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강창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강창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17대부터 20대까지 4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도쿄 대학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배재대학교 교수, 제주 4.3 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2020년에는 주일대사로 임명되어 2022년까지 재임했다. 국회의원 재임 기간 동안 한일의원연맹 회장을 맡았으며, 독도 및 북방 영토 문제, 위안부 문제 등 한일 관계와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산초등학교 (제주) 동문 - 신찬익
    신찬익은 일제강점기 항일 운동을 전개하고 광복 후 한국독립당에서 활동하며 제주도지사 비서관을 역임했으며,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 민주정의당 당원 - 박지원 (1942년)
    박지원(1942년)은 전라남도 진도군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5선 국회의원, 김대중 정부 대통령비서실장 및 문화관광부 장관, 문재인 정부 국가정보원장을 역임했으며, 김대중 전 대통령 지원을 통해 정계에 입문하여 주요 당직을 맡았고 남북정상회담 성사에 기여했으나 대북 불법 송금 사건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민주정의당 당원 - 박용갑
    박용갑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제22대 국회의원으로, 대전 중구에서 당선되어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대전광역시의회 의원과 대전광역시 중구청장을 3선 역임했고, 현재 더불어민주당 대전광역시당 중구 지역위원회 위원장 및 이재명 대표 국민소통특보단 국민화합특보직을 수행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국제관계학자 - 한승주
    한승주는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후 미국에서 정치학 학위를 취득하고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외무부 장관과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외교관이다.
  • 대한민국의 국제관계학자 - 라종일 (1940년)
    라종일은 1940년 서울 출생으로, 정치학자이자 외교관이며, 김대중 정부에서 요직을 두루 거치고 주영국 및 주일본 대사를 역임했으며, 우석대학교 총장과 한양대학교 석좌교수를 지냈다.
강창일
기본 정보
이름강창일
한자 표기姜昌一
로마자 표기Gang Chang-il
출생일1952년 1월 28일
출생지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한경면
국적대한민국
본관진주 강씨
종교불교(법명: 도행)
웹사이트www.kangci.net
2020년 강창일
학력
대학교서울대학교
대학원도쿄대학교 대학원 문학 박사
경력
전직배재대학교 교수
전직주일본 대한민국 대사
국회 직책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장
정당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
국회 의원 정보
선거구제주 제주시·북제주군 갑(17대)
제주 제주시 갑(18·19·20대)
당선 횟수4회
의원 선수4선
의원 대수17·18·19·20대
임기 시작2004년 5월 30일
임기 종료2020년 5월 29일

2. 학력

3. 경력

연도직책
1991년 4월 ~ 2004년 3월배재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교무처장
1995년 2월 ~ 2003년 11월제주4.3연구소 소장
2001년 5월 ~ 2003년 5월광주5.18기념재단 이사, 아시아평화인권 한국위원회 위원장
2004년 4월 15일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 (제주시·북제주군 갑, 열린우리당, 초선)
2004년 ~ 2007년 7월열린우리당 제주도당 위원장
2005년아시아평화원연대회의 운영위원장
2006년 7월 ~ 2007년 12월국회 독도수호 및 역사왜곡대책특별위원회 위원
2008년 4월 9일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 (제주시 갑, 통합민주당, 재선)
2012년 4월 11일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 (제주시 갑, 민주통합당, 3선)
2016년 4월 13일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 (제주시 갑, 더불어민주당, 4선)
2017년 6월 15일일한의원연맹 회장[3]
2020년 11월 23일주일본 한국대사 임명[4][5][6]
2024년 3월 ~ 2024년 4월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더불어민주당 제주특별자치도당 총괄상임선거대책위원장[2]
현경대 국회의원 비서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자문위원, 일본교과서 바로잡기운동본부 운영위원장,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몽양기념사업회 이사장, 국회 정각회모임 부회장, 상생과 통일 포럼 고문 역임


3. 1. 정치 입문 이전

강창일은 1952년 1월 28일 제주시(구 북제주군)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1]

서울대학교 재학 중에는 3선 개헌 반대 시위를 주도하여 대통령선거법 위반으로 기소되었다. 이후 민청학련 사건으로 구속되어 징역 10년형을 선고받고[12] 안양교도소와 순천교도소에서 복역했다. 1975년 형 집행이 정지되었지만 고문 후유증에 시달렸고, 당국의 감시와 통제는 계속되었다. 1980년에 복학하여 1981년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1983년 도쿄대학교 대학원에 유학했다.[13] 2003년, "근대 일본의 조선 침략과 대아시아주의: 우익 낭인의 행동과 사상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4][15]

