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남금북정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남금북정맥은 속리산 천왕봉에서 시작하여 칠현산까지 이어지는 산줄기이다. 주요 산으로는 속리산, 구봉산, 국사봉, 좌구산, 칠보산, 보광산, 보현산, 소속리산, 마이산, 칠현산 등이 있으며, 갈목재, 말티재, 새목이재, 산성고개, 모래재, 행태고개, 수레티고개 등의 고개와 지방도, 국도, 고속도로가 지난다. 『산경표』에는 회유치, 구치, 피반령, 선도산, 거죽령, 상령산, 상당산, 분치, 좌구산, 보광산, 봉학산, 증산, 마곡산, 보현산, 소속리산, 망이산, 주걸산 등이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남금북정맥 - 덕숭산
    덕숭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산으로, 수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한남금북정맥 - 속리산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산으로, 문장대, 천왕봉을 포함한 봉우리들, 법주사를 비롯한 사찰들, 정이품송 등의 명승지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다.
  • 금남호남정맥 - 덕숭산
    덕숭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산으로, 수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금남호남정맥 - 속리산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산으로, 문장대, 천왕봉을 포함한 봉우리들, 법주사를 비롯한 사찰들, 정이품송 등의 명승지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다.
  • 산경표 - 덕숭산
    덕숭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산으로, 수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산경표 - 속리산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산으로, 문장대, 천왕봉을 포함한 봉우리들, 법주사를 비롯한 사찰들, 정이품송 등의 명승지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다.
한남금북정맥
개요
백두대간 개념도
백두대간 개념도
위치대한민국
시작점속리산
종점주흘산
상세 정보
길이약 174km
최고점조령산 (1026m)
주요 산속리산
구병산
조령산
주흘산
관련 산맥백두대간
지리
유역한강
금강

2. 주요 산

속리산 천왕봉에서 서북쪽으로 뻗어 나가며 말티재, 구치, 시루산, 구봉산, 국사봉, 선두산, 선도산, 상봉재, 상당산성, 좌구산, 칠보산, 보광산, 행태고개, 보현산, 소속리산, 마이산, 차현, 황색골산, 걸미고개, 칠현산으로 이어진다.[1]

속리산(1,058m)에서 갈목재(390m, 지방도 제505호선 통과), 말티재(구 국도 제37호선 통과), 새목이재(신 국도 제37호선 통과), 탁주봉(530m), 구봉산(506m), 구룡산(549m, 금적지맥 분기), 팔봉지맥 분기를 거쳐 국사봉(589m)에 이른다. 여기서 선도산(547m), 산성고개(지방도 제512호선 통과), 이티재(360m), 구녀산(493m), 좌구산(657m), 칠보산(551m), 모래재(국도 제34호선 통과), 보광산(539m), 행태고개(국도 제36호선 통과), 보현산(482m, 부용지맥분기), 소속리산(431m), 마이산(454m)을 지나 수레티고개(중부고속국도, 지방도 제329호선 통과)를 넘어 칠장산(492m)에서 한남정맥, 금북정맥과 분리된다.[1]

2. 1. 속리산에서 칠현산까지

속리산 천왕봉에서 서북쪽으로 뻗어 나가며 말티재, 구치, 시루산, 구봉산, 국사봉, 선두산, 선도산, 상봉재, 상당산성, 좌구산, 칠보산, 보광산, 행태고개, 보현산, 소속리산, 마이산, 차현, 황색골산, 걸미고개, 칠현산으로 이어진다.[1]

속리산(1,058m)에서 갈목재(390m, 지방도 제505호선 통과), 말티재(구 국도 제37호선 통과), 새목이재(신 국도 제37호선 통과), 탁주봉(530m), 구봉산(506m), 구룡산(549m, 금적지맥 분기), 팔봉지맥 분기를 거쳐 국사봉(589m)에 이른다. 여기서 선도산(547m), 산성고개(지방도 제512호선 통과), 이티재(360m), 구녀산(493m), 좌구산(657m), 칠보산(551m), 모래재(국도 제34호선 통과), 보광산(539m), 행태고개(국도 제36호선 통과), 보현산(482m, 부용지맥분기), 소속리산(431m), 망이산(454m)을 지나 수레티고개(중부고속국도, 지방도 제329호선 통과)를 넘어 칠장산(492m)에서 한남정맥, 금북정맥과 분리된다.[1]

2. 2. 주요 산 목록 (높이순)

속리산(1,058m)에서 시작하여 좌구산(657m), 국사봉(589m), 선도산(547m), 구룡산(549m), 팔봉지맥 분기점, 탁주봉(530m), 보광산(539m), 칠보산(551m), 구봉산(506m), 구녀산(493m), 칠장산(492m), 보현산(482m), 망이산(454m), 소속리산(431m) 순으로 이어진다.[1]

2. 3. 주요 고개 및 도로

속리산 천왕봉에서 서북쪽으로 뻗어 나가며 갈목재(지방도 제505호선 통과), 말티재(구 국도 제37호선 통과), 새목이재(신 국도 제37호선 통과), 산성고개(지방도 제512호선 통과), 이티재(360m), 모래재(국도 제34호선 통과), 행태고개(국도 제36호선 통과), 수레티고개(중부고속국도, 지방도 제329호선 통과) 등의 주요 고개와 도로가 지난다.[1]

3. 비교

속리산에서 칠현산까지 이어지는 산맥으로, 회유치(回踰峙), 구치(龜峙), 피반령(皮盤嶺), 선도산(仙到山), 거죽령(巨竹嶺), 상령산(上嶺山), 상당산(上黨山), 분치(粉峙), 좌구산(坐龜山), 보광산(普光山), 봉학산(鳳鶴山), 증산(甑山), 마곡산(麻谷山), 보현산(普賢山), 소속리산(小俗離山), 망이산(望夷山), 주걸산(周傑山) 등이 『산경표』에 기록되어 있다.

3. 1. 산경표 기록

속리산에서 칠현산까지 이어지는 산맥으로, 회유치(回踰峙), 구치(龜峙), 피반령(皮盤嶺), 선도산(仙到山), 거죽령(巨竹嶺), 상령산(上嶺山), 상당산(上黨山), 분치(粉峙), 좌구산(坐龜山), 보광산(普光山), 봉학산(鳳鶴山), 증산(甑山), 마곡산(麻谷山), 보현산(普賢山), 소속리산(小俗離山), 망이산(望夷山), 주걸산(周傑山) 등이 『산경표』에 기록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