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해살이 식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해살이 식물은 한 해 동안 생존하고 번식한 후 죽는 식물을 의미한다. 여러해살이 식물에서 진화했을 뿐만 아니라, 한해살이 식물에서 여러해살이 식물로 진화한 사례도 있으며, 성체의 사망률이 묘목보다 높거나 교란이 잦은 환경에서 유리하다. 인간 활동의 증가와 가축 방목은 한해살이 식물의 유병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며, 농업적으로 중요한 작물로 활용된다. 분자 유전학 연구를 통해 특정 유전자 비활성화를 통해 여러해살이 식물로 전환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한국에서는 나팔꽃, 호박, 옥수수, 해바라기 등이 있으며, 토마토, 고추, 벼 등도 한해살이로 취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물학 - 균근
균근은 식물 뿌리와 균류 사이의 공생체로, 식물에게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고 식물은 광합성 산물을 제공하며, 농업, 산림 복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식물학 - 목재
목재는 수목의 목질부로, 오래전부터 연료, 건축 자재, 도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구성되고 수종에 따라 물성이 다르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와 기술 개발이 중요시되는 재료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한해살이 식물 | |
---|---|
기본 정보 | |
학명 | Annual plant |
수명 주기 | 1년 |
생애 주기 | 한 번의 성장기 |
특징 | 성장기 후 죽음 |
생태 | |
서식 환경 | 밭 정원 황무지 |
생애 주기 전략 | |
특징 | 종자 생산에 집중 |
전략적 이점 | 예측 불가능한 환경에 적응 |
제한 조건 | 안정적인 환경에서는 생존에 불리 |
종류 | |
여름 한해살이 식물 | 봄에 발아하여 가을에 죽음 |
겨울 한해살이 식물 | 가을에 발아하여 봄이나 여름에 죽음 |
활용 | |
농업 | 빠른 성장과 수확 |
원예 | 계절별 다양한 식물 |
연구 | 생태 및 진화 연구 |
2. 진화 및 생태적 요인
일반적으로 한해살이 식물은 여러해살이 식물 조상으로부터 진화했다는 가설이 널리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여러해살이 식물이 한해살이 조상으로부터 진화한 사례도 발견되었으며, 한해살이에서 여러해살이 생활사로의 전환 속도가 그 반대보다 두 배 빠르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3][4]
2. 1. 한해살이 식물의 생태적 이점
생활사 이론에 따르면 한해살이 식물은 성체의 사망률이 묘목(또는 종자)의 사망률보다 높을 때 유리하다.[5] 즉, 한해살이 식물은 교란 또는 높은 시간적 변동성이 있는 환경에서 우세해져 성체의 생존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가설은 덥고 건조한 여름이 있는 지역에서 한해살이 식물의 유병률이 증가한다는 관찰 결과[1][4][6]와 높은 성체 사망률, 높은 종자 지속성과 일치한다. 또한, 다양한 과에서 덥고 건조한 여름에 한해살이 생활 방식이 진화한 것은 수렴 진화의 가장 좋은 사례 중 하나이다.[1][4][3] 한해살이 식물의 유병률은 연도별 변동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1]전 세계적으로 한해살이 식물의 유병률은 인간의 발자취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1] 가축 방목은 초원에서 한해살이 식물의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7] 유럽 정착 이후 특히 가축 방목 및 농업과 같은 활동과 관련된 교란은 유럽과 아시아에서 신세계로 한해살이 종의 침입을 촉진했다.
다양한 생태계에서 한해살이 식물의 우세는 종종 2차 생태적 천이 과정에서 일시적인 단계이며, 특히 교란 이후에 나타난다. 예를 들어, 밭을 버린 후 한해살이 식물이 처음에는 그곳에 정착할 수 있지만 결국에는 수명이 긴 종으로 대체된다.[8] 그러나 특정 지중해 시스템에서는 독특한 시나리오가 전개된다. 한해살이 식물이 우세해지면 여러해살이 식물이 반드시 그들을 대체하지는 않는다.[9] 이러한 특이성은 시스템의 대안적 안정 상태에 기인한다. 즉, 한해살이 우세와 여러해살이 상태 모두 안정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최종 시스템 상태는 초기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10]
식물은 원래 다년생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현생 식물에서도 양치식물에는 온대 지역의 미즈와라비와 같은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면 한해살이풀은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겉씨식물에는 전혀 없다. 이른바 풀이라는 형태와 함께, 속씨식물의 단계에서 진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보다 변화가 심한 기후의 지역에서 생활하기 위한 적응이라고 생각된다. 나지에 출현하는 파이오니아적인 풀도 한해살이풀이 많다.
