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미약품은 1973년 임성기 회장이 설립한 대한민국의 제약 회사이다. 1980년대 좌약식 피임약 및 해열제를 개발하고, 1988년 주식 상장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2000년대에는 파클리탁셀 경구용 약품 개발, 세프트리악손의 미국 FDA 승인 등 신약 개발에 주력했다. 2010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했으며, 2015년 대규모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했으나, 2016년 올무티닙 관련 기술 수출 계약 해지 및 부작용 논란, 내부자 거래 의혹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현재는 팔탄, 평택에 제조 공장을 운영하며, 본사는 서울 송파구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성시의 단체 - 대웅제약
대웅제약은 1945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제약회사로, 다양한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의료기기, 화장품 등을 생산하며 바이오 신약 개발 및 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 화성시의 단체 - 안국약품
안국약품은 60년 이상 의약품을 개발, 보급하며 Total Healthcare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항체의약품 및 바이오 신약 개발, 건강기능식품 라인업 강화 등 신성장 동력 확보에 힘쓰는 제약회사이다. - 2010년 해체된 기업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2010년 해체된 기업 -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1982년 설립된 썬 마이크로시스템즈는 워크스테이션 시장을 개척하며 SPARC 아키텍처와 Solaris 운영 체제로 이름을 알렸고,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을 통해 소프트웨어 업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2009년 오라클에 인수되었다. - 대한민국의 제약 기업 -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1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및 위탁개발 전문 기업으로, 글로벌 제약회사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며 자체 기술 플랫폼 구축과 ESG 경영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제약 기업 - 종근당
종근당은 1941년 이종근이 설립하여 1968년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최초의 한국 제약 회사로, 2013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 후 신약 개발 및 글로벌 시장 진출에 힘쓰고 있다.
한미약품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회사명 | 한미약품 주식회사 |
![]() | |
원어 | Hanmi Pharmaceutical Co., Ltd. |
형태 | 주식회사 |
산업 | 제약업 |
창립 | 1966년 임성기 약국 (최초 설립일) 1973년 한미약품공업 (상호변경) 2003년 한미약품 (상호변경) 2010년 7월 5일 한미약품 (분할신설) |
창립자 | 임성기 회장 |
장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14 (본사)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무하로 214 (팔탄공단, 본점 소재지)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추팔산단로 114 (평택공단) |
인물 | 우종수 (경영관리부문 대표이사 사장) 권세창 (신약개발부문 대표이사 사장) |
서비스 | 완제의약품 제조업 원료의약품 제조업 |
자본금 | 30,195,705,000원 (2021.1) |
매출액 | 1조 4,908억 원(2023년) |
영업이익 | 2,206억 9,107만 원(2023년) |
순이익 | 1,653억 6,619만 원(2023년) |
자산총액 | 1,882,026,593,387원 (2020.12) |
주주 | 한미사이언스주식회사 외 특수관계인: 41.40% 신동국: 7.71% 국민연금공단: 7.37% |
모기업 | 한미사이언스 |
자회사 | 북경한미약품유한공사(北京韓美藥品有限公司) 한미정밀화학주식회사 |
종업원 | 2,336명 (2020.12) |
웹사이트 | 한미약품 |
영문 | Hanmi Pharm. Co., Ltd. |
대표 제품 | 로수젯, 노원, 써스펜, 메디락, 에코론크림, 암브로콜, 텐텐, 나인나인, 아모잘탄, 로벨리토, 피도글정, 발기부전 치료제 '팔팔/구구', 트리악손주, LAPS제품군 |
한국어 이름 | |
한글 | 한미약품 |
한자 | 美 |
로마자 표기 | Hanmi Yagpum |
문화어 표기 | Hanmi Yakp'um |
한국어 풀네임 | |
한국어 | 한미약품 주식회사 |
한자 | 韓美藥品 株式會社 |
2. 역사
중앙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한 임성기 회장이 서울특별시 동대문에서 약국[23]을 운영하다가, 1973년 한미약품공업주식회사를 설립했다.
