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함경북도지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경북도지사는 함경북도의 행정 수반을 의미하며, 역대 도지사들의 명단과 재임 기간을 제공한다. 1949년 서상용부터 시작하여, 2024년 현재 지성호까지 총 19명의 도지사가 역임했다. 각 도지사들은 한국 전쟁, 4.19 혁명, 5.16 군사정변, 6월 항쟁, IMF 외환 위기, 세월호 참사,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등 시대적 사건과 연관되어 도정을 이끌었으며, 각기 다른 정치적, 사회적 상황 속에서 지역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북5도지사 - 이광노
    이광노는 대한민국 육군 중장 예편 후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낸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조사에 참여하고 정계 은퇴 후 보수 성향 단체에서 활동했다.
  • 이북5도지사 - 지성호
    지성호는 1982년생으로 1996년 기차 사고로 왼손과 다리를 잃고 2006년 탈북하여 북한 인권운동가로 활동하다가 제21대 국회의원, 이북5도위원회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차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은 국민을 대표하여 법률 제정과 국정 심의를 수행하며 4년 임기에 만 18세 이상에게 선거권이 주어지고, 면책특권과 불체포특권을 가지는 동시에 청렴, 국익 우선, 품위 유지의 의무를 지닌다.
  • 대한민국의 차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는 검찰총장을 보좌하며, 검찰총장의 부재 시 직무를 대행하며, 정권의 성격과 검찰 개혁 추진 상황에 따라 그 역할과 위상이 변화해왔다.
  • 대한민국의 관직과 칭호 -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경제 및 재정 정책 수립과 예산 관리 등 기획재정부의 주요 업무를 관장하는 국무위원이다.
  • 대한민국의 관직과 칭호 -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는 검찰총장을 보좌하며, 검찰총장의 부재 시 직무를 대행하며, 정권의 성격과 검찰 개혁 추진 상황에 따라 그 역할과 위상이 변화해왔다.
함경북도지사
기본 정보
함경북도 도기
함경북도 도기
위치대한민국 이북5도
면적20,345 km²
행정
도청 소재지성진시
하위 행정 구역3시 13군
인문
도지사오영찬
주요 출신 인물김일성
김책
황진이
이북5도위원회 정보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82-1
전화번호02-2100-5722
웹사이트이북5도위원회 - 함경북도

2. 역대 도지사

다음은 함경북도 역대 도지사 명단이다.

대수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1서상용1949년 2월1960년 1월
2심상열1960년 1월1962년 4월
3최병협1962년 4월1966년 9월
4강측모1966년 9월1980년 9월
5김동석1980년 9월1985년 8월
6고황1985년 8월1988년 6월
7지창훈1988년 7월1993년 3월
8최영1993년 3월1995년 9월
9차상필1995년 9월1997년 11월
10조철화1997년 12월1999년 7월
11남성관1999년 7월2003년 5월
12오무영2003년 5월2006년 6월
13신효헌2006년 6월2009년 11월 16일
14김동명2009년 11월 17일2013년 9월 16일
15박기정2013년 9월 17일2016년 9월 27일
16안충준2016년 9월 28일2019년 8월
17김재홍2019년 8월2022년 7월
18이훈2022년 7월2024년 8월 2일
19지성호2024년 8월 2일현직



함경북도지사는 1949년 서상용 초대 지사부터 현재 지성호 지사까지 총 19명이 역임하였다. 초대 지사인 서상용은 함경북도 행정 체계를 구축하고, 한국 전쟁 이후 복구 사업을 이끌었다. 제2대 심상열 지사는 4.19 혁명과 5.16 군사정변 등 격변기에 도정을 이끌었으며, 제3대 최병협 지사는 함경북도 산업화를 추진하였다. 제4대 강측모 지사는 장기간 재임하며 도내 사회 간접 자본을 확충하였고, 10월 유신과 12.12 군사반란을 겪었다. 제5대 김동석 지사는 5.18 민주화운동 이후 혼란 속에서 도정을 안정시켰다. 제6대 고황 지사는 6월 항쟁 등 민주화 요구 속에서 도정을 운영했고, 제7대 지창훈 지사는 서울 올림픽 지원에 참여했다. 제8대 최영 지사는 문민정부 출범 후 지방자치제도 변화에 대응했고, 제9대 차상필 지사는 첫 민선 도지사로서 주민 참여를 확대했다. 제10대 조철화 지사는 IMF 외환 위기 극복을 위한 경제 활성화에 힘썼다.

제11대 남성관 지사는 IT 산업 육성 등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한 정책을 추진했고, 제12대 오무영 지사는 참여정부 시기에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정책을 추진했다. 제13대 신효헌 지사는 소통과 협력을 강조하는 도정을 운영했다. 제14대 김동명 지사는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정비 사업과 관련하여 논란이 있었다. 제15대 박기정 지사는 세월호 참사 당시 함경북도의 해양 안전 관리 책임 문제로 논란이 있었다. 제19대 지성호 지사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지역 균형 발전과 사회적 약자 지원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2. 1. 제1대 - 제10대 (1949년 ~ 1999년)

이 시기는 함경북도 초기 발전 단계로, 도정의 기반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도지사들이 재임하였다.

