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일지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일지진은 지진으로 방출되는 에너지가 일반적인 지진보다 긴 주기로 발산되는 특징을 가지며, 해저지진의 일종이다. 표면파 규모와 모멘트 규모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며, 단층 파열 속도가 느리고 단층 변위가 크다. 부가체가 존재하거나 퇴적물이 침강하는 섭입대에서 잘 발생한다. 해일지진은 쓰나미 조기 경보 시스템으로 식별하기 어려워 잠재적인 피해를 줄 수 있으며,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 1896년 메이지 산리쿠 지진과 같은 사례가 있다. 한국에서도 1605년 게이초 지진과 같은 해일지진으로 인한 피해 사례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일지진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2011년 3월 11일 일본 도호쿠 지방 태평양 연안에서 발생한 Mw 9.0~9.1 규모의 초대형 해구형 지진인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은 대규모 쓰나미를 동반하여 동일본 대지진이라는 대규모 재해를 야기했으며, 연동형 지진으로 지구 자전축 이동과 같은 지구적 규모의 영향과 지진 예측 시스템의 한계를 드러냈다. - 해일지진 - 2010년 10월 수마트라 지진
2010년 10월 수마트라 지진은 2010년 10월 25일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서쪽에서 발생한 규모 7.8의 지진으로, 쓰나미를 동반하여 435명이 사망하고 2만 명 이상이 이재민이 발생했다. - 지진의 종류 - 해구형 지진
해구형 지진은 섭입대에서 판 경계면의 충상단층에서 발생하는 거대한 규모의 지진으로, 강력한 쓰나미를 동반하고 긴 시간 동안 강한 진동을 일으키며, 태평양과 인도양의 섭입대에서 주로 발생한다. - 지진의 종류 - 심발지진
심발지진은 진원의 깊이가 200km를 초과하는 지진으로, 표면파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실체파는 크게 느껴지며, 섭입하는 해양판의 움직임 등 여러 원인으로 판의 경계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고 넓은 지역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지진이다.
해일지진 |
---|
2. 특성
해일지진은 지진으로 방출되는 에너지가 일반적인 해일성 지진에 비해 더욱 긴 주기(저주파)에 걸쳐 발산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지진은 일반적인 지진처럼 지진파의 진폭이 뚜렷하게 정점을 찍고 강하게 흔들리는 형태를 보이지 않는다.[65] 해일지진은 해저지진의 일종으로, 약 20초 주기의 표면파로 계산하는 표면파 규모(Ms)와 모든 주파수에서 방출하는 총 에너지의 크기를 계산하는 모멘트 규모(Mw)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인다.[65]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과 같은 해일지진을 분석하면 지진 모멘트의 방출이 비정상적으로 긴 주기로 일어남을 알 수 있다.[66] 표면파에서 계산한 유효 모멘트를 계산하면 일반적인 지진은 주파수에 따라 거의 일정한 크기로 유지되는 반면, 해일지진은 지진파의 주파수가 감소하면서 그 모멘트값이 급격하게 증가한다. 해저가 변형되는 지속시간은 최대 수분간 쓰나미의 크기에 결과적으로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장기간의 에너지 방출은 비정상적으로 느린 단층 파열 전파 속도와 거의 비슷하다.[66]
쓰나미 조기 경보 시스템은 쓰나미 지진을 정확하게 식별하지 못하는 데이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큰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쓰나미를 예측하는 데 실패할 수 있다.[4]
1896년 메이지 산리쿠 지진과 1992년 니카라과 지진 외에도 여러 해일지진 사례가 존재한다.
해일지진에서 보이는 단층 변위는 통상적인 쓰나미를 만들어내는 같은 모멘트 규모의 일반지진과 비교하면 평균 두 배 이상 크다. 해일 지진의 단층 파열 속도는 평균 초당 1.0 km로, 다른 메가스러스트 지진의 초당 2.5-3.5 km에 비해 매우 느리다.[65] 단층 파열 속도가 더 느리기 때문에 단층 파열의 방향성이 더 강해져 짧은 해안 구간에 더 높은 융기를 만들어낼 수 있다.
