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로데 필리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로데 필리포스는 헤로데 대왕의 아들로, 이두래와 트라코니티스 등 여러 지역을 다스린 분봉왕이었다. 그는 조카딸 살로메와 결혼했으며, 카이사레아 필리피를 수도로 삼았다. 헤로데 필리포스라는 명칭은 현대에 붙여진 것으로, 그의 재위 기간은 티베리우스 황제의 통치 기간과 겹쳤으며, 요세푸스의 기록과 동전 증거를 통해 재위 기간을 추정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살로메 - 살로메 (희곡)
    오스카 와일드가 프랑스어로 쓴 희곡 살로메는 성경 인물 살로메를 주인공으로 그녀의 욕망과 파멸을 그린 작품으로, 초연 당시 외설적인 내용과 종교적 소재 때문에 공연이 금지되기도 했지만, 후에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오페라로 만들어지면서 널리 알려졌고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1세기 중동의 군주 - 오로데스 3세
  • 1세기 중동의 군주 - 헤로데 안티파스
    헤로데 안티파스는 헤로데 대왕의 아들로 갈릴리와 페레아 지역을 통치하는 분봉왕이었으며, 세례자 요한을 처형하고 37년에 추방되어 사망했다.
헤로데 필리포스
기본 정보
헤로데 필리포스의 조각상
헤로데 필리포스의 조각상
본명헤로데 필리포스
출생기원전 26년경
사망서기 33/34년
아버지헤로데 대왕
어머니예루살렘의 클레오파트라
배우자살로메
통치
칭호분봉왕
통치 지역골란 고원, 바샤안, 트라코니티스, 아우라니티스
통치 시작기원전 4년
통치 종료서기 34년
추가 정보
종교유대교
로마자 표기Herodes Phillipos

2. 통치 지역

필리포스는 이두래와 트라코니티스[1], 골란, 바타네아, 파네아스[2], 아우라니티스와 제노도루스 가문이라 불리는 지역[3] 등을 통치했다.

2. 1. 이두래와 트라코니티스

누가복음에 따르면 필리포스는 이두래와 트라코니티스[1] 지역을 다스렸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필리포스가 골란과 트라코니티스, 파네아스[2], 바타네아, 아우라니티스, 그리고 "제노도루스 가문"이라고 불리는 지역 일부[3]도 다스렸다고 기록했다. 카이사레아 필리피는 그의 분봉왕령의 수도였다.

2. 2. 골란, 바타네아, 파네아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에 따르면 필리포스는 골란, 트라코니티스, 파네아스[2], 바타네아, 아우라니티스, 그리고 "제노도루스 가문"이라고 불리는 지역 일부[3]를 다스렸다.

2. 3. 카이사레아 필리피

필리포스는 카이사레아 필리피를 건설하고 자신의 분봉왕령의 수도로 삼았다.[2]

3. 결혼과 왕조

필리포스는 헤로디아스와 헤로데 2세(헤로데 필리포스 1세라고도 불림)의 딸이자 자신의 조카딸인 살로메와 결혼했다. 살로메는 세례자 요한의 참수 사건과 관련하여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그러나 이들의 나이 차이는 컸을 것으로 예상된다.[1] 살로메는 기원후 14년경에 태어났는데, 당시 헤로데 필리포스는 39세였다.

필리포스가 결혼한 '살로메'는 헤로데 대왕과 그의 8번째 아내 엘피스의 딸로, 이름이 같은 이복 여동생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이 살로메는 기원전 14년에 태어나 헤로데 필리포스보다 불과 5살 어렸다. 하지만 이는 헤로데 대왕의 자녀들이 서로 다른 어머니에게서 태어났음에도 결혼한 유일한 사례가 된다. 사촌이나 삼촌과의 결혼은 헤로데 왕조에서 비교적 흔한 일이었다.[1]

3. 1. 헤로디아와의 관계 논란

마태오 복음서와 마르코 복음서는 헤로데 안티파스가 헤로디아스와 결혼했는데, 헤로디아스는 안티파스의 형제 "필리포스"의 아내였다고 언급한다. 그러나 요세푸스는 헤로디아스가 헤로데 2세 (일명 필리포스 1세)의 아내였다고 밝혀, 복음서의 기록과 상충된다.[4]