2014년 매출 7613억원의 20%인 1.525조원을 R&D에 투자했다. 2015년 지속형 당뇨신약 '퀀텀 프로젝트'의 4.8조원 대의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하면서 11월 6일 주가가 11월 5일보다 16만4000원(29.98%) 오른 71만1000원에 장을 마쳤다.[24]
2016년 9월 29일 호프만 라 로슈의 자회사인 제넨텍과 1조원 규모의 표적 항암제 기술수출 계약을 맺었다고 공시했다. 하지만, 다음날인 9월 30일 베링거인겔하임으로부터 올무티닙 항암제 기술수출 관련 계약 해지 통보를 받았다. 또한, ‘올리타’의 임상 시험 도중 부작용으로 2명이 사망한 것으로 밝혀졌다. 9월 30일 주가는 9월 29일에 비해 112,000원(18.06%) 급락한 508,000원에 마감했다.[25] 10월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정춘숙 의원은 8월 23일 한미약품과 베링거인겔하임이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DMC.Data Monitoring Committee)에 "일단 모든 피험자 모집은 중단하고 임상 중인 환자들에게는 베링거인겔하임이 임상 중단 레터를 보낸다"는 서한을 보냈다고 밝혔다. 한미약품은 이에 "경쟁 약물의 등장 등 폐암 치료제 시장 변화로 인해 임상시험을 새롭게 설계하는 과정에서 임상을 중단한 것뿐"이라며 "안전성 이슈 때문이 아니다"라고 밝혔다.[26]
2. 1. 설립 초기 (1973년 ~ 1990년대)
한미약품은 1973년 임성기 약사에 의해 설립되었다.[1] 1966년 서울특별시에서 창업주 이름을 딴 ‘임성기 약국’으로 시작하여,[1] 1973년 '한미약품공업㈜'으로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 분말을 판매하였으며, 1985년에는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 1987년에는 세프트리아존 주사제 생산으로 사업을 확장했다.1982년 좌약식 피임약 노원과 좌약식 어린이 해열제 써스펜좌약을 발매했다. 1984년 계열사 한미정밀화학㈜을 설립하고(경기도 성남시 삼평동 371소재), 경기도 화성군 팔탄면에 팔탄 GMP공장을 신축했다. 1986년에는 한미약품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KGMP실시 적격업소 판정을 받았다. 1988년 주식을 증권거래소에 상장했으며,[2] 1989년 현재 CI로 변경했다.
1990년 SBS(서울방송) 창립주주로 참여하였고, 계열사 ㈜한미를 설립하여 건강보조식품 판매를 시작했다. 1993년 송파구 방이동에 본사 사옥을 완공했다. 1994년에는 시클로스포린 개발을 시작했다. 1996년 중국 시장에 진출했다.[8] 1997년에는 매출액 1000억원을 돌파했고, 경북 지역 케이블 TV(한국 케이블TV 영남방송) 사업에 진출했으며, 노바티스사에 마이크로에멀젼 제제기술을 6300만달러에 이전했다. 1998년부터는 유럽 시장 진출을 시작했다.
2. 2. 신약 개발 및 해외 진출 (2000년대 ~ 현재)
2000년, 한미약품은 항암제로 사용되는 파클리탁셀(상품명 탁솔)을 세계 최초로 경구용(입으로 먹는) 약품으로 개발했다.[2] 2004년에는 24시간 지속형 닐피디핀(Nifedipine) 정제와 새로운 암로디핀(Amlodipine) 염 형태의 약물을 개발했다.[2] 2007년에는 시부트라민 메실레이트(sibutramine mesilate)를 이용한 항비만제를 개발했다.[2] 2008년에는 주사용 항생제 세프트리악손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았다.[2]2010년경, 한미약품은 "랩스커버리(Lapscovery)" 기술을 이용한 지속형 펩타이드 및 단백질 치료제 개발과 암 및 자가면역 질환을 위한 소분자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개발에 집중했다.[3][4]
