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일로 궤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일로 궤도는 라그랑주 점 주위를 도는 3차원 주기 궤도로, 1968년 로버트 W. 파커가 처음 명칭을 사용했다. 이 궤도는 아폴로 계획의 통신 중계소로 제안되었으며, 1978년 ISEE-3를 시작으로 소호, 제네시스, 작교 위성,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유클리드, 아디티야-L1 등 다양한 탐사선에 활용되었다. 리사주 궤도와 비교하여 설명하며, 대한민국 우주 개발과 관련된 내용은 아직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체 궤도 - 리사주 궤도
리사주 궤도는 특정 천체 시스템 내 라그랑주점을 이용하여 우주선이 안정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3차원 궤도로, ACE, SOHO, DSCOVR 등의 우주선들이 과학적 임무에 활용했으며 연료 소모가 적고 지속적인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삼체 궤도 - 랴푸노프 안정성
랴푸노프 안정성은 러시아 수학자 알렉산드르 랴푸노프가 제시한 동역학계의 평형점 또는 해의 안정성 판단 방법으로, 비선형 동역학계 분석에 유용하며, 랴푸노프 함수를 통해 시스템 안정성을 증명하고 제어 이론, 혼돈 이론 등에 활용된다. - 트로이군 - 코르딜레프스키 구름
코르딜레프스키 구름은 지구-달 라그랑주점 L4, L5 주변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희미한 먼지 구름으로, 관측이 어렵고 일시적 현상일 수 있다는 의문이 제기되지만, 히텐 탐사선과 헝가리 연구팀의 관측으로 존재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 트로이군 - 라그랑주 점
라그랑주 점은 두 천체의 중력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는 5개의 특정 지점으로, 레온하르트 오일러와 조제프 루이 라그랑주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우주 탐사 및 천문 관측에 유용한 위치이고 미래 우주 기지 건설 후보지로도 주목받는다. - 라그랑주 역학 -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조제프루이 라그랑주는 이탈리아 출신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서 변분법, 라그랑주 역학 등을 개발하고 미터법 제정에 참여하며 18~19세기 수학과 역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에펠탑에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 라그랑주 역학 - 달랑베르의 원리
달랑베르의 원리는 입자계에 작용하는 힘과 운동량의 시간 미분 차이의 합이 구속 조건과 일치하는 가상 변위에 투영될 때 0이 된다는 원리로, 동역학계에서 구속력이 사라짐을 보이며 일반화된 힘에 구속력을 포함할 필요가 없고 열역학에도 적용 가능하다.
헤일로 궤도 | |
---|---|
개요 | |
유형 | 주기적인 3차원 궤도 |
관련 개념 | 라그랑주 점, 만곡면 좌표계 |
특징 | |
안정성 | 불안정 (궤도 보정 필요) |
목적 | 특정 위치 상공에 장기간 머무르며 관측 또는 통신 수행 |
응용 | |
인공위성 | 태양-지구 L1 또는 L2 지점에 위치 태양 활동 관측, 우주 날씨 예보, 심우주 통신 중계 등에 활용 |
예시 | SOHO (태양-태양권 관측 위성) WMAP (윌킨슨 마이크로파 비등방성 탐색기) Gaia (가이아 탐사선) |
수학적 설명 | |
계산 | 만곡면 좌표계를 사용하여 계산 복잡한 비선형 미분 방정식 필요 |
주기 | 라그랑주 점 주변을 공전하는 주기 라그랑주 점의 위치 및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달라짐 |
장점 | |
시야 확보 | 태양 또는 지구와 같은 천체에 대한 지속적인 가시성 확보 가능 |
위치 유지 | 특정 위치 상공에 비교적 안정적으로 머무를 수 있음 |
단점 | |
궤도 유지 보수 | 궤도 유지를 위한 지속적인 추진력 필요 |
불안정성 | 약간의 궤도 변화에도 크게 벗어날 수 있음 |
2. 정의 및 역사
"헤일로 궤도"라는 명칭은 1966년 로버트 W. 파커가 처음 사용했다.[16] 그는 달 뒷면과의 통신 중계를 위해 헤일로 궤도를 제안했지만, 실제로 활용되지는 않았다.[17] 이후 캐슬린 하월이 수학적인 방법으로 더 정확한 궤도를 계산해냈다.[18]
1973년 파커와 아흐메드 카멜은 리사주 궤도의 평면 내 진폭이 충분히 클 때, 동일한 주기를 갖는 해당 평면 외 진폭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궤도가 거의 타원형이 된다는 것을 알아냈다. 1998년에는 지구-달 시스템에 대한 헤일로 궤도가 처음 계산되었으며, 이는 우주선의 움직임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도입한 결과였다.[6]
헤일로 궤도를 사용한 최초의 임무는 1978년에 발사된 ISEE-3이며, 유럽 우주국(ESA)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공동 우주선이었다. ISEE-3는 태양-지구 L 지점에 수년간 머물렀다. 이후 헤일로 궤도를 이용한 탐사선은 ESA/NASA 공동 임무인 태양 및 헬리오스피어 관측소(SOHO)가 있으며, 1996년 태양-지구 L 지점에 도착하여 ISEE-3와 유사한 궤도를 사용했다.[5] 그 이후 여러 임무들이 라그랑주 점으로 이동했지만, 가이아와 같이 일반적으로 실제 헤일로 궤도보다는 리사주 궤도를 사용했다.
