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숙황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숙황후는 북송 휘종의 황후로, 본래 흠성황후의 시녀 출신이었다. 미모와 시재를 겸비하여 휘종의 총애를 받았으며, 황후가 된 후 정강의 변으로 금나라에 끌려가 수모를 겪었다. 이후 사망하여 남송에서 현숙의 시호를 받았으며, 휘종과 함께 영우릉에 안장되었다. 슬하에 자녀는 없었으나 여러 공주를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송나라의 황태후 - 흠자황후
흠자황후는 북송 신종의 총애를 받아 휘종을 낳았으며, 사후 휘종에 의해 황태후로 추존되었다. - 1079년 출생 - 호리카와 천황
호리카와 천황은 시라카와 천황의 아들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시라카와 상황의 원정 정치 하에서 학문과 예술에 심취했으며, 그의 아들이 도바 천황으로 즉위했다. - 1079년 출생 - 예종 (고려)
예종은 고려의 제16대 왕으로, 여진과의 갈등, 9성 반환, 교육 진흥 등에 힘썼으며 1122년 종양으로 사망했다. - 1131년 사망 - 보에몽 2세
보에몽 2세는 보에몽 1세와 콩스탕스 드 프랑스 사이에서 태어나 안티오키아 공국의 공작을 역임했으며, 킬리키아 원정 중 사망하여 딸 콘스탄스가 공국을 상속받았다. - 1131년 사망 - 조슬랭 1세 드 쿠르트네
쿠르트네 가문 출신의 십자군 기사이자 에데사 백국의 백작이었던 조슬랭 1세 드 쿠르트네는 1101년 십자군에 참여하여 에데사 백작 보두앵 2세를 섬겼고, 투르베셀 통치, 하란 전투 포로, 영토 확장, 아자즈 전투 승리 등의 공헌을 했으나 1131년 전투 중 부상으로 사망했다.
현숙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현숙황후 (顯肅皇后) |
다른 칭호 | 영덕태상황후 (寧德太上皇后) |
성 | 정 (鄭) |
재위 | |
북송 황후 | 1110년 11월 15일 ~ 1126년 1월 18일 |
태상황후 (형식상) | 1126년 1월 18일 ~ 1130년 10월 8일 |
생애 | |
출생 | 1079년 |
출생지 | 개봉부 |
사망 | 1130년 10월 8일 |
사망지 | 오국성 |
매장지 | 영우릉 |
가족 관계 | |
배우자 | 휘종 |
자녀 | 조옥반 (嘉德帝姬, 가덕제희) 조금라 (安德帝姬, 안덕제희) 조호아 (成德帝姬, 성덕제희) 수숙제희 (壽淑帝姬) 영숙제희 (榮淑帝姬) 연왕 조정 (兗王 趙檉) |
아버지 | 정신 (鄭紳) |
기타 | |
연호 | 정화 (政和) 선화 (宣和) 건염 (建炎) |
2. 생애
정씨는 카이펑의 한 지주 가문에서 태어났다.[1] 미래의 송 휘종이 황태자였을 때, 그의 어머니 향황후의 시녀로 일했다. 휘종은 황궁 밖에서 생활하며 종종 황후를 방문했는데, 이때 향황후는 정씨에게 휘종을 시중들도록 했다.[2] 1099년, 향황후는 휘종과 왕씨의 혼인을 주선하며 정씨를 후궁으로 보냈다.
1100년, 휘종은 황제가 되었고, 정씨는 왕씨 후궁과 총애를 다투었다. 정씨는 학문과 음악에 능했다.[3] 휘종에게는 많은 후궁이 있었지만, 정씨는 이들을 질투하지 않았다고 한다. 정씨는 미모와 춤, 노래 실력으로 황제를 즐겁게 했다.[4] 1102년, 현비에 책봉되었다.
1110년, 왕씨 황후 사후, 휘종은 정씨를 황후로 책봉했다. 이는 시녀 출신 황후가 드물었기에 논란이 되었다.
아버지 정신은 태사에 임명되고 낙평군왕에 봉해졌다.