2014년, 한미약품은 매출의 20%인 1525억원을 R&D에 투자했다.[24] 같은 해 중국 회사인 루예파마(Luye Pharma)에 소분자 EGFR 억제제(EGFR inhibitor)인 포지오티닙(poziotinib)의 중국 독점 라이선스를 넘겼다.[3]
2015년에는 대규모 기술 수출 계약이 이어졌다. 2월, 한국을 제외한 전 세계에 포지오티닙 라이선스를 스펙트럼 제약(Spectrum Pharmaceuticals)에 넘겼다.[3] 3월에는 릴리(Eli Lilly and Company|Lilly)와 소분자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ruton's tyrosine kinase) 억제제에 대한 아시아 지역을 제외한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릴리는 계약금 5000만달러와 최대 6.4억달러의 마일스톤, 10%가 넘는 로열티를 지불하기로 했다.[5] 11월에는 지속형 당뇨신약 '퀀텀 프로젝트'의 기술 수출 계약을 사노피(Sanofi)와 체결하며 4.8조원 대의 계약을 성사시켰다.[24] 이 계약에는 에프페글레나타이드(efpeglenatide), 주 1회 투여 인슐린, 고정 용량의 주 1회 GLP1-RA/인슐린 복합 약물이 포함되었다.[6] 같은 달,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J&J) 자회사인 얀센 제약(Janssen Pharmaceuticals)과 옥신토모듈린(oxyntomodulin) 유사체 대사 질환(metabolic disease) 프로그램(HM12525A 포함)에 대한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J&J는 계약금 1.05억달러와 8.1억달러의 마일스톤, 10%가 넘는 로열티를 지불하기로 했다.[7] 또한, 중국 회사인 자이랩스(ZAI Labs)와 올무티닙(olmutinib)에 대한 중국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8]
2016년 9월 28일, 한미약품과 젠텍 제약(Zentec Pharmaceuticals)은 젠텍이 한미약품의 소분자 암 치료제 후보물질인 벨바라페닙(Belvarafenib|HM95573)을 판매하기로 합의했다. 젠텍은 계약금 8000만달러를 지불했고, 마일스톤과 로열티가 포함되어 있었다.[9] 9월 29일, 로슈(Hoffmann-La Roche|Roche)의 암 자회사인 제넨텍(Genentech)과 MAPK/ERK 경로(MAPK/ERK pathway)를 표적으로 하는 한미약품의 1상 암 치료제 후보물질인 벨바라페닙(Belvarafenib|HM95573)에 대한 계약을 발표했다. 로슈는 계약금 8000만달러와 8.3억달러의 마일스톤을 지불하기로 했다.[10]
하지만, 2016년 9월 30일 베링거인겔하임으로부터 올무티닙 항암제 기술수출 계약 해지 통보를 받았다.[25] 또한, ‘올리타’의 임상 시험 도중 부작용으로 2명이 사망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주가가 급락했다.[25] 10월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정춘숙 의원은 8월 23일 한미약품과 베링거인겔하임이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DMC.Data Monitoring Committee)에 임상 중단 관련 서한을 보냈다고 밝혔다. 한미약품은 안전성 문제가 아닌 시장 변화에 따른 임상 재설계 과정이라고 해명했다.[26]
2016년 12월, 사노피와의 계약 범위가 축소되어 한미약품은 주 1회 투여 인슐린과 GLP1-RA/인슐린 복합 제품에 대한 권리를 되찾았고, 사노피에 계약금 4.34억달러 중 2.5억달러를 상환하기로 합의했다.[11]
2019년 12월, 랩트 테라퓨틱스(Rapt Therapeutics)와 한미약품은 아시아에서 FLX475를 개발 및 상업화하기 위한 협력을 발표했다.[12] FLX475는 다양한 암 치료를 위해 개발 중인 경구용 소분자 CCR4 길항제이다.
