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흥대극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흥대극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흥시에 위치한 대규모 극장이다. 총 부지면적 11만m², 연건축면적 58,000여m² 규모로, 2,500석 규모의 대극장과 700석 규모의 소극장을 갖추고 있다. 1984년에 완공되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축 양식의 변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극장 전면에는 26m 높이의 기둥 14개가 있고, 외벽은 혁명가극 주인공을 소재로 한 조각 작품으로 장식되어 있다. 함흥역과 국도 제7호선이 인접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흥시의 건축물 - 선덕비행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위치한 선덕비행장은 한국 전쟁 당시 K-26으로 불렸고 대한항공 YS-11기 납치 사건 때 납치 항공기가 착륙한 곳이며, 활주로 1본을 갖추고 고려항공이 평양과의 부정기편을 운항했다. - 함흥시의 건축물 - 함흥본궁
함흥본궁은 조선 태조 이성계가 한양으로 수도를 옮기기 전 머물던 궁궐로, 왕위 계승 분쟁 후 태조가 머물며 함흥차사 고사의 배경이 되었고, 태조 사후 왕실 사당으로 사용되었으나 전쟁을 거치며 소실과 복원을 반복, 현재 유물은 함흥역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 1984년 완공된 건축물 - 이타이푸 댐
브라질과 파라과이 국경의 파라나 강에 위치한 이타이푸 댐은 한때 세계 최대 발전량을 자랑하는 수력 발전 댐으로, 양국 협력으로 건설되었으나 환경 및 사회적 영향 논란이 있으며, 현재도 양국에 중요한 에너지원을 제공한다. - 1984년 완공된 건축물 - 550 매디슨 애비뉴
뉴욕 미드타운 맨해튼 매디슨 애비뉴에 위치한 550 매디슨 애비뉴는 필립 존슨과 존 버지가 설계한 포스트모던 건축 양식의 37층 오피스 타워로, 고전 건축에서 영감을 받은 분절과 분홍색 화강암 파사드, 꺾인 페디먼트 지붕이 특징이며, 한때 AT&T 본사였으나 현재는 올라얀 그룹 소유의 뉴욕시 랜드마크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극장 - 동평양대극장
동평양대극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에 위치한 극장으로, 혁명가극, 연극 공연과 조선로동당 집회가 열리며, 현대적인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극장 - 인민극장
인민극장은 김일성 탄생 100돌을 기념하여 개관한 북한의 극장으로, 1,500석의 원형 생음극장과 500석의 지하극장을 갖춘 대규모 시설이다.
함흥대극장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극장 정보 | |
![]() | |
위치 | 함흥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용도 | 가극, 연극, 연주회 |
개관 | 1984년 4월 |
객석 규모 | 대극장 2500석, 소극장 700석 |
부지 면적 | 약 11만 제곱미터 |
운영 주체 | 국영 |
접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평라선함흥역 |
알려진 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대 극장 |
명칭 | |
한글 | 함흥대극장 |
한자 | 咸興大劇場 |
로마자 표기 | Hamheung Daegukjang |
영어 | Hamhung Grand Theatre |
2. 구성
함흥대극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표적인 극장 중 하나로, 웅장한 규모와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극장 전면에는 높이 26m의 기둥 14개가 있으며, 외부 벽은 혁명가극의 주인공을 소재로 한 조각 작품으로 꾸며져 있다.[4]
2. 1. 세부 시설
함흥대극장은 총 부지면적 110000m2, 건축면적 15000m2, 연건축면적 58000m2이며, 2,500여 석을 가진 대극장과 700여 석을 가진 소극장이 있다.[3] 극장은 전면 7층, 후면 9층으로 구성되었고 연습실, 녹음실, 공연준비실, 각종 기술실 등 부속시설이 있으며, 무대는 회전 무대, 미끄럼 무대, 승강 무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극장 전면에는 높이 26m의 기둥 14개가 받치고 있으며, 외부 벽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혁명가극의 주인공을 소재로 만든 조각 작품으로 꾸며졌다.[4]3. 건축 양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건축 양식은 1960년대에는 전통건축요소를 직접적으로 수용하였으나,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전통 요소를 현대화하려는 시도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5] 지붕 처마를 돌출시키고 처마 밑은 콘크리트로 서까래의 섬세함을 표현하거나 단순화했으며, 기둥과 보의 만남을 의도적으로 노출시켜 목구조의 결구 특성을 드러냈다.[5] 함흥대극장에는 26m 높이의 기둥 14개가 있으며, 외벽에는 혁명가극 주인공을 본뜬 조각이 새겨져 있다.
3. 1. 특징
1984년에 완공된 함흥대극장은 1970년대부터 나타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축 양식의 변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5] 1960년대에는 전통 건축 요소를 직접적으로 수용했지만, 1970년대에는 전통 요소를 현대화하려는 시도가 두드러졌다.[5]안창모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교수는 전통 건축 요소를 현대화하는 작업의 핵심은 기와지붕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한국 건축의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5] 이를 위해 경사 지붕은 가능한 사용하지 않았지만, 목구조의 결구 특성을 구조체로 표현하고 조형적 아름다움을 갖추는 데 건축적 노력을 기울였다.[5]
그 결과, 함흥대극장은 처마를 돌출시키고 처마 밑은 콘크리트로 서까래의 섬세함을 만들거나 단순화시켰다. 또한 기둥과 보의 만남을 의도적으로 노출시켜 목구조의 결구 특성을 드러냈다. 안창모 교수는 그의 논문 '남과 북의 건축문화와 민족정체성'(2009)에서 이러한 건축물의 벽면 중 창이 설치되지 않는 부분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기초한 형상화들로 채워지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4. 교통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평라선 함흥역
- 국도 제7호선 (부산-온성선)
참조
[1]
서적
Korea Travel Guide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13-04-05
[2]
웹사이트
Hamhung Grand Central Theater - Hamhung
http://wikimapia.org[...]
2017-04-02
[3]
서적
북한 문화예술 현황분석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4]
웹사이트
북한백과 공연시설
http://office.kbs.co[...]
2017-11-07
[5]
서적
민족 공동체의 현실과 전망: 분단, 디아스포라, 정체성의 사회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