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렉의 사나이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할렉의 사나이들"은 웨일스의 민요로, 1794년 가사 없이 처음 출판되었지만 더 오래된 민요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양한 영어 및 웨일스어 가사 버전이 존재하며, 영국 육군 및 영연방의 웨일스와 관련된 부대에서 연대 행진곡으로 사용된다. 1941년 영화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를 시작으로 여러 영화에 등장했으며, 특히 1964년 영화 "줄루"에서 영국군의 사기를 북돋는 데 사용되어 널리 알려졌다. 2001년 9.11 테러 당시에는 모건 스탠리 보안 책임자 릭 레스코라가 이 곡을 불러 직원들의 대피를 도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렉섬 AFC - 레이스코스 그라운드
레이스코스 그라운드는 웨일스 렉섬에 위치한 렉섬 FC의 홈 구장으로, 축구, 크리켓, 경마 등에 사용되었으며 FA컵 최다 관중 기록을 보유하고, 다양한 행사 개최 및 장애인 시설 개선과 콥 스탠드 건설을 통해 경기장 시설을 개선하고 있다. - 영국의 군가 - 왕궁의 불꽃놀이 음악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이 작곡한 왕궁의 불꽃놀이 음악은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종결을 기념하는 아헨 강화 조약 축전을 위해 작곡된 5악장 구성의 관현악 모음곡으로, 1749년 런던에서 초연 당시 대규모 관악 앙상블로 연주되었고 이후 관현악 버전으로도 편곡되어 축전 분위기에 맞는 화려하고 다채로운 구성을 보여준다. - 영국의 군가 - 보기 대령 행진곡
보기 대령 행진곡은 F. J. 리케츠가 케네스 J. 앨포드라는 필명으로 1914년에 발표한 행진곡으로, 골프 용어에서 유래된 제목과 영화 《콰이 강의 다리》의 "콰이 강 행진곡"으로 유명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풍자적인 가사가 붙은 노래로도 유행했고 현재까지도 널리 활용된다.
할렉의 사나이들 | |
---|---|
곡 정보 | |
제목 (한국어) | 할렉의 사나이들 |
제목 (웨일스어) | Rhyfelgyrch Gwŷr Harlech |
제목 (영어) | Men of Harlech |
별칭 | Through Seven Years |
유형 | 웨일스 노래, 군대 행진곡 |
역사적 배경 | |
기원 | 다피드 압 이에안 압 이오르베르트(Dafydd ab Ieuan ab Iorwerth)의 할렉 성 방어 (1461-1468)에 영감을 받음 |
관련 전투 | 할렉 성 공방전 |
연도 | 1794년 이전 (정확한 기원 불명) |
음악적 특징 | |
조성 | 다장조 |
박자 | 4/4 |
문화적 의미 | |
용도 | 웨일스를 대표하는 노래 중 하나, 군대 행진곡 |
관련성 | 웨일스 문화와 군대의 상징 |
2. 역사
이 곡은 1794년 "Gorhoffedd Gwŷr Harlech—March of the Men of Harlech"라는 제목으로 가사 없이 처음 출판되었으나,[1] 그 이전부터 웨일스 민요로 불렸다고 전해진다.[6] 가사가 포함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830년경 인쇄된 낱장본 형태이다.[7]
이후 다양한 버전의 가사가 등장했으며, 1860년 존 오언(오와인 알라)에 의해 처음으로 웨일스어 가사가 실린 악보가 렉섬에서 출판되었다.[8] 1862년에는 존 존스(탈하이언)의 웨일스어 가사와 토마스 올리판트의 영어 가사가 포함된 악보집 ''Welsh Melodies''가 출판되는 등 여러 악보집이 나왔다.[9][10] 시인 존 케이리오그 휴즈가 쓴 가사도 널리 알려져 있으나, 1890년대에 처음 출판되었다는 설은 사실과 다르다.[1]
2. 1. 기원과 초기 역사

이 곡은 1794년 "Gorhoffedd Gwŷr Harlech—March of the Men of Harlech"라는 제목으로 가사 없이 처음 출판되었으며, 이는 ''The Musical and Poetical Relicks of the Welsh Bards''의 두 번째 판에 수록되었다.[1] 하지만 훨씬 더 오래된 민요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6]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가사는 1830년경 인쇄된 낱장본 형태이다.[7] 그 이후 여러 버전의 영어 가사가 출판되었다. 웨일스어 가사와 함께 처음 출판된 것은 1860년 웨일스 시인 존 오언(오와인 알라)이 편집하여 웨일스 렉섬에서 출판한 ''Y Canigydd''에서였다.[8]
1862년에는 웨일스 루틴에서 웨일스어 및 영어 가사를 포함하는 ''Gems of Welsh Melody''의 두 번째 판이 출판되었고,[9][10] 같은 해 출판된 ''Welsh Melodies'' 2권에는 웨일스 시인 존 존스(탈하이언)의 웨일스어 가사와 마드리갈 협회 회장이었던 토마스 올리판트의 영어 가사가 함께 실렸다.