예를 들어, 사막과 같이 연간 극히 제한된 기간에만 물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웰위치아와 같이 지하수맥까지 뿌리를 내리고, 선인장처럼 극도로 건조에 강한 형태로 견디는 방법도 있지만, 종자로 휴면하는 것이 훨씬 간단하다. 이를 위해서는 양호한 조건의 시기에 단시간에 성장, 번식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원래 열대 식물인 벼가 일본 도호쿠・홋카이도 지방에서도 생육할 수 있는 것도, 종자 상태에서의 월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인간이 보관하는 것이지만).
2. 2. 인간 활동과의 관계
생활사 이론에 따르면 한해살이 식물은 성체의 사망률이 묘목(또는 종자)의 사망률보다 높을 때 유리하다.[5] 즉, 한해살이 식물은 교란 또는 높은 시간적 변동성이 있는 환경에서 우세해져 성체의 생존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가설은 덥고 건조한 여름이 있는 지역에서 한해살이 식물의 유병률이 증가한다는 관찰 결과[1][4][6]와 높은 성체 사망률, 높은 종자 지속성과 일치한다. 또한, 다양한 과에서 덥고 건조한 여름에 한해살이 생활 방식이 진화한 것은 수렴 진화의 가장 좋은 사례 중 하나이다.[1][4][3] 또한, 한해살이 식물의 유병률은 연도별 변동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1]전 세계적으로 한해살이 식물의 유병률은 인간의 발자취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1] 가축 방목은 초원에서 한해살이 식물의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7] 유럽 정착 이후 특히 가축 방목 및 농업과 같은 활동과 관련된 교란은 유럽과 아시아에서 신세계로 한해살이 종의 침입을 촉진했다.
다양한 생태계에서 한해살이 식물의 우세는 종종 2차 생태적 천이 과정에서 일시적인 단계이며, 특히 교란 이후에 나타난다. 예를 들어, 밭을 버린 후 한해살이 식물이 처음에는 그곳에 정착할 수 있지만 결국에는 수명이 긴 종으로 대체된다.[8] 그러나 특정 지중해 시스템에서는 독특한 시나리오가 전개된다. 한해살이 식물이 우세해지면 여러해살이 식물이 반드시 그들을 대체하지는 않는다.[9] 이러한 특이성은 시스템의 대안적 안정 상태에 기인한다. 즉, 한해살이 우세와 여러해살이 상태 모두 안정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최종 시스템 상태는 초기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10]
3. 농업적 특성
한해살이 식물과 다년생 식물의 생활사 전략 차이는 생태계 기능과 서비스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한해살이 식물은 지하에 자원을 적게 할당함으로써 침식 감소, 유기 탄소 저장, 그리고 다년생 식물보다 낮은 양분 및 물 사용 효율을 보인다.[13]
한해살이 식물과 다년생 식물의 차이는 농업 환경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인류세 시대에 한해살이 식물의 전 세계적인 피복 면적이 크게 증가했는데,[14] 이는 주로 다년생 식물이 우세한 자연 시스템을 한해살이 작물 재배지로 전환했기 때문이다.
