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돈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돈희는 대한민국의 부산 출신으로, 서울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고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저차원 및 양자 소자, 핵자기 공명을 통한 구조생물학 및 신약 개발, 질병 진단, 나노-바이오 접속, 복잡계 구현, 집적 회로 설계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다. 2008년 MIT 테크놀로지 리뷰의 35세 미만 혁신가로 선정되었으며, 캘텍 Charles Wilts Prize,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수석 졸업 대통령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동초등학교 (부산) 동문 - 이명우 (야구인)
이명우는 2002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2018년 은퇴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선수 시절 롯데 자이언츠에서 투수로 활동하며 선발과 불펜을 오갔고, 은퇴 후에는 부산공업고등학교에서 투수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금정고등학교 동문 - 김세연 (1972년)
김세연은 1972년생으로 서울대학교에서 국제경제학을 전공하고 ㈜동일고무벨트 대표이사를 역임했으며, 제18대, 제19대, 제20대 국회의원을 지내고 바른정당, 자유한국당 등에서 활동하며 2022년부터 한국스마트헬스케어협회 회장을 역임하고 있는 정치인이다. - 금정고등학교 동문 - 이승훈 (가수)
1992년 부산에서 태어난 이승훈은 보이 그룹 위너의 멤버로, K팝 스타 시즌1에서 4위를 기록한 후 위너로 데뷔하여 "REALLY REALLY" 등의 히트곡을 발표했으며, 예능 및 뮤지컬에도 출연하며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대한민국의 전자공학자 - 권오현 (1952년)
권오현은 삼성전자 부회장과 회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기업인으로, 서울대학교에서 전기공학 학사 학위를 받고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전기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삼성전자에서 연구원, 이사, 사장 등을 거쳐 대표이사 부회장과 회장을 지냈다. - 대한민국의 전자공학자 - 윤경용
윤경용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공학자로서, 사이버다인텔레콤 창업, 스타벅스 사이렌오더 개발 참여, 가온셀 대표이사 등을 역임하며, 저술 및 칼럼니스트로 활동한다.
함돈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함돈희 |
로마자 표기 | Ham Donhee |
국적 | 대한민국 |
분야 | 전자공학, 응용 물리학 |
직장 | 하버드 대학교, 삼성전자, LIGO |
출신 학교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서울대학교 |
웹사이트 | 함돈희 연구실 |
2. 생애 및 학력
대한민국 부산 출신으로, 서울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물리학 석사 및 전기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2002년 하버드 대학교에 조교수로 임용되었으며, 2006년 부교수, 2007년 자연과학 존 L. 로엡 부교수(John L. Loeb Associate Professor of the Natural Scienceseng)를 거쳐 2009년 응용물리학 및 전기공학 고든 맥케이 교수(Gordon Mckay Professor of Applied Physics and Electrical Engineeringeng)로 승진하였다.[2][38] 2023년에는 공학 및 응용과학 존 A. 및 엘리자베스 S. 암스트롱 교수(John A. and Elizabeth S. Armstrong Professor of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seng)가 되었다.[2] 2008년에는 MIT 테크놀로지 리뷰의 35세 미만 혁신가(TR35)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17][20][39]
주요 연구 분야는 저차원 및 양자 소자,[32][33][34][35][40][41] 핵자기 공명(NMR)을 이용한 고속 대량 구조생물학 및 신약 개발,[17][18][19][42] 질병 진단[43][44] 및 신경과학을 위한 나노-바이오 인터페이스,[3][4][5][8][9] 복잡계 구현, 기계 지능 및 뉴로모픽 공학,[6][7] 집적 회로 설계[10][11][12][13][14][15][16][21][22][23][24][25][26][27][28][29][30][31][45][46][47] 등이다. 또한 교육 분야에서도 기여한 바가 있다.[36]
