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아킨 발라게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아킨 발라게르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정치인이자 작가로, 1906년생이며 2002년 사망했다. 그는 라파엘 트루히요 정권에서 요직을 거쳐 1960년 대통령이 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대통령을 역임하며 1966년부터 1978년까지, 그리고 1986년부터 1996년까지 장기간 집권했다. 발라게르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권위주의적인 통치와 인권 침해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그는 또한 여러 저서를 남긴 다작 작가였으며, 환경 보호에도 힘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호아킨 발라게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발라게르 (1977년)
존칭박사
이름호아킨 발라게르
출생일1906년 9월 1일
출생지비소노, 도미니카 공화국
사망일2002년 7월 14일
사망지산토도밍고, 도미니카 공화국
국적도미니카 공화국
정당무소속 (1924–1966)
기독교사회혁신당 (1966–1996)
대통령 재임 (3차)
제49대 대통령대통령
임기 시작1986년 8월 16일
임기 종료1996년 8월 16일
부통령카를로스 모랄레스 트론코소
하신토 페이나도 가리고사
이전 대통령살바도르 호르헤 블랑코
다음 대통령레오넬 페르난데스
대통령 재임 (2차)
제45대 대통령대통령
임기 시작1966년 7월 1일
임기 종료1978년 8월 16일
부통령프란시스코 아우구스토 로라
카를로스 라파엘 고이코
이전 대통령엑토르 가르시아 고도이
다음 대통령안토니오 구스만 페르난데스
대통령 재임 (1차)
제41대 대통령대통령
임기 시작1960년 8월 3일
임기 종료1962년 1월 16일
부통령라파엘 필리베르토 보넬리
이전 대통령엑토르 트루히요
람피스 트루히요 (총사령관, 1961년 11월까지)
다음 대통령라파엘 필리베르토 보넬리
부통령 재임
제24대 부통령부통령
임기 시작1957년 8월 16일
임기 종료1960년 8월 3일
대통령엑토르 트루히요
이전 부통령마누엘 트론코소 데 라 콘차
다음 부통령라파엘 필리베르토 보넬리
기타 정보
웹사이트호아킨 발라게르 공식 웹사이트

2. 약력

호아킨 발라게르는 1906년 9월 1일 도미니카 공화국 산티아고 주 비야 비소노(나바레테)에서 태어났다.[6] 어릴 적부터 문학에 관심을 가졌으며, 지역 잡지에 시를 발표하기도 했다.[14] 그는 산티아고 출신의 교육자이자 페미니스트 작가인 로사 스메스테르 마레로에게 교육을 받았는데, 발라게르는 회고록에서 스메스테르가 자신의 지적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회상했다.[16]

산토도밍고 대학교(UASD)에서 법학 학위를 받았고, 파리 1대학교 판테온 소르본느에서 짧은 기간 동안 수학했다.[17] 젊은 시절, 발라게르는 아버지의 동포이자 하버드 대학교 졸업생이자 푸에르토리코의 정치 지도자인 페드로 알비수 캄포스에게 받았던 경외감에 대해 썼다. 윤리적, 세계관에 대한 심오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페드로 알비수 캄포스의 열정적이고 카리스마 넘치는 수사는 발라게르의 상상력을 사로잡았고, 이는 정치와 지적 논쟁에 대한 그의 열정을 예고하는 것이었다.[18]

발라게르의 정치 경력은 1930년 라파엘 트루히요가 정부를 장악하기 전, 재산 법원의 검사로 임명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그는 마드리드 주재 도미니카 공사관 서기관(1932~1935), 대통령 비서관(1936), 외교 관계 차관(1937), 콜롬비아와 에콰도르 주재 특별 대사(1940~1943 및 1943~1947), 멕시코 주재 대사(1947~1949), 교육부 장관(1949~1955), 외교부 장관(1953~1956)을 역임했다.

