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제애와 통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형제애와 통일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이 제시한 슬로건으로, 유고슬라비아 내 다양한 민족, 민족 집단, 종교 집단 간의 단결을 강조했다. 이 슬로건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 민족 간 관계의 공식적인 정책으로 채택되어, 민족 간의 평화로운 공존과 상호 의존성을 증진하는 데 기여했다. "형제애와 통일"은 유고슬라비아의 여러 공공 기관, 시설, 도로 등의 명칭으로 사용되었으며, 유고슬라비아 붕괴 이후에도 이념적, 역사적 맥락에서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고슬라비아의 정치사 - 반관료제 혁명
반관료제 혁명은 1980년대 후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주도하여 세르비아 자치주인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의 자치권을 축소하고 세르비아의 영향력을 강화하려 한 일련의 사건이며,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의 권력 균형을 변화시키고 유고슬라비아 전쟁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티토-스탈린 결렬
티토-스탈린 결렬은 전후 동유럽에 대한 소련의 영향력 확대와 유고슬라비아의 독자 노선 추구, 상호 불신이 작용한 결과로, 유고슬라비아가 코민포름에서 제명되고 비동맹 운동의 주도국이 되는 등 국제 공산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쿰로베츠
쿰로베츠는 크로아티아 북서부에 위치한 지방 자치체이며, 1941년 나치 독일의 점령을 겪었고, 2011년 인구 조사에서 1,588명의 인구가 있으며, 문화 단체 KUD 쿰로베츠의 본거지이다.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세르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세르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내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지배 정당으로, 1945년부터 1990년까지 세르비아 정치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를 포함한 여러 지도자를 배출했다.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크로아티아 공산주의자 동맹
크로아티아 공산주의자 동맹은 1937년 창당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르티잔을 결성하고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수립 후 자치권을 행사했으나, 1990년 민주화 이후 사회민주당으로 개편되었다.
형제애와 통일 | |
---|---|
개요 | |
이름 | 형제애와 통일 |
로마자 표기 | Hyeongaee-wa Tongil |
슬로건 종류 | 유고슬라비아의 슬로건 |
슬로베니아어 | 브라츠트보 인 미르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브라츠트보 이 예딘스트보 / Bratstvo i jedinstvo |
마케도니아어 | 브라츠트보 이 에딘스트보 / Bratstvo i edinstvo |
슬로베니아어 (다른 표기) | 브라츠트보 인 에노트노스트 |
알바니아어 | 바슈킴 드헤 벨러제림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로마자) | Bratstvo i jedinstvo |
슬로베니아어 (로마자) | Bratstvo in mir |
2. 역사
1941년 4월 추축국의 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점령 세력과 일부 협력 단체들은 유고슬라비아 내 다양한 민족, 종교 집단 간의 증오를 조장하려 했다. 이에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은 유고슬라비아의 여러 국가(''narodi'')와 소수 민족(''nacionalne manjine'', 이후 ''narodnosti''로 개칭)이 적에 맞선 투쟁 속에서 형제애와 단결을 이룰 수 있다고 성공적으로 선전했다. 1943년 AVNOJ 제2차 회의는 유고슬라비아의 연방화를 결정했으며, 이는 형제애와 단결 원칙을 인정한 것으로 평가받는다.[3]
전후 '형제애와 통일' 슬로건은 1963년 유고슬라비아 헌법과 1974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에 명시되며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민족 관계 공식 정책으로 채택되었다.[4][5]
과거 유고슬라비아에서는 국수주의적 선전, 분리주의, 미개척지 회복주의 등 형제애와 단결을 위협하는 행위로 여러 저명인사들이 유죄 판결을 받았다. 보이슬라브 셰셸,[7]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 프라뇨 투지만, 스테판 메시치,[8][9] 아뎀 데마치[8] 등이 그 예이다.