귀국 후에는 배재대학교 일본학과 교수로 취임했다. 2003년에 개최된 "일본의, 우리나라 역사 왜곡의 진상을 밝히는 남북 공동 학술 토론회"에 참가하여 "일본 제국주의가 조선을 강제 점령하고 영원히 그리고 완전히 지배하기 위해 조선 민족 말살 정책을 전개했다", "이로 인해 조선 민족은 해방되었어도 분단 체제를 맞이하게 되었다"는 견해를 강연했다.[16] 또한 도쿄대학교 재학 중에 수집한 자료를 포함한 일제강점기 자료를 제주대학교에 기증하기도 했다.[17]

정치 입문 이전의 주요 이력은 다음과 같다.

직책
현경대 국회의원 비서관
제주4.3연구소 소장
광주5.18기념재단 이사
아시아평화인권 한국위원회 운영위원장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자문위원
배재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교무처장
일본교과서 바로잡기운동본부 운영위원장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몽양기념사업회 이사장
국회 정각회모임 부회장
상생과 통일 포럼 고문


3. 2. 국회의원 경력 (2004년 ~ 2020년)

강창일은 2004년 4월 15일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소속으로 제주 제주시·북제주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제주시 갑, 통합민주당),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제주시 갑, 민주통합당),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제주시 갑, 더불어민주당)까지 내리 4선에 성공했다.[2]

임기정당소속 위원회기타
제17대 국회 (2004년 5월 ~ 2008년 5월)열린우리당대통합민주신당통합민주당
제18대 국회 (2008년 5월 ~ 2012년 5월)통합민주당민주당 → 민주통합당
제19대 국회 (2012년 5월 ~ 2016년 5월)민주통합당 → 민주당 →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제20대 국회 (2016년 5월 ~ 2020년 5월)더불어민주당


  • 2017년 7월 21일, 한일의원연맹 회장으로서 아베 신조 총리를 예방 방문하였다.[30]
  • 2018년 1월 11일에는 강제징용 소송 문제, 한국 해군 레이더 조사 문제 등으로 악화된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12명의 의원과 함께 일본을 방문, 일한의원연맹의 가가와 후쿠시로 회장 등과 의견을 교환하였다.[31]
  • 2019년 2월 13일 방한한 일한의원연맹 가가와 후쿠시로 회장과 회담에서, 강제징용과 일본 기업의 문제는 양국 정부의 협의 대상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32]

3. 3. 국회의원 이후

2020년 더불어민주당 지속가능 제주발전특별위원회 고문을 맡았다.[2] 2020년 10월부터 한일의원연맹 명예회장을 맡고 있다.[2]

2020년 11월 23일, 문재인 대통령은 강창일을 신임 주일본 한국대사로 임명했다.[4][5][6] 청와대 관계자는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취임 이후 양국 관계 개선에 대한 문 대통령의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4] 강창일은 전시 강제징용과 위안부 문제로 악화된 한일 관계 개선과 정상화를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그는 문 대통령의 발언을 전달하며, 두 정부는 대화를 통해 미결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해야 하며, 2020년 하계 올림픽을 포함하여 가능한 모든 분야에서 협력해야 한다고 밝혔다.[8][9] 2021년 1월부터 2022년 7월까지 제25대 주일본 한국대사를 역임하였다.[2]

일본 외무성(Ministry of Foreign Affairs (Japan))의 요시다 도모유키(Tomoyuki Yoshida) 사무관은 2021년 2월 3일 한국 측의 임명 발표가 아그레망 없이 이루어졌다고 밝혔으며, 발표 직후 가이후 아츠시(Atsushi Kaifu) 의전장이 주일 한국대사관에 관례 국제법을 위반한 것은 매우 유감이라고 전달했다. 당시 강창일은 신임장을 포함한 대사 취임 절차를 아직 마치지 않았기에 "차기 주일대사"로 불렸다.[7]

2024년 3월부터 2024년 4월까지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더불어민주당 제주특별자치도당 총괄상임선거대책위원장을 역임했다.[2]

4. 논란 및 비판

2009년 7월 27일, 강창일은 민주당의 미디어법 장외투쟁과 관련하여 "하늘을 거스른 자, 반드시 망한다고 옛 성현들이 줄곧 역사 속에서 가르쳐 왔습니다."라고 발언했다.[44]