2. 1. 가계

호아킨 발라게르는 1906년 9월 1일 산티아고 현 비야 비소노(나바레테)에서 태어났다.[34] 그의 아버지는 푸에르토리코 출신의 카탈루냐인 호아킨 발라게르 레스피에르(Joaquín Balaguer Lespier)였다.[35] 어머니는 카르멘 셀리아 리카르도(Carmen Celia Ricardo)로, 마누엘 데 헤수스 리카르도(Manuel de Jesus Ricardo)와 로사 아멜라 에우레아우스(Rosa Amelia Heureaux) 사이에서 태어났다. 발라게르는 레스피에르와 카르멘 사이에서 태어난 유일한 아들이었고, 나머지는 딸이었다.[36] 발라게르는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

3. 정치 활동

발라게르는 1930년 법원 변호사로 임명되면서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39] 1932년부터 1935년까지 마드리드의 도미니카 영사관 비서, 1936년 라파엘 트루히요 대통령 차관, 1937년 외교 관계 차관을 역임했다.[39] 이후 콜롬비아, 에콰도르, 멕시코 등에서 특명대사 및 대사로 활동했다.[40] 1949년부터 1955년까지 교육부 장관, 1953년부터 1956년까지 외교부 장관을 역임했다.

1961년 트루히요 암살 이후, 발라게르는 대통령직을 유지했지만, 실권은 트루히요의 아들 람피스 트루히요가 장악했다. 이후 정권 자유화를 위한 조치를 취했지만, 대중과 트루히요 강경 지지자들 양측의 불만을 샀다. 미주기구의 경제 제재와 람피스의 사임, 미국의 군사 개입 시사 등의 압박 속에서 발라게르는 트루히요 지지 세력을 진압하고 1962년 1월까지 국가평의회를 이끌었다. 그러나 쿠데타로 사임하고 뉴욕푸에르토리코로 망명했다.[22]

군사 쿠데타로 전복된 후안 보쉬 정권 이후, 도미니카 내전이 발발했다. 1965년 4월 24일 군 장교들이 임시 정부에 반란을 일으켜 보쉬 복권을 요구하자, 미국 대통령 린든 존슨은 오퍼레이션 파워 팩 작전을 통해 4만 2천 명의 미군을 파병하여 반란을 진압했다. 에크토르 가르시아-고도이가 이끄는 임시 정부는 1966년 총선을 발표했고, 발라게르는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귀국하여 개혁당을 결성,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 그는 온건 보수파로서 점진적이고 질서 있는 개혁을 주장하며, 군의 보복을 두려워 소극적인 선거 운동을 펼친 보쉬를 누르고 당선되었다.[23]

발라게르 정권 하에서 도미니카 공화국은 어느 정도 안정을 회복했고, 설탕 가격 상승과 외국 자본 투자, 관광 호황으로 경제가 호전되어 "도미니카의 기적"이라고 불렸다. 발라게르는 1970년, 1974년 선거에서 재선되었는데, 이때 보쉬파인 도미니카 혁명당은 선거를 보이콧했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부터 설탕 수요 감소로 경제가 불안정해지면서 1978년 대통령 선거에서 안토니오 구즈만 페르난데스에게 패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는 계속 악화되었고, 1986년 선거에서 발라게르는 고령과 백내장으로 시력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재선되었다. 1990년, 1994년에도 연속 당선되었지만 국내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었다. 1996년, 발라게르는 임기의 절반을 남기고 90세로 은퇴했다.

3. 1. 트루히요 정권과의 관계

발라게르는 1930년 법원의 변호사로 임명되면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1932년부터 1935년까지 마드리드의 도미니카 영사관 비서, 1936년 라파엘 트루히요 대통령 차관, 1937년 외교 관계 차관을 역임했다.[39] 1940년부터 1943년까지 콜롬비아 특명대사, 1943년부터 1947년까지 에콰도르 특명대사, 1947년부터 1949년까지 멕시코 대사로 활동했다.[40] 1949년부터 1955년까지 교육부 장관, 1953년부터 1956년까지 외교부 장관을 역임하며 트루히요 정권의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

라파엘 트루히요(오른쪽). 도미니카 공화국의 독재자였던 그는 발라게르의 스승과도 같았다.


1955년 교황 비오 12세(맨 오른쪽)를 알현하는 R. 트루히요(오른쪽에서 두 번째)와 J. 발라게르(오른쪽에서 세 번째)


1960년 J. 발라게르(오른쪽)


1957년 트루히요가 자신의 형 에크토르 트루히요를 대통령으로 재선시키도록 조작했을 때 발라게르를 부통령으로 선택했다. 3년 후, 미주기구의 압력으로 트루히요는 형의 사임을 강요했고, 발라게르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1961년 5월 트루히요 암살 이후, 발라게르는 대통령직을 유지했지만 실권은 트루히요의 아들 람피스 트루히요가 장악했다. 발라게르는 일부 시민의 자유를 보장하고 언론 검열을 완화하는 등 정권 자유화를 위한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대중은 더 많은 자유와 공정한 부의 분배를 원했고, 람피스의 개혁은 트루히요 강경 지지자들에게는 과격하게 받아들여졌다.

