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 호미니 루푸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모 호미니 루푸스(Homo homini lupus)는 "인간은 인간에게 늑대이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격언이다. 이 표현은 고대 로마 극작가 플라우투스의 희극 《아시나리아》에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여러 사상가와 작가들에 의해 인용되고 해석되었다. 토머스 홉스는 인간의 이기심과 폭력성을 강조하며 이 격언을 옹호했고,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인간의 공격성을 설명하는 데 사용했다. 반면, 프란스 드 발은 늑대의 사회성을 언급하며 이 격언에 반대했다. 이 격언은 사회적 갈등, 인종 차별, 권력 남용 등 다양한 사회 현상을 설명하는 데 활용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늑대에 대한 비유 - 외로운 늑대
외로운 늑대는 극단주의 이념을 추종하여 테러 조직의 지시 없이 단독으로 범행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개인을 지칭하며, 대테러 당국의 대응을 어렵게 하고 정신 건강 문제와도 연관될 수 있지만 묻지마 살인 등 일반 범죄와는 구별되어 신중한 분석이 필요하다. - 늑대에 대한 비유 - 전랑 외교
전랑 외교는 중국의 외교 정책 스타일을 일컫는 용어로, 덩샤오핑 시대의 외교와 달리 대결적 수사, 강압적인 행태, 비판에 대한 거부 등의 특징을 보이며, 국제 사회에서 비판과 논란을 낳고 있다. - 경쟁 - 궁술
궁술은 활과 화살을 사용하여 화살을 쏘는 기술로, 수렵과 전쟁의 주요 기술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스포츠와 레크리에이션 활동으로 발전했고 한국에서는 전통 무예이자 스포츠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경쟁 - 자연선택
자연선택은 찰스 다윈과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가 제시한 이론으로,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형질을 가진 개체가 더 많은 자손을 남겨 유전형질이 다음 세대에 더 많이 전달되는 진화의 주요 메커니즘이며, 개체변이, 유전, 환경에 따른 생존 및 번식률 차이 등의 조건과 다양한 유형 및 수준에서 작용하는 복잡한 과정을 포함한다. - 대인 분쟁 - 삼각관계
삼각관계는 관련된 사람들 중 한 명 이상에게 부적절한 관계로 여겨지며, 불안정성과 질투, 배신감을 동반하고 대중문화에서 갈등 유발 소재로 활용되며, 정신분석학적으로는 어린 시절 부모와의 관계에서 비롯된 반복적 패턴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 대인 분쟁 - 집단 따돌림
집단 따돌림은 특정 집단에서 구성원들이 다른 구성원에게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심리적, 언어적, 신체적 폭력이나 따돌림을 가하는 행위로, 사이버불링을 포함하여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서 발생하며 피해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므로 사회적 관심과 논의가 필요한 문제이다.
호모 호미니 루푸스 |
---|
2. 역사
이 속담은 고대 로마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여러 사상가와 작가들에 의해 변형되고 재해석되었다.
티투스 마키우스 플라우투스는 기원전 195년 경 희극 아시나리아에서 "''lupus est homo homini''" ("인간은 인간에게 늑대이다")라는 구절을 처음으로 사용했으며,[9] 오비디우스 또한 이와 유사한 구를 사용했다.[10]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는 이와 반대로 "사람은 사람에게 공포스러운 무언가이다."라고 말했다.[11] 플라우투스는 그의 희극 ''아시나리아'' 495행에서 "''Lupus est homo homini, non homo, quom qualis sit non novit''"[2] 라는 표현을 썼는데, 이는 "인간은 그가 어떤 사람인지 알지 못할 때, 다른 인간에게 인간보다는 늑대와 같다"로 번역된다. 세네카는 그의 ''루킬리우스 앞으로 보낸 도덕적 편지''에서 "''homo, sacra res homini''"[3]를 썼으며, 이는 "인간에게는 숭배의 대상인 인간"으로 번역된다.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는 그의 ''아다지아''에서 이 속담을 플라우투스의 변형을 인용하여 "알지 못하는 사람을 신뢰하지 말고, 늑대처럼 경계하라"라고 썼다.[4] 프란시스코 데 비토리아는 오비디우스가 "인간은 동료 인간에게 늑대가 아니라 인간이다"라고 말하며 이 속담에 동의하지 않았다고 썼다.