해일지진은 보통 큰 부가체가 존재하거나 퇴적물이 침강되는 섭입대에서 잘 발생하는데, 이는 약한 강도를 가진 퇴적물에서 단층 파열 속도가 더 느려지기 때문이다.[65]
해저에서 지진이 발생하고, 해저면에 지진 단층에 의한 지각 변동이 나타나면, 해수의 상하 운동을 일으켜 쓰나미를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쓰나미를 발생시키는 지진은 대규모 지진이며, 체감 또는 강진동 지진계 등으로 쓰나미를 일으킨 지진에 의한 흔들림(지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진동과 쓰나미의 크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체감 또는 지진계로 관측한 지진동은 비교적 소규모임에도 불구하고 큰 쓰나미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지진을 '''쓰나미 지진'''이라고 부른다.
쓰나미의 파고가 크기 때문에 해수의 상하 운동의 차이, 즉 지각의 변동량 자체는 크다. 큰 지각 변동이 일반적인 지진보다 더 오랜 시간을 거쳐 발생(서서히 미끄러짐)함으로써, 유감으로 느껴지는 단주기 지진동을 그다지 발생시키지 않고 큰 쓰나미를 발생시켜 쓰나미 지진이 된다. 또한 해구 축 부근에서 미끄러짐의 양이 크면 쓰나미가 커진다.
일반적으로 지진 단층의 파괴 전파 속도는 일반적인 지진에서는 대략 초속 2.5 - 3 km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쓰나미 지진에서는 초속 1 km 정도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지진에서는 강진동을 그다지 발생시키지 않지만, 쓰나미의 파원역은 쓰나미가 확산되기 전에 몇 분 이내의 짧은 시간 안에 넓어지기 때문에 쓰나미가 커진다.
지진의 흔들림 자체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큰 쓰나미를 발생시키는 쓰나미 지진의 특성상, 지진 발생 직후의 피난이 어려워 피해가 확대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쓰나미 지진의 현저한 예로 알려진 1896년의 메이지 산리쿠 지진에서는 2만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지진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실체파 규모에 비해 모멘트 규모나 쓰나미 규모가 1 이상 커지는 지진이 쓰나미 지진으로 분류된다.
3. 발생 원인
파열 속도가 느린 것은 물렁한 퇴적암처럼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물질을 통해 전파되는 상황에서 발생한다. 대부분의 해일지진은 메가스러스트에 달린 부가체가 발달한 섭입대의 가장 윗부분에서 일어나는 단층 파열과 관련이 깊다. 또한 해일지진은 해양 지각의 최상부에 있는 얉은 침강 퇴적암층 존재와 관련이 깊으며, 해양 지각 상단의 지형학적으로 중요한 부분이자 해저에 바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수직경사 방향으로 단층파괴가 전파되는 부분에 해당할 것으로 추정된다.[67]
해저에서 지진이 발생하고, 해저면에 지진 단층에 의한 지각 변동이 나타나면, 이는 해수의 상하 운동을 일으켜 쓰나미를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쓰나미를 발생시키는 지진은 대규모 지진이며, 체감 또는 강진동 지진계 등으로 쓰나미를 일으킨 지진에 의한 흔들림(지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층 운동의 크기(모멘트 규모)가 클수록 지진동도 쓰나미의 규모도 커진다.
그러나 지진동과 쓰나미의 크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체감 또는 지진계로 관측한 지진동은 비교적 소규모임에도 불구하고 큰 쓰나미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유형의 지진을 '''쓰나미 지진'''이라고 부른다.
쓰나미의 파고가 크기 때문에 해수의 상하 운동의 차이, 즉 지각의 변동량 자체는 크다. 큰 지각 변동이 일반적인 지진보다 더 오랜 시간을 거쳐 발생(서서히 미끄러짐)함으로써, 유감으로 느껴지는 단주기 지진동을 그다지 발생시키지 않고 큰 쓰나미를 발생시켜 쓰나미 지진이 된다. 또한 해구 축 부근에서 미끄러짐의 양이 크면 쓰나미가 커진다. 일반적으로 지진 단층의 파괴 전파 속도는 일반적인 지진에서는 대략 초속 2.5 - 3 km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쓰나미 지진에서는 초속 1 km 정도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지진에서는 강진동을 그다지 발생시키지 않지만, 쓰나미의 파원역은 쓰나미가 확산되기 전에 몇 분 이내의 짧은 시간 안에 넓어지기 때문에 쓰나미가 커진다. 파괴 전파 속도가 이보다 더 충분히 느린 경우에는 쓰나미의 파원역이 넓어지기 전에 쓰나미가 확산되어 큰 쓰나미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지진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실체파 규모에 비해 모멘트 규모나 쓰나미 규모가 1 이상 커지는 지진이 쓰나미 지진으로 분류된다.