베네수엘라 대통령 로물로 베탕쿠르 암살 시도에 대한 미주기구의 경제 제재가 계속되자, 람피스는 국가가 내전으로 몰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야당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발라게르는 공개적으로 이를 비난하며 연립 정부 구성을 약속했다.

10월 말, 람피스는 미주기구가 경제 제재를 해제하면 사임하겠다고 발표했다. 미주기구는 11월 14일에 동의했지만, 람피스의 삼촌들이 쿠데타를 일으키려는 희망으로 귀국했다. 람피스는 11월 17일 사임하고 망명했으며, 미국은 함대와 해병대를 파견하여 도미니카 해역을 순찰했다. 공군 장군 페드로 라파엘 라몬 로드리게스 에차바리아는 발라게르를 지지하며 트루히요 지지 세력을 폭격했고, 트루히요 형제들은 11월 20일 다시 국외로 도피했다.[19][20]

발라게르는 1962년 1월까지 임시로 구성된 국가평의회를 이끌었으나, 대중적 불만과 군부의 쿠데타로 사임하고 뉴욕푸에르토리코로 망명했다.[22]

4. 대통령

호아킨 발라게르는 1960년 대통령이 된 이후 36년간 도미니카 공화국의 실권을 쥐었다. 이 기간 동안 '도미니카의 기적'이라 불릴 만큼 경제를 발전시켰지만, 반대파를 억압하고 빈부 격차와 부패를 심화시켰다는 비판도 받았다.[41][42]

발라게르는 라파엘 트루히요의 독재 하에서 여러 요직을 거쳤으며, 트루히요 사후에도 권력을 유지하며 장기간 집권했다. 그의 통치 기간은 크게 세 번의 임기로 나눌 수 있다.

4. 1. 부통령에서 대통령으로

라파엘 트루히요의 제자였던 발라게르는 라파엘 치하에서 여러 요직을 지냈다. 1952년 라파엘이 대통령직을 사임하고 동생 엑토르 트루히요에게 권력을 이양했지만, 엑토르는 이름뿐인 대통령으로 사실상 꼭두각시에 불과했다. (실질적으로는 라파엘이 대통령이나 다름없었다.) 1956년 대통령 비서로 임명되었고,[41] 1957년 5월 16일 부통령으로 임명되었다.[42]

엑토르가 라파엘의 꼭두각시였다는 것은 라파엘의 독재가 계속된다는 것과 다름없었다. 미국은 이에 압력을 가하기 시작했고, 엑토르는 1960년 8월 3일 대통령직을 사임했다.[43] 부통령이었던 발라게르는 엑토르의 사임으로 대통령직을 승계했다.[44]

1961년 5월 트루히요 암살 이후 상황은 극적으로 바뀌었다. 발라게르는 대통령으로 남았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트루히요의 아들 람피스 트루히요가 장악했다. 이들은 정권 자유화를 위해 일부 시민의 자유를 보장하고 트루히요의 엄격한 언론 검열을 완화하는 조치를 취했다. 한편, 발라게르는 1961년 1월 쿠바와 체결한 불가침 조약을 폐기했다.

야당(도미니카 혁명당, 국민 시민 연합, 공산주의 도미니카 인민 운동)에 대한 공식적, 비공식적 탄압은 계속되었지만, 발라게르는 공개적으로 이를 비난했고 9월에는 연립 정부 구성을 약속했다. 10월 말, 람피스는 미주기구의 경제 제재 해제에 동의하면 사임하겠다고 발표했다. 미주기구는 11월 14일에 동의했지만, 람피스의 삼촌들은 다음 날 쿠데타를 일으키기 위해 귀국했다. 람피스는 11월 17일 사임 후 망명했고, 공군 장군 페르난도 아르투로 산체스 오테로가 카스트로 지지 혁명가들을 지원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 미국은 소규모 함대와 1,800명의 해병대를 파견하여 도미니카 해역을 순찰했다. 미국 영사는 발라게르에게 이들 부대가 그의 요청에 따라 개입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베네수엘라와 콜롬비아 부대의 지원을 받을 것이라고 알렸다. 공군 장군 페드로 라파엘 라몬 로드리게스 에차바리아는 발라게르 지지를 발표하고 트루히요 지지 세력을 폭격했다. 트루히요 형제들은 11월 20일 다시 국외로 떠났고, 에차바리아는 군 사령관이 되었다.[19][20]