토마스 홉스는 그의 ''시민론''에서 이 속담을 인용하여, 같은 사회의 다른 사람에게는 공정하고 관대하게 행동하지만, 다른 사회에 대해서는 속이고 폭력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을 묘사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문명 속의 불만''에서 "인간은 사랑받고 싶어하고, 공격받으면 겨우 자신을 방어할 수 있는 부드러운 존재가 아니다. (중략) ''Homo homini lupus''. 삶과 역사의 모든 경험을 직면하여, 이 주장을 논쟁할 용기를 가진 사람이 누구인가?"라고 쓰며 이 속담에 동의했다.[5]
프란스 드 발은 "이 속담에는 두 가지 주요 결함이 있다. 첫째, 지구상에서 가장 사교적이고 협력적인 동물 중 하나인 개과 동물에게 정당성을 부여하지 못한다. 그러나 더욱 나쁜 것은 이 속담이 우리 종의 본질적으로 사회적인 본성을 부정한다."라고 쓰며 이 속담에 동의하지 않았다.[6]
1910년 미국에서 발생한 존슨-제프리스 폭동에 대한 반응으로, 러시아 시온주의 활동가 제브 자보틴스키는 미국 흑인의 인종 차별과 유럽 유대인의 반유대주의 사이의 유사성에 대해 "호모 호미니 루푸스"라는 제목의 기사를 썼다.[7]
바르톨로메오 반제티는 1927년 니콜라 사코와 함께 살인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후, 자신들의 처형이 "인간이 인간에게 늑대였던 저주받은 과거의 상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8]
2. 1. 고대
티투스 마키우스 플라우투스의 희극 아시나리아(기원전 195년)에서 "''lupus est homo homini''" ("인간은 인간에게 늑대이다")라는 구절이 처음 등장한다.[9] 오비디우스도 이와 유사한 표현을 사용했다.[10]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는 이와 대조적으로 "사람은 사람에게 공포스러운 무언가이다"라고 말했다.[11]2. 2. 중세 및 르네상스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는 그의 저서 《아다지오》(Adagio)에서 이 표현을 다시 사용하며,[9] "알지 못하는 사람을 신뢰하지 말고, 늑대처럼 경계하라"는 의미로 썼다.[4] 프란시스코 데 빅토리아는 이 속담을 자신의 사상에 통합했다.[10]2. 3. 근대
토머스 홉스는 그의 저서 리바이어던에서 자연 상태의 인간은 늑대와 같다고 보았다.[10] 1651년 작품인 시민론(De Cive)에서는 "사람은 사람에게 신과 같이 행동한다", "사람은 사람에게 나쁜 늑대같이 행동한다"라는 두 가지 상반된 경구를 제시했다. 홉스는 강력한 국가 권력이 없을 때 사람들이 잔인하게 행동한다고 설명했다.[12]홉스는 시민론에서 같은 사회 구성원끼리는 서로에게 신과 같이 공정하고 관대하게 행동하지만, 다른 사회에 대해서는 늑대처럼 속이고 폭력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묘사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이 속담에 동의하며, 인간은 본능적으로 타인을 지배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문명 사회에서 이러한 욕망을 억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3] 그는 저서 문명 속의 불만에서 인간은 공격성을 강하게 공유하는 존재이며, 이웃은 잠재적 조력자일 뿐 아니라 공격성을 충족시킬 대상이 되기도 한다고 썼다.[5]
3. 현대의 해석 및 비판
프란스 드 발은 이 속담에 대해 두 가지 주요 결함이 있다고 비판했다. 첫째, 늑대가 실제로는 매우 사회적이고 협력적인 동물이라는 점을 간과했다는 것이다. 둘째, 인간 역시 본질적으로 사회적인 존재라는 점을 부정한다고 지적했다.[6]
제브 자보틴스키는 1910년 미국에서 발생한 인종 폭동을 보고 "호모 호미니 루푸스"라는 제목의 기사를 썼다. 그는 이 기사에서 미국 흑인의 인종 차별과 유럽 유대인의 반유대주의가 서로 유사하다고 주장했다.[7] 이는 대한민국에서도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여러 사회적 갈등과 차별 문제를 생각해보게 한다.
사코와 반제티 사건에서 바르톨로메오 반제티는 자신들의 처형이 "인간이 인간에게 늑대였던 저주받은 과거의 상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8] 이는 권력이 남용되고 사회적 불의가 만연했던 과거에 대한 경고로 해석될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Homo homini lupus
http://sbirky.ngprag[...]
National Gallery in Prague
1901
[2]
웹사이트
Asinaria
http://www.thelatinl[...]
2015-06-28
[3]
웹사이트
Epistulae morales ad Lucilium
http://www.thelatinl[...]
2015-06-28
[4]
서적
The Adages of Erasmu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5-06-28
[5]
웹사이트
Freud, Civilization and Its Discontents, 1930 (excerpt)
http://historyguide.[...]
2015-06-28
[6]
서적
Primates and Philosophers: How Morality Evolve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07-14
[7]
웹사이트
Homo Homini Lupus
http://en.jabotinsky[...]
2020-07-03
[8]
웹사이트
Speeches by Sacco and Vanzetti to the Court at the Time of Sentencing
http://law2.umkc.edu[...]
2017-01-23
[9]
서적
Leviathans Tamed: Political Theor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in Modern Political Thought (foot of p.42)
https://books.google[...]
ProQuest, 2008
2015-05-16
[10]
서적
The Nomos of the Earth in the International Law of the Jus Publicum Europaeum (translated by G. L. Ulmen) - p.95-96
https://books.google[...]
Telos Press Publishing, 1 Jan 2003 (reprint)
2015-05-16
[11]
문서
"''Homo, sacra res homini'' (...)"
[12]
서적
The Philosopher and the Wolf: Lessons from the Wild on Love, Death and Happiness by ''M Rowlands''
http://www.literaryr[...]
Literary Review
2015-05-17
[13]
문서
Freud on Instinct and Moralit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5-05-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