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호돌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호돌이는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의 공식 마스코트이다. 한국의 호랑이를 의인화한 캐릭터로, 농악대의 상모를 쓰고 서울의 'S'자를 표현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2,295개의 제안 중 선택되었으며, 김현이 디자인했다. 호돌이는 다양한 상품에 활용되었고, '달려라 호돌이' 만화와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 당시 900억 원의 수입을 올렸다. 서울 올림픽 이후 호돌이의 저작권은 국제 올림픽 위원회에 귀속되었고, 2018년 동계 올림픽 마스코트인 수호랑에게 영향을 주었다. 켈로그 캐릭터와 유사하다는 이유로 소송이 제기되었으나,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가 시리얼푸드 분야에 호돌이 마스코트를 사용하지 않기로 합의하면서 마무리되었다. 서울특별시의 마스코트 왕범이는 호돌이와 호순이의 자녀로 설정되었으나, 2008년부터는 해치가 서울특별시의 공식 상징물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랑이 마스코트 - 수호랑과 반다비
    수호랑과 반다비는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과 동계 패럴림픽의 공식 마스코트로서, 각각 흰 호랑이와 반달가슴곰을 모티프로 하여 올림픽과 패럴림픽 참가 선수와 관람객을 보호하고 평화와 화합의 정신을 상징한다.
  • 대한민국의 마스코트 - 수호랑과 반다비
    수호랑과 반다비는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과 동계 패럴림픽의 공식 마스코트로서, 각각 흰 호랑이와 반달가슴곰을 모티프로 하여 올림픽과 패럴림픽 참가 선수와 관람객을 보호하고 평화와 화합의 정신을 상징한다.
  • 고양이과 마스코트 - 1986년 아시안 게임
    1986년 아시안 게임은 1986년 서울에서 개최된 종합 스포츠 대회이며, 27개국이 참가하여 중국이 종합 1위를 차지하고 대한민국은 총 메달 수 1위를 기록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의 발판이 되었다.
  • 고양이과 마스코트 - 수호랑과 반다비
    수호랑과 반다비는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과 동계 패럴림픽의 공식 마스코트로서, 각각 흰 호랑이와 반달가슴곰을 모티프로 하여 올림픽과 패럴림픽 참가 선수와 관람객을 보호하고 평화와 화합의 정신을 상징한다.
호돌이
기본 정보
호돌이
행사제24회 1988년 서울 올림픽
마스코트호돌이
아무르 호랑이
창작자김현
한국어 이름
한글호돌이
로마자 표기Hodori
올림픽 정보
마케팅마케팅

2. 개발 과정

1988년 하계 올림픽의 마스코트인 호돌이는 1983년 3월부터 6월까지 디자인 공모를 거쳐 선정되었다. 김현은 3개월 동안 호돌이 디자인을 작업하여 지명 공모에 출품했고, 당선 후 추가 수정을 거쳐 최종 발표되었다.[4]

호돌이는 농악대 상모를 쓰고 있으며, 상모의 끈으로 서울의 영문 첫 글자 'S'를 표현했다. 양궁, 승마 등 정식 종목 23개와 배드민턴, 볼링, 장애인 휠체어 경기 등 시범 종목을 포함하여 총 28종의 호돌이 및 호순이 마스코트, 그리고 대회 보조용(9종), 그림 문자용(19종) 마스코트가 제작되었다.[3]

1986년 아시안 게임부터 1988년 하계 올림픽까지 한국에서 많은 사랑을 받은 호돌이는 한국을 대표하는 호랑이를 친근하고 귀여운 모습으로 형상화했으며, 특히 서울을 뜻하는 'S'자 상모를 돌리는 모습은 한국의 미를 알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2. 1. 디자인 공모

김현1983년 3월 중순부터 6월 중순까지 3개월 동안 호돌이 디자인을 작업하여 지명공모에 출품했고, 당선 후 추가 수정을 거쳐 최종 발표되었다.[4]

호돌이는 농악대 상모를 쓰고 있으며, 상모의 끈으로 서울의 영문 첫 글자 S를 표현했다. 정식 종목 23개(양궁, 승마 등)와 시범 종목(배드민턴, 볼링, 장애인 휠체어 경기)을 포함한 총 28종의 호돌이 및 호순이 마스코트, 그리고 대회 보조용(9종), 그림 문자용(19종) 마스코트가 제작되었다.[3]

2. 2. 디자인 특징

농악대의 상모(돌림모자)를 쓰고 있다. 상모의 긴 끈으로 서울의 영문 첫 자 S를 표현하였다. 여성형은 호순이이다.