4. 해일지진 식별
해저 지진으로 해저면에 지진 단층에 의한 지각 변동이 발생하면 해수면의 상하 운동을 일으켜 쓰나미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쓰나미를 일으키는 지진은 규모가 크며, 강한 지진동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보통 단층 운동의 크기(모멘트 규모)가 클수록 지진동과 쓰나미의 규모도 커진다.
하지만 지진동과 쓰나미의 크기가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지진동은 비교적 작지만 큰 쓰나미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지진을 쓰나미 지진이라고 한다.
쓰나미 지진은 해수면의 큰 상하 운동, 즉 큰 지각 변동이 일반적인 지진보다 더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미끄러지면서 발생한다. 이 때문에 단주기 지진동은 크지 않지만 큰 쓰나미가 발생한다. 또한 해구 축 부근에서 미끄러짐의 양이 크면 쓰나미는 더욱 커진다. 일반적인 지진에서 단층 파괴 전파 속도는 초속 2.5 - 3 km 정도이지만, 쓰나미 지진은 초속 1 km 정도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지진은 강한 지진동을 발생시키지 않지만, 쓰나미 파원역이 짧은 시간 안에 넓어져 쓰나미가 커진다. 파괴 전파 속도가 이보다 더 느리면 쓰나미 파원역이 넓어지기 전에 쓰나미가 확산되어 큰 쓰나미가 발생하지 않는다.
쓰나미 지진은 지진의 흔들림 자체가 작음에도 큰 쓰나미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지진 발생 직후 피난이 어려워 피해가 커질 위험이 있다. 1896년 메이지 산리쿠 지진은 쓰나미 지진의 대표적인 예로, 2만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은 플레이트 경계 육지 측 깊은 곳의 미끄러짐으로 단주기 강진동이, 해안에서 떨어진 해구 측 얕은 곳의 미끄러짐으로 장주기 지진동과 강력한 쓰나미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즉, 해구형 지진과 쓰나미 지진이 연동하여 쓰나미가 더욱 커졌을 가능성이 있다. 메이지 산리쿠 지진은 주로 플레이트 경계 해구 측 얕은 곳에서 단층 파괴가 발생하여 장주기 지진동과 강력한 쓰나미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쿄 대학의 고무라 다카시 등은 게이초 지진 역시 메이지 산리쿠 지진과 같은 쓰나미 지진으로, 해구 측 얕은 곳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진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실체파 규모보다 모멘트 규모나 쓰나미 규모가 1 이상 큰 지진을 쓰나미 지진으로 분류한다.
5. 주요 사례
근대적 관측망이 갖춰진 이후 쓰나미 피해를 발생시킨 주요 지진과 그 규모는 아래 표와 같다.[37][30]연도 지진명 표면파 규모
(Ms)모멘트 규모
(Mw)쓰나미 규모
(Mt)1923 도토로섬 근해[32] 7.1 8.1 1932 할리스코 (6월 22일)[33] 6.9 7.7 1946 알류샨 7.4 8.6 9.3 1960 페루 근해[34] 6.75 7.6 - 7.8 1963 도토로섬 근해 (10월 20일)[32] 7.1 7.8 8.0 1975 홋카이도 동쪽 해역[32] 6.9 - 7.0 7.5 7.95 1993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7.6 7.7 8.1 1994 자바섬 남동쪽[35] 6.5 7.8 1996 페루 근해 6.6 7.5[36] 7.7 2006 자바섬 남서쪽[37] 7.1[24] 7.7[24] 8.0 2010 수마트라섬 해역 (10월) 7.2[24] 7.8[24] 8.3 2012 엘살바도르 근해 6.4[24] 7.3[38] 2021 사우스 샌드위치 7.68[39] 8.24[39][40]
일본 국내·근해에서의 역사 지진 사례
일본 국외에서의 사례5. 1. 1896년 산리쿠 지진
1896년 6월 15일, 산리쿠 연안에서 최대 높이 38.2m에 달하는 쓰나미가 휩쓸려 22,000명 이상이 사망했다.[68] 쓰나미가 닥치기 전까지 매우 약한 흔들림만 있었기 때문에 해안가 마을 주민들은 전혀 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거대한 쓰나미를 맞았다. 쓰나미 규모(Mt)는 8.2였지만, 표면파 규모(Ms)는 7.2로, 규모에 차이가 있었다.[68]