2020년 8월, 한미약품 창업주이자 회장인 임성기 회장이 만성 질환으로 별세했다.[13]
2023년 5월, 한미약품의 항암제 오락솔(Oraxol)의 미국 파트너였던 아테넥스(Athenex)가 파산 보호를 신청했다.[14]
3. 논란 및 사건 사고
2014년 한미약품은 매출 7613억 원의 20%인 1525억 원을 R&D에 투자했다. 2015년에는 지속형 당뇨신약 '퀀텀 프로젝트'의 4.8조원 대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하여 11월 6일 주가가 11월 5일보다 16만 4000원(29.98%) 오른 71만 1000원에 장을 마감했다.[24]
2016년에는 올무티닙 관련 부작용 및 계약 해지 논란, 내부자 거래 의혹 등이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올무티닙 부작용 및 계약 해지 논란, #내부자 거래 의혹 하위 섹션 참조)
3. 1. 올무티닙 부작용 및 계약 해지 논란
2016년 9월 29일 호프만 라 로슈의 자회사인 제넨텍과 1조 원 규모의 표적 항암제 기술수출 계약을 맺었다고 공시했다. 하지만, 다음날인 9월 30일 베링거인겔하임으로부터 올무티닙 항암제 기술수출 관련 계약 해지 통보를 받았다.[25] 이와 함께 ‘올리타’의 임상 시험 도중 부작용으로 2명이 사망한 사실도 밝혀졌다. 9월 30일 주가는 9월 29일에 비해 112,000원(18.06%) 급락한 508,000원에 마감했다.[25]2016년 10월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정춘숙 의원은 2016년8월 23일 한미약품과 베링거인겔하임이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DMC.Data Monitoring Committee)에 "일단 모든 피험자 모집은 중단하고 임상 중인 환자들에게는 베링거인겔하임이 임상 중단 레터를 보낸다"는 서한을 보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미약품은 "경쟁 약물의 등장 등 폐암 치료제 시장 변화로 인해 임상시험을 새롭게 설계하는 과정에서 임상을 중단한 것뿐"이라며 "안전성 이슈 때문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26]
2016년 9월 30일, 한국 규제 당국은 올무티닙에 대한 안전 경고를 발표했다. 이 경고에는 치명적인 경우를 포함한 두 건의 중독성 표피괴사용해증 사례와 한 건의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사례가 보고되었다. 같은 날 베링거인겔하임은 한미약품과의 계약 종료를 발표하면서, 이 결정은 해당 약물에 대한 "모든 이용 가능한 임상 데이터" 검토 후 내려진 것이며 경쟁 약물도 고려되었다고 밝혔다.[19]
2018년 4월, 한미약품은 올무티닙의 부작용을 더 빨리 공개하지 않은 것에 대한 한국의 두 가지 법률 위반 혐의를 받았다.[20] 같은 달, 자이랩은 올무티닙 개발 중단을 발표했고,[21] 며칠 후 한미약품도 해당 약물의 개발을 중단한다고 밝혔다.[22]
3. 2. 내부자 거래 의혹
2016년 9월 29일 저녁, 한미약품은 로슈(Roche)와의 계약을 발표하며 주가가 상승했다. 하지만 같은 날 저녁, 보령으로부터 계약 해지 통보를 받았고, 한미약품은 30일 아침 계약 해지를 발표하면서 주가는 폭락했다.[15] 10월 중순, 보령과의 계약 해지 정보가 제3자에게 유출되어 30일 발표 전 주식을 공매도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한국 당국의 조사를 받았다.[16] 12월에는 한미약품 직원 3명을 포함한 17명이 내부자 거래 혐의로 기소되었고, 25명에게 벌금이 부과되었으며, 45명이 불법 거래에 연루되어 약 33억원(283만달러)의 부당 이익을 얻은 것으로 드러났다.[17][18]4. 사업장
한미약품은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에 팔탄공단을,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에 평택공단을 가지고 있으며 각 사업장은 유럽의 GMP 인증을 획득하였다.[27]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는 국가별로 운영되는 의약품 제조·관리 기준으로, 의약 당국의 실사를 거쳐 적합 판정을 받아야 해당 국가에서 의약품을 판매할 수 있다. 유럽 GMP는 세계 최고 수준의 GMP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으며, 국내에 EU GMP를 획득한 완제의약품 제조소는 10군데가 넘지 않는다.
- 동탄에 대한 언급은 '사업장' 섹션의 전반적인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적고, 하위 섹션 '연구센터'에서 자세히 다루어지므로 삭제.
- 본점은 '사업장' 섹션에서 이미 하위 섹션에서 다루고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삭제.
- 표에는 '연구센터'를 명시하지 않고 '사업장' 정보만 포함하여 간결하게 유지.