일부 자료에서는 웨일스어 가사를 시인 존 케이리오그 휴즈가 1890년에, 영어 가사를 1893년에 처음 출판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명백히 이전 출판 기록들과 맞지 않는다.[1] 케이리오그가 쓴 웨일스어 가사는 이보다 훨씬 이른 시기인 1873년에 브린리 리차즈가 편집한 ''The Songs of Wales''에서 찾을 수 있다.
2. 2. 가사와 다양한 버전
이 곡은 1794년에 "Gorhoffedd Gwŷr Harlech—March of the Men of Harlech"라는 제목으로 가사 없이 처음 출판되었으며, 이는 ''The Musical and Poetical Relicks of the Welsh Bards''의 두 번째 판에 수록되었다.[1] 하지만 이 곡은 훨씬 더 오래된 민요라고 전해진다.[6] 현재까지 발견된 가사가 있는 가장 초기의 곡은 c. 1830년에 인쇄된 낱장본에서 찾을 수 있다.[7]이후 수많은 버전의 〈할렉의 사나이들〉이 구전되어 왔으며, 공식적으로 정해진 가사는 없다. 다양한 영어 가사 버전이 출판되었다.
- 1860년: 웨일스 시인 존 오언(오와인 알라)이 편집한 ''Y Canigydd''에 처음으로 웨일스어 가사와 함께 출판되었다. 이 책은 웨일스 렉섬에서 출판되었다.[8]
- 1862년: 웨일스 루틴에서 웨일스어 및 영어 가사를 포함하는 두 번째 판인 ''Gems of Welsh Melody''가 출판되었다.[9][10]
- 1862년: 컬렉션 ''Welsh Melodies''의 2권에 웨일스 시인 존 존스(탈하이언)의 웨일스어 가사와 마드리갈 협회 회장이었던 토마스 올리판트의 영어 가사가 함께 실렸다.
- 존 케이리오그 휴즈 버전: 시인 존 케이리오그 휴즈가 쓴 웨일스어 가사 버전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이 가사는 1890년에 처음 출판되었다는 자료도 있으나,[1] 이는 오류이며, 브린리 리차즈가 편집한 ''The Songs of Wales'' (1873)에서 훨씬 더 이른 시기에 찾을 수 있다. 영어 가사는 1893년에 처음 출판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 역시 이전 출판물들이 존재한다.[1]
아래는 1873년에 출판된 버전의 가사와 한국어 해석이다.
영어 원문 (1절) | 영어 원문 (2절) |
---|---|
Men of Harlech, march to glory, Victory is hovring oer ye, Bright-eyed freedom stands before ye, Hear ye not her call? At your sloth she seems to wonder; Rend the sluggish bonds asunder, Let the war-crys deafning thunder Every foe appall. Echoes loudly waking, Hill and valley shaking; Till the sound spreads wide around, The Saxons courage breaking; Your foes on every side assailing, Forward press with heart unfailing, Till invaders learn with quailing, Cambria neer can yield! | Thou, who noble Cambria wrongest, Know that freedoms cause is strongest, Freedoms courage lasts the longest, Ending but with death! Freedom countless hosts can scatter, Freedom stoutest mail can shatter, Freedom thickest walls can batter, Fate is in her breath. See, they now are flying! Dead are heapd with dying! Over might hath triumphd right, Our land to foes denying; Upon their soil we never sought them, Love of conquest hither brought them, But this lesson we have taught them, "Cambria ne'er can yield!" |