3. 2. 살로메와의 결혼

필리포스는 조카딸 살로메와 결혼했다. 살로메는 헤로디아스와 헤로데 2세(헤로데 필리포스 1세라고도 불림)의 딸이었다. 이 살로메는 세례자 요한의 참수와 관련하여 성경에 등장한다. 그러나 둘의 나이 차이는 컸을 것으로 보인다. 살로메는 기원후 14년경에 태어났는데, 당시 헤로데 필리포스는 39세였다. 마태오 복음서와 마르코 복음서는 헤로데 안티파스가 결혼한 헤로디아스가 안티파스의 형제 "필리포스"의 아내였다고 언급하는데, 이는 요세푸스가 그녀가 헤로데 2세(헤로데 필리포스 1세)의 아내였다고 밝힌 사실과 일치한다.[1]

필리포스가 결혼한 '살로메'는 헤로데 대왕과 그의 8번째 아내 엘피스의 딸로, 이름이 같은 이복 여동생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이 살로메는 기원전 14년에 태어났으며, 헤로데 필리포스보다 불과 5살 어렸다. 그러나 이는 헤로데 대왕의 자녀들이 서로 다른 어머니에게서 태어났더라도 결혼한 유일한 사례일 것이다. 다만, 사촌이나 삼촌과의 결혼은 헤로데 왕조에서 비교적 흔했다.[1]

4. 명명 관례

헤로데 필리포스 2세는 현대에 붙여진 명칭이다. 헤로데 안티파스헤로데 아르켈라오스와 달리, 헤로데 필리포스가 '헤로데'라는 왕조 칭호를 사용했다는 당대 증거는 없다.

4. 1. "헤로데 필리포스" 명칭 문제

일부 학자들은 헤로디아의 남편을 혼동하여 필리포스를 "헤로데 필리포스 1세"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는다.[7] 코키노스는 "헤로데 3세를 '헤로데 필리포스'라고 지칭하는 많은 신학자들의 완강한 주장은 아무런 가치가 없다... 환상 속의 헤로데 필리포스는 존재한 적이 없다."라고 말한다.[7]

헤로데 분봉왕이 "헤로데 필리포스"(Ἡρώδης Φίλιππος|Hērōdēs Philipposel)라는 이름을 왕조의 칭호로 사용했다는 당대의 증거는 없다. 그의 형제들인 헤로데 안티파스헤로데 아르켈라오스는 그렇게 했다. 헤로데 2세는 때때로 "헤로데 필리포스 1세"라고 불리며(마태복음[4]과 마가복음[5] 모두 헤로디아의 남편을 "필립"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그런 다음 분봉왕 필립은 "헤로데 필리포스 2세"라고 불린다.[6]

분봉왕 필립은 "형제들과 달리 헤로데를 왕조 이름으로 사용하지 않았다."[8] 이것은 신약성서의 용법과 일치하며, 필립이 언급된 세 번의 경우(마태복음 14:3, 마가복음 6:17, 누가복음 3:1) 그의 이름 앞에는 가문 이름인 "헤로데"가 붙지 않는다. 필립의 이복 형제인 아르켈라오스와 안티파스는 헤로데 대왕으로부터의 "추정상" 왕조적 주장을 위해 헤로데라는 이름을 채택했다.[9]

5. 재위 기간

필리포스의 재위 기간은 동전 연구를 통해 기원전 6년부터 서기 33년까지 37년간으로 밝혀졌다.[11] 이는 요세푸스의 기록에 나타나는 여러 재위 기간(32년, 36년, 37년) 중 37년이 가장 정확함을 보여준다.[10]

필리포스의 재위 시작과 종료 시점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몇 가지 어려움이 있다. 요세푸스의 기록에는 필리포스의 사망 시점이 티베리우스 재위 20년 또는 22년으로 다르게 나타나며,[12] 요세푸스가 사용한 연도 계산 방식(실제 즉위일 기준 또는 1월 1일 기준)도 불분명하기 때문이다.[12]

그러나 필리포스가 발행한 동전과 요세푸스의 기록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재위 기간은 기원전 6년 티슈리(유대력의 첫째 달, 9-10월경)에 시작하여 서기 33년 9월 18일부터 10월 14일 사이에 사망한 것으로 좁혀진다.[13]