3. 1. 한해살이 작물의 중요성
한해살이 식물은 다년생 식물보다 성장률이 높고, 씨앗에 더 많은 자원을 할당하며 뿌리에는 적은 자원을 할당하는 경향이 있다.[11] 다년생 식물은 수명이 긴 식물과 단명하는 씨앗을 특징으로 하는 반면, 한해살이 식물은 토양 종자 저장고의 높은 지속성을 유지하여 낮은 수명을 보완한다.[12]한해살이 종은 전 세계 생물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지만, 인류의 주요 식량 공급원이다. 이는 씨앗 생산에 더 많은 자원을 할당하여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현재 한해살이 식물은 경작지의 약 70%를 차지하며, 전 세계 식량 소비의 약 80%에 기여한다.[15]
3. 2. 한해살이 작물 재배의 문제점
한해살이 식물과 다년생 식물의 차이는 농업 환경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한해살이 종은 전 세계 생물량의 작은 부분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인류의 주요 식량 공급원인데, 이는 씨앗 생산에 더 많은 자원을 할당하여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일 것이다. 환경에 대한 인간의 영향이 두드러지는 인류세 시대에 한해살이 식물의 전 세계적인 피복 면적이 크게 증가했다.[14] 이러한 변화는 주로 다년생 식물이 우세한 자연 시스템을 한해살이 작물 재배지로 전환한 데 기인한다. 현재 한해살이 식물은 경작지의 약 70%를 차지하며, 전 세계 식량 소비의 약 80%에 기여한다.[15]4. 분자 유전학적 연구
2008년, 애기장대와 같은 한해살이 식물에서 단 두 개의 유전자를 비활성화하면 여러해살이 식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6]
4. 1. 유전자 조절을 통한 생애주기 전환
2008년, 한해살이 식물 종에서 단 두 개의 유전자를 비활성화하는 것만으로 여러해살이 식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6] 연구자들은 애기장대의 SOC1 및 FUL 유전자(개화 시기를 조절)를 비활성화했다. 이러한 전환은 목질 형성과 같은 여러해살이 식물에서 흔히 나타나는 표현형을 확립했다.5. 한해살이 식물의 종류 (한국)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한해살이 식물은 다음과 같다.[1]
5. 1. 가을-겨울 한해살이 식물
5. 2. 한해살이로 취급되는 여러해살이 식물
일본에서는 월동이 어려운 식물(오키나와 등 온난한 지역이나 하우스 재배에서는 월동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은 다음과 같다.[1]- 토마토
- 고추
- 벼 (조건에 따라 월동하는 경우도 있지만, 2년째에는 수확에 사용하지 않는다.)
- 코리우스
- 일일초
- 페튜니아, 칼리브라코아
- 란타나 (늦가을에 뿌리 근처까지 잘라내고 인위적으로 숙근시키면 월동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여름나기가 어려운 식물(고지대 등에서는 여름나기를 하는 경우도 있다)은 다음과 같다.[1]
참조
[1]
논문
Revising the global biogeography of annual and perennial plants
2023-11-08
[2]
논문
The Evolution of Annual and Perennial Plant Life Histories: Ecological Correlates and Genetic Mechanisms
https://www.annualre[...]
2020-11-02
[3]
논문
Convergent evolution of the annual life history syndrome from perennial ancestors
2023
[4]
논문
The evolutionary responses of life-history strategies to climatic variability in flowering plants
2023-11
[5]
논문
Life-History Consequences of Natural Selection: Cole's Result Revisited
https://www.journals[...]
1973-11
[6]
논문
The contribution of plant life and growth forms to global gradients of vascular plant diversity
2023-11
[7]
논문
Plant trait responses to grazing – a global synthesis
https://onlinelibrar[...]
2007-02
[8]
논문
Contingent factors explain average divergence in functional composition over 88 years of old field succession
https://besjournals.[...]
2019-03
[9]
논문
Priority Effects and Nonhierarchical Competition Shape Species Composition in a Complex Grassland Community
2019-02
[10]
논문
Alternative States in Plant Communities Driven by a Life-History Trade-Off and Demographic Stochasticity
https://www.journals[...]
2021-08-01
[11]
논문
Trade-offs between seed output and life span –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traits between annual and perennial congeneric species
https://nph.onlineli[...]
2016-01
[12]
논문
Contrasting dynamics of seed banks and standing vegetation of annuals and perennials along a rainfall gradient
https://www.scienced[...]
2023-03-01
[13]
논문
Plant perennials to save Africa's soils
https://www.nature.c[...]
2012-09
[14]
논문
Global Consequences of Land Use
https://www.science.[...]
2005-07-22
[15]
논문
Annual vs. perennial grain production
https://www.scienced[...]
2012-10-15
[16]
논문
Flowering-time genes modulate meristem determinacy and growth form in Arabidopsis thaliana
http://www.reposi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