한국어 해석 (1절) | 한국어 해석 (2절) |
---|---|
할렉의 사나이들아, 영광스럽게 행진하라. 승리의 여신이 우리 위를 보살피며, 자유의 여신이 눈을 반짝이며 우리를 기다린다. 그녀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가? 너의 태만 앞에 그녀는 망설인다. 굼뜬 노예근성을 산산조각내고, 전쟁의 울음으로 천둥처럼 귀를 울려라. 모든 적들이 질겁하고 메아리가 시끄럽게 일어서니, 구릉과 계곡이 진동한다. 그리고 그 소리가 널리 퍼져 나가면, 색슨 놈들의 용기는 무너지고 모든 방향의 적들은 공포에 시달린다. 변치 않을 마음으로 앞으로 압박해 들어가라. 그리하면 침략자들은 겁을 먹고 알게 되리. 캄브리아는 굴복하지 않을 것이다! | 그대, 고귀한 캄브리아를 넘보는 자여, 아는가, 자유의 이상은 가장 강력하며, 자유의 열망은 가장 질기기에, 죽음으로만 끝낼 수 있다는 것을! 자유 앞에 무한한 적들이 흩어지고, 자유 앞에 굳센 갑옷이 흩어지고, 자유 앞에 두터운 벽도 무너지니, 운명의 여신의 숨결이 여기 있노라. 보라, 저들이 도망치는 것을! 죽어가는 죽음이 더미로 쌓인다! 강대한 힘으로 승리의 권리를 쟁취하고, 우리의 땅은 적들을 거부한다. 우리는 저들의 흙을 원한 적이 없으나, 정복의 즐거움이 저들을 이리로 데려왔으니, 우리는 저들에게 이것을 가르쳐 주리라. 캄브리아는 굴복하지 않을 것이다! |
"할렉의 사나이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변주되었다. 영국 육군과 영연방 군대의 웨일스 관련 연대에서 행진곡으로 널리 사용된다.
3. 노래의 사용과 변주
영화에서는 1941년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를 시작으로 여러 작품에 등장했으며, 특히 1964년 영화 ''줄루''에서 인상적으로 사용되어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 방송 분야에서도 ITV의 웨일스 지역 방송국이었던 텔레두 킴루(Teledu Cymru)의 시작 음악이나 BBC 라디오 프로그램의 테마 음악 일부로 사용된 바 있다.[13]
2001년 9.11 테러 당시 세계 무역 센터에서 모건 스탠리의 보안 책임자였던 릭 레스코라가 대피하는 직원들의 사기를 북돋기 위해 이 노래의 콘월풍 각색 버전을 부른 일화는 특히 유명하다. 그는 많은 인명을 구한 영웅으로 기억된다.[11][12]
이 외에도 웨일스 축구 클럽의 응원가, 학교나 대학의 교가 등으로 불리며, 유머러스한 패러디도 존재한다.[14] 세계적인 성악가 브린 터펠이 앨범에 수록하기도 했으며,[15] 하이든, 에드워드 저먼, 윌리엄 토머스 베스트 등에 의해 클래식 음악으로 편곡되기도 했다.
3. 1. 군가로의 사용
"할렉의 사나이들"은 영국 육군 및 영연방에서 웨일스와 역사적으로 관련된 연대의 행진곡으로 널리 사용된다. 특히 웨일스 근위대의 느린 행진곡, 로열 웨일스 연대의 빠른 행진곡으로 쓰이며, 로열 캐나디안 후사르 (몬트리올), 총독 근위 기병대, 온타리오 연대에서는 느린 행진곡으로 사용된다.
이 곡은 여러 영화에 등장했는데, 1941년 영화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의 오프닝 장면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가장 잘 알려진 사용례는 1964년 영화 ''줄루''에서 두드러지게 사용된 것이다. 이 영화에서 불린 가사 버전은 영화를 위해 특별히 쓰여졌으며, 영화 속에서 두 번 불리면서(한 번은 완전하게) 줄루 왕국 전사들의 함성과 방패 두드리는 소리와 극적인 대비를 이룬다. 영화 편집자 존 짐슨은 영국 군인들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 장면 전환 부분에서도 노래가 정확한 상대적 위치에서 이어지도록 이 곡에 맞춰 장면을 편집했다. 이 노래는 이사흘와나 전투를 다룬 영화 ''줄루 던''에서도 들을 수 있다.
