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안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안치는 파니시 왕통의 마지막 왕으로, 1416년 쇼 하시 부자의 중산군 침공으로 멸망한 북산 왕국의 왕이다. 《중산세감》 등에서는 무예가 출중했으나 음란하고 무도했다고 묘사되지만, 류큐 왕국의 시각이 반영된 기록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1416년 나키진성에서 자결했으며, 사이 온은 중국 외교 기록을 참고하여 마지막 조공 사절 파견 직후 제거되었다고 추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16년 사망 - 민무휼
조선 초기의 인물인 민무휼은 태종의 비 원경왕후의 오빠로, 왕족들과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 딸을 심온의 아들 심준에게 시집보내 세종대왕의 장인 심온과 사돈 관계를 맺기도 했다. - 1416년 사망 - 이래
이래는 고려 시대 우정언 이존오의 아들이자 우현보의 문인으로, 조선 초 문신으로 활동하며, 정몽주 피살 사건으로 유배되었으나, 제2차 왕자의 난 진압에 기여하여 공신으로 책록되고, 공조 판서, 대사헌, 예문관 대제학 등을 역임하다가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온 후 태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 14세기 일본 사람 - 가메야마 천황
가메야마 천황은 13세기 후반 재위한 일본의 제88대 천황으로, 원나라의 침입에 맞서 국방에 힘쓰고 젠 불교 전파에 기여했으며, 원평제도 개혁을 시도하고 다이카쿠지 황통의 번영을 추구한 인물이다. - 14세기 일본 사람 - 고레야스 친왕
고레야스 친왕은 1266년에 태어나 3세의 나이에 세이이타이쇼군에 취임했으나, 호조 씨에 의해 해임되어 교토로 돌아간 후 출가하여 사망했다. - 류큐 국왕 - 쇼보쿠왕
쇼보쿠왕은 류큐 왕국 제2쇼씨 왕조의 제13대 국왕으로 쇼케이왕의 장남이며, 왕비와 부인, 처를 두었고 5남 3녀를 두었다. - 류큐 국왕 - 쇼온왕
쇼온왕은 류큐 왕국 제2쇼씨 왕조의 18대 국왕으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교육 진흥과 대외 관계 유지에 힘썼으나 요절하였다.
한안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안치 |
일본어 | 하나치 (攀安知) |
칭호 | 류큐국 북산왕 |
거주지 | 나키진성 |
통치 | |
즉위 | 1401년 |
퇴위 | 1416년 |
통치 유형 | 왕 |
이전 통치자 | 민 |
계승자 | 없음 (북산왕국 멸망) |
출생 및 사망 |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미상 |
사망일 | 1416년 (전통적인 날짜) |
사망 장소 | 나키진성 (전통적인 이야기) |
가족 | |
아버지 | 민 |
왕조 | 파니시 왕통 (우지 왕통) |
기타 | |
소지품 | 지요가네마루 (복제품, 나키진촌 역사문화센터 소장) |
비고 | 외장은 한안치 시대가 아닌 후세에 중산왕이 제작한 것임. |
2. 역사적 배경
한안치는 파니시 왕통・북산왕 민의 장남이다. 『중산세감』이나 『중산세보』에는 "무예가 출중"하며 "음란하고 무도하다"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이는 류큐 왕국의 관점에서 쓰여진 기록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8]
『명사』에는 총 14차례의 조공 기록이 보이지만, 중산왕에 비하면 빈도가 낮아 북산의 열세를 엿볼 수 있다.
1416년(영락 14년), 쇼 시쇼・쇼 하시 부자가 이끄는 중산군(고사마루도 종군)과 북산 제 아지의 연합군이 나키진성을 공격했다(북산 침공). 한안치는 우세했으나 견고한 성을 공격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고사마루의 계략으로 모토부 테이하라가 배신하여 성은 함락되었고, 한안치는 모토부 테이하라를 베고 나키진성에서 자결했다.[8] 전승에 따르면 한안치 일족은 모두 죽임을 당했다고도 하고, 고사마루 등의 손에 의해 남산에 숨겨졌다고도 한다.[8]
2. 1. 북산 왕국과 한안치
파니시 왕통・북산왕 민의 장남이다. 『중산세감』이나 『중산세보』에는 "무예가 출중"하며 "음란하고 무도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류큐 왕국의 관점에서 쓰여진 기록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8]『명사』에는 총 14차례의 조공 기록이 보이지만, 중산왕에 비하면 빈도가 낮아 북산의 열세를 엿볼 수 있다.
신하인 모토부 테이하라가 한안치에게 중산 공격을 진언하자, 모토부 테이하라와 반목하던 주변의 북산 아지(구니가미 아지, 하네지 아지, 나고 아지 등)가 중산과 내통하여 이를 알렸다.