4. 1. 본사
한미약품 본사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14 (방이동)에 있으며, 8호선 몽촌토성역 및 9호선 한성백제역 올림픽공원 맞은편에 있다.4. 2. 연구센터
한미약품 연구센터는 경기도 화성시 동탄, 경부고속도로 근처에 있다.[1]구분 | 주소 |
---|---|
본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14 (방이동) |
화성 |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무하로 214 |
평택 |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추팔산단로 114 |
동탄 | 경기도 화성시 동탄기흥로 550 (영천동) |
4. 3. 제조 공장
한미약품은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에 팔탄공단을,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에 평택공단을 가지고 있으며, 각 사업장은 유럽의 GMP 인증을 획득하였다.[27]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는 국가별로 운영되는 의약품 제조·관리 기준으로, 의약 당국의 실사를 거쳐 적합 판정을 받아야 해당 국가에서 의약품을 판매할 수 있다. 유럽 GMP는 세계 최고 수준의 GMP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으며, 국내에 EU GMP를 획득한 완제의약품 제조소는 10군데가 넘지 않는다.팔탄공단은 한미약품에서 내용고형제(정제, 캡슐제)와 점안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한미약품 매출의 70% 정도의 제품을 생산하는 대형 제조소이다. 2009년 10월에 혈전치료제 "피도글"의 EU GMP 인증을 내용고형제 의약품으로서는 국내 최초로 획득하였다.[28][29]
평택공단 세파플랜트는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만을 생산하는 제조소이다. 2013년 7월에 무균조작 분말 주사항생제로는 국내 최초로 EU GMP 인증을 획득하였다.[30][31] 2013년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 PIC/S(의약품 상호실사 협력기구) 가입 시 실사 대상 제조소로 선정되어 실사를 받았고, 그 결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으로부터 표창을 2014년 6월에 받았다.[32]
평택공단 바이오플랜트는 바이오베터 의약품 전문 제조소이다. 현재 지속형 바이오 신약 기반 기술인 랩스커버리를 적용한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 2014년 4월에는 한미약품 자기자본의 8.23%인 381억원을 투자하여 바이오플랜트 시설을 증설하는 것을 공시하였다.[33] 특히 미국, 유럽 등에서 글로벌 임상을 진행하고 있는 주 1회 제형 Insulin, LAPS CA-Exendin-4, LAPS Insulin Combo 등 당뇨·비만 치료의 바이오 신약 연구개발 프로젝트인 퀀텀프로젝트 제품의 제조소이다.
참조
[1]
뉴스
Hanmi Pharmaceutical introduced first domestically developed lung cancer drug
https://www.koreatim[...]
2016-05-20
[2]
웹사이트
History
http://www.hanmiphar[...]
2019-05-29
[3]
뉴스
Hanmi Pharmaceutical to Step Up R&D Investment to Further Develop Core Technologies
http://www.businessk[...]
2016-07-04
[4]
웹사이트
Research programme: long-acting conjugate therapeutics - Hanmi Pharmaceutical
http://adisinsight.s[...]
AdisInsight
2017-03-25
[5]
뉴스
Lilly inks a $690M deal to get its hands on an autoimmune drug
http://www.fiercebio[...]
2015-03-19
[6]
뉴스
Sanofi, Hanmi Ink Up-to-$4.2B Long-Acting Diabetes Drug Alliance
http://www.genengnew[...]
2015-11-05
[7]
뉴스
Janssen the latest Big Pharma to join Hanmi's South Korea deal machine
http://www.fiercepha[...]
2015-11-10
[8]
뉴스
South Korea's Hanmi to spend $200M in China expansion
http://www.fiercepha[...]
2016-04-14
[9]
뉴스
Deaths Lead Boehringer Ingelheim to Cancel 730 Million Cancer Deal With Hanmi Pharma Hanmi Stock Tanks
http://www.biospace.[...]
2016-09-30
[10]
뉴스
UPDATED: After patient fatality, Hanmi loses Boehringer, gains Roche in $800M-plus cancer-partner shuffle
http://www.fiercepha[...]
2016-09-30
[11]
뉴스
Hanmi Pharm downsizes license deal with Sanofi over diabetes drugs
http://pulsenews.co.[...]
2016-12-29
[12]
뉴스
RAPT THERAPEUTICS AND HANMI PHARMACEUTICAL ANNOUNCE COLLABORATION TO DEVELOP AND COMMERCIALIZE FLX475 IN ASIA
https://rapt.com/new[...]