국민 시민 연합(UCN)은 전국 파업을 선포하고 1964년까지 선거를 연기하며, 비리아토 피알로의 지휘 아래 임시 정부 구성을 요구했다. 군부는 UCN의 집권에 강력히 반대했고, 에차베리아는 선거 때까지 발라게르 정권 유지를 제안했다. 미국 영사의 중재로 1962년 1월, 발라게르가 이끄는 7명의 국가평의회가 도미니카 의회와 대통령 및 내각을 대체하여 임시로 구성되는 최종 합의가 이루어졌다.[21] 미주기구는 평의회 구성을 계기로 국가에 대한 제재를 해제했다. 그러나 발라게르에 대한 대중적 불만은 계속되었고, 많은 사람들은 에차베리아의 권력 장악을 우려했다. 1월 14일 군대의 시위대 발포는 다음 날 폭동으로 이어졌다. 1월 16일 발라게르는 사임했고, 에차베리아는 쿠데타를 일으켜 평의회 구성원들을 체포했다. 미국이 UCN을 지지하고 새로운 전국 파업이 시작되자, 에차베리아는 이틀 후 다른 장교들에게 체포되었다. 라파엘 보넬리의 지도하에 국가평의회가 복원되었고, 발라게르는 뉴욕푸에르토리코로 망명했다.[22]

4. 2. 임기 제1-축출

라파엘 트루히요는 1957년 자신의 형 에크토르를 대통령으로 재선시키도록 조작했을 때, 발라게르를 부통령으로 선택했다. 3년 후, 미주기구의 압력으로 발라게르는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1960년 8월 3일 정식으로 대통령 업무를 수행하기 시작했다.

발라게르는 대통령 취임 초기에는 실권이 없었으나, 트루히요 암살 이후 실권을 쥐게 되면서 검열 완화 등 민주화를 위한 조치를 취했다.[45] 한편으로는 1961년 1월 쿠바와 체결했던 불가침 조약을 해약하기도 했다.

그러나 도미니카 개혁당, 국립시민연합, 그리고 공산주의 도미니카 대중운동 등 야당 탄압에 대한 문제가 있었다. 야당은 발라게르의 이러한 행위를 공개적으로 비난하였고, 이에 발라게르는 9월에 연립 정부를 구성하겠다고 약속했다.[46][47]

4. 2. 1. 축출

1961년 5월 라파엘 트루히요가 암살당하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발라게르는 대통령직을 유지했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트루히요의 아들 람피스가 장악했다.[19] 이들은 정권 자유화를 위한 조치를 취했지만, 대중과 트루히요 강경파 양측 모두에게 불만을 샀다. 미주기구의 경제 제재가 계속되자, 람피스는 내전 가능성을 경고했다.

야당 탄압에도 불구하고, 발라게르는 연립 정부를 약속했다. 람피스는 미주기구가 제재를 해제하면 사임하겠다고 발표했다. 11월 14일 미주기구는 동의했지만, 람피스의 삼촌들이 쿠데타를 시도하며 귀국했다. 람피스는 11월 17일 사임하고 망명했다. 미국은 함대와 해병대를 파견하여 도미니카 해역을 순찰했다. 미국 영사는 발라게르에게 군사 개입 준비가 되어 있음을 알렸다. 공군 장군 페드로 라파엘 라몬 로드리게스 에차바리아는 발라게르를 지지하며 트루히요 지지 세력을 폭격했다. 트루히요 형제들은 11월 20일 다시 나라를 떠났고, 에차바리아는 군 사령관이 되었다.[19][20]