이러한 규모 차이는 단순한 단층 파열 속도 차이 이상으로, 오버슈트되어 지나치게 움직여진 판이 되돌아가는 과정에서 판이 수평 이동을 하며 부드러운 퇴적물이 쌓인 부가체가 변형되며 추가적인 융기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쓰나미 생성 모델을 통해 규모와 쓰나미 높이의 차이를 설명하는 데 성공했으며, 모멘트 규모(Mw)는 8.0-8.1로 추정되었다.[69]
이처럼 지진의 흔들림 자체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큰 쓰나미를 발생시키는 쓰나미 지진은, 지진 발생 직후 피난이 어려워 피해가 확대될 위험이 있다. 1896년 메이지 산리쿠 지진은 쓰나미 지진의 대표적인 예로, 2만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연도 | 지진명 | 표면파 규모 (Ms) | 모멘트 규모 (Mw) | 쓰나미 규모 (Mt) |
---|---|---|---|---|
1896 | 메이지 산리쿠 | 7.2 | 8.0 - 8.6[31] | 8.2 - 8.6 |
5. 2. 1992년 니카라과 지진
1992년 니카라과 지진은 광대역 지진망에서 기록된 최초의 해일지진이다.[70] 표면파 규모는 Ms7.0-7.2로 추정되었으나,[71] 실제 모멘트 규모는 Mw7.7에 달했다.[72]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기준 III의 매우 약한 진동만 있었지만,[73] 최대 높이 9.9 m에 달하는 쓰나미가 닥쳐 116명이 사망하고 13,500명 이상이 집을 잃었다.[74]
연도 | 지진명 | 표면파 규모 () | 모멘트 규모 () | 쓰나미 규모 () |
---|---|---|---|---|
1992 | 1992년 니카라과 지진 | 7.2 | 7.6 - 7.7 | 7.9 |
5. 3. 기타 해일지진
연도 | 지진명 | 표면파 규모 () | 모멘트 규모 () | 쓰나미 규모 () |
---|---|---|---|---|
1896 | 메이지 산리쿠 | 7.2 | 8.0 - 8.6[31] | 8.2 - 8.6 |
1923 | 도토로섬 근해[32] | 7.1 | 8.1 | |
1932 | 할리스코 (6월 22일)[33] | 6.9 | 7.7 | |
1946 | 알류샨 | 7.4 | 8.6 | 9.3 |
1960 | 페루 근해[34] | 6.75 | 7.6 - 7.8 | |
1963 | 도토로섬 근해 (10월 20일)[32] | 7.1 | 7.8 | 8.0 |
1975 | 홋카이도 동쪽 해역[32] | 6.9 - 7.0 | 7.5 | 7.95 |
1992 | 니카라과 | 7.2 | 7.6 - 7.7 | 7.9 |
1993 |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 7.6 | 7.7 | 8.1 |
1994 | 자바섬 남동쪽[35] | 6.5 | 7.8 | |
1996 | 페루 근해 | 6.6 | 7.5[36] | 7.7 |
2006 | 자바섬 남서쪽[37] | 7.1[24] | 7.7[24] | 8.0 |
2010 | 수마트라섬 해역 (10월) | 7.2[24] | 7.8[24] | 8.3 |
2012 | 엘살바도르 근해 | 6.4[24] | 7.3[38] | |
2021 | 사우스 샌드위치 | 7.68[39] | 8.24[39][40] |
- 1984년 6월 13일 토리시마 근해 지진에서는 M5.7이었지만, M7.3으로 쓰나미 규모가 특이하게 커서 하치조지마 야에네 어항에서 1.3 - 1.5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41] 당시 관측 기록 중 가장 작은 규모로 쓰나미를 발생시킨 지진이다.[42] 이 이벤트는 스미스 칼데라의 화산 활동에 따른 칼데라 환상 단층의 활동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43]
; 일본 국내·근해에서의 역사 지진 사례
- 1605년 게이초 지진. 지진동 피해로는 아와지섬의 센코지 및 아와 시키쿠의 피해 정도밖에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이 두 가지 지진 피해 기록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는 견해도 있다.[44]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진동이 거의 기록되지 않은 보소 반도에서 규슈에 걸쳐 광범위한 연안에 10m 이상의 쓰나미가 덮쳐 익사자는 5,000 - 10,000명으로 추정된다. 쓰나미 내습 범위에서 진원역은 난카이 해곡으로 여겨져 왔지만,[45][46][47] 파원역은 이즈·오가사와라 해구 부근이라고 가정하면 쓰나미를 설명할 수 있다는 설[48]이나, 진원이 인도네시아 부근의 원거리 쓰나미일 가능성도 부정할 수 없다는 설[49] 등 여러 설이 있다.