1126년, 휘종이 흠종에게 양위하자 정씨는 영덕태후로 불렸다. 정강의 변 이후 금으로 끌려가 수모를 겪었고, 1130년 사망했다. 남송에서 현숙(顯肅)이라는 시호를 받고, 1142년 휘종과 함께 영우릉에 안장되었다.
2. 1. 황후 이전
정씨는 개봉 출신으로, 아버지는 정신(鄭紳)이다.[1] 신종의 황후인 흠성헌숙황후의 시녀였다.[2] 휘종이 단왕(端王) 시절, 흠성헌숙황후에게 문안 인사를 드리러 왔다가 정씨를 보고 마음에 들어했다. 정씨는 미천한 가문 출신이었지만 아름다운 외모와 신중한 성격을 지녀 단왕의 눈에 띄었다.철종이 후사 없이 사망하자, 흠성헌숙황후는 휘종을 황제로 즉위시켰다. 흠성헌숙황후는 휘종이 정씨에게 마음이 있음을 알고, 휘종 즉위 후 정씨를 하사하였다. 휘종은 정씨를 현비(顯妃)로 책봉하고 총애하였으며,[4] 정씨와의 사이에서 황자 1명과 황녀 5명을 두었다.
정씨는 노래와 춤에 능하고, 독서와 시 짓기를 즐겨 휘종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휘종은 그녀의 다재다능함에 매료되어 사랑 노래를 지어 불렀는데, 이 노래는 궁중에 퍼지기도 했다.[12]
2. 2. 황후 시절
현공황후가 사망한 후, 1111년(정화 원년) 황후로 책봉되었다.[1] 황후 책봉은 다소 논란이 있었는데, 황후는 일반적으로 군인이나 관리 가문 출신이어야 했고, 시녀 출신은 드물었기 때문이다.[4] 1126년 흠종에게 휘종이 양위하면서 태상황후로 추봉되었고, 영덕궁(寧德宮)으로 거처를 옮겨 영덕태후(寧德太后)로 불렸다.[1]2. 3. 정강의 변과 최후
1127년 정강의 변으로 금나라에 의해 수도 개봉이 함락되면서, 휘종, 흠종을 비롯한 황족, 귀족, 신하들과 함께 금나라로 끌려갔다.[12] 금나라의 완안종한에게 자신을 첩이라 칭하며 친정 가족들을 구원해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완안종한이 허락하여 그녀의 아버지인 정신이 남송으로 귀환했다.[12] 하지만 1131년 금나라 오국성(五國城)에서 5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2] 사망 소식은 한참 후에 알려져 1137년(소흥 7년) 남송 고종에 의해 '''''현숙'''''(顯肅)의 시호가 내려지고 휘종과 함께 영우릉(永佑陵)에 합장되었다.[12]3. 가계
현숙황후의 아버지는 정신이고, 남편은 휘종이다.
3. 1. 부모
아버지 정신3. 2. 남편
휘종(1082년 ~ 1135년)은 북송의 제8대 황제이다.4. 자녀
품계 | 이름 | 출생-사망 |
---|---|---|
능비 | 조옥반 | 1100년 - 1141년 |
능비 | 연왕 조정 | 1101년 |
현비 | 수숙제희 | ? |
현비 | 조금라 | 1106년 - 1127년 |
현비 | 영숙제희 | ? |
황후 | 조호아 | 1110년 |
4. 1. 황자
4. 2. 황녀
- 조옥반
- 조금라
- 수숙제희
- 영숙제희
- 조호아
5. 기타
참조
[1]
서적
Toqto'a and Alutu
1346
[2]
서적
Toqto'a and Alutu
1346
[3]
서적
Toqto'a and Alutu
1346
[4]
서적
Toqto'a and Alutu
1346
[5]
서적
Emperor Huizong
[6]
서적
Emperor Huizong
[7]
서적
Emperor Huizong
[8]
서적
Toqto'a and Alutu
1346
[9]
서적
Toqto'a and Alutu
1346
[10]
서적
宋史
[11]
서적
宋会要輯稿
[12]
서적
송사
[13]
서적
속자치통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