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2010년 한국화학시험연구원과 한국전자파연구원의 통합으로 설립된 시험인증 전문기관이다. 과천에 본원을 두고 있으며, 국내 26개 도시와 해외 지사에 사무소를 운영하며 시험인증,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KC인증, KS인증, 해외인증 등 다양한 인증 서비스와 소재부품, 환경, 건설, 전기전자, 의료·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의 시험 서비스를 제공하며, 기업 지원 사업도 수행한다. 1969년 대한고무제품시험검사소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단법인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 한국광기술원
한국광기술원은 광주광역시 광산업 육성 계획에 따라 설립된 광기술 분야 전문 연구 기관으로, 광기술 연구 개발, 기술 지원, 기업 육성을 통해 국내 광산업 발전에 기여하며 경기광융합기술센터를 통해 지역 광융합산업 거점 육성에도 힘쓰고 있다. - 재단법인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은 건축, 토목, 생활·환경, 물류, 의료기기, 녹색산업 등의 시험·평가·인증과 연구개발을 수행하며 국내 산업 발전과 수출 진흥에 기여하는 KOLAS 공인 시험기관이다. - 1969년 설립 - 스완가드 스타디움
스완가드 스타디움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버내비에 위치한 육상 경기장으로, 밴쿠버 화이트캡스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2007 FIFA U-20 월드컵 경기장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 1969년 설립 - 서울중앙성원
서울중앙성원은 대한민국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 위치한 한국 최초의 이슬람 사원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한 터키 군인들을 통해 한국 무슬림 공동체가 형성된 후 1976년에 완공되었으며, 한국 이슬람교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전력기술
한국전력기술은 1975년에 설립된 발전소 설계 전문 회사이며, 한국원자력연구소와 미국의 번즈 앤 로우사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한국전력의 자회사로 편입되었고, 원자력 및 화력 발전소 설계 분야를 주요 사업으로 한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
---|---|
기본 정보 | |
![]() | |
설립일 | 1969년 12월 29일 |
종류 | 정부출연연구기관 |
국가 | 대한민국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8로 75 |
웹사이트 | www.ktr.or.kr |
기관 정보 | |
연혁 | 1969년 12월 29일: 한국고분자시험연구소 설립 1971년 9월 28일: 한국화학시험연구소로 명칭 변경 2010년 7월 1일: 한국화학시험연구원, 한국생활환경시험연구원 및 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통합,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으로 출범 |
주요 사업 | 시험인증 서비스 제공 연구 개발 기술 컨설팅 교육 훈련 |
조직 | 연구, 시험인증, 기술지원 부서 등 |
추가 정보 | |
인증 분야 | 전기 전자 화학 환경 건설 의료 소재 부품 |
보유 장비 | 분석 장비, 성능 평가 장비, 환경 시험 장비 등 |
대외 협력 | 국내외 시험인증기관, 대학, 연구소 등 |
2. 설립 근거
2010년 4월 5일 일부 개정된 국가표준기본법 제30조의 2에 의하여 통합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의 출범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5] 이후 기관 경영의 자율성을 추구하기 위해 2014년 12월 30일 일부 개정된 국가표준기본법에서 제30조의 2에서 4를 모두 삭제하였다.[6][7]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과천에 시험인증집적단지와 7개 전문 산업 연구소를 통해 산업 전분야에 대응할 수 있는 시험인증 및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3. 주요 업무
인증 서비스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다양한 분야에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KC인증은 전기용품, 생활용품, 어린이제품, 위해우려제품 등을 대상으로 한다. KS인증은 기계, 전기전자, 금속, 건설, 일용품, 요업, 화학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된다. TR-Mark, S-Mark, Q-Mark, V-check, R-mark, 에너지효율관리제도, Cosmos-mark 등 임의인증 서비스도 제공한다.
또한, CE, JIS, PSE, CCC, EAC, GS, GOST-R, INMETRO, MET, FCC, Energy Star, KEMA, VCCI, VDE, C-tick 등 해외인증 서비스도 제공하여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한다.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하여 UNFCCC 타당성 평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검증, 국제통용 발자국인증, 에너지온실가스 연료/원료 분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험 서비스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다양한 분야에서 시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소재부품 분야에서는 소재평가, 신뢰성평가, 비파괴시험, 생활용품 등에 대한 시험을 수행한다. 환경 분야에서는 환경평가, 환경보건, 화학안전 등과 관련된 시험을 제공한다. 건설 분야에서는 건설재료, 에너지효율, 내화시험 등을 다룬다.
전기전자 분야에서는 전기전자제품, 조명기기, 전지 등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며, 전력에너지 분야에서는 전력기자재, 전자파평가 등을 담당한다. 의료·바이오 분야에서는 의료기기, 바이오, 화장품 등에 대한 시험을 진행한다.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독성평가, 피부임상, 동물대체시험 등을 수행한다. 기간산업 분야에서는 조선/해양/플랜트, 철강, 원자력발전, 해양환경, 도장표면 등과 관련된 시험을 제공하고, 방위산업 분야에서는 내환경시험, 전자파시험 등을 실시한다.
기업 지원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다양한 기업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 법정교육, 기관지정 지원 및 평가, HRD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사업, 중기부 해외규격인증획득지원사업 등을 포함하는 교육사업을 실시한다. 또한, 글로벌 기술규제 분석 및 대응을 통해 TBT 대응사업을 지원한다. 해외인증 획득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을 위해 1381 콜센터를 운영하여 통합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3. 1. 인증 서비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다양한 분야에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KC인증은 전기용품, 생활용품, 어린이제품, 위해우려제품 등을 대상으로 한다. KS인증은 기계, 전기전자, 금속, 건설, 일용품, 요업, 화학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된다. TR-Mark, S-Mark, Q-Mark, V-check, R-mark, 에너지효율관리제도, Cosmos-mark 등 임의인증 서비스도 제공한다.