2018년 5월, 파커의 원래 아이디어는 중국이 최초의 통신 중계 위성인 작교 위성을 지구-달 L 점 주위의 헤일로 궤도에 배치하면서 실현되었다.[7] 2019년 1월 3일, 창어 4호 우주선은 달 뒷면의 폰 카르만 분화구에 착륙하여 작교 위성을 통해 지구와 통신했다.[8][9]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2022년 1월 24일에 태양-지구 L 점 주위의 헤일로 궤도에 진입했고,[10] 유클리드는 2023년 8월에 이 지점 주위의 유사한 궤도에 진입했다.
ISRO는 L점 주위의 헤일로 궤도에서 태양을 연구하기 위해 아디티야-L1을 발사했다.[11] 2024년 1월 6일, 아디티야-L1 우주선은 지구에서 약 150만 킬로미터 떨어진 첫 번째 태양-지구 라그랑주 점(L1) 주위의 약 180일 주기를 가진 최종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다.[12]
2. 1. 헤일로 궤도의 초기 제안과 발전
로버트 W. 파커는 1968년 자신의 논문에서 "헤일로"라는 명칭을 처음으로 사용하였다.[1] 파커는 달 반대편의 L2 헤일로 궤도에 인공위성을 올리면 항상 지구와 달 반대편에서 인공위성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달 반대편에서 진행될 아폴로 탐사선들의 통신을 중계하자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달 반대편 통신위성과 달 반대편 아폴로 계획은 모두 발사되지 못했다.[2]파커는 분석적인 방법으로 헤일로 궤도를 추정했지만, 이후 캐슬린 하월은 수학적인 방법으로 더 정확한 궤도를 계산해내었다.[4] 1984년 하월은 수치 계산을 통해 더 정확한 궤도를 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그녀는 지구와 달처럼 두 물체의 질량 비율에 대한 대부분의 값에 대해 안정적인 궤도 범위가 있음을 발견했다.[4]
3. 헤일로 궤도의 활용
로버트 W. 파쿼는 1966년 아폴로 계획에서 달 탐사 임무를 위한 통신 중계소로 헤일로 궤도를 활용할 것을 제안하며 "헤일로"라는 이름을 처음 사용했다.[1] 하지만 모든 착륙이 달의 앞면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실제로 중계 위성이 발사되지는 않았다.[2]
1973년 파쿼와 아흐메드 카멜은 리사주 궤도를 연구하면서 헤일로 궤도의 특성을 발견했고,[3] 1984년 캐슬린 하웰은 수치 계산을 통해 더 정확한 궤도를 계산하고 안정적인 궤도 범위를 발견했다.[4]
최초로 헤일로 궤도를 활용한 것은 1978년 국제 혜성 탐사선이며,[5] 이후 태양 및 태양권 관측위성 등 여러 탐사선에 활용되었다. 2018년 5월에는 중국이 통신 중계 위성 작교 위성을 지구-달 L2 헤일로 궤도에 배치하여 파쿼의 아이디어를 실현시켰다.[7] 창어 4호는 작교 위성을 이용하여 지구와 통신하며 달 뒷면에 착륙했다.[8][9]
최근에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2022년),[10] 유클리드(2023년), 인도의 아디티야-L1(2024년) 등이 헤일로 궤도를 활용하고 있다.[11][12]
3. 1. 헤일로 궤도 활용 탐사선
최초로 헤일로 궤도를 이용한 탐사선은 1978년에 발사된 국제 혜성 탐사선으로, L1 지점에서 몇 년간 머물렀다. 그 다음은 유럽 우주국과 미국 항공우주국의 합작인 태양 탐사선 소호로, 1996년 국제 혜성 탐사선이 사용하였던 L1 궤도에 도착하였다.[19]이후로도 몇몇 탐사선들이 라그랑주점으로 향했지만, 이 탐사선들은 정확히는 헤일로 궤도가 아닌, 헤일로 궤도의 비(非)주기적 버전인 리사주 궤도를 이용하였다.[20]
3. 2. 리사주 궤도와의 비교
로버트 W. 파쿼는 1966년에 L2 주위를 도는 궤도에 "헤일로"라는 이름을 처음 사용했지만, 실제로 많은 탐사선들은 헤일로 궤도 대신 비주기적인 리사주 궤도를 이용했다.[20] 리사주 궤도는 헤일로 궤도와 유사하지만, 주기적이지 않다는 차이점이 있다.1973년 파쿼와 아흐메드 카멜은 리사주 궤도의 평면 내 진폭이 충분히 클 때, 동일한 주기를 갖는 평면 외 진폭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3] 1984년 캐슬린 하웰은 수치 계산을 통해 더 정확한 궤도를 계산할 수 있음을 보였고, 대부분의 경우 안정적인 궤도 범위가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4]
가이아와 같은 여러 탐사선들이 라그랑주점으로 이동했지만, 이들은 실제 헤일로 궤도보다는 리사주 궤도를 사용했다.