강창일은 여러 논란과 비판에 직면해 왔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독도 및 북방영토 관련: 일본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보였으나, 러시아가 실효 지배 중인 북방영토를 일본 허가 없이 방문하여 논란이 되었다. 이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 위안부 문제 관련: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 "국가를 구속하는 조약이나 협정이 아니라, 아베 신조 정권과 박근혜 정권의 약속에 불과하다"며 무효를 주장했다. 이 역시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룬다.
  • 일본 천황 관련 발언: 문희상 국회의장의 천황 사과 요구 발언을 옹호하며, "한국인들은 전쟁의 주범이 천황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언급하여 논란이 되었다. 하위 섹션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한일 무역 분쟁 관련: 2019년 한일 무역 분쟁 당시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 강화 조치를 비판하면서도, 한국 정부의 대응에 대해서도 "원칙과 명분에 집착하여 시기를 놓쳤다"고 지적했다.
  • 주일대사 임명 관련 논란: 2020년 주일대사로 임명되었으나, 일본 정부에 대한 아그레망 사전 통지 절차를 முறையாக 거치지 않아 외교적 결례 논란이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 기타:
  • 제주도 내 중국인 관광객 범죄 증가에 따라 제주도 경찰과 중국 공안의 합동 순찰 방안을 제시했다.[22]
  • 한일의원연맹 회장으로서 아베 신조 총리를 예방하고, 악화된 한일 관계 속에서 일본을 방문하여 일한의원연맹과 의견을 교환했다.[30][31]
  •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하여 "강제징용과 일본 기업의 문제는 양국 정부의 협의 대상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32]

4. 1. 독도 및 북방영토 관련

2011년 5월 24일,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는 일본 고유의 영토인 북방영토 중 하나인 국후섬(일본어: 国後島, Кунаши́р|쿠나시르ru)을 일본의 허가 없이 “러시아와 일본의 영토 문제를 협의한다”는 명목으로 방문하여[18][36], 일본으로부터 항의를 받자 “일본 측의 일방적인 논리”라며 러시아의 실효 지배를 재차 지지했다.[19] 당시 일본은 여러 외교 경로를 통해 방문 전에 “방문하면 일한 관계가 악화된다”고 여러 차례 경고했지만, 듣지 않았다.[36]

일본의 교과서와 방위백서(일본어: 防衛白書)에 독도(일본어: 竹島)의 영토 문제가 기재되어 있는 것에 강경한 태도를 보여왔지만, “친일파” 후손을 규탄하는 운동에 더해, “일본 우익”을 목록으로 작성하여 입국을 금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표명하는 등의 주장도 하고 있다. 특히 “친일파 파묘법(친일파로 분류된 인물의 묘를 국립묘지에서 이장하는 법률)”에 대해 “우리 민족에게는 귀신 신앙이 있다”고 한 뒤 “국립묘지에 원수가 있는데, 유공자, 애국 선열 지사들이 저승에 가서 편히 쉴 수 있겠느냐”고 주장하고 있다.[20]

4. 2. 위안부 문제 관련

일본군 위안부일본어 문제와 관련하여, 강창일은 2015년에 체결된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 “(합의는) 국가를 구속하는 조약이나 협정이 아니라, 아베(신조) 정권과 박근혜 정권의 약속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며 합의가 무효라고 주장한다. 그는 한국인 위안부들에게 “언젠가 일본 국왕이나 총리가 와서 무릎 꿇고 사과할 것입니다”라고 격려했다.[21]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에 대해서는 김상희, 남인순, 홍익표 등과 함께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해 정의기억연대가 해 온 노력을 존중하고 높이 평가한다.”고 언급했다. 정대협 전 대표인 윤미향 관련 논란에 대해서는 “정의기억연대에 예컨대 작은 실수가 있다고 해도, 이것으로 활동의 의미와 성과가 부정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또한 “역사의 진실을 왜곡하려는 세력은 국민과 역사 앞에 사과해야 한다. 오랜 신뢰를 바탕으로 한 피해자들과 윤 씨의 관계를 깨뜨리는 것을 멈추고, 일본군 성노예 문제 해결을 위해 전념해 온 단체와 개인의 삶을 모독하지 마라.”고 비난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21]