국민 시민 연합(UCN)은 전국 파업을 선포하고 1964년까지 선거를 연기하며, 피아요의 지휘 아래 임시 정부 구성을 요구했다. 군부는 UCN의 집권을 반대했고, 에차베리아는 발라게르 정권 유지를 제안했다. 미국 영사의 중재로 1962년 1월, 발라게르가 이끄는 7명의 국가평의회가 임시로 구성되었다. 미주기구는 평의회 구성을 계기로 제재를 해제했다. 그러나 발라게르에 대한 불만은 계속되었고, 에차베리아의 권력 장악 시도가 의심되었다. 군대는 1월 14일 시위대에 발포했고, 이는 다음 날 폭동으로 이어졌다. 1월 16일 발라게르는 사임했고, 에차베리아는 쿠데타를 일으켜 평의회 구성원들을 체포했다. 미국이 UCN을 지지하고 전국 파업이 시작되자, 에차베리아는 이틀 후 체포되었다.[21][22] 라파엘 보넬리의 지도하에 국가평의회가 복원되었고, 발라게르는 뉴욕푸에르토리코로 망명했다.[22]

4. 3. 임기 제2, "12년"

1966년, 발라게르는 후안 보쉬를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52] 이 선거는 부정이 만연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같은 해 7월 1일, 그는 정식으로 대통령 업무를 시작했다. 발라게르는 라파엘 트루히요 시대보다 온건한 정책을 펼치면서도 강력한 개혁 정책을 실시했다.

1966년 발라게르


1976년 발라게르


이후 헌법을 수정하여 1970년과 1974년 연이어 선거에서 승리하며 장기 집권의 길을 열었다. 그는 도미니카 공화국이 직면했던 경제적 혼란을 타개하고 학교, 댐, 도로 등을 건설하며 경제 발전에 힘썼다. 이 기간 동안 도미니카 공화국의 경제는 꾸준히 성장했다.

그러나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인권 침해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었다. 사법살인이 빈번하게 발생했고, 반대 언론인들이 투옥되기도 했다. 많은 사람들이 실종되거나 투옥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사망하는 경우도 많았다.[24]

발라게르는 수십 년간의 격변과 짧은 평화의 시기를 거치며 심각하게 훼손되고 민주주의와 인권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국가를 물려받았다. 그는 트루히요 정권과 1965년 내전에서 비롯된 갈등을 완화하려 노력했지만, 그의 집권 기간 동안에도 정치적 살인은 계속되었다. 그는 혼란스러웠던 공공 재정을 어느 정도 회복하고, 경제 개발 프로그램을 추진했다. 1970년에는 분열된 야당에 맞서 쉽게 재선되었고, 1974년에는 야당이 선거를 보이콧하게 만든 투표 규칙 변경으로 또다시 승리했다.

발라게르의 대통령 재임 기간(도미니카 정치에서 "12년"으로 불림) 동안, 그는 학교, 병원, 댐, 도로 및 많은 주요 건물들을 건설했다. 또한 공공 주택에 자금을 지원하고 공립학교를 개교하는 등 교육 확대에도 힘썼으며, 꾸준한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그의 임기 동안 300명이 넘는 정치인들이 백만장자가 되기도 했다.[24] 그러나 그의 정부는 헌법적 보장에도 불구하고 권위주의적인 성격을 띠었다. 정치적 반대자들은 투옥되거나 살해당했고,[25] [24] 야당 신문은 때때로 압수되었다. 그러나 발라게르는 트루히요보다는 훨씬 적은 권력을 가졌고, 그의 통치는 상대적으로 온건했다.

4. 3. 1. 선거 패배, 퇴임, 그리고 재도전

1978년 대통령 선거에서 호아킨 발라게르는 5선에 도전했지만, 인플레이션 상승과 경제 호황의 혜택을 받지 못한 국민들의 불만으로 인해 도미니카 혁명당의 안토니오 구스만 페르난데스에게 패배했다. 개표 과정에서 군부가 개입하여 중단하는 사태가 발생했지만, 국내외 압력으로 개표가 재개되었고, 결국 구스만이 승리했다. 이로써 발라게르는 처음으로 선거에서 패배하였고, 도미니카 공화국 역사상 최초로 현직 대통령이 평화적으로 야당 후보에게 권력을 이양했다.[25]

1982년 선거에서 발라게르는 자신이 창당한 사회 기독교 개혁당 후보로 다시 출마했지만, 도미니카 혁명당의 살바도르 호르헤 블랑코에게 패배했다.

