(NCA)으로 설립되었으며, 2006년 '''한국정보사회진흥원'''으로 상호명을 변경하였다. 2009년 5월 22일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을 통합하며 현재 상호(한국정보화진흥원)로 변경하였다.[7]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은 1984년 (재)정보통신훈련센터 (ITTC) 설립을 시작으로, 1988년 (재)정보문화센터 (ICC)로 확대 개편, 1992년 한국정보문화센터로 개편, 2003년 한국정보문화진흥원 (KADO)로 확대 개편되었다.2. 3. 한국정보화진흥원
1987년 '''한국전산원'''(NCA)으로 설립되었으며, 2006년 '''한국정보사회진흥원'''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2009년 5월 22일,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을 통합하며 현재 이름으로 변경하였다.[7] 2010년 11월 4일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센터를 개소하였고, 현재 공공데이터포털(사이트)과 공공정보활용지원센터를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다.앞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빅데이터 서비스 도입을 촉진하고 인터넷 신산업 육성을 위해 빅 데이터 분석·활용 센터 구축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빅데이터 분석활용 센터를 통해 대용량 데이터를 분석, 처리할 수 있는 HW, SW 등 분석 인프라를 구축하고, 시범사업 및 공공 데이터 포털(data.go.kr) 등과 연계하여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 세트를 수집해 제공할 계획이다. 서울특별시 중구 무교동에서 2015년 7월 27일, 대경권 혁신도시인 대구광역시 동구 신서동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7]
2. 4.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년 국가정보화기본법이 지능정보화기본법으로 전면 개정됨에 따라 기관 명칭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으로 변경되었다.[7]3. 주요 기능 및 역할
- 정보화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시행에 필요한 전문기술 지원
- 정보문화 창달 및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예방·해소 지원
- 국가기관 등의 정보통신망 관리 및 운영 지원
- 국가기관 등의 정보자원 관리 지원
- 국가기관 등의 정보화사업 추진 및 평가 지원
- 국가기관 등의 정보통신 신기술 활용 촉진 및 전문기술 지원
- 정보격차 해소 관련 실태조사, 정책개발 및 제도개선 지원
-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화기기 지원 및 정보화교육
- 정보화 국제협력 및 홍보
4. 주요 사업
한국정보화진흥원은 1987년 한국전산원으로 설립되었으며, 2009년 한국정보문화진흥원과 통합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7] 2010년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센터를 개소하고, 공공데이터포털과 공공정보활용지원센터를 위탁 운영하고 있다.[7]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빅 데이터 분석·활용 센터 구축 사업을 추진하여 빅데이터 서비스 도입을 촉진하고 인터넷 신산업 육성에 기여할 예정이다. 이 센터는 대용량 데이터 분석 인프라를 구축하고, 시범 사업 및 공공 데이터 포털 등과 연계하여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수집, 제공할 계획이다.[7]
4. 1. 전자정부 지원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전자정부 지원 사업을 다음과 같이 수행했다.[8]-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전자정부 구축
- 개인정보 유출 및 오남용 방지
- 정보화 기획 및 국제협력 지원
- 국가정보화 평가 및 진단 분석 체계 구축
- 국제IT협력센터 구축 및 운영
- 개발도상국 정보 이용 환경 개선
- 정보화 분야 국제기구 협력 및 해외 진출 지원