또한, CE, JIS, PSE, CCC, EAC, GS, GOST-R, INMETRO, MET, FCC, Energy Star, KEMA, VCCI, VDE, C-tick 등 해외인증 서비스도 제공하여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하여 UNFCCC 타당성 평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검증, 국제통용 발자국인증, 에너지온실가스 연료/원료 분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3. 2. 시험 서비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다양한 분야에서 시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소재부품 분야에서는 소재평가, 신뢰성평가, 비파괴시험, 생활용품 등에 대한 시험을 수행한다. 환경 분야에서는 환경평가, 환경보건, 화학안전 등과 관련된 시험을 제공한다. 건설 분야에서는 건설재료, 에너지효율, 내화시험 등을 다룬다.
전기전자 분야에서는 전기전자제품, 조명기기, 전지 등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며, 전력에너지 분야에서는 전력기자재, 전자파평가 등을 담당한다. 의료·바이오 분야에서는 의료기기, 바이오, 화장품 등에 대한 시험을 진행한다.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독성평가, 피부임상, 동물대체시험 등을 수행한다. 기간산업 분야에서는 조선/해양/플랜트, 철강, 원자력발전, 해양환경, 도장표면 등과 관련된 시험을 제공하고, 방위산업 분야에서는 내환경시험, 전자파시험 등을 실시한다.
3. 3. 기업 지원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다양한 기업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 법정교육, 기관지정 지원 및 평가, HRD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사업, 중기부 해외규격인증획득지원사업 등을 포함하는 교육사업을 실시한다. 또한, 글로벌 기술규제 분석 및 대응을 통해 TBT 대응사업을 지원한다. 해외인증 획득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을 위해 1381 콜센터를 운영하여 통합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4. 조직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은 15본부, 63센터, 21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인재혁신본부
- 감사부
- 연구위원단
- 경영기획본부
- 사업지원본부
- 글로벌본부
- 인증본부
- 소재부품연구소
- 화학환경연구소
- 건설안전연구소
- 전기전자에너지연구소
- 의료바이오연구소
- 헬스케어첨단화학연구소
- 기간산업연구소
- 수출인증사업단
5. 위치 및 지사
KTR은 26개의 대한민국 주요 도시와 해외 지사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과천시에 본원이 있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전국의 여러 지역에 시험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용인 시험연구소는 전기전자, 전기에너지, 조명, 배터리 분야를 담당한다. 인천 시험연구소는 소재, 부품, 건설 분야를 담당한다. 울산에는 I·II 시험연구소가 있으며 조선해양, 철강, 원자력 발전을 담당한다. 화순 시험연구소는 바이오/의료기기, 헬스케어, 동물실험, 임상 피부 분야를, 광양 시험연구소는 기능성 소재 연구개발(R&D) 지원을 담당한다. 순천 시험연구소는 첨단 고무 소재 상용화를 지원한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중국 (상하이, 칭다오, 선전)과 독일 (프랑크푸르트), 베트남 (하노이), 멕시코 (멕시코 시티)에 해외 지사를 두고 있다.
5. 1. 본원
과천시에 본원이 있다.5. 2. 연구소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전국의 여러 지역에 시험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용인 시험연구소는 전기전자, 전기에너지, 조명, 배터리 분야를 담당한다. 인천 시험연구소는 소재, 부품, 건설 분야를 담당한다. 울산에는 I·II 시험연구소가 있으며 조선해양, 철강, 원자력 발전을 담당한다. 화순 시험연구소는 바이오/의료기기, 헬스케어, 동물실험, 임상 피부 분야를, 광양 시험연구소는 기능성 소재 연구개발(R&D) 지원을 담당한다. 순천 시험연구소는 첨단 고무 소재 상용화를 지원한다.5. 3. 해외 지사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중국 (상하이, 칭다오, 선전)과 독일 (프랑크푸르트), 베트남 (하노이), 멕시코 (멕시코 시티)에 해외 지사를 두고 있다.6. 연혁
1969년 4월 1일 대한고무제품시험검사소가 설립되었다. 1980년 12월 1일 대한광산물시험검사소를 흡수통합하고 한국화학분석시험검사소로 개칭하였다. 1988년 12월 1일 한국화학시험검사소로 명칭을 변경하고 서울에 본원 청사를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1994년 4월 5일 한국화학시험연구원(KOTRIC)으로 개칭하였다. 2006년 4월 1일 영문 명칭을 KOTRIC에서 KTR로 변경하였다.
2010년 7월 8일 한국화학시험연구원과 한국전자파연구원이 통합되어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이 설립되었다. 2015년 5월 18일 연구원 본원을 과천으로 이전하였다. 2016년 11월 16일 동물대체시험센터를 구축하였고, 2018년 4월 25일에는 조선해양도장표면처리시험센터를 개소하였다. 2019년 4월 1일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였으며, 같은 해 10월 8일 방재기술시험센터를 개소하였다. 2020년 5월 26일 첨단고무소재지원센터를 개소하였고, 2021년 9월 1일에는 중국 심천시험소를 설립하였다.
참조
[1]
문서
ISO/IEC 17025
[2]
문서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3]
웹사이트
IECEE Members
http://members.iecee[...]
[4]
뉴스
National Standard Regulation Article
http://likms.assembl[...]
[5]
웹사이트
http://likms.assembl[...]
[6]
웹사이트
http://likms.assembl[...]
[7]
뉴스
http://www.etnews.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