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성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온성군은 한반도 최북단에 위치한 함경북도의 군으로, 두만강을 경계로 중화인민공화국과 접하고 있다. 연평균 기온이 5.9°C로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북쪽으로는 중국 지린성, 남서쪽으로는 회령시, 동남쪽으로는 경원군과 인접해 있다. 1440년 조선 세종 때 온성군이 설치되었으며, 국경 방어를 위한 육진 중 하나였다. 현재 1읍, 10노동자구, 15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왕재산대기념비, 투루봉 혁명유적지 등 관광 자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성군 - 남양로동자구
남양로동자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에 위치하며,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 도문시와 마주하고 철도와 다리로 연결되어 있는 로동자구이다. - 온성군 - 도문국경대교
도문국경대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에 위치한 다리이며,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건설되어 주요 특징을 지니고 현대에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비판과 논란에도 직면해 있다. - 함경북도의 군 - 부령군
부령군은 함경산맥을 비롯한 산악 지형으로 이루어져 고성산이 최고봉이며, 수성천이 청진시로 흘러들고, 희귀 동물이 서식하며, 고구려, 발해, 고려, 조선 시대에 걸쳐 분쟁 지역이었고, 세종 때 6진 중 하나인 영북진이 설치되었으며, 현재 1읍 3구 5리로 구성되어 철공업, 광공업, 전기 발전이 주요 산업이고, 함북선과 무산선이 지나는 지역이다. - 함경북도의 군 - 무산군
무산군은 함경북도 북단 두만강 상류에 위치한 험준한 산악 지형의 군으로, 북한에서 가장 추운 지역 중 하나이며, 1438년 무산진 설치로 이름이 유래되었고, 무산광산을 비롯해 임업과 감자 농업이 주요 산업이었으며, 현재 1읍 6로동자구 15리로 구성되어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온성군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온성군 |
한자 표기 | 穩城郡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 Onsŏng kun |
로마자 표기 (개정 로마자) | Onseong-gun |
국가 | 북한 |
도 | 함경북도 |
면적 | 430 제곱킬로미터 |
인구 (2008년) | 127,893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행정 구역 | |
종류 | 군 |
구성 | 1개 읍, 10개 노동자구, 15개 리 |
2. 지리
한반도의 최북단 지역으로 두만강을 따라 북한과 중국의 국경 지대이다.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면 풍서동의 유원진이 한반도의 극북에 해당하는 곳으로 이곳의 위도는 북위 43°0'39″에 해당한다. 연평균기온은 5.9°C로 무산(5.7°C), 종성(5°C)보다는 약간 높으나 심한 대륙성기후를 이룬다. 1월 평균기온 -13°C, 8월 평균기온 22.2°C로서 기온의 연교차는 35.2°C나 되어 대륙성기후의 특색이 뚜렷하다. 초상(初霜) 평년일은 9월 26일, 종상(終霜)은 4월 2일, 초설(初雪)의 평년일은 10월 25일, 종설(終雪)은 4월 6일, 초빙(初氷)의 평년일은 10월 14일, 종빙(終氷)은 4월 19일로 개마고원을 제외하고는 한국에서 겨울이 긴 지역이다.
고구려·발해 등의 세력권을 거쳐 한때 여진족이 거주하였고 다온평(多溫平)으로 불렸다. 1440년(세종 22년), 온성군이 설치되었고 주민이 이주했으며, 국경 방어를 위해 설치된 육진 중 하나이다.[3]
북으로 두만강을 건너면 중국 지린성(吉林省)의 옌볜 조선족 자치주가 나온다. 남서쪽은 회령시, 동남쪽은 경원군에 접한다. 대부분이 산악 지대이나 평야도 있다. 때문에 함경북도 지역에서 드물게 논농사가 이루어지는 곳이기도 하다. 온성군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연두봉(364m)이다.