2. 1. 유년 시절 및 학부
함돈희는 대한민국 부산 출신이다. 1996년 서울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자연과학대학 수석으로 대통령상을 수상하며 졸업했다.[1]2. 2. 병역 및 유학
1997년 대한민국에서 군 복무를 마쳤다. 이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로 유학하여 1999년 물리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2년에는 전기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전기 회로의 통계 물리학에 대한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은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최고의 전기 공학 논문에 수여되는 찰스 윌츠 최우수 논문상(Charles Wilts Prizeeng)을 수상했다.[1][37]3. 경력 및 연구 활동
함돈희는 대한민국 부산 출신으로, 1996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을 물리학 전공으로 수석 졸업하며 대통령상을 받았다. 1997년 군 복무를 마친 후 캘텍에 유학하여 1999년 물리학 석사 학위를, 2002년에는 전기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전기 회로의 통계 물리학에 대한 박사 학위 논문은 캘텍 최고의 전기 공학 논문에 수여되는 찰스 윌츠 상(Charles Wilts Prizeeng)을 수상했다.[1][37]
2002년 하버드 대학교에 조교수로 임용된 이후,[38][1] 부교수를 거쳐 2009년 정교수로 승진하였으며,[38][2] 2023년에는 공학 및 응용 과학 분야 존 A. 및 엘리자베스 S. 암스트롱 교수(John A. and Elizabeth S. Armstrong Professor of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seng)로 임명되었다.[2]
2008년에는 MIT 테크놀로지 리뷰가 선정하는 35세 미만 혁신가 (TR35) 중 한 명으로 뽑혔다.[39][20]
그의 주요 연구 분야는 물리학, 전자공학, 생명과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 걸쳐 있으며, 특히 CMOS-바이오 인터페이스, 핵자기 공명(NMR) 기술 응용, 집적 회로 설계, 저차원 및 양자 소자 연구 등을 포함한다. 또한 그의 교육 활동 역시 주목받고 있다.[36]
3. 1. 하버드 대학교 교수 임용
함돈희는 2002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전기 회로의 통계 물리학에 대한 연구로 전기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이 논문은 최고의 전기 공학 논문에 수여되는 찰스 윌츠 상(Charles Wilts Prizeeng)을 수상했다.[1] 같은 해 하버드 대학교에 조교수로 임용되었다.[38][1] 이후 2006년 부교수로 승진했고,[38][2] 2007년에는 자연과학 분야의 존 L. 로엡 부교수(John L. Loeb Associate Professor of the Natural Scienceseng)로 임명되었다.[2] 2009년에는 응용 물리학 및 전기 공학 분야의 고든 맥케이 교수(Gordon Mckay Professor of Applied Physics and of Electrical Engineeringeng)로 정교수 승진하였다.[2][38] 2023년에는 공학 및 응용 과학 분야의 존 A. 및 엘리자베스 S. 암스트롱 교수(John A. and Elizabeth S. Armstrong Professor of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seng)로 임명되었다.[2]3. 2. 주요 연구 분야
함돈희 교수의 연구는 물리학, 전자공학, 생명과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 걸쳐 있으며, 특히 다음과 같은 영역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저차원 및 양자 소자 연구[40][41][32][33][34][35]
- 핵자기 공명(NMR) 기술의 확장 및 이를 활용한 구조생물학, 신약 개발, 질병 진단 연구[17][18][19][42][43][44]
- CMOS 기술 기반의 신경과학 및 생명공학 인터페이스 연구 (예: 뉴런 활동 측정, 세포 분석)[3][4][5][8][9]
- 기계 지능 및 뉴로모픽 엔지니어링 연구[6][7]
- 다양한 응용 분야를 위한 집적 회로 설계[10][21][22][23][24][25][26][27][28][29][30][31][45][46][47]
- 센서 내 및 메모리 내 컴퓨팅 연구[10][11][12][13][14][15][16]
- 복잡계 구현 연구
3. 2. 1. 저차원 및 양자 소자
함돈희 교수의 주요 연구 분야 중 하나는 저차원 및 양자 소자이다.[40][41]3. 2. 2. 핵자기 공명 (NMR) 및 응용