2019-12-03
[13]
웹사이트
Hanmi Pharmaceutical chairman dies at 80
https://www.koreatim[...]
2020-08-03
[14]
웹사이트
Hanmi Pharm's US partner for anticancer drug files for bankruptcy
https://www.koreabio[...]
2023-05-16
[15]
뉴스
Hanmi Pharmaceutical raided over alleged info leak
http://www.koreahera[...]
2016-10-17
[16]
뉴스
Smarting from failed Boehringer deal, Hanmi faces more pain from insider trading probe
http://www.fiercepha[...]
2016-10-07
[17]
뉴스
Hanmi Pharm employees charged over insider trading
http://pulsenews.co.[...]
2012-12-02
[18]
뉴스
Prosecution charges 17 over Hanmi Pharmaceutical disclosure case
http://www.koreahera[...]
2016-12-14
[19]
뉴스
Following lethal tox report, Boehringer scraps plans for high-speed development, kills $730M Hanmi deal
https://endpts.com/f[...]
2016-10-01
[20]
뉴스
Hanmi hit over failure to disclose olmutinib cancer trial side effect
https://www.fiercebi[...]
2017-04-17
[21]
뉴스
Zai Lab returns China rights for olmutinib to Hanmi
http://www.bioworld.[...]
2018-04-11
[22]
뉴스
Hanmi calls time on troubled Tagrisso rival olmutinib
https://www.fiercebi[...]
2018-04-13
[23]
일반
[24]
뉴스인용
‘한미약품 대박’ 빛 과 그림자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15-11-06
[25]
뉴스인용
‘한미약품 쇼크’ 올리타 임상 부작용 사망자 2명…주가 하루만에 폭락
http://www.viva100.c[...]
브릿지경제
2016-10-01
[26]
뉴스인용
"한미약품-베링거인겔하임, 8월 올리타정 임상 중단 결정"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6-10-07
[27]
뉴스인용
한미약품 팔탄-평택공단, 품질경영 ‘쌍두마차’ 끈다
http://www.ceoscored[...]
CeoScoreDaily
2014-08-27
[28]
뉴스인용
한미,미래 핵심가치 '글로벌 신약'서 찾는다
http://www.yakup.com[...]
약업신문
2012-04-04
[29]
뉴스인용
연구에서 생산까지 ‘원스톱’…한미약품 스마트 공장
http://magazine.hank[...]
2018-05-22
[30]
뉴스인용
한미약품, 트리악손주 EU 4개국 시판 허가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4-09-22
[31]
뉴스인용
글로벌 신약 전진기지...'Made In 한미' 꿈 이루다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4-08-04
[32]
뉴스인용
한미약품 평택공장, 의약품실사상호협력기구 가입 공로 식약처장 표창
http://news.kukinews[...]
쿠키뉴스
2014-09-22
[33]
뉴스인용
한미, 평택 바이오공장에 381억 증설투자
http://www.dailyphar[...]
데일리팜
2014-04-1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비만에 지방간 치료까지···제약주 주가 들썩
국내 비만치료제 경쟁 본격화...비만·당뇨 동시 공략 마운자로 출시
"회사 더 키워봤자 뭐합니까" 밸류업 막는 세계 1위 상속세
“회사 더 키워봤자 뭐합니까”…세계 1위 상속세에 막힌 밸류업
개미 눈물의 물타기…외국인 주도주 불타기
[MK시그널] 한미약품, 비만 신약 출시 기대감에 주가 상승세... MK시그널 추천 후 상승률 9.56% 기록
4월3일 인사
송영숙 한미약품그룹 회장, 지주사 대표 사임…“전문경영 체제로”
송영숙 한미약품그룹 회장, 지주사 대표 사임…“전문경영 체제”
고령화 가속…판 커지는 골다공증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시장
"경영권 지분 상속시 과세이연 고려해야"
장재영 세종 변호사 “저성장 위기… 경영권 지분 상속세 합리화해야”
[주간 트렌드 리포트] 돌아온 4차산업혁명위원회, 첫 회의 주요 안건은? – 바이라인네트워크
투비소프트의 바이오 사업, 어떻게 볼 것인가 – 바이라인네트워크
체형 등 반영한 ‘한국인 맞춤형 비만 치료제’ 목표 [건강한겨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