- 1677년 엔포 보소 해역 지진. 진원의 위치는 분명하지 않지만, 쓰나미 역상고를 바탕으로 한 파원 해석에 의해 진원은 보소 해역이며, 추정되는 규모 (M6 - 6.6)에 대해 쓰나미 규모 (Mt)는 8.0이다.[50]
- 1771년 야에야마 지진. 추정되는 규모 (M7.4)에 비해 쓰나미가 크고, 쓰나미 규모 (Mt)는 8.5로 추정하는 설이 있다.[50] 구로시마 해구에서 발생한 해저 사태에 의해 큰 쓰나미가 발생했다는 연구[51]나 Mw8.7 정도의 판 경계 단층을 가정하면 쓰나미를 설명할 수 있다는 설[52] 등 여러 설이 있다.
; 일본 국외에서의 사례
- 1946년 알류샨 지진은 표면파 규모 ''Ms'' = 7.4 정도였지만, 모멘트 규모는 ''Mw'' = 8.1, 더욱이 쓰나미 규모는 ''Mt'' = 9.3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우니마크섬에서는 지진 48분 후에 파고 35m에 달하는 쓰나미가 덮쳤다. 하와이 제도에도 덮쳐 하와이에서 159명의 희생자를 냈다.[53][54]
- 2004년 수마트라섬 해역 지진도 안다만 지역 (지진 단층의 북부)에서는 쓰나미 지진의 양상을 나타냈다는 지적이 있다.
; 기타 해일지진 사례
- 1605년 게이초 지진[75]
- 1677년 엔포 보소 해역 지진[76]
- 1771년 야에야마 지진[77]
- 1791년 오키나와섬 남쪽 해역 지진[78]
- 1907년 수마트라 지진[79][80]
- 1923년 4월 캄차카 지진[81]
- 1934년 산타크루즈 지진[82]
- 1932년 할리스코 지진[83]
-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66]
- 1960년 11월 페루 지진[65]
- 1963년 쿠릴 열도 지진[65]
- 1975년 시코탄섬 해역 지진[65]
- 1982년 통가 지진[84]
- 1994년 자와 지진[65]
- 1996년 침보테 지진[65]
- 2002년 게레로 지진[85] - 멕시코 해안에서 발생한 규모 6.7의 지진은 극도로 낮은 최대 가속도 때문에 해당 국가의 지진 경보 시스템을 작동시키지 못했다. 해구 근처의 지진은 게레로 갭을 파열시켰으며, 비정상적으로 큰 해일을 발생시켰을 수 있다.[17]
- 2006년 팡안다란 지진해일[86]
- 2010년 10월 수마트라 지진[87]
- 2012년 엘살바도르 지진[88]
- 2015년 도리시마섬 근해 지진[89]
- 2021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지진[90]
- 1605 난카이 지진[7]
- 1677 보소 지진[8]
- 1771 야에야마 대지진[9]
- 1791 오키나와 지진[10]
- 1907 수마트라 지진[11][12]
- 1923년 4월 캄차카 지진과 해일[13]
- 1934 산타 크루즈 지진[14]
- 1932 할리스코 지진[15]
- 1946 알류샨 열도 지진[2]
- 1960년 11월 페루 지진[1]
- 1963 쿠릴 열도 지진[1]
- 1975 쿠릴 열도 지진[1]
- 1982 통가 지진[16]
- 1994 자바 지진[1]
- 1996 침보테 지진[3]
- 2006 팡안다란 지진과 해일[18]
- 2010 멘타와이 지진과 해일[19]
- 2012 엘살바도르 지진[20]
- 2015 토리시마 지진 - 토리시마 근처에서 발생한 규모 5.7의 중규모 지진은 하치조지마에서 최대 진폭 0.5미터의 파도를 발생시켰다.[21]
- 2021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지진[22]
6. 유사 지진
쓰나미 지진과는 다르지만, 육지에서 체감할 수 있는 지진동의 크기(진도)에 비해 큰 쓰나미가 발생하는 것으로, 해양 플레이트 내 지진의 일종인 '''아우터 라이즈 지진'''이 있다. 아우터 라이즈는 해구 외연 융기대라고도 불리며, 해양 플레이트 측이 해구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응력이 변화하여 위로 만곡되어 부풀어 오른 부분을 말한다. 이 내부에서 지진이 발생해도 대륙 플레이트 위의 육지까지 거리가 있기 때문에 육지에서의 지진 흔들림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천발 지진의 경우에는 해양저를 강하게 흔들어 거대 쓰나미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현저한 예로는 1933년의 쇼와 산리쿠 지진 (Mw8.4[57]/최대 진도 5)이 있다. 또한, 2011년 3월 11일의 동일본 대지진에서는 본진 발생 직후인 15시 25분에 이 유형의 여진 (Mw7.5[58]/최대 진도 4)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59], 같은 해 7월 10일 (Mw7.3[60]/최대 진도 4), 2012년 12월 7일 (Mw7.3[61]/최대 진도 5약, ''2012년 산리쿠 해역 지진'' 참조) , 2013년 10월 26일 (Mw7.1[62]/최대 진도 4, ''후쿠시마현 앞바다 지진#2013년'' 참조) [63]에도 이 유형의 여진이 발생하여 미소한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특히 큰 해구형 지진 후에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인 쓰나미 지진과는 달리, 진원역에서의 지진동 (규모) 자체가 작은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참조