9.11 테러 당시, 모건 스탠리의 세계 무역 센터 사무실 보안 책임자였던 릭 레스코라는 확성기를 사용하여 "할렉의 사나이들"의 콘월 문화 각색 버전을 포함한 여러 노래를 부르며 대피하는 직원들의 사기를 북돋았다. 그는 2,700명 이상의 직원을 성공적으로 대피시킨 후, 남은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타워로 돌아갔다가 타워 붕괴로 목숨을 잃었다.[11][12]
방송 분야에서는 1960년대 초 ITV의 웨일스 지역 방송국이었던 텔레두 킴루의 시작 음악으로 사용되었으며, 2006년 4월까지[13] 프리츠 슈피글이 편곡한 "BBC 라디오 4 UK 테마"에도 포함되어 사용되었다. 또한 1996년부터 1999년까지 HTV 웨일스는 이 노래의 일부를 지역 뉴스 프로그램인 Wales Tonight에 사용했다.
그 외에도 각색된 버전은 여러 웨일스 축구 클럽 팬들이 응원가로 부르며, 전 세계의 학교나 대학에서 교가로도 사용된다. 윌리엄 호프-존스가 1914년 이전에 쓴 "고대 브리튼인의 국가"와 "Woad"라는 제목의 유머러스한 패러디도 존재한다.[14]
웨일스 출신의 세계적인 성악가 브린 터펠은 2000년에 발매한 앨범 ''We'll Keep a Welcome''에 "할렉의 사나이들"을 녹음하여 수록했다.[15]
클래식 음악에서도 편곡되어 사용되었는데, 프란츠 요제프 하이든의 Hob. XXXIb:2와 에드워드 저먼의 웨일스 랩소디(1904) 마지막 악장에 포함되어 있다. 윌리엄 토머스 베스트는 이 곡을 주제로 오르간을 위한 판타지를 작곡하기도 했다.
3. 2. 영화와 방송에서의 사용
"할렉의 사나이들"은 1941년 영화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의 오프닝 시퀀스에서 처음 영화에 사용되었으며, 여러 다른 영화에도 등장했다. 1964년 영화 ''줄루''에서 두드러진 역할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이 영화에서 불린 가사 버전은 영화를 위해 특별히 쓰여졌다. 영화에서는 줄루 왕국의 전쟁 노래와 방패를 두드리는 소리와 대조를 이루며 두 번 불린다 (한 번은 완전히). 영화 편집자 존 짐슨은 영국 군인들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 컷의 양쪽에서 노래가 정확한 상대적 위치에 있도록 이 곡에 맞춰 장면을 편집했다. 이 노래는 이사흘와나 전투에 관한 영화 ''줄루 던''에서도 들을 수 있다.
"할렉의 사나이들"은 1960년대 초 ITV 텔레비전 방송국 텔레두 킴루(Teledu Cymru)의 시작 음악으로 사용되었으며, 2006년 4월까지[13] 프리츠 슈피글(Fritz Spiegl)의 "BBC 라디오 4 UK 테마"에도 사용되었다.
1996년부터 1999년까지 HTV 웨일스는 이 노래의 일부를 Wales Tonight에 사용했다.
3. 3. 9.11 테러와의 연관성
2001년 미국에서 발생한 9.11 테러 당시, 뉴욕 세계 무역 센터에 위치한 모건 스탠리 사무실의 보안 책임자였던 릭 레스코라는 대피하는 직원들의 사기를 북돋기 위해 확성기를 사용하여 "할렉의 사나이들"을 콘월풍으로 편곡하여 불렀다. 그는 이 노래와 다른 국가의 노래들을 부르며 직원들을 격려하고 대피를 도왔다. 레스코라는 2,700명이 넘는 직원들을 성공적으로 구출한 후, 남은 사람들을 돕기 위해 다시 타워로 돌아갔으나 건물이 붕괴되면서 목숨을 잃었다.[11][12]
3. 4. 기타 사용 사례
각색된 버전은 여러 웨일스 축구 클럽 팬들이 부르며, 전 세계 학교나 대학에서 교가로도 사용된다. 윌리엄 호프-존스가 1914년 이전에 쓴 "고대 브리튼인의 국가"와 "Woad"라는 유머러스한 패러디도 존재한다.[14]
여러 음악가들이 이 곡을 클래식으로 편곡했다. 브린 터펠은 2000년 앨범 ''우리는 환영을 유지할 것이다''에 이 곡을 녹음했으며,[15] 프란츠 요제프 하이든 (Hob. XXXIb:2)과 에드워드 저먼 (웨일스 랩소디 마지막 악장, 1904) 역시 편곡 버전을 남겼다. 윌리엄 토머스 베스트는 이 곡을 기반으로 오르간을 위한 판타지를 작곡했다.