하지만 1986년, 발라게르는 다시 대선에 도전하여 승리했다. 당시 그는 80세였고 녹내장으로 거의 실명 상태였다. 이러한 승리는 도미니카 혁명당의 분열과 블랑코 정부의 경제 정책 실패에 대한 반발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4. 4. 임기 제3-퇴임

발라게르는 고속도로, 다리, 학교, 주택, 병원 건설 등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를 추진했다.[25] 이러한 프로젝트들은 정부 통제 매체를 통해 대대적으로 홍보되었고, 그의 정치적 지지자들에게 수익성 있는 공공 사업 계약을 제공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되었다. 경제 또한 상당히 개선되었다.

1990년 선거에서 발라게르는 오랜 숙적 후안 보쉬를 190만 표 중 2만 2천 표라는 근소한 차이로 누르고 재선되었으나, 이는 사기 혐의로 얼룩졌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상륙 500주년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방문을 기념하기 위해, 발라게르는 역사적인 식민지 시대 산토도밍고 일부 지역을 복원하고 교황이 지나갈 도시 지역을 정비하는 데 수백만 달러를 투입했다. 여기에는 현대식 주택 블록이 늘어선 새로운 대로 건설도 포함되었다.

더욱 논란이 된 것은 발라게르가 10층 높이의 거대한 콜럼버스 등대 건설에 2억달러를 사용한 것이다. 1992년에 완공된 이 등대는 밤하늘에 그리스도교 십자가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설계되었으나, 엄청난 에너지 비용과 잦은 정전으로 인해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1994년 선거에서 발라게르는 거의 90세의 고령에 완전히 실명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대통령직에 도전했다. 그의 주요 상대는 도미니카 혁명당(PRD)의 호세 프란시스코 페냐 고메스였다.

선거 운동은 도미니카 역사상 가장 치열한 선거 중 하나였다. 발라게르는 페냐 고메스의 아이티계 혈통을 자주 공격하며, 그가 당선되면 아이티와의 합병을 시도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개표 결과 발라게르가 3만 표 차이로 승리한 것으로 발표되었지만, 많은 PRD 지지자들은 투표소에서 자신의 이름이 유권자 명부에서 사라진 것을 발견했다. 페냐 고메스는 사기를 주장하며 총파업을 선언했고, 지지 시위가 이어졌다.

조사 결과, 선거 위원회는 등록 유권자 수를 알지 못했고, 투표소에 배포된 유권자 명부가 각 당에 제공된 명부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약 20만 명의 유권자가 명부에서 제외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부정 의혹 속에서 발라게르는 1996년에 자신이 출마하지 않는 조건으로 새로운 선거를 치르는 데 동의했다. 이는 1966년 이후 발라게르의 이름이 투표용지에 등장하지 않은 첫 대선이었다.

1996년 선거에서 발라게르의 부통령 하킨토 페냐도는 결선 투표에 진출하지 못했다. 발라게르는 30년 이상 정치적 숙적이었던 보쉬와 이례적인 연합을 맺고 도미니카 해방당의 레오넬 페르난데스를 지지했다.

5. 죽음

발라게르는 2002년 7월 14일 산토도밍고의 아브레우 클리닉에서 95세의 나이로 심부전으로 사망했다.[5]

6. 유산

콜럼버스 등대에 있는 발라게르 기념상


호아킨 발라게르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정치인이자 작가로, 국민들에게 사랑과 증오를 동시에 불러일으키는 양극화된 인물이었다. 전형적인 라틴 아메리카 카우딜로의 이미지에도 불구하고, 위대한 개혁가로서의 유산을 남겼다.[5] 그의 토지 개혁 정책은 농민들에게 토지를 성공적으로 분배하여 국내 농촌 지역의 지지를 얻었다.[4]

로널드 레이건은 "발라게르는 그의 나라의 민주적 발전 전반에 걸쳐 원동력이었습니다. 그는 1966년 수년간의 정치적 불확실성과 혼란 후 도미니카 공화국에 민주주의의 회귀를 이끌었습니다. 실제로 그는 여러 면에서 도미니카 민주주의의 아버지입니다."라고 평가했다. 지미 카터는 "발라게르 대통령은 이 나라의 모든 지도자들에게 그의 나라와 국민을 이전의 전체주의 정부에서 점점 더 순수한 민주주의 정부로 바꾸는 본보기를 보여주었습니다."라고 말했다.