[1]
서적
Tsunami: the underrated hazard
Springer
2011-07-19
[2]
논문
Mechanism of tsunami earthquakes
http://www.gps.calte[...]
2011-07-19
[3]
논문
Shallow subduction zone earthquakes and their tsunamigenic potential
[4]
논문
Application of ''Mwp'' to tsunami earthquake
[5]
논문
Sediment effect on tsunami generation of the 1896 Sanriku tsunami earthquake
http://www.eri.u-tok[...]
2011-07-19
[6]
논문
The 1992 Nicaragua earthquake: a slow tsunami earthquake associated with subducted sediments
http://www.gps.calte[...]
2011-07-19
[7]
논문
Status of historical seismology in Japan
http://www.earth-pri[...]
2009-11-22
[8]
논문
Tsunami earthquake can occur elsewhere along the Japan Trench—Historical and geological evidence for the 1677 earthquake and tsunami
[9]
논문
Fault model of the 1771 Yaeyama earthquake along the Ryukyu Trench estimated from the devastating tsunami
2009
[10]
논문
The 1768 and 1791 Okinawa tsunamis in the Ryukyu Trench region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13
[11]
논문
Historical seismograms for unravelling a mysterious earthquake: The 1907 Sumatra Earthquake
2010-10-01
[12]
논문
Reassessment of the 1907 Sumatra "Tsunami Earthquake" Based on Macroseismic, Seismological, and Tsunami Observations, and Modeling
2019-03-26
[13]
논문
The "Tsunami Earthquake" of 13 April 1923 in Northern Kamchatka: Seismological and Hydrodynamic Investigations
https://link.springe[...]
2021-06-05
[14]
논문
Historical tsunami earthquakes in the Southwest Pacific: an extension to Δ > 80° of the energy-to-moment parameter Θ
https://academic.oup[...]
2017
[15]
논문
The 'tsunami earthquake' of 1932 June 22 in Manzanillo, Mexico: seismological study and tsunami simulations
2011
[16]
논문
Rupture characteristics of the 1982 Tonga and 1986 Kermadec earthquakes
1989-11-10
[17]
논문
Near-Trench Mexican Earthquakes Have Anomalously Low Peak Accelerations
2003
[18]
논문
The 17 July 2006 Java tsunami earthquake
[19]
논문
The 2010 Mw 7.8 Mentawai earthquake: Very shallow source of a rare tsunami earthquake determined from tsunami field survey and near-field GPS data
[20]
논문
Large earthquake rupture process variations on the Middle America megathrust
https://websites.pmc[...]
2021-04-21
[21]
논문
Source Amplitude Estimation Based on Green's Law: Application to the 2015 Volcanic Tsunami Earthquake Near Torishima, South of Japan
https://link.springe[...]
2021-06-04
[22]
논문
The 2021 South Sandwich Island Mw 8.2 earthquake: a slow event sandwiched between regular ruptures
https://authors.libr[...]
Caltech Library
2021
[23]
서적
地震学 第3版
共立出版
[24]
문서
[25]
뉴스
東日本大震災6カ月 巨大地震の謎は解明できたのか
https://web.archive.[...]