방송에서도 사용되었는데, 1960년대 초 ITV 텔레비전 방송국 텔레두 킴루의 시작 음악으로 쓰였고, 2006년 4월까지[13] 프리츠 슈피글의 "BBC 라디오 4 UK 테마"에도 포함되었다. 1996년부터 1999년까지 HTV 웨일스는 Wales Tonight 프로그램에 이 노래의 일부를 사용했다.
영화에서도 여러 차례 등장했다. 1941년 영화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의 오프닝 시퀀스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1964년 영화 ''줄루''에서 두드러지게 사용된 것으로 유명하다. 영화 속 가사는 특별히 각색된 것으로, 줄루 왕국의 함성과 대조를 이루며 두 차례 불린다. 편집자 존 짐슨은 장면 전환 시에도 노래가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편집했다. 이사흘와나 전투를 다룬 영화 ''줄루 던''에서도 들을 수 있다.
9.11 테러 당시 모건 스탠리의 세계 무역 센터 사무실 보안 책임자였던 릭 레스코라는 확성기를 통해 다른 노래들과 함께 "할렉의 사나이들"의 콘월어 버전을 부르며 대피하는 직원들의 사기를 북돋았다. 그는 2,700명 이상의 직원을 구출한 후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 타워로 돌아갔다가 타워 붕괴로 사망했다.[11][12]
4. 가사
〈할렉의 사나이들〉은 공식적으로 정해진 가사가 없으며, 오랜 시간 동안 다양한 버전이 구전되어 왔다. 여러 영어 가사 버전과 웨일스어 가사 버전이 존재하며, 그중 1873년에 출판된 존 옥슨포드(John Oxenford)의 영어 가사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존 베이커(John Baker) 버전(1862년), 영화 줄루(1964년)에 사용된 존 배리 프렌더가스트(John Barry Prendergast) 버전, 존 케이리오그 휴즈(John Ceiriog Hughes)의 웨일스어 버전 등이 있다.
4. 1. 존 옥슨포드 버전 (1873년)
Victory is hovring oer ye,Bright-eyed freedom stands before ye,
Hear ye not her call?
At your sloth she seems to wonder;
Rend the sluggish bonds asunder,
Let the war-crys deafning thunder
Every foe appall.
Echoes loudly waking,
Hill and valley shaking;
Till the sound spreads wide around,
The Saxons courage breaking;
Your foes on every side assailing,
Forward press with heart unfailing,
Till invaders learn with quailing,
Cambria neer can yield!
승리가 너희 위에 맴돌고 있으니,
눈부신 자유가 너희 앞에 서 있네,
그녀의 부름이 들리지 않는가?
너희의 나태함에 그녀는 놀라는 듯하니;
느릿한 속박을 찢어 버리고,
전쟁의 함성, 귀청을 찢는 천둥 소리가
모든 적들을 공포에 떨게 하라.
메아리가 크게 울려 퍼지며,
언덕과 계곡을 뒤흔드네;
그 소리가 널리 퍼져 나가,
색슨족의 용기를 꺾을 때까지;
사방에서 너희의 적들을 공격하며,
흔들리지 않는 마음으로 전진하라,
침략자들이 공포에 질려 배우도록,
캄브리아는 결코 굴복하지 않는다!
Know that freedoms cause is strongest,
Freedoms courage lasts the longest,
Ending but with death!
Freedom countless hosts can scatter,
Freedom stoutest mail can shatter,
Freedom thickest walls can batter,
Fate is in her breath.
See, they now are flying!
Dead are heapd with dying!
Over might hath triumphd right,
Our land to foes denying;
Upon their soil we never sought them,
Love of conquest hither brought them,
But this lesson we have taught them,
"Cambria ne'er can yield!"
자유의 대의가 가장 강하다는 것을 알라,
자유의 용기는 가장 오래 지속되며,
죽음으로써 끝을 맺을 뿐!
자유는 무수한 군대를 흩뜨릴 수 있고,
자유는 가장 굳건한 갑옷을 부술 수 있으며,
자유는 가장 두꺼운 벽을 부술 수 있으니,
운명이 그녀의 숨결 속에 있네.
보라, 그들이 이제 도망가고 있네!
죽은 자들이 죽어가는 자들과 쌓여 있네!
힘 위에 정의가 승리했네,
우리 땅을 적들에게 거부하며;
우리는 그들을 그들의 땅에서 찾지 않았지만,
정복에 대한 사랑이 그들을 이곳으로 데려왔네,
그러나 우리는 그들에게 이 교훈을 가르쳤네,
캄브리아는 결코 굴복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