4. 대한민국 우주 개발과 헤일로 궤도
대한민국은 현재 달 탐사 2단계 사업을 추진 중이며, 달 궤도선과 착륙선을 개발하고 있다. 달 착륙선의 성공적인 임무 수행을 위해서는 달 뒷면과의 통신이 필수적이며, 헤일로 궤도를 활용한 통신 중계 위성 발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1] 더불어민주당은 우주 개발 예산 확대 및 핵심 기술 개발 지원을 통해 대한민국의 우주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1]
참조
[1]
논문
Station-Keeping in the Vicinity of Collinear Libration Points with an Application to a Lunar Communications Problem
1966
[2]
웹사이트
Lunar far-side communication satellites
https://ntrs.nasa.go[...]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08-07-16
[3]
웹사이트
Quasi-Periodic Orbits about the Translunar Libration Point
https://adsabs.harva[...]
Springer
1973-06
[4]
논문
Three-Dimensional Periodic Halo Orbits
http://adsabs.harvar[...]
[5]
서적
Libration Point Orbits and Applications
[6]
서적
The Quasi-bicircular problem
http://www.maia.ub.e[...]
Publicacions Universitat de Barcelona
1998
[7]
뉴스
How China's lunar relay satellite arrived in its final orbit
http://www.planetary[...]
2018-06-15
[8]
뉴스
China to launch Chang'e-4 lunar far side landing mission on December 7
https://gbtimes.com/[...]
2018-12-05
[9]
웹사이트
Chang'e-4 returns first images from lunar farside following historic landing
https://spacenews.co[...]
2019-01-08
[10]
뉴스
After Million-Mile Journey, James Webb Telescope Reaches Destination – The telescope's safe arrival is a relief to scientists who plan to spend the next 10 or more years using it to study ancient galaxies.
https://www.nytimes.[...]
2022-01-24
[11]
뉴스
After Chandrayaan-3, ISRO getting ready for Sun mission ADITYA-L1. Key things to know
https://economictime[...]
2023-07-24
[12]
웹사이트
Halo-Orbit Insertion of Aditya-L1 Successfully Accomplished
https://www.isro.gov[...]
2024-01-06
[13]
문서
"The Control and Use of Libration-Point Satellites"
[14]
문서
"Libration-Point Missions 1978-2000," Libration Point Orbits and Applications, Parador d'Aiguablava, Girona, Spain, June 2002
[15]
문서
"Three-Dimensional, Periodic, 'Halo' Orbits"
[16]
문서
"The Control and Use of Libration-Point Satellites"
[17]
웹인용
Lunar Far-Side Communication Satellites
https://ntrs.nasa.go[...]
NASA
2008-07-16
[18]
문서
"Three-Dimensional, Periodic, 'Halo' Orbits"
[19]
문서
"Libration-Point Missions 1978-2000," Libration Point Orbits and Applications, Parador d'Aiguablava, Girona, Spain, June 2002
[20]
웹인용
What is that fine line difference between the terms Lissajous orbit and Halo orbit around unstable Lagrange points? What exactly are in-plane and out-of-plane frequencies when depicting Lissajous curves in PCR3BP? - Quora
http://www.quora.com[...]
2015-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