4. 3. 일본 천황 관련 발언

2019년 2월 13일, 아사히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문희상 국회의장의 천황 사과 요구 발언에 대해 "일본인의 감정은 이해하지만, 문 의장의 발언은 천황에게 전직 위안부를 위문해 달라는 취지였다"고 설명했다. "천황은 일본의 상징이다. 한국인들은 전쟁의 주범이 천황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23] 河野太郎 외무대신이 문희상 의장의 발언을 무례하다고 비판한 것에 대해서는 "일본 외무대신이야말로 무례하다"고 반발했고,[24] 산토우 아키코 참의원 의장이 도쿄에서 개최된 G20 국회의장 회의에서 문희상 의장에게 환영의 태도를 보이지 않은 것에 대해서도 "그래서는 안 된다. 왜 그랬는지 모르겠다"며 "외교적 결례"라고 비판했다.[25] 2019년 10월에는 한국 KBS 라디오 방송에서 "한국에서는 '일왕'이라고 부르자"는 발언도 했다.[26]

4. 4. 한일 무역 분쟁 관련

2019년 한일 무역 분쟁 당시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일본 정부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관련 3개 품목에 대한 대(對)한국 수출 규제를 강화한 것에 대해 "일본 아베 정권은 교활하고 서투르다. 정치 논리를 경제 문제로 확대했다"며 "아베 정권이 이러한 행동을 한 것은 자국 정치용 조치, 자기 정치를 위한 한국 때리기라는 인상을 받는다"고 비난했다. 한편, 한국 정부에 대해서도 "원칙과 명분에 집착하여 시기를 놓친 부분이 있다"며 "지난해 12월부터 계속된 문제다. 정치적인 원칙과 명분만 주장하지 않고, 정치적인 해결로 문제를 풀어나가야 했다"고 말했다.[27] 이 발언 때문에 민주당 대표 이해찬은 손가락으로 "×" 표시를 하며 강 의원의 발언을 중단시키려 했다.[28]

2019년 7월 31일, 일본이 발표한 수출 관리( 캐치올 규제)상 우대 조치 재검토를 요구하기 위해 한국 의원단을 이끌고 일본을 방문했지만, 자유민주당 니카이 도시히로간사장 등과의 면담은 성사되지 못하고 귀국했다. 이후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이러한 상황이 된다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파기)를 당연히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발언했다.[29]

4. 5. 주일대사 임명 관련 논란

2020년 11월 23일, 문재인 대통령은 강창일을 신임 주일대사로 임명했다.[4][5][6] 청와대 관계자는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취임 이후 양국 관계 개선에 대한 문 대통령의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4] 강창일은 전시 강제징용과 위안부 문제로 악화된 한일 관계 개선과 정상화를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8][9]

그러나 일본 외무성은 한국 측의 임명 발표가 아그레망 없이 이루어졌다고 밝혔으며, 발표 직후 외무성 의전장이 주일 한국대사관에 관례 및 국제법을 위반한 것은 매우 유감이라고 전달했다.[7] 당시 강창일은 신임장을 포함한 대사 취임 절차를 아직 마치지 않았기에 "차기 주일대사"로 불렸다.[7]

주한 대한민국 대사 내정 사실은 대한민국 대통령실에 의해 발표되었으나,[11] 일본 정부에 대한 내정 통지는 그로부터 불과 1시간 전이었다.[33] 일본의 아그레망을 얻기 전에 발표한 이유에 대해, 일본의 기자 스즈키 타카후미는 일본이 아그레망을 발급하면 한국은 "러시아의 영유권을 일본이 인정했다"고 선전할 수 있고, 발급하지 않으면 "일본이 친일파 대사를 거부하여 한일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다"고 주장할 수 있는 함정이라고 언급했다.[33] 시게무라 토모케이 교수도 아그레망이 나오기 전에 신임 대사를 발표하는 것은 국제 의례 위반일 뿐만 아니라 국제법 위반이라고 설명했다.[34]

일본 외무성도 한국 당국의 국제 관행 경시를 문제 삼았으며, 차기 대사 발표 후 즉시 우미베 아츠시 의전장이 주일 한국대사관 김용길 임시대리대사에게 "일반적인 국제 관행에서 크게 벗어나 매우 유감스럽다"고 전달했다.[35]

아사히 신문의 마키노 아이히로 기자는 한국의 일본 아그레망 경시와 문재인 정부의 측근 인사를 비판하면서, 강창일에 대해 "일본 측 평판은 매우 나쁘다", "주변에서 높이 평가하는 사람은 없다"고 언급했다.[36]

중앙일보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2021년 1월 8일 아그레망을 승인했다.[37]

4. 6. 기타

2011년 5월 24일, 강창일은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는 북방영토 중 하나인 국후섬을 일본의 허가 없이 방문하여[18][36] 일본의 항의를 받자 "일본 측의 일방적인 논리"라며 러시아의 실효 지배를 지지했다.[19] 당시 일본은 외교 경로를 통해 "방문하면 한일 관계가 악화된다"고 경고했지만, 강창일은 이를 무시했다.[36]