서울특별시에서 함경북도 온성군까지 직선거리는 대략 650km 정도인데 이는 서울에서 중국의 심양(약 563km), 칭다오(약 614km)보다도 더 먼 거리이고 일본의 기타큐슈(약 537km)나 히로시마(약 603km)보다도 더 먼 거리이다. 부산광역시에서 함경북도 온성군까지 직선거리는 대략 870km인데 이는 부산에서 중국의 다롄(약 780km)이나 상하이(약 828km)보다도 더 먼 거리이며 일본의 오사카(약 590km)나 나고야(약 713km)는 물론이고 시즈오카시(약 850km)보다도 더 먼 거리이고 고구려의 옛 성이 발견된 곳으로 유명한 러시아의 크라스키노(약 852km)보다도 더 먼 거리이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제주시에서 함경북도 온성군까지 직선거리는 대략 1090km 정도인데 이는 제주에서 중국의 지난(약 924km)이나 톈진(약 1043km)은 물론이고 푸젠성의 푸저우(약 1078km)보다도 더 먼 거리이고 일본의 후쿠이시(930km)나 도야마시(1035km)보다 더 멀며 타이베이(약 1057km)보다도 더 먼 거리에 해당한다.
북한의 수도 평양직할시에서도 함경북도 온성군까지 직선거리는 약 560km 정도로 상당히 멀다. 이는 평양에서 중국의 친황다오(약 539km)나 창춘(약 531km), 연길(약 530km)보다도 더 먼 거리이며 평양에서 부산광역시까지 직선거리(약 520km)나 전라남도 해남군의 땅끝마을까지 직선거리(약 528km)보다도 더 먼 거리이다. 심지어 같은 함경도에 속하는 함경남도 함흥시에서 함경북도 온성군까지 직선거리도 385km나 되는데 이는 함흥에서 경상북도 상주시까지 직선거리(약 393.5km)와 거의 비슷한 거리이다. 같은 함경북도에 속하는 김책시에서도 온성군까지 직선거리는 260km나 될 정도로 한반도에서 가장 지리적으로 먼 곳에 해당하는 곳이라 볼 수 있다.
3. 역사
1974년 5월 남서쪽으로 인접하고 있던 종성군이 폐지되면서 지역 상당 부분을 흡수하였다. 군내의 왕재산은 1933년 3월 11일에 김일성이 항일운동을 위한 회의를 개최한 장소라 하여 북한에서는 혁명의 성지라고 일컫는다.[3]
온성군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3]
연도 | 내용 |
---|---|
1914년 4월 1일 | 함경북도 온성군에 미포면·영충면·영와면·유포면·온성면·훈융면 설치 (6면) |
1945년 (광복 직후) | 유포면이 남양면으로 개칭, 영충면의 일부가 영와면에 편입 (6면) |
1949년 | 영충면의 일부가 남양면에 편입 (6면) |
1952년 12월 |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면·온성면·미포면·영와면·영충면 및 훈융면의 일부, 종성군 종성면의 일부 지역을 합쳐 온성군 설치. 온성읍·영강리·풍인리·월파리·심청리·주원리·룡남리·상화리·창평리·미산리·남양리·향당리·세선리·풍서리·풍리리 설치 (1읍 14리) |
1954년 10월 | 영강리가 종성군에 편입, 온성읍이 고성리로 강등, 남양리가 온성읍으로 승격 (1읍 13리) |
1958년 6월 | 창평리가 종성군에 편입, 고성리의 일부가 분리되어 온탄노동자구 발족 (1읍 1노동자구 12리) |
1967년 10월 | 고성리가 고성노동자구로 승격, 상화리가 상화노동자구로 승격, 주원리가 주원노동자구로 승격, 풍인리가 풍인노동자구로 승격 (1읍 5노동자구 8리) |
1974년 5월 | 종성군 종성읍·동관리·영강리·풍천리·하삼봉리·창평리·풍계리·동포리·산성노동자구·삼봉노동자구 편입, 종성읍이 종성노동자구로 강등 (1읍 8노동자구 15리) |
1975년 11월 | 온성읍이 남양노동자구로 강등, 고성노동자구가 온성읍으로 승격 (1읍 8노동자구 15리) |
1976년 2월 | 심청리가 왕재산리로 개칭 (1읍 8노동자구 15리) |
1981년 10월 | 동관리가 강안리로 개칭 (1읍 8노동자구 15리) |
1987년 10월 | 창평리의 일부가 분리되어 창평노동자구·증산리 발족, 창평리의 나머지와 산성노동자구의 일부가 합병되어 운암리 발족 (1읍 9노동자구 16리) |
1990년 10월 | 월파리가 톨봉리로 개칭 (1읍 9노동자구 16리) |
1991년 9월 | 동포리가 동포노동자구로 승격 (1읍 10노동자구 15리) |
4. 경제