2. 1.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기
1941년 4월 추축국의 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점령국과 일부 협력 단체들은 유고슬라비아의 다양한 민족, 민족 집단, 종교 집단 사이의 증오를 조장하려 했다.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은 유고슬라비아의 국가(''narodi'')와 소수 민족(''nacionalne manjine'', 이후 ''narodnosti''로 개칭)이 적들과의 투쟁에서 형제애와 단결을 이룬다는 것을 성공적으로 알렸다. 1943년 AVNOJ의 제2차 회의 결정은 유고슬라비아의 연방화를 결정했고, 이는 이 형제애와 단결 원칙을 인정한 것으로 여겨졌다.[3]전쟁 후, 이 슬로건은 1963년 유고슬라비아 헌법과 1974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에 명시된 바와 같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 민족 간 관계의 공식적인 정책으로 지정되었다.[4][5] 이 정책은 유고슬라비아의 국가 (세르비아인, 마케도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몬테네그로인, 보스니아인)과 소수 민족 (알바니아인, 헝가리인, 루마니아인, 불가리아인, 유대인, 이탈리아인, 우크라이나인 등)이 연방 내에서 평화롭게 공존하며, 민족 간의 갈등과 증오를 극복하기 위해 그들의 유사점과 상호 의존성을 증진하는 동등한 집단이라고 규정했다. 모든 개인은 자신의 문화를 표현할 권리가 있었으며, 민족 집단은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서로에게 서약했다. 시민들은 또한 국적을 유고슬라비아인으로 선언하도록 권장받았고 허용되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10%를 기록했다. 이 정책은 또한 경제 조직을 포함한 모든 공공 기관에 민족 할당제 시스템을 도입하여, 각 민족 집단이 자치 공화국 또는 자치 주의 민족 구성에 따라 대표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전역에서 많은 공장, 학교, 공공 장소, 민속 앙상블 및 스포츠 팀이 "형제애와 단결"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며, 류블랴나–자그레브–베오그라드–스코페 고속도로 (형제애와 단결 고속도로)도 그 중 하나였다. 이 나라는 형제애와 단결 훈장이라는 훈장을 가지고 있었다.[6]
과거 유고슬라비아의 여러 저명인사들이 형제애와 단결을 위협하는 행위, 예를 들어 국수주의적 선전, 분리주의, 미개척지 회복주의 등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그들 중에는 세르비아 급진파인 보이슬라브 셰셸,[7] 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대통령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과 크로아티아 대통령 (프라뇨 투지만 및 스테판 메시치),[8][9] 등이 있었다. 한 코소보 알바니아인인 아뎀 데마치는 민족주의적 책략으로 투옥되었다.[8]
2. 2. 정책의 실제
1963년 유고슬라비아 헌법과 1974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에 명시된 바와 같이, "형제애와 통일" 슬로건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 민족 간 관계의 공식적인 정책으로 지정되었다.[4][5] 이 정책은 유고슬라비아의 국가 (세르비아인, 마케도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몬테네그로인, 보스니아인)과 소수 민족 (알바니아인, 헝가리인, 루마니아인, 불가리아인, 유대인, 이탈리아인, 우크라이나인 등)이 연방 내에서 평화롭게 공존하며, 민족 간의 갈등과 증오를 극복하기 위해 그들의 유사점과 상호 의존성을 증진하는 동등한 집단이라고 규정했다.모든 개인은 자신의 문화를 표현할 권리가 있었으며, 민족 집단은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서로에게 서약했다. 시민들은 국적을 유고슬라비아인으로 선언하도록 권장받았고 허용되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10%를 기록했다. 이 정책은 경제 조직을 포함한 모든 공공 기관에 민족 할당제 시스템을 도입하여, 각 민족 집단이 자치 공화국 또는 자치 주의 민족 구성에 따라 대표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전역에서 많은 공장, 학교, 공공 장소, 민속 앙상블 및 스포츠 팀이 "형제애와 단결"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며, 류블랴나–자그레브–베오그라드–스코페 간 형제애와 단결 고속도로도 그중 하나였다. 이 나라는 형제애와 단결 훈장이라는 훈장을 가지고 있었다.[6]
과거 유고슬라비아의 여러 저명인사들이 국수주의적 선전, 분리주의, 미개척지 회복주의 등 형제애와 단결을 위협하는 행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그들 중에는 세르비아 급진파인 보이슬라브 셰셸,[7] 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대통령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와 크로아티아 대통령 (프라뇨 투지만 및 스테판 메시치),[8][9] 코소보 알바니아인인 아뎀 데마치 등이 있었다.[8]