함돈희의 주요 연구 분야 중 하나는 핵자기 공명(NMR) 기술의 스케일링(scaling, 규모 확장)이다.[17][18][19] 이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MIT 테크놀로지 리뷰에서 선정하는 35세 미만 혁신가(TR35) 중 한 명으로 뽑히기도 했다.[20] 그는 확장된 NMR 기술을 바탕으로 고속 및 대량 구조생물학 연구와 신약 개발 분야에 기여하고 있으며,[42] 질병 진단[43][44] 분야에도 이를 응용하고 있다.3. 2. 3. 집적 회로 설계
함돈희의 연구 분야 중 하나는 집적 회로 설계이다.[45][46][47] 그는 아날로그 AI 컴퓨팅, 주파수 생성 및 합성, 마이크로프로세서 열 모니터링, RF 트랜시버, 이미지 센싱, 전기화학/생물학적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응용 분야를 위한 집적 회로 설계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10][21][22][23][24][25][26][27][28][29][30][31]3. 2. 4. CMOS-바이오 인터페이스
함돈희의 연구는 신경과학 및 생명공학 분야에서 CMOS 기술과 생체 시스템을 연결하는 CMOS-바이오 인터페이스에 중점을 둔다. 이 연구는 특히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성과를 포함한다.- CMOS-신경 전자 인터페이스: 포유류 뉴런의 활동을 대규모로, 병렬적으로, 그리고 세포 내부에서 직접 기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3][4][5] 이는 신경계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
- CMOS-전기화학 인터페이스: 생물학적 세포를 효율적으로 선별(스크리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연구했다.[8] 또한, 다량의 생체 분자를 정밀하게 합성하기 위해 배열된 전극을 이용해 국소적인 pH 환경을 제어하는 기술도 개발했다.[9]
이러한 CMOS-바이오 인터페이스 기술은 신경과학 연구뿐만 아니라 신약 개발, 질병 진단 등 다양한 생명공학 분야에 응용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3. 2. 5. 기타 연구
함돈희의 연구는 기계 지능 및 뉴로모픽 엔지니어링 분야를 포함한다.[6][7] 또한 센서 내 및 메모리 내 컴퓨팅에 대한 연구도 수행했다.[10][11][12][13][14][15][16] 이 외에도 그래핀의 운동 인덕턴스 측정과 2D 전자의 집단 여기로 인한 빛 감속 현상 등 저차원 전자 공학 분야에서도 연구를 진행했다.[32][33][34][35]4. 수상 및 업적
1996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을 수석으로 졸업하며 대통령상을 받았다. 2002년 캘텍에서 전기 회로의 통계 물리학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이 논문은 최고의 전기 공학 논문에 수여되는 찰스 윌츠 최우수 논문상(Caltech Charles Wilts Prize|eng)을 수상했다.[1][37] 2008년에는 MIT 테크놀로지 리뷰가 선정하는 35세 미만 혁신가 (TR35) 중 한 명으로 이름을 올렸다.[17][18][19][39]
참조
[1]
웹사이트
Caltech Charles Wilts Prize
https://ee.caltech.e[...]
2022-09-10
[2]
웹사이트
Wizard at circuits, physics
https://news.harvard[...]
2009-12-03
[3]
간행물
A nanoelectrode array for obtaining intracellular recordings from thousands of connected neurons
2020-02
[4]
간행물
CMOS nanoelectrode array for all-electrical intracellular electrophysiological imaging
https://www.nature.c[...]
2017-05
[5]
간행물
Parallel probing of intracellular neuron potentials
https://www.nature.c[...]
2020-02
[6]
간행물
Neuromorphic electronics based on copying and pasting the brain
https://www.nature.c[...]
2021-09
[7]
웹사이트
Samsung Electronics Puts Forward a Vision To 'Copy and Paste' the Brain on Neuromorphic Chips
https://news.samsung[...]
[8]
웹사이트
CytoTronics – CMOS-Powered Drug Discovery
https://cytotronics.[...]
[9]
간행물
CMOS electrochemical pH localizer-imager
2022-07-29
[10]
간행물
A crossbar array of magnetoresistive memory devices for in-memory computing
https://www.nature.c[...]
