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승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승주는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학자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1993년부터 1994년까지 외무부 장관을 지냈으며,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제19대 주미대사를 역임했다. 고려대학교 총장 서리를 두 차례 맡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외교학자 - 헨리 키신저
    헨리 키신저는 미국 외교 정책을 주도한 유대인 출신 외교관으로, 현실주의 외교와 데탕트 정책을 통해 미소 관계 완화 및 중 relations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베트남 전쟁 종식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100세에 사망했다.
  • 외교학자 - 매들린 올브라이트
    매들린 올브라이트는 체코슬로바키아 출신으로 미국 최초의 여성 국무장관을 지낸 외교관이자 학자로서, 클린턴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으로 재임하며 보스니아와 코소보 전쟁 개입을 지지하고 중동 평화 협상에 참여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나, 이라크 제재와 르완다 학살 대응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
  • 창조한국당 - 김영춘 (1962년)
    김영춘은 고려대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고 김영삼 전 대통령 비서관으로 정계 입문하여 16, 17, 20대 국회의원과 해양수산부 장관, 국회사무총장을 역임했으나 부산시장 보궐선거 낙선 후 정계 은퇴를 선언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창조한국당 - 이강일 (정치인)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강일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의 제22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으로, 한국청년당 창당, 김영춘 의원 보좌,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사회운동가, 지역위원장 등을 거쳐 당선되었다.
  • 대한민국의 국제관계학자 - 강창일
    강창일은 1952년 제주 출생으로 서울대 국사학과 졸업 후 도쿄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민주화 운동에 참여, 17대 국회의원을 시작으로 4선 의원, 한일의원연맹 회장을 지냈으며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하며 한일 관계 개선에 힘썼고 旭日大綬章을 수훈, 독도 및 위안부 관련 발언에 대한 논란도 있는 정치인이자 외교관이다.
  • 대한민국의 국제관계학자 - 라종일 (1940년)
    라종일은 1940년 서울 출생으로, 정치학자이자 외교관이며, 김대중 정부에서 요직을 두루 거치고 주영국 및 주일본 대사를 역임했으며, 우석대학교 총장과 한양대학교 석좌교수를 지냈다.
한승주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한승주
한자 표기韓昇洲
로마자 표기Han Seung-ju
출생일1940년 9월 13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경기도 경성부
국적대한민국
학력
학력서울대학교 (학사)
뉴햄프셔 대학교 (석사)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박사)
정치 경력
소속 정당무소속
직업교육자, 외교관, 정치가
외교부 장관 경력
직책제25대 외무부 장관
임기 시작1993년 2월
임기 종료1994년 12월
대통령김영삼
국무총리황인성
이전 외무부 장관이이상옥
다음 외무부 장관공로명
주미 대사 경력
직책제19대 주미 대한민국 대사
임기 시작2003년 4월
임기 종료2005년 2월
대통령노무현
국무총리고건
이전 대사양성철
다음 대사홍석현
수상
훈장욱일대수장
기타
웹사이트아산정책연구원

2. 학력 및 경력

학력
1962년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1964년 뉴햄프셔 대학교 정치학 석사
1970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정치학 박사[12]



경력
1978년 ~ 2006년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11]
2002년 6월 ~ 2003년 2월 고려대학교 총장 서리
2007년 3월 ~ 2008년 1월 고려대학교 총장 서리[13]


3. 외교관 경력

1993년 2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외무부 장관을, 2003년 4월부터 2005년 2월까지 주미대사를 역임했다.

같은 고려대학교에다 이름도 비슷했던 한승조의 발언 파문의 유탄을 맞기도 했다.[15]

3. 1. 외무부 장관

1993년 2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다.[12] 1993년 북핵 위기 당시 외무부 장관으로서 평화적 해결을 위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다.[14]

3. 2. 주미대사

2003년 4월부터 2005년 2월까지 제19대 주미대사를 지냈다. 노무현 정부는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한미 공조를 강화하고자 한승주를 주미대사로 내정하였다. 당시 양성철 주미대사의 임기가 3년 가까이 되어 교체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한승주는 미국 내 두터운 인맥을 갖고 있었고, 1993년 북핵 위기 당시 외무부 장관으로서 평화적 해결을 위해 노력한 점이 고려되어 발탁된 것으로 알려졌다.[14]

주미 대사 재임 시절의 한승주(가운데), 2004년 10월

4. 기타

고려대학교 교수 한승조의 발언 파문으로 유탄을 맞기도 했다.[15] 이름이 비슷했기 때문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an Sung-Joo UN secretary general https://www.un.org/p[...] 2019-08-15
[2] 웹사이트 Asan Plenum {{!}} The As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 Part 3 http://en.asaninst.o[...] 2019-08-15
[3] 웹사이트 Will North Korea denuclearize? http://events.berkel[...] 2019-08-15
[4] 웹사이트 Lecture by Professor Han Sung-Joo https://global.wustl[...] 2012-02-17
[5] 웹사이트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dialogue with Ambassador Bosworth http://www.ipsikor.o[...] 2019-08-15
[6] 웹사이트 Professor Han Sung-Joo is the Chairman of the Korean American Association http://cefia.aks.ac.[...] null
[7] 웹사이트 Nuclear North Korea: A Reassessment with Former Ambassador Han Sung-Joo https://asiasociety.[...] 2019-08-15
[8] 웹사이트 Will North Korea denuclearize? http://events.berkel[...] 2019-08-15
[9] 뉴스 江田元参院議長に桐花大綬章=ファイティング原田さん旭日小綬章 http://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2016-11-03
[10] 웹사이트 격동 50년 등장인물 소개 - 한승주 http://www.imbc.com/[...] MBC 2007-10-27
[11] 뉴스 [피플] 한승주 고려대 교수 '눈물의 고별 강의' http://weekly.hankoo[...] 주간한국 2005-12-12
[12] 웹인용 격동 50년 등장인물 소개 - 한승주 http://www.imbc.com/[...] MBC 2007-10-27
[13] 뉴스 [피플] 한승주 고려대 교수 '눈물의 고별 강의' http://weekly.hankoo[...] 주간한국1 2005-12-12
[14] 뉴스 북핵해결 위한 美지명도·인맥 고려…한승주 주미대사 내정 배경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03-03-27
[15] 뉴스 [해프닝] '한승조 교수 파문'에 유탄 맞은 한승주 교수 -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5-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