- 한국정보화진흥원 운영 지원
- 정보화 평가 운영 활용 지원
- 행정 정보화 지원 및 관리 조정
- 지역 기반 u-서비스 지원
- 유비쿼터스 기반 공공 서비스 촉진
- 지속 가능한 미래 정보화 기반 조성
- 스마트워크 센터 구축 및 운영
- 국가 정보통신 기반 고도화 및 효율화
- 정보 격차 해소 지원
- 건전 정보문화 조성
- 정보화 역기능 대응
- 전자정부 표준화 체계 구축
- 정보 자원 관리 지원
- 국가 DB 구축
- 국가 영상 정보 자원 활성화 기반 조성
- 정보화 정책 연구
- GIGA 인터넷 서비스 기반 구축
- 통신 서비스 품질 평가
- 농어촌 지역 광대역 가입자망 구축 활성화
- 차세대 인터넷 기반 생태계 조성
- 미래 네트워크 연구 시험망 구축 운영
- 방송통신 융합 공공 서비스 및 융합 서비스 활성화 지원
- 디지털 케이블 TV 공공 서비스
- 스마트 워크 활성화 기반 조성
- 통신 소외 계층 통신 접근권 보장
- 무선 인터넷 이용 격차 해소
-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서비스 촉진 기반 조성
- 북한 이탈 주민 정보화 교육
- 정보화 사업 성과 및 사업군(복지, 고용 분야) 심층 평가
- 광대역 통합망(BCN) 기반 구축
- IP-USN 확산 환경 조성
- 학교 인터넷망 고도화
- 국가 공간 정보 정책 지원 연구
- 인터넷 비즈니스 정책 개발
- 월드뱅크 협력
- 공공 부문 공유 서비스 발굴 기획
- 장애인 취업 지원
- u-IT 신기술 검증 및 확산
- URC 로봇 서비스
- 서비스 산업 IT 활용 비즈니스 모델 개발
- IT를 이용한 서비스 산업 경쟁력 강화 시범 사업
- 국가 디지털 콘텐츠 식별 체계 구축
-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하수관제 서비스 구축
4. 2. 정보화 역기능 대응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정보화 역기능에 대응하고 있다.[8]4. 3. 정보격차 해소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했다.[8]- 취약 계층 지원:
- 북한 이탈 주민 대상 정보화 교육을 실시했다.[8]
- 장애인의 취업을 지원했다.[8]
- 통신 접근성 향상:
- 통신 소외 계층의 통신 접근권 보장을 위한 정책을 추진했다.[8]
- 무선 인터넷 이용 격차 해소를 위한 사업을 진행했다.[8]
- 농어촌 지역 광대역 가입자망 구축을 활성화했다.[8]
4. 4. 국가 정보통신 인프라 고도화
한국정보화진흥원은 국가 정보통신 기반 고도화 사업을 추진했다.[8] 주요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다.사업 내용 |
---|
GIGA 인터넷 서비스 기반 구축 |
통신 서비스 품질 평가 |
농어촌 지역 광대역 가입자망 구축 활성화 |
차세대 인터넷 기반 생태계 조성 |
미래 네트워크 연구 시험망 구축 운영 |
광대역 통합망(BcN) 기반 구축 |
IP-USN 확산 환경 조성 |
학교 인터넷망 고도화 |
4. 5. 기타 사업
5. 조직
(원본 소스에 조직 관련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 없음)
5. 1.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장
역대 원장은 다음과 같다.[1]
5. 1. 1. 부원장
(부원장 관련 내용은 원본 소스에 없으므로 출력하지 않음)참조
[1]
웹인용
제22회 웹 접근성 품질마크 인증심사비 납부 안내 - 한국정보화진흥원 사업자등록증(8).jpg
http://wah.or.kr/_Up[...]
2009-10-29
[2]
보고서
일반현황
https://web.archive.[...]
기획재정부
2015-08-07
[3]
보고서
요약 대차대조표 (또는 요약 재무상태표)
https://web.archive.[...]
기획재정부
2015-08-07
[4]
보고서
요약 손익계산서 (또는 요약 포괄손익계산서)
https://web.archive.[...]
기획재정부
2015-08-07
[5]
보고서
수입 및 지출 현황
http://www.alio.go.k[...]
기획재정부
2015-04-09
[6]
보고서
임직원수 현황
http://www.alio.go.k[...]
기획재정부
2015-04-10
[7]
뉴스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센터 오픈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13-06-15
[8]
웹인용
더아이엠씨
http://www.theimc.co[...]
201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