강창일은 일본의 교과서와 방위백서에 독도 영토 문제가 기재된 것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보여왔다. 그는 "친일파 후손" 규탄 운동과 더불어 "일본 우익" 목록을 작성하여 입국을 금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표명하기도 했다. 특히 "친일파 파묘법"에 대해 "우리 민족에게는 귀신 신앙이 있다"며 "국립묘지에 원수가 있는데, 유공자, 애국 선열 지사들이 저승에 가서 편히 쉴 수 있겠느냐"고 주장했다.[20]

2016년 9월 26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에게 제주도 내 중국인 관광객 범죄 증가에 따라 제주도 경찰과 중국 공안의 합동 순찰 방안을 제시하고, 중국과의 협의를 요청했다.[22]

2019년 2월 13일, 아사히 신문 인터뷰에서 강창일은 문희상 국회의장의 천황에 대한 사과 요구 발언에 대해 "일본인의 감정은 이해하지만, 문 의장의 발언은 천황에게 전직 위안부를 위문해 달라는 취지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천황은 일본의 상징이다. 한국인들은 전쟁의 주범이 천황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언급하며[23], 문희상 의장의 발언을 무례하다고 비판한 고노 다로 외무대신에 대해서는 "일본 외무대신이야말로 무례하다"고 반발[24]했고, 산토 아키코 참의원 의장이 문희상 의장에게 환영의 태도를 보이지 않은 것에 대해서도 "외교적 결례"라고 비판했다.[25] 2019년 10월에는 한국 KBS 라디오 방송에서 "'일왕'이라고 부르자"는 발언도 했다.[26]

2017년 7월 21일, 한일의원연맹 회장으로서 아베 신조 총리를 예방 방문했고[30], 2018년 1월 11일에는 강제징용 소송 문제, 한국 해군 레이더 조사 문제 등으로 악화된 한일 관계를 배경으로 12명의 의원과 함께 일본을 방문하여 일한의원연맹의 가가와 후쿠시로 회장 등과 의견을 교환했다.[31]

2019년 2월 13일, 방한한 한일의원연맹 가가와 후쿠시로 회장과 회담에서, 강창일은 일본 정부가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해결되었다고 비판하는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하여 "강제징용과 일본 기업의 문제는 양국 정부의 협의 대상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32]

5.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선 여부비고
2004년총선열린우리당56,608표 (48.19%)1위당선초선
2008년총선통합민주당200832,707표 (39.29%)1위당선재선
2012년총선민주통합당42,006표 (43.35%)1위당선3선
2016년총선더불어민주당49,964표 (47.98%)1위당선4선