2. 3.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그 이후
1941년 4월 추축국의 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점령국과 일부 협력 단체들은 유고슬라비아의 다양한 민족, 민족 집단, 종교 집단 사이의 증오를 조장하려 했다.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은 유고슬라비아의 국가(''narodi'')와 소수 민족(''nacionalne manjine'', 이후 ''narodnosti''로 개칭)이 적들과의 투쟁에서 형제애와 단결을 이룬다는 것을 성공적으로 알렸다. 1943년 AVNOJ의 제2차 회의 결정은 유고슬라비아의 연방화를 결정했고, 이는 이 형제애와 단결 원칙을 인정한 것으로 여겨졌다.[3]전쟁 후, 이 슬로건은 1963년 유고슬라비아 헌법과 1974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에 명시된 바와 같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 민족 간 관계의 공식적인 정책으로 지정되었다.[4][5] 이 정책은 유고슬라비아의 국가 (세르비아인, 마케도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몬테네그로인, 보스니아인)과 소수 민족 (알바니아인, 헝가리인, 루마니아인, 불가리아인, 유대인, 이탈리아인, 우크라이나인 등)이 연방 내에서 평화롭게 공존하며, 민족 간의 갈등과 증오를 극복하기 위해 그들의 유사점과 상호 의존성을 증진하는 동등한 집단이라고 규정했다. 모든 개인은 자신의 문화를 표현할 권리가 있었으며, 민족 집단은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서로에게 서약했다. 시민들은 또한 국적을 유고슬라비아인으로 선언하도록 권장받았고 허용되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10%를 기록했다. 이 정책은 또한 경제 조직을 포함한 모든 공공 기관에 민족 할당제 시스템을 도입하여, 각 민족 집단이 자치 공화국 또는 자치 주의 민족 구성에 따라 대표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전역에서 많은 공장, 학교, 공공 장소, 민속 앙상블 및 스포츠 팀이 "형제애와 단결"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며, 류블랴나–자그레브–베오그라드–스코페 고속도로 (형제애와 단결 고속도로)도 그 중 하나였다. 이 나라는 형제애와 단결 훈장이라는 훈장을 가지고 있었다.[6]
과거 유고슬라비아의 여러 저명인사들이 형제애와 단결을 위협하는 행위, 예를 들어 국수주의적 선전, 분리주의, 미개척지 회복주의 등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그들 중에는 세르비아 급진파인 보이슬라브 셰셸,[7] 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대통령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과 크로아티아 대통령 (프라뇨 투지만 및 스테판 메시치),[8][9] 등이 있었다. 한 코소보 알바니아인인 아뎀 데마치는 민족주의적 책략으로 투옥되었다.[8]
참조
[1]
서적
The Demise of Yugoslavia: A Political Memoir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4
[2]
서적
Slovenia and the Slovenes: A Small State in the New Europe
Hurst Publishers Ltd
2010
[3]
서적
State Collapse in South-Eastern Europe: New Perspectives on Yugoslavia's Disintegration
https://books.google[...]
Purdue University Press
2008
[4]
서적
Sarajevo: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6
[5]
서적
A Concise History of Serb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6]
웹사이트
The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Order of Brotherhood and Unity
https://www.medals.o[...]
[7]
뉴스
Summary
Radio Free Europe Research
1984
[8]
서적
The Great Cauldr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9
[9]
서적
Nordic, Central, and Southeastern Europe 2016–2017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6
[10]
서적
The Demise of Yugoslavia: A Political Memoir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4
[11]
서적
The Demise of Yugoslavia: A Political Memoir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4
[12]
서적
Slovenia and the Slovenes: A Small State in the New Europe
Hurst Publishers Ltd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