산토도밍고에는 그의 이름을 딴 지하철역이 있다. 그는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의 소설 ''염소의 향연''의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이다.

7. 저서

발라게르는 현대 도미니카 문학에 많은 책을 저술한 다작 작가였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유일한 장편 소설인 "'''로스 카르핀테로스(Los Carpinteros)'''"가 있다. 가장 논란이 많은 작품은 "'''트루히요 시대의 궁정인의 회상(Memorias de un Cortesano de la «Era de Trujillo»)'''"으로, 이 책에서 발라게르는 정치 권력을 이용하여 혁명 언론인 오를란도 마르티네스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알고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발라게르는 여러 문학 분야를 탐구했다. 꼼꼼한 연구가로서 그는 여전히 참고 자료로 사용되는 많은 전기 책과 도미니카 민속 시인들의 편집 및 분석을 발표했다. 시인으로서는 대부분 낭만주의 이후의 영향을 받았고, 그의 스타일은 긴 경력 동안 엄격하게 변하지 않았다. 주로 자연에 대한 이상적인 관점, 향수, 과거에 대한 회상 등을 다루었다.

그의 문학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출판 연도제목비고
1922파가노의 시편(Salmos paganos)
1922달빛(Claro de luna)
1924테바이다 리리카(Tebaida lírica)
1930카스티야어 운율 개론(Nociones de métrica castellana)
1941웅덩이 속의 파랑(Azul en los charcos)
1941도미니카의 현실(La realidad dominicana)
1941트루히요-헐 조약과 도미니카 공화국의 재정 해방(El Tratado Trujillo‑Hull y la liberación financiera de la República Dominicana)
1941트루히요의 국제 정치(La política internacional de Trujillo)
1944낭만적인 도시의 감정적 안내(Guía emocional de la ciudad romántica)
1944도미니카 문학(Letras dominicanas)
1945헤레디아, 자유의 동사(Heredia, verbo de la libertad)
1946리듬 있는 악센트를 가진 단어들(Palabras con acentos rítmicos)
1947도미니카 현실. 한 국가와 한 정권의 개요(Realidad dominicana. Semblanza de un país y un régimen)
1947작가 선구자들(Los próceres escritores)
1948문학적 개요(Semblanzas literarias)
1949히스파노아메리카 시인들의 가상의 운율적 결함에 관하여(En torno de un pretendido vicio prosódico de los poetas hispanoamericanos)
1950도미니카 문학(Literatura dominicana)
1950자유의 그리스도(El Cristo de la libertad)
1951페데리코 가르시아 고도이(Federico García Godoy) (선집)
1952도미니카 역사에서의 교체 원칙(El principio de alternabilidad en la historia dominicana)
1953후안 안토니오 알릭스(Juan Antonio Alix): 데시마(Décima) (서문 및 편집)
1953우리 세금의 생산 및 투자에 대한 고찰(Consideración acerca de la producción e inversión de nuestros impuestos)
1954카스티야어 운율의 역사에 대한 메모(Apuntes para una historia prosódica de la métrica castellana)
1955트루히요의 살아있는 사상(El pensamiento vivo de Trujillo)
1956도미니카 문학사(Historia de la literatura dominicana)
1957연설. 찬사, 정치 및 국제 정치 교육(Discursos. Panegíricos, política y educación política internacional)
1958콜럼버스, 문학적 선구자(Colón, precursor literario)
1962국경의 파수꾼. 안토니오 두베르헤(Antonio Duvergé)의 삶과 업적(El centinela de la frontera. Vida y hazañas de Antonio Duvergé)
1966개혁주의: 피 없는 혁명의 정치 철학(El Reformismo: filosofía política de la revolución sin sangre)
1967지식인의 사명(연설) (Misión de los intelectuales)
1971하나님과, 조국과, 자유와 함께(연설) (Con Dios, con la patria y con la libertad)
1971폭로된 음모(연설) (Conjura develada)
1972어머니의 무덤 앞에서(Ante la tumba de mi madre)
1973교육 주제와 외교 활동(Temas educativos y actividades diplomáticas)
1973국회 의사당으로 향하는 행진(La marcha hacia el Capitolio)
1973연설. 역사적, 문학적 주제(Discursos. Temas históricos y literarios)
1974교육 주제와 외교 활동(Temas educativos y actividades diplomáticas)
1974밝게 빛나는 십자가들(Cruces iluminadas)
1975사슬에 묶인 말(La palabra encadenada)
1975마르티, 비판과 해석(Martí, crítica e interpretación)
1976수정 십자가(La cruz de cristal)
1977선택된 연설(Discursos escogidos)
1977파비오 피알로(Fabio Fiallo) 시인의 동상 제막식 연설(Discurso en el develamiento de la estatua del poeta Fabio Fiallo)
1977후안 안토니오 알릭스, 비판과 해석(Juan Antonio Alix, crítica e interpretación)
1979받침대. 역사적 연설(Pedestales. Discursos históricos)
1980봉인된 정원. 젊은 시절의 시(Huerto sellado. Versos de juventud)
1983도미니카 국민에게 보내는 메시지(Mensajes al pueblo dominicano)
19835월 30일의 피와 4월 24일의 피 사이에서(Entre la sangre del 30 de mayo y la del 24 de abril)
1983거꾸로 된 섬(La isla al revés)
1984영웅의 초상화(Galería heroica)
1984목수들(Los carpinteros)
1987투명한 붕대(La venda transparente)
1988「트루히요 시대」의 궁정인의 회상(Memorias de un cortesano de la «Era de Trujillo»)
1990목적지 없는 방랑자의 로맨스(엔리케 블랑코(Enrique Blanco)) (Romance del caminante sin destino)
1992침묵하는 목소리(Voz silente)
1993국회 의사당으로 돌아오다 1986-1992 (De vuelta al capitolio 1986‑1992)
1997무한한 스페인(España infinita)
1999영원한 그리스(Grecia eterna)
2000영국인종(La raza inglesa)