헤로데 대왕의 아들들인 헤로데 아르켈라오스헤로데 안티파스 역시 재위 기간을 기원전 6년으로 소급했는데,[18][19] 이는 헤로데 가문의 통치자들이 실제 통치 시작 이전으로 재위 기간을 소급하는 관행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5. 1. 요세푸스의 기록과 동전 증거

요세푸스의 기록에는 필리포스의 재위 기간에 대한 여러 가지 다른 기록들이 존재한다. 《유대 고대사》 18.106/18.4.6의 여러 사본에는 32년, 36년, 37년의 재위 기간이 나타난다.[10] 그러나 필리포스가 재위 기간 동안 발행한 동전들은 그의 재위 5년, 12년, 16년, 19년, 30년, 34년, 37년에 해당하는 연도가 표시되어 있어, 37년 재위가 요세푸스의 원래 기록이었음을 뒷받침한다.[11]

필리포스의 마지막 해를 티베리우스의 재위 기간과 일치시켜 서기 연도를 추정할 때도 요세푸스의 기록(《고대사》 18.106)에는 차이가 있다. 일부는 필리포스의 죽음을 티베리우스의 20년이라고 하는 반면, 다른 사본에는 티베리우스의 22년이라고 기록되어 있다.[12] 또한 요세푸스가 로마 황제의 재위 기간을 실제 즉위 날짜부터 계산했는지, 아니면 1월 1일부터 시작하는 달력 연도를 사용했는지도 불분명하다.[12] 슈타인만과 영은 요세푸스가 로마 황제에 대해 실제 즉위 날짜를 사용했다고 결론 내린다.[12]

필리포스는 재위 19년에 티베리우스를 기념하는 동전을 발행했는데, 이는 아우구스투스가 사망한 서기 14년 이후의 일이다. 이 동전은 아우구스투스의 사망 소식이 유대에 도달한 후인 서기 14년 티슈리(Tishri, 유대력의 첫째 달) 이후에 발행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필리포스의 재위 19년은 서기 14년 티슈리에 시작하는 해이고, 그가 죽은 37년은 18년 후인 서기 32년 티슈리에 시작하는 해이다. 이는 필리포스가 티베리우스의 22년에 사망했다는 요세푸스의 기록과 맞지 않는다.[13]

요세푸스는 《유대 고대사》 1.81/1.3.3에서 유대인들이 종교 의식을 제외한 모든 행정 업무에 티슈리 기반 달력을 사용했다고 명시하고 있다.[12] 따라서 필리포스의 재위 시작은 기원전 6년 티슈리에 시작하는 해로 계산된다. 이는 헤로데 대왕의 사망 연도(기원전 4년 또는 기원전 1년)보다 이전이다. 결론적으로 필리포스는 그의 재위 시작을 아버지 헤로데 대왕의 사망 이전으로 소급했다. 헤로데 안티파스 또한 재위 기간을 기원전 6년으로 소급했다는 증거가 있다.[18]

헤로데 아르켈라오스의 동전에는 연도가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요세푸스의 기록에 따르면 10년의 재위 기간을 가졌으므로, 그의 재위 시작 역시 기원전 6년으로 추정된다.[19]

5. 2. 티베리우스와의 관계

필리포스의 재위 기간은 티베리우스 황제의 재위 기간과 겹친다. 필리포스는 자신의 동전에 티베리우스를 기념함으로써 로마에 대한 충성을 표시했다.[13] 티베리우스를 기념하는 필리포스의 동전은 아우구스투스의 죽음에 대한 소식이 유대 지역에 도달한 후에 발행될 수 있었다.[13]

요세푸스의 기록과 필리포스 시대의 동전 주화를 대조하여 그의 사망 시기를 특정할 수 있다. 필리포스가 티베리우스의 22년에 사망했다는 요세푸스의 기록은 "사실적인" 계산에 따르면 서기 35년 8월에 시작되었을 것이지만, 서기 33년 8월에 시작된 아우구스투스의 20번째 사실적인 해와 일치한다. 이 두 가지 계산 시스템(티슈리 기준 유대와 황제 즉위 시부터 시작하는 로마)의 중첩은 필리포스의 죽음을 서기 33년 9월 18일부터 10월 14일까지로 좁힌다.[13]