참조

[1] 웹사이트 Ex-lawmaker Kang appointed as new ambassador to Japan https://en.yna.co.kr[...] 2021-01-08
[2] 뉴스 [20대 총선] 제주, 野 3석 싹쓸이…'정권 심판론' 지지 http://www.newsis.co[...] 2019-05-22
[3] 웹사이트 http://www.jejusori.[...] 2019-05-22
[4] 웹사이트 Ex-lawmaker Kang Chang-il named new South Korean envoy to Japan https://www.japantim[...] 2021-01-22
[5] 웹사이트 New South Korea envoy vows to improve ties with Japan https://www.japantim[...] 2021-01-23
[6] 웹사이트 http://overseas.mofa[...] 2021-01-23
[7] 웹사이트 吉田外務報道官会見記録(令和3年2月3日) https://www.mofa.go.[...] 2021-02-05
[8] 웹사이트 New South Korean ambassador to Japan Kang Chang-il arrives in Tokyo https://www.koreatim[...] 2021-01-22
[9] 웹사이트 New South Korea envoy vows to improve ties with Japan https://www.japantim[...] 2021-01-22
[10] 뉴스 日本極右関係者「ブラックリスト」作成へ、韓国国会 https://jp.yna.co.kr[...] 2011-08-03
[11] 뉴스 駐日韓国大使に姜昌一氏 前韓日議連会長 https://www.nikkei.c[...] 2020-11-24
[12]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2
[13] 웹사이트 강창일 의원, '민청학련' 사건 37년만에 무죄 http://www.newsje.co[...] 2022-07-23
[14] 웹사이트 学位論文要旨 http://gakui.dl.itc.[...] 東京大学 2021-01-20
[15] 웹사이트 https://ci.nii.ac.jp[...]
[16] 뉴스 「日本の歴史わい曲」テーマに学術会議 https://japanese.joi[...] 2003-03-03
[17] 뉴스 韓国野党議員、植民地時代の資料を大学に寄贈 /済州 2012-09-13
[18] 뉴스 北方領土:韓国国会議員、国後島へ 竹島対策委員長、政府は「無関係」 http://mainichi.jp/s[...] 2011-05-27
[19] 뉴스 国後訪問の韓国議員、日本の独島領有権主張をけん制 http://japanese.yonh[...] 2012-09-16
[20] 뉴스 破墓法を推進する韓国与党、ペク・ソンヨプ将軍墓碑に「親日派の鬼神のせいで愛国先烈が安らかに眠れない」 2020-08-14
[21] 뉴스 韓国与党議員「李容洙さんの記者会見を口実に親日勢力が攻勢」 https://japanese.joi[...] 2020-05-14
[22] 웹사이트 윤병세, 제주도에 中공안파견 "중국 정부와 상의" https://www.yna.co.k[...] 2023-09-10
[23] 웹사이트 韓日議連の姜会長「冷却期間を」 非難の繰り返しに懸念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9-02-15
[24] 뉴스 韓日議連会長「日本の外相こそ無礼」 天皇謝罪発言への反発に https://jp.yna.co.kr[...] 2019-02-14
[25] 뉴스 山東参院議長を批判 韓国議長への冷遇は「外交的欠礼」=韓日議連会長 https://jp.yna.co.kr[...] 2019-11-05
[26] 뉴스 日王?天皇? 風見鶏的に発言が変わる“知日派”姜昌一駐日韓国大使 https://www.koreawor[...] コリアワールドタイムズ 2021-02-14
[27] 뉴스 韓日議員連盟会長「安倍政権は稚拙」 韓国政府批判も https://jp.yna.co.kr[...] 2023-09-10
[28] 웹사이트 강창일, 정부의 일본 대응 비난하자···손가락 X 표시한 이해찬 https://www.joongang[...] 2023-09-10
[29] 웹사이트 韓日議連会長「軍事情報協定の破棄検討も」 ホワイト国除外受け https://m-jp.yna.co.[...] 聯合ニュース 2019-08-02
[30] 웹사이트 姜昌一韓日議員連盟会長一行による安倍総理大臣表敬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19-01-11
[31] 웹사이트 来日の韓国議員「政府は判決尊重せざるを得ず」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19-01-11
[32] 웹사이트 韓日議連の姜会長「冷却期間を」 非難の繰り返しに懸念: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2-06-17
[33] 웹사이트 韓国は「アグレマン」前に駐日大使を発表した 「北朝鮮一点買い」で延命図る文在寅 (2/4ページ) https://www.dailyshi[...] 新潮社 2020-12-12
[34] 간행물 朝鮮半島通信 Vol.150 現代韓国民主主義の新しい英雄と国際法違反の「反日」新駐日大使 飛鳥新社
[35] 웹사이트 吉田外務報道官会見記録|外務省 https://www.mofa.go.[...]
[36] 웹사이트 掟破りの人事に波紋 韓国大使という「お仕事」 https://forbesjapan.[...] 2022-06-17
[37] 뉴스 文大統領、離任する日本大使に「日本が最も重要」…態度が軟化した理由は https://japanese.joi[...] 2021-01-18
[38] 웹사이트 文大統領の“ご意向”は国際条約よりはるか上!? “相手国同意無視”の駐日、駐米大使任命…「友好」ではなく「教化」目的か https://www.zakzak.c[...] 2021-02-25
[39] 뉴스 首相や外相、過去に「日王」発言の駐日韓国大使との面会見送りへ https://www.sankeibi[...] 2021-01-29
[40] 웹사이트 姜新任駐日大使「首相の面会拒否はメディアの悪ふざけ…日本の韓国対応、理性的でなくては」 https://japanese.joi[...] 2021-01-22
[41] 웹사이트 駐日韓国大使の信任状捧呈 | 外務省 https://www.mofa.go.[...]
[42] 웹사이트 姜昌一駐日韓国大使 離任のあいさつで林外相と初面会 https://jp.yna.co.kr[...] 2022-06-17
[43] 간행물 第1078号8頁(令和5年10月10日) https://kanpou.npb.g[...] 官報 2023-10-26
[44] 뉴스 민생 속으로 vs. 국민 속으로 http://www.ytn.co.kr[...] YTN 2009-07-2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