産経新聞/MSN産経ニュース
2011-09-11
[26]
논문
Shallow Dynamic Overshoot and Energetic Deep Rupture in the 2011 Mw 9.0 Tohoku-Oki Earthquake Science (Express)
http://www.sciencema[...]
2011-05-19
[27]
웹사이트
東北沖地震の二面性 -浅部のすべり過ぎと深部の高周波震動-
http://www.s.u-tokyo[...]
東京大学大学院
[28]
간행물
Newton
ニュートン (雑誌)
2011
[29]
문서
[30]
논문
津波地震の発生原因に関する解析的検証
https://doi.org/10.2[...]
2003
[31]
웹사이트
日本海溝・千島海溝周辺海溝型地震に関する専門調査会(第10回) 資料2 強震動及び津波高さの推計について(図表集)
https://www.bousai.g[...]
内閣府中央防災会議事務局
2021-03-12
[32]
웹사이트
根室沖等の地震に関する調査研究 平成22年度成果報告書 古地震調査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20-11-30
[33]
논문
The ‘tsunami earthquake’ of 1932 June 22 in Manzanillo, Mexico: seismological study and tsunami simulations
https://academic.oup[...]
2020-11-30
[34]
논문
The November 20,1960 Peru Tsunami Earthquake: Source mechanism of a slow event
[35]
논문
Shallow subduction zone earthquakes and their tsunamigenic potential
2020-11-30
[36]
웹사이트
Search Earthquake Catalog
https://earthquake.u[...]
アメリカ地質調査所
2020-11-30
[37]
PDF
津波地震
https://cais.gsi.go.[...]
地震予知連絡会会報 第89巻
[38]
논문
The 2012 August 27 Mw7.3 El Salvador earthquake: expression of weak coupling on the Middle America subduction zone
2015
[39]
문서
イベント全体のマグニチュード。このイベントはM{{sub|w}}8.16のスロー地震と、M7台の4つの地震(高速すべり)が同時に発生するという複雑な断層破壊をした為、M{{sub|w}}8.16の地震単体の表面波マグニチュードは算出されていない。
[40]
논문
The 2021 South Sandwich Island Mw 8.2 Earthquake: A Slow Event Sandwiched Between Regular Ruptures
https://authors.libr[...]
[41]
간행물
1984年6月13日鳥島近海地震による特異な津波
https://hdl.handle.n[...]
1985
[42]
PDF
1984年6月13日鳥島近海の地震(気象庁)
https://cais.gsi.go.[...]
地震予知連絡会 会報33巻
[43]
논문
火山性津波地震のメカニズム Part II: 津波解析
https://confit.atlas[...]
2020-11-30
[44]
간행물
淡路島中部,先山断層の最新活動とその意義
https://doi.org/10.1[...]
[45]
간행물
慶長九年の東海南海雨道の地震津浪に就いて
https://doi.org/10.1[...]
1943
[46]
간행물
1605 (慶長9) 年東海 南海津波地震の地学的意義
https://cir.nii.ac.j[...]
1983
[47]
PDF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2001)
http://www.hiroi.iii[...]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南海トラフの地震の長期評価について」
[48]
문서
1605(慶長九)年伊豆-小笠原海溝巨大地震と1614(慶長十九)年南海トラフ地震という作業仮説
2013
[49]
PDF
1605年慶長地震は南海トラフの地震か?
http://www.histeq.jp[...]
歴史地震研究会
2013
[50]
간행물
遡上高を用いた津波マグニチュードMtの決定 -歴史津波への応用-
https://doi.org/10.4[...]
日本地震学会
1999
[51]
간행물
沖縄県石垣島における1771年明和大津波と津波石移動の数値解析
https://doi.org/10.2[...]
[52]
PDF
1771年八重山津波の断層モデルの再検討
http://www2.jpgu.org[...]
2014
[53]
서적
津波の事典
朝倉書店
[54]
USGS
Historic Earthquakes Unimak Island 1946 Apr 01 12:28:56.0 UTC Magnitude 8.1
http://earthquake.us[...]
[55]
논문
Turbidity Currents and Submarine Slumps, and the 1929 Grand Banks Earthquake
http://www.ajsonline[...]
2020-11-30
[56]
논문
Source discriminants for near-field tsunamis
https://academic.oup[...]
2020-11-30
[57]
간행물
The energy release of great earthquakes.
https://doi.org/10.1[...]