6. 헤로데 왕조 가계도

헤로데 왕조 가계도
안티파테르
유대 총독
파사엘
예루살렘 총독
1. 도리스2. 미리암네 1세3. 미리암네 2세4. 말타케5. 예루살렘의 클레오파트라6. 팔라스7. 파이드라8. 엘피스colspan="3" |
헤로데 1세 대왕
유대 왕
colspan="6" |
안티파테르
유대 계승자
알렉산더 1세
유대 왕자
아리스토불루스 4세
유대 왕자
헤로데 2세 필립
유대 왕자
헤로데 안티파스
갈릴리와 페레아의 분봉왕
헤로데 아르켈라오스
유대, 이두매의 에스나르크
필립
이투레아와 트라코니티스의
colspan="4" |
티그라네스 5세알렉산더 2세
유대 왕자
헤롯 아그리파 1세
유대 왕
헤로데 5세
칼키스의 통치자
아리스토불루스 마이너colspan="3" |
티그라네스 6세헤롯 아그리파 2세
유대 왕
아리스토불루스
칼키스의 통치자
colspan="3" |
가이우스 율리우스 알렉산더
킬리키아의 통치자
colspan="6" |
가이우스 율리우스 아그리파
아시아의 퀘스토르
가이우스 율리우스 알렉산더 베레니키아누스
아시아의 집정관
colspan="5" |
루키우스 율리우스 가이우스 파비우스 아그리파
colspan="6" |


참조

[1] 성경 Luke 3:1
[2] 웹사이트 Flavius Josephus, ''Anitquities'' XVII., 8 : 1 https://www.gutenber[...]
[3] 웹사이트 Flavius Josephus, ''Anitquities'' XVII., 11 : 4 https://www.gutenber[...]
[4] 성경 Matthew 14:3
[5] 성경 Mark 6:17
[6] 문서
[7] 서적 Kokkinos (1998)
[8] 서적 Bowman & al., eds. (2001 [1996]). Refers to him throughout as Philip, or Philip the Tetrarch.
[9] 서적 Bury & al., eds. (1965 or before)
[10] 서적 Jack Finegan, ''Handbook of Biblical Chronology'', rev. ed. (Peabody, MA: Hendrickson, 1968), 301. Also Andrew Steinmann, "When Did Herod the Great Reign," ''Novum Testamentum'' 51 (2009) 23-24.
[11] 논문 Dating the Death of Herod and the Reigns of His Sons https://rcyoung.org/[...] Bibliotheca Sacra 2021-10-12
[12] harvtxt Steinmann and Young
[13] harvtxt Steinmann and Young
[14] 서적 Emil Schürer, ''A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in the Time of Jesus Christ'', 5 vols., trans. John Macpherson (reprint: Peabody, MA: Hendrickson, 2009), 1.465. On the same page, Schürer cites the [[Mishnah]], a source much later than Josephus, which says that the regnal year for kings began on Nisan 1, a statement that not only contradicts the citation in Josephus, but also the meticulous works of Thiele and Coucke that showed that Judah always used a Tishri-based year in reckoning the reigns of its kings. Edwin R. Thiele, ''The Mysterious Numbers of the Hebrew Kings'', rev. ed. (Grand Rapids: Kregel, 1983), 51–53. Valerius Coucke, "Chronologie biblique," in ''Supplément au Dictionnaire de la Bible'', vol. 1, ed. Louis Pirot (Paris: Libraire Letouzey et Ané, 1928), cols. 1264–65.
[15] 학술지 The Chronology of the Reign of Herod the Great
[16] harvtxt Finegan
[17] 서적 Andrew E. Steinmann, ''From Abraham to Paul: A Biblical Chronology'', 2nd edition (St. Louis: Concordia, 2024), 196–200.
[18] harvtxt Steinmann and Young
[19] harvtxt Steinmann and Young
[20] harvtxt Steinmann and Young
[21] 학술지 A woman's Hismaic inscription from the Wādī Ramm desert: AMJ 2/J.14202 (Amman Museum) https://onlinelibrar[...] 2017-04-26
[22] 백과사전 https://www.biblegat[...] 2017-04-26
[23] 성경 누가 복음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