산악 지형이라서 농업에 적합하지 못한 곳이지만, 함경북도만 놓고 보면 논농사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1] 두만강을 따라 목재업이 성행하고, 갈탄 탄광이 있다.[1]
5. 교통
도로 교통과 철도 교통이 있으며, 겨울에는 두만강이 얼어붙기 때문에 걸어서 강을 건널 수도 있다. 중국과 연결된 다리가 두 곳 있는데, 남양과 중국 도문을 연결하는 다리와 삼봉과 중국 용정의 개산둔진을 연결하는 다리이다.[1]
온성에는 철도역에서 왕재산대기념비까지 연결되는 길이 4km의 단선 양방향 무선 전차 노선이 있었지만, 적어도 2004년 이후로는 무선 전차가 운행되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송전선은 외관상으로는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1] 이 시스템은 이전에 집산 88형 무선 전차 2대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유사하지만 관련이 없는 집산 88형 버스를 개조한 것이었다.[2]
노선 | 역 목록 |
---|---|
함경북선 | 삼봉역 - 종성역 - 강안리역 - 수구포역 - 강양역 - 남양역 - 풍리역 - 세선역 - 온성역 - 풍인역 - 황파역 |
동포선 | 종성역 - 동포역 |
성평선 | 강안리역 - 성평역 |
남양국경선 | 남양역 - 국경역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도 7호
- 온성부산선
6. 행정 구역
1974년에 종성군의 일부가 편입되면서 종성군 종성읍이 종성로동자구로 개편되었다.[3]
현재 온성군에는 1읍, 10로동자구, 15리가 있다.
조선글 | 한자 |
---|---|
온성읍 | 穩城邑 |
남양로동자구 | 南陽勞動者區 |
온탄로동자구 | 穩炭勞動者區 |
상화로동자구 | 上和勞動者區 |
주원로동자구 | 周原勞動者區 |
풍인로동자구 | 豊仁勞動者區 |
산성로동자구 | 山城勞動者區 |
창평로동자구 | 倉坪勞動者區 |
종성로동자구 | 鍾城勞動者區 |
삼봉로동자구 | 三峯勞動者區 |
동포로동자구 | 東浦勞動者區 |
증산리 | 甑山里 |
향당리 | 香棠里 |
운암리 | 雲岩里 |
강안리 | 江岸里 |
영강리 | 永江里 |
하삼봉리 | 下三峯里 |
세선리 | 世仙里 |
두루봉리 | 두루峯里 |
왕재산리 | 旺載山里 |
룡남리 | 龍南里 |
풍서리 | 豊西里 |
풍계리 | 豊溪里 |
풍천리 | 豊川里 |
미산리 | 美山里 |
풍리리 | 豊利里 |
7. 관광
- 투루봉 혁명유적지: 온성읍에서 동쪽으로 8km 지점에 있다. 김일성 주석이 주체 19년(1930년) 10월 14일에 최초의 국내 당 조직을 결성한 곳이다.
- 왕재산: 온성읍에서 북쪽으로 4km 지점에 있다. 김일성 주석이 주체 22년(1933년) 3월 11일, 역사적인 왕재산회의를 소집했던 유적이 있다.
- 왕재산대기념비: 왕재산 기슭에 세워져 있다. 부지 60000m2이다. 주석의 동상과 중심 군상, 봉화탑, 부주제 군상, 사적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왕재산혁명박물관: 항일혁명투쟁 당시의 자료가 전시되어 있다.
- 남양교두: 온성읍에서 남쪽으로 13.5km 떨어진 남양리에 있다. 중국 두만시의 두만강 국경무역항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곳은 "텔레비전 연속극·왕재산"의 촬영지이며, 소위 "성지"가 군내에 존재한다.[4]
8. 저명한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Onsong
https://transphoto.o[...]
2020-12-27
[2]
웹사이트
Onsong, Trolleybus — Roster
https://transphoto.o[...]
2021-07-21
[3]
웹사이트
함경북도 온성군 역사
http://www.cybernk.n[...]
[4]
웹사이트
http://www.uriminzok[...]
[5]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00-00 #날짜 정보가 년도만 제공되어 정확한 날짜를 입력할 수 없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