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베르트 4세 (오무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베르트 4세는 뫼, 트루아, 비트히 백작으로, 로베르 1세와 아델라이드 베라의 아들이자 샤를마뉴의 7대손이다. 966년 아버지 사망 후 삼촌 헤르베르트 3세가 영지를 소유하다가, 980년 또는 988년 삼촌의 사망 이후 영지를 상속받았다. 그는 서프랑크 국왕 로테르 3세를 지지하며 로렌 원정에 참여했고, 로테르 3세에 저항한 고드프리 1세를 체포했다. 루이 5세 사후에는 샤를을 지지했으나 위그 카페가 왕위에 오르면서 고드프리가 석방되었다. 959년 이전에 헤리바르트와 결혼하여 에티엔 1세 등을 두었으며, 시신은 리에주 엥 뮈센 수도원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95년 사망 - 에길 스칼라그림손
에길 스칼라그림손은 아이슬란드 출신의 바이킹 전사이자 뛰어난 스칼드 시인으로, 특히 아들을 잃은 슬픔을 노래한 《손나토레크》는 북유럽 개인 서정시의 탄생으로 불리며 룬 문자에 능통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995년 사망 - 후지와라노 미치타카
후지와라노 미치타카는 헤이안 시대 중기 아버지의 권세를 배경으로 관백, 섭정 등 요직을 역임하며 권력을 장악했으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중관백가의 쇠퇴를 초래한 공경이다. - 백작 - 백국
- 백작 - 방백
방백은 고대 중국에서 제후의 장을 지칭하거나 신성 로마 제국에서 공작에 준하는 작위를 가진 귀족을 의미한다. - 헤르베르투스 왕조 - 롤로
롤로는 9세기 말에서 10세기 초에 활동한 바이킹 지도자이자 노르망디 공국의 창건자로, 서프랑크 왕국과 생클레르쉬르에프트 조약을 맺어 노르망디 지방을 할양받고 공작으로 서임되었으며, 그의 후손들은 잉글랜드를 정복하여 노르만 왕조를 세웠다. - 헤르베르투스 왕조 - 쉬니 백작 오토 2세
쉬니 백작 오토 2세는 중세 시대 쉬니 백작 가문의 주요 인물로, 뛰어난 외교와 정치적 수완으로 가문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지역 사회 안정에 기여했다.
헤르베르트 4세 (오무아) |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오무아 백작 |
출생 | 980년대 |
사망 | 1015년 |
매장지 | 생파르오무티에 수도원 |
배우자 | 에르망가르드 |
자녀 | 오도 2세 드 트루아 딸 2명 |
가문 | 카롤링거 왕조 (에르베르틴) |
상세 정보 | |
아버지 | 에티엔 드 트루아 |
어머니 | 아델라이드 드 부르고뉴 |
2. 생애
980년 또는 988년 삼촌 헤르베르트 3세가 사망하면서 아버지의 영지였던 뫼욱스, 트루아, 비트히를 차지했다. 헤르베르트 4세는 서프랑크의 국왕 로테르 3세의 충실한 신하였고, 그의 하로렌 원정을 수행하였다.[5]
985년 로테르 3세를 도와 하 로렌을 공략한 뒤, 로렌의 샤를의 측근이자 로테르 3세에게 저항한 베르덩의 고드프리 1세를 체포하여 로테르 3세에게 넘겨주었다. 이 일로 고드프리 1세는 '죄수 고드프리'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2. 1. 가계 배경
헤르베르트 4세는 모우 백작 로베르 1세와 부르군트 공작 기셀베르트의 딸 아델라이드 베라의 아들이었다.[5] 그는 샤를마뉴의 7대손으로, 샤를마뉴의 아들 이탈리아의 왕 피피노 카를로만의 손자이자 상리스 백작 피핀 2세의 고손자였다. 할아버지는 베르망두아 백작 헤르베르트 2세였다.966년 아버지 로베르 1세가 사망한 후, 영지는 바로 헤르베르트 4세에게 돌아가지 않았다. 984년까지 그의 삼촌인 오무아 백작 헤르베르트 3세가 영지를 소유했다. 삼촌 헤르베르트 3세와 구분하기 위해 헤르베르트 4세는 '청년공(the Younger)'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2. 2. 정치 활동
헤르베르트 4세는 서프랑크 국왕 로테르 3세의 충실한 지지자였으며, 하로렌 원정에 참여했다.[5]985년 로테르 3세에게 저항한 베르덩의 고드프리 1세를 체포하여 로테르 3세에게 넘겨주었다. 고드프리 1세는 이 일로 '죄수 고드프리'라는 별명을 얻게 된다. 987년 루이 5세가 죽은 뒤, 헤르베르트는 블루아백작 오도 1세와 함께 하로렌 공작 샤를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987년 위그 카페가 프랑스의 왕위에 오르면서 고드프리는 석방되었다.[5]
2. 3. 결혼과 상속
959년 이전에 헤리바르드(Hereward/Herevard)라는 여성과 결혼했고, 자녀로는 스테판 또는 에티엔이라는 이름의 아들과 이름 미상의 딸이 있었다.[5] 헤르베르트 4세의 시신은 리에주 엥 뮈센 수도원에 안장되었다.그의 아들 에티엔 1세는 후계자를 남기지 못했고, 1020년 에티엔 사후 그의 영지는 블루아 가문으로 넘어갔다. 블루아 가문은 그의 할아버지 베르망두아 백작 헤르베르트 2세의 딸 리트가르트가 노르망디의 윌리엄 1세와 결혼했다가 사별한 뒤 블루아의 테오발트 1세와 재혼하여 얻은 자손들로, 에티엔의 지위를 계승한 오도 2세는 헤르베르트에게 고종질이 된다.
3. 가족 관계
헤르베르트 4세의 부인 헤리바르트의 가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다만 아들의 이름을 에티엔 또는 스테판이라 지은 것을 근거로, 헤리바르트의 친정에 대해 세 가지 가설이 존재한다. 로타링기아 백작 스테판의 후손으로, 그 가계는 900년 무렵 메츠 백작을 지낸 제르하르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설, 860년 무렵 부르주의 백작을 지낸 스테판 또는 에티엔의 후손이라는 설, 그리고 헤리바르트가 제보단의 백작 스테판(또는 에티엔)의 딸이라는 설이 있다.
- 삼촌: 헤르베르트 3세, 오모아 백작
3. 1. 직계 가계
- 할아버지 : 헤르베르트 2세
- 아버지 : 로베르 1세 (920년 - 966년/968년 8월 29일)
- 어머니 : 아델라이드 베라, 부르군트 공작 기셀베르트의 딸
- 부인 : 헤리바르드(Hereward/Herevard)
- * 아들 : 외드(Eudes, 995년 사망)
- * 아들 : 스테판 또는 에티엔
- * 딸 : 이름 미상
참조
[1]
서적
La préhistoire des Capétiens (481-987), tomes I
P. Van Kerrebrouck
1993
[2]
서적
Europäische Stammtafeln: Stammtafeln zur Geschichte der Europäischen Staaten
Verlag von J. A. Stargardt
1984
[3]
서적
La formation du comté de Champagne (v.950-v.1150)
Université de Nancy-II
1977
[4]
서적
La préhistoire des Capétiens (481-987), tomes I
P. Van Kerrebrouck
1993
[5]
서적
Europäische Stammtafeln: Stammtafeln zur Geschichte der Europäischen Staaten
Verlag von J. A. Stargardt
198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