호돌이는 1986년 아시안 대회에서부터 1988년 올림픽이 열린 한국에서 서울 올림픽 등의 영향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한국을 대표하는 호랑이를 친근하고 귀여운 모습으로 형상화했으며, 특히 서울을 뜻하는 S자의 상모를 돌리는 모습은 한국의 미를 제대로 알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3. 활용 및 영향

호돌이는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계기로 한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상품에 활용되어 상업적으로 9000억의 수입을 올리는 등 큰 성공을 거두었다.[3] 또한, '호돌이의 날'이 지정되어 각종 문화 행사와 캠페인이 벌어지기도 했다.

1994년에는 호돌이와 호순이의 자녀로 설정된 서울특별시의 마스코트 왕범이가 제정되었으나, 2008년부터는 해치가 서울특별시의 공식 상징물이 되었다.[5]

서울 올림픽 이후 호돌이에 대한 모든 권리는 올림픽 헌장[6]에 따라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귀속되었으며, IOC의 명시적 허가 없이는 상업적 이용이 불가능하다. 호돌이는 이후 2018년 동계 올림픽 마스코트인 수호랑에게 영향을 주었다.

3. 1. 1986년 아시안 게임 및 1988년 서울 올림픽

농악대의 상모(돌림모자)를 쓰고 있다. 상모의 긴 끈으로 서울의 영문 첫 자 S를 표현하였다. 여성형은 호순이이다.

1986년 아시안 게임의 공식 마스코트였으며,[2] 1988년 서울 올림픽 등의 영향으로 한국에서 많은 사랑을 받았다. 한국을 대표하는 호랑이를 친근하고 귀여운 모습으로 형상화시켰으며, 특히 서울을 뜻하는 S자의 상모를 돌리는 모습은 한국의 미를 제대로 알렸다는 평가다. 각종 문구류, 과자, 음료, 생필품 및 카메라 필름 등에 사용되었고, 호돌이 이름이 들어간 은행 통장까지도 등장했다. 또한 '달려라 호돌이'라는 만화책과 애니메이션이 제작되기도 했다. 그 결과 마스코트 및 휘장 사업으로 1988년 당시 서울 올림픽 때에 9000억의 수입을 올렸다.

양궁, 승마 등 정식 종목 23개와 시범 종목인 배드민턴, 볼링, 장애인 휠체어 경기에 대해 모두 28종의 호돌이 혹은 호순이 마스코트가 제작되었다. 또한 대회 보조용 마스코트 9종류, 그림 문자용 마스코트 19종류도 제작되었다.[3]

한국 정부는 1988년 당시 서울 올림픽 개최를 위해 매월 15일을 '호돌이의 날'로 지정해 각종 문화 행사와 시민 거리 참여 캠페인 등을 벌였다.

한편 호돌이는 시리얼 제조사인 미국 켈로그의 자사 캐릭터와 비슷하다는 이유로 소송이 제기되었으나,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가 한국에서 판매되는 시리얼 푸드 분야에는 호돌이 마스코트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하면서 소송을 마무리 짓기도 했다.

3. 2. 상업적 활용

호돌이는 1986년 아시안 게임1988년 하계 올림픽을 통해 한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한국을 대표하는 호랑이를 친근하고 귀여운 모습으로 형상화했으며, 특히 서울을 상징하는 'S'자 모양의 상모를 돌리는 모습은 한국의 미를 잘 알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호돌이는 각종 문구류, 과자, 음료, 생필품, 카메라 필름, 은행 통장 등 다양한 상품에 활용되었고, '달려라 호돌이'라는 만화책과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당시 마스코트 및 휘장사업으로 9000억의 수입을 올렸다.[3]

한편, 호돌이는 미국의 시리얼 제조사 켈로그의 캐릭터와 유사하다는 이유로 소송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가 한국에서 판매되는 시리얼 제품에는 호돌이 마스코트를 사용하지 않기로 약속하면서 소송이 마무리되었다.

서울 올림픽 이후 호돌이에 대한 모든 권리는 올림픽 헌장[6]에 따라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귀속되었으며, IOC의 명시적 허가 없이는 상업적 이용이 불가능하다.

3. 3. 문화적 영향

농악대의 상모(돌림모자)를 쓰고 있다. 상모의 긴 끈으로 서울의 영문 첫 자 S를 표현하였다. 여성형은 호순이이다.[3]

호돌이는 1986년 아시안 게임에서부터 1988년 서울 올림픽까지 한국에서 많은 사랑을 받았다. 한국을 대표하는 호랑이를 친근하고 귀여운 모습으로 형상화했으며, 특히 서울을 뜻하는 S자 상모를 돌리는 모습은 한국의 미를 제대로 알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각종 문구류, 과자, 음료, 생필품, 카메라 필름 등에 사용되었고, 호돌이 이름이 들어간 은행 통장까지 등장했다. '달려라 호돌이'라는 만화책과 애니메이션도 제작되었다. 마스코트 및 휘장사업으로 1988년 서울 올림픽 당시 9000억의 수입을 올렸다.