1416년(영락 14년), 사쇼・바시 부자가 이끄는 중산군(북산의 후예인 고사마루도 종군)과 북산 제 아지의 연합군이 나키진성을 공격한다(북산 침공). 우세했으나 견고한 성을 공격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지만, 고사마루의 계략으로 모토부 테이하라가 배신하여 성은 함락된다. 한안치는 모토부 테이하라를 베고, 거성인 나키진성에서 자결했다. 전승에 따르면 한안치 일족은 모두 죽임을 당했다고도 하고, 고사마루 등의 손에 의해 남산에 숨겨졌다고도 한다.[8]
2. 2. 쇼 하시의 북산 침공
1416년(영락 14년), 쇼 시쇼・쇼 하시 부자가 이끄는 중산군이 북산 침공을 개시했다. 고사마루도 중산군에 종군하였다. 구니가미 아지, 하네지 아지, 나고 아지 등 북산의 여러 아지(按司, 지역 통치자)들은 쇼 하시와 내통하여 북산의 상황을 알렸다.[4]중산군은 견고한 나키진성 공략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고사마루의 계략으로 모토부 테이하라가 배신하여 성이 함락되었다. 한안치는 모토부 테이하라를 베고 나키진성에서 자결했다.[4]
3. 한안치의 최후와 전설
1416년(영락 14년), 쇼 시쇼・쇼 하시 부자가 이끄는 중산군(中山軍, 북산의 후예인 고사마루도 종군)과 북산의 여러 아지(按司) 연합군이 나키진성을 공격했다(북산 침공).[4] 나키진성은 견고하여 공략이 어려웠으나, 고사마루의 계략으로 모토부 테이하라가 배신하여 함락되었다.[8] 한안치는 모토부 테이하라를 베고, 나키진성에서 자결했다.[8]
한안치는 "치요킨마루"라는 보검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의 죽음 이후 중산 왕의 손에 넘어갔다.[8]
3. 1. 자결과 멸망
1416년(영락 14년), 쇼 시쇼・쇼 하시 부자가 이끄는 중산군(中山軍, 북산의 후예인 고사마루도 종군)과 북산의 여러 아지(按司) 연합군이 나키진성을 공격했다(북산 침공).[4] 우세했으나 견고한 성을 공략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지만, 고사마루의 계략으로 모토부 테이하라가 배신하여 성은 함락되었다.[8] 한안치는 모토부 테이하라를 베고, 거성인 나키진성에서 자결했다.[8] 전승에 따르면 한안치 일족은 모두 죽임을 당했거나, 고사마루 등에 의해 남산에 숨겨졌다고 전해진다.[8]3. 2. 보검 치요킨마루
한안치는 "치요킨마루"라는 보검을 가지고 있었지만, 사후 중산 왕의 손에 넘어갔다.[8]4. 역사적 기록과 해석의 차이
한안치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사료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특히 한안치의 몰락 시기와 관련된 내용은 추잔세이칸(中山世鑑), 추잔세이후(中山世譜), 그리고 중국 측 기록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추잔세이칸》과 《추잔세이후》는 한안치의 몰락에 대한 극적인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한안치를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거나 몰락 시기를 다르게 기록하는 등 차이를 보인다. 사이온(蔡温)이 편집한 《추잔세이후》에서는 중국 외교 기록을 참고하여 한안치를 마지막 산호쿠 왕으로 명시하고, 몰락 시기를 1416년으로 수정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으로 인해 산호쿠 왕의 몰락(1416년)과 쇼 추가 나키진 오지(王子)로 임명된 시기(1422년) 사이에 부자연스러운 간격이 발생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한다.
4. 1. 《추잔세이칸(中山世鑑)》과 《추잔세이후(中山世譜)》
1650년에 편찬된 《추잔세이칸(中山世鑑)》은 산호쿠 왕(한안치)의 몰락에 대한 극적인 이야기를 기록했지만, 한안치를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3]사이 타쿠(蔡鐸)가 편집한 《추잔세이후(中山世譜)》(1701년)는 대체로 《추잔세이칸》의 내용을 따랐다. 사이온(蔡温)이 편집한 《추잔세이후》(1725년)는 서술을 대폭 변경하여, 한안치를 마지막 산호쿠 왕으로 명시하고, 몰락 시기를 1416년으로 수정했다. 이는 중국 외교 기록을 참고한 결과였다.[4]
4. 2. 몰락 시기에 대한 논쟁
사이 온은 중국 외교 기록을 참고하여 산호쿠 왕의 이름으로 파견된 조공 사절에 대한 기록을 추가했다. 마지막 왕은 한안치로 확인되었다. 사이 온은 산호쿠 왕이 1415년의 마지막 조공 사절 파견 직후 제거되었다고 추론하여 몰락 시기를 1416년으로 변경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으로 인해 산호쿠 왕의 몰락(1416년)과 쇼 추가 나키진 오지(王子)로 임명된 시기(1422년) 사이에 부자연스러운 간격이 발생했다는 지적이 있다.[4]5. 계보
6. 대중문화 속의 한안치
미소녀 게임 《풍우래기2》에서는 전승대로 한안치가 묘사되었다.[1]
참조
[1]
서적
Chūsei Nantō tsūkō bōeki-shi no kenkyū
Nishida Shoten 西田書店
[2]
서적
Higashionna Kanjun zenshū
[3]
간행물
Ryūkyū-koku no "Sanzan tōitsu"
[4]
서적
Ryūkyū ōkoku no keisei: Sanzan tōitsu to sono zengo
Yōju Shorin 榕樹書林
[5]
문서
외장은攀安知の時代ではなく、後世に中山王が拵えさせたものである。
[6]
문서
吉成直樹・福寛美「琉球王国と倭寇」内「琉球王権神話論」230ページ引。
[7]
뉴스
"小チャイナと大世界"
https://www.shimbun-[...]
八重山日報
2024-08-18
[8]
서적
日本刀 妖しい魅力にハマる本
河出書房新社
[9]
서적
古琉球三山由来記集
那覇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