대수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1서상용1949년 2월1960년 1월
2심상열1960년 1월1962년 4월
3최병협1962년 4월1966년 9월
4강측모1966년 9월1980년 9월
5김동석1980년 9월1985년 8월
6고황1985년 8월1988년 6월
7지창훈1988년 7월1993년 3월
8최영1993년 3월1995년 9월
9차상필1995년 9월1997년 11월
10조철화1997년 12월1999년 7월



초대 도지사 서상용은 함경북도 행정 체계를 구축하고, 한국 전쟁 이후 복구 사업을 주도하였다. 제2대 심상열 지사는 4.19 혁명과 5.16 군사정변 등 격변기에 도정을 이끌었으며, 제3대 최병협 지사는 함경북도 산업화를 추진하였다. 제4대 강측모 지사는 장기간 재임하며 도내 사회 간접 자본을 확충하였고, 10월 유신과 12.12 군사반란을 겪었다. 제5대 김동석 지사는 5.18 민주화운동 이후 혼란 속에서 도정을 안정시키는 데 힘썼다. 제6대 고황 지사는 6월 항쟁 등 민주화 요구 속에서 도정을 운영했고, 제7대 지창훈 지사는 서울 올림픽 지원에 참여했다. 제8대 최영 지사는 문민정부 출범 후 지방자치제도 변화에 대응했고, 제9대 차상필 지사는 첫 민선 도지사로서 주민 참여를 확대했다. 제10대 조철화 지사는 IMF 외환 위기 극복을 위한 경제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2. 1. 1. 제1대 서상용 (1949년 2월 ~ 1960년 1월)

서상용은 1949년 2월부터 1960년 1월까지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초대 도지사로서 함경북도의 행정 체계를 구축하고, 한국전쟁 이후 복구 사업을 주도하였다.

대수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1서상용1949년 2월1960년 1월


2. 1. 2. 제2대 심상열 (1960년 1월 ~ 1962년 4월)

심상열은 1960년 1월부터 1962년 4월까지 제2대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심상열 지사는 4.19 혁명과 5.16 군사정변 등 한국 현대사의 격변기에 도정을 이끌었다.

2. 1. 3. 제3대 최병협 (1962년 4월 ~ 1966년 9월)

최병협은 1962년 4월부터 1966년 9월까지 제3대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최병협은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에 발맞춰 함경북도의 산업화를 촉진하였다.

2. 1. 4. 제4대 강측모 (1966년 9월 ~ 1980년 9월)

강측모는 1966년 9월부터 1980년 9월까지 제4대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그는 장기간 재임하면서 도내 사회 간접 자본 확충에 기여하였다. 재임 기간 동안 10월 유신과 12.12 군사반란 등 한국 현대사의 주요 정치적 격동기를 거쳤다.

2. 1. 5. 제5대 김동석 (1980년 9월 ~ 1985년 8월)

김동석은 1980년 9월부터 1985년 8월까지 제5대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5.18 민주화운동 이후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도정을 안정시키는 데 주력하였다.

2. 1. 6. 제6대 고황 (1985년 8월 ~ 1988년 6월)

고황은 1985년 8월부터 1988년 6월까지 제6대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재임 기간 동안 6월 항쟁 등 민주화 요구가 거세지는 상황에서 도정을 운영해야 했다.

2. 1. 7. 제7대 지창훈 (1988년 7월 ~ 1993년 3월)

지창훈은 1988년 7월부터 1993년 3월까지 제7대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재임 기간 동안 서울 올림픽 개최 지원 등 국가적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2. 1. 8. 제8대 최영 (1993년 3월 ~ 1995년 9월)

최영은 1993년 3월부터 1995년 9월까지 제8대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문민정부 출범 이후 지방자치제도 도입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였다.

2. 1. 9. 제9대 차상필 (1995년 9월 ~ 1997년 11월)

차상필은 1995년 9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제9대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지방자치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후 첫 민선 도지사로서, 주민 참여 확대에 힘썼다.

2. 1. 10. 제10대 조철화 (1997년 12월 ~ 1999년 7월)

조철화는 1997년 12월부터 1999년 7월까지 제10대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조철화는 IMF 외환 위기 극복을 위한 경제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2. 2. 제11대 - 제19대 (1999년 ~ 현재)

이 시기는 지방자치제도가 정착되고, 함경북도가 성숙한 발전을 이루는 단계이다.

대수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11남성관1999년 7월2003년 5월
12오무영2003년 5월2006년 6월
13신효헌2006년 6월2009년 11월 16일
14김동명2009년 11월 17일2013년 9월 16일
15박기정2013년 9월 17일2016년 9월 27일
16안충준2016년 9월 28일2019년 8월
17김재홍2019년 8월2022년 7월
18이훈2022년 7월2024년 8월 2일
19지성호2024년 8월 2일현직


2. 2. 1. 제11대 남성관 (1999년 7월 ~ 2003년 5월)

남성관은 1999년 7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제11대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재임 기간 동안 IT 산업 육성 등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였다.[1]

2. 2. 2. 제12대 오무영 (2003년 5월 ~ 2006년 6월)

오무영은 2003년 5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제12대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참여정부 시기에 임명되어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정책 추진에 힘썼다.

2. 2. 3. 제13대 신효헌 (2006년 6월 ~ 2009년 11월 16일)

신효헌은 2006년 6월부터 2009년 11월 16일까지 제13대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신효헌은 도정 운영에 있어 소통과 협력을 강조하였다.

2. 2. 4. 제14대 김동명 (2009년 11월 17일 ~ 2013년 9월 16일)

김동명은 2009년 11월 17일부터 2013년 9월 16일까지 제14대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김동명 도지사는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정비 사업과 관련하여 논란이 있었다.[1]

2. 2. 5. 제15대 박기정 (2013년 9월 17일 ~ 2016년 9월 27일)

박기정은 2013년 9월 17일부터 2016년 9월 27일까지 제15대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재임 기간 중 2014년 4월 16일에 발생한 세월호 참사 당시, 함경북도의 해양 안전 관리 책임 문제로 논란이 있었다.

2. 2. 6. 제19대 지성호 (2024년 8월 2일 ~ 현재)

지성호는 2024년 8월 2일부터 현재까지 함경북도지사 직을 수행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지역 균형 발전과 사회적 약자 지원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