한국 정부는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를 위해 매월 15일을 '호돌이의 날'로 지정해 각종 문화행사와 시민 거리 참여 캠페인을 벌였다.

한편, 호돌이는 시리얼 제조사인 미국 켈로그의 자사 캐릭터와 비슷하다는 이유로 소송이 제기되었으나,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가 한국에서 판매되는 시리얼푸드 분야에는 호돌이 마스코트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하면서 소송을 마무리했다.

1994년 서울특별시의 마스코트 왕범이호랑이 캐릭터로, 설정상 호돌이와 호순이의 자녀로 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는 왕범이 마스코트 대신 2008년 5월부터 한국의 전통 상상의 동물 해치가 서울특별시의 공식 상징물이 되었다.[5]

서울 올림픽 이후 호돌이에 대한 일체의 권리는 올림픽 헌장[6]에 따라 국제 올림픽 위원회에 귀속되었으며, IOC의 명시적 허락 없이는 상업적 이용이 불가능하다.

호돌이는 이후 개최된 2018년 동계 올림픽의 마스코트인 수호랑에도 영향을 주었다.

3. 4. 저작권 분쟁

호돌이는 시리얼 제조사인 미국 켈로그의 자사 캐릭터와 비슷하다는 이유로 소송이 제기되었으나,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가 한국에서 판매되는 시리얼푸드 분야에는 호돌이 마스코트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하면서 소송을 마무리짓기도 했다.

4. 올림픽 이후

호돌이는 1986년 아시안 대회와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거치면서 한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한국을 대표하는 호랑이를 친근하고 귀여운 모습으로 형상화했으며, 특히 서울을 뜻하는 S자 모양의 상모를 돌리는 모습은 한국의 미를 잘 알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호돌이는 각종 문구류, 과자, 음료, 생필품, 카메라 필름 등에 사용되었고, 호돌이 이름이 들어간 은행 통장까지 등장했다. '달려라 호돌이'라는 만화책과 애니메이션도 제작되었다. 서울 올림픽 당시 마스코트 및 휘장 사업으로 9000억의 수입을 올렸다.

한국 정부는 서울 올림픽 개최를 위해 매월 15일을 '호돌이의 날'로 지정해 각종 문화 행사와 시민 거리 참여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다.

한편, 호돌이는 시리얼 제조사인 미국 켈로그의 캐릭터와 비슷하다는 이유로 소송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가 한국에서 판매되는 시리얼 푸드 분야에는 호돌이 마스코트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하면서 소송은 마무리되었다.

4. 1. 서울특별시 마스코트

1988년 하계 올림픽의 마스코트인 호돌이는 농악대의 상모(돌림모자)를 쓰고 있다. 상모의 긴 끈으로 서울의 영문 첫 자 S를 표현하였다. 여성형은 호순이이다. 양궁, 승마 등 정식 종목 23개와 시범 종목인 배드민턴, 볼링, 장애인 휠체어 경기 등을 포함해 모두 28종의 호돌이 혹은 호순이 마스코트가 제작되었다. 또한 대회 보조용 마스코트 9종류, 그림 문자용 마스코트 19종류도 제작되었다.[3]

1994년부터 서울특별시의 마스코트로 왕범이가 제정되었는데, 호랑이 캐릭터로 설정상 호돌이와 호순이의 자녀로 되어 있다. 그러나 2008년 5월부터는 왕범이 마스코트를 대신해서 한국의 전통 상상의 동물 해치가 서울특별시의 공식 상징물이 되었다.[5]

4. 2. 저작권 귀속

서울 올림픽 이후 호돌이에 대한 일체의 권리는 올림픽 헌장[6]에 의거하여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귀속되었으며, IOC의 명시적 허락 없이는 상업적 이용이 불가능하다.

4. 3. 수호랑에 미친 영향

1988년 동계 올림픽의 마스코트인 수호랑은 호돌이에게서 영향을 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88서울올림픽 주역 '호돌이' 캐릭터 탄생 40주년…호돌이 아빠 '김현 디자이너' https://www.imaeil.c[...] 2023-09-29
[2] 웹사이트 서울 1988 마스코트 https://olympics.com[...] 2024-06-13
[3] 웹인용 대회휘장 및 마스코트 http://www.sosfo.or.[...] 2007-09-27
[4] 웹사이트 호돌이 http://navercast.nav[...]
[5] 웹인용 왕범이 프로필-서울특별시 http://www.seoul.go.[...] 2007-10-05
[6] 문서 올림픽 헌장 규칙 50 부속세칙 2, 4 (Olympic Charter Bye-law to Rule 50, 2, 4) https://stillmed.oly[...]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