[58]
웹사이트
2011年03月11日15時25分 三陸沖 M7.5
https://www.data.jma[...]
2013-12-15
[59]
웹사이트
2011年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 過去に起きた大きな地震の余震と誘発地震
http://outreach.eri.[...]
東京大学地震研究所
[60]
웹사이트
2011年07月10日09時57分 三陸沖 M7.3
https://www.data.jma[...]
2013-12-15
[61]
웹사이트
2012年12月07日17時18分 三陸沖 M7.3
https://www.data.jma[...]
2013-12-15
[62]
웹사이트
2013年10月26日02時10分 福島県沖 M7.3
https://www.data.jma[...]
2013-12-15
[63]
웹사이트
M7・1地震はアウターライズ型、大津波危険も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3-10-26
[64]
서적
地震学 第3版
共立出版
[65]
서적
Tsunami: the underrated hazard
Springer
2011-07-19
[66]
저널
Mechanism of tsunami earthquakes
http://www.gps.calte[...]
2011-07-19
[67]
저널
Shallow subduction zone earthquakes and their tsunamigenic potential
[68]
웹인용
阿部勝征、日本付近に発生した津波の規模(1498年-2006年)
https://wwweic.eri.u[...]
2019-06-18
[69]
저널
Sediment effect on tsunami generation of the 1896 Sanriku tsunami earthquake
http://www.eri.u-tok[...]
2011-07-19
[70]
저널
The 1992 Nicaragua earthquake: a slow tsunami earthquake associated with subducted sediments
http://www.gps.calte[...]
2011-07-19
[71]
웹인용
The Earthquake and Tsunami of 2 September 1992 in Nicaragua
http://www.drgeorgep[...]
2008-06-09
[72]
웹인용
The Legacy of the 1992 Nicaragua Tsunami
https://eos.org/feat[...]
2017-08-30
[73]
저널
Mechanism of the 1992 Nicaragua tsunami earthquake
1994-11-15
[74]
뉴스
Waves of destruction – tsunamis – Cover Story
http://findarticles.[...]
FindArticles.com
2008-06-06
[75]
저널
Status of historical seismology in Japan
http://www.earth-pri[...]
2009-11-22
[76]
저널
Tsunami earthquake can occur elsewhere along the Japan Trench—Historical and geological evidence for the 1677 earthquake and tsunami
[77]
저널
Fault model of the 1771 Yaeyama earthquake along the Ryukyu Trench estimated from the devastating tsunami
2009
[78]
저널
The 1768 and 1791 Okinawa tsunamis in the Ryukyu Trench region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13
[79]
저널
Historical seismograms for unravelling a mysterious earthquake: The 1907 Sumatra Earthquake
2010-10-01
[80]
저널
Reassessment of the 1907 Sumatra "Tsunami Earthquake" Based on Macroseismic, Seismological, and Tsunami Observations, and Modeling
2019-03-26
[81]
저널
The "Tsunami Earthquake" of 13 April 1923 in Northern Kamchatka: Seismological and Hydrodynamic Investigations
https://link.springe[...]
2021-06-05
[82]
저널
Historical tsunami earthquakes in the Southwest Pacific: an extension to Δ > 80° of the energy-to-moment parameter Θ
https://academic.oup[...]
2017
[83]
저널
The 'tsunami earthquake' of 1932 June 22 in Manzanillo, Mexico: seismological study and tsunami simulations
2011
[84]
저널
Rupture characteristics of the 1982 Tonga and 1986 Kermadec earthquakes
1989-11-10
[85]
저널
Near-Trench Mexican Earthquakes Have Anomalously Low Peak Accelerations
2003
[86]
저널
The 17 July 2006 Java tsunami earthquake
http://www.gps.calte[...]
2011-07-23
[87]
저널
The 2010 Mw 7.8 Mentawai earthquake: Very shallow source of a rare tsunami earthquake determined from tsunami field survey and near-field GPS data
[88]
저널
Large earthquake rupture process variations on the Middle America megathrust
https://websites.pmc[...]
2021-04-21
[89]
저널
Source Amplitude Estimation Based on Green's Law: Application to the 2015 Volcanic Tsunami Earthquake Near Torishima, South of Japan
https://link.springe[...]
2021-06-04
[90]
저널
The 2021 South Sandwich Island Mw 8.2 earthquake: a slow event sandwiched between regular ruptures
https://authors.libr[...]
Caltech Library
2023-0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