2022-01
[11]
간행물
In-sensor optoelectronic computing using electrostatically doped silicon
https://www.nature.c[...]
2022-08
[12]
간행물
An atomically thin optoelectronic machine vision processor
https://onlinelibrar[...]
2020-07-23
[13]
간행물
Efficient AI with MRAM
https://www.nature.c[...]
2022-02
[14]
간행물
Silicon photodiodes that multiply
https://www.nature.c[...]
2022-08
[15]
간행물
An aqueous analog MAC machine
2022-09-09
[16]
웹사이트
Samsung Demonstrates the World's First MRAM Based In-Memory Computing
https://news.samsung[...]
[17]
간행물
Scalable NMR spectroscopy with semiconductor chips
2014-08
[18]
간행물
Chip–NMR biosensor for detection and molecular analysis of cells
2008-08
[19]
간행물
Portable NMR with parallelism
https://pubs.acs.org[...]
2020-01-21
[20]
웹사이트
Donhee Ham {{!}} Innovators Under 35
https://www.innovato[...]
2022-09-11
[21]
간행물
Concepts and methods in optimization of integrated LC VCOs
https://ieeexplore.i[...]
2001-06
[22]
간행물
Virtual damping and Einstein relation in oscillators
https://ieeexplore.i[...]
2003-03
[23]
간행물
Electrical soliton oscillator
https://ieeexplore.i[...]
2006-01
[24]
간행물
On the self-generation of electrical soliton pulses
https://ieeexplore.i[...]
2007-08
[25]
간행물
Electrical solitons come of age
https://www.nature.c[...]
2006-03
[26]
간행물
Fast-lock hybrid PLL combining fractional-N and integer-N modes of differing bandwidths
https://ieeexplore.i[...]
2008-02
[27]
서적
2009 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 Digest of Technical Papers
2009-02
[28]
간행물
CMOS RF biosensor utiliz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https://ieeexplore.i[...]
2009-05
[29]
간행물
Palm NMR and 1-Chip NMR
https://ieeexplore.i[...]
2011-01
[30]
서적
2022 IEEE International Solid- State Circuits Conference (ISSCC)
2022-02
[31]
간행물
The design of a CMOS nanoelectrode array with 4096 current-clamp/voltage-clamp amplifiers for intracellular recording/stimulation of mammalian neurons
2020-09
[32]
간행물
Measurement of collective dynamical mass of Dirac fermions in graphene
https://www.nature.c[...]
2014-08
[33]
간행물
A Newtonian approach to extraordinarily strong negative refraction
https://www.nature.c[...]
2012-08
[34]
간행물
High-speed integrated nanowire circuits
2005-04
[35]
간행물
Electrons en masse
https://www.nature.c[...]
2014-08
[36]
웹사이트
Harvard Thinks Big 3 = 8 Really Big Ideas
https://harvardpolit[...]
2012-02
[37]
웹인용
Caltech Charles Wilts Prize
http://ee2.caltech.e[...]
[38]
웹인용
Wizard at circuits, physics
http://news.harvard.[...]
[39]
웹인용
MIT 2008 TR35
http://www2.technolo[...]
2014-09-24
[40]
저널
Measurement of collective dynamical mass of Dirac fermions in graphene
http://www.nature.co[...]
2014-08
[41]
저널
A Newtonian approach to extraordinarily strong negative refraction
http://www.nature.co[...]
2012-08
[42]
저널
Scalable NMR spectroscopy with semiconductor chips
http://www.pnas.org/[...]
2014-08
[43]
저널
Chip-NMR biosensor for detection and molecular analysis of cells
http://www.nature.co[...]
2008-07
[44]
저널
Electrophoretic and field-effect graphene for all-electrical DNA array technology
http://www.nature.co[...]
2014-09
[45]
저널
High-speed integrated nanowire circuits
http://www.nature.co[...]
2005-04
[46]
저널
Electrical solitons come of age
http://www.nature.co[...]
2006-03
[47]
저널
Palm NMR and 1-Chip NMR
http://ieeexplore.ie[...]
20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