8. 트리비아

발라게르는 정치인이면서 작가로도 활동하여 많은 글을 남겼다.

또한 환경 보호에도 앞장섰는데, 가난한 사람들의 생계형 벌목이든 부자들의 탐욕형 벌목이든 가리지 않고 처벌했다. 강과 해안의 습지대를 보호 구역으로 지정하고, 국립공원을 지나는 도로 공사와 대규모 환경 파괴를 초래하는 댐 건설을 강제로 중단시키기도 했다. 오늘날 도미니카 공화국이 자랑하는 녹지 상당수는 발라게르의 노력 덕분이라고 할 수 있다.[53]

발라게르는 평생 결혼하지 않고 독신으로 살았다. 시각 장애인이었으며, 말년에는 백내장으로 고생했다.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의 소설 《염소의 축제》에도 등장한다.

후안 보쉬 전 대통령과는 정치적 라이벌 관계였다.

교황 방문을 기념하여 40개의 판자촌을 불도저로 밀어버린 적도 있다.[53]

9. 환경

발라게르는 친환경주의자였다.[1] 그는 열정적인 숲 지킴이였는데, 가난한 사람들의 생계형 벌목이건 부자들의 탐욕형 벌목이건 가리지 않고 처벌하였다.[1] 강과 해안의 습지대를 보호구역으로 묶고, 국립공원을 지나는 도로공사와 대규모 환경 파괴를 부르는 댐 건설을 강제로 중단시켰다.[1] 오늘날 도미니카 공화국이 자랑하는 녹지의 대부분은 발라게르 덕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1]

재러드 다이아몬드의 저서 『총, 균, 쇠』는 발라게르의 환경보호자로서의 업적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1] 발라게르의 환경 정책은 여러 분야에 걸쳐 있었지만, 특히 산림 보호 정책은 과격하여 상업적 벌목을 금지하고 국가 제재소도 폐쇄했다.[1] 단속에는 군대를 동원하여 사욕을 채우려는 부유층이나 가난한 불법 거주자 모두를 똑같이 단속했다.[1]

발라게르가 하야할 때마다 환경 정책은 후퇴했지만, 1996년 그의 정권 말기에 여러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면 의회의 승인을 필요로 하도록 했기 때문에, 퇴임 후에도 많은 환경 정책이 계승되고 있다.[1]

알 고어의 저서 『불편한 진실』에서는 도미니카 공화국-아이티 국경에서 도미니카 공화국 쪽에만 숲이 남아 있는 사진을 게재하고 있는데, 발라게르의 이름은 나오지 않지만 도미니카 공화국의 산림 보호 성공을 보여주고 있다.[1]

참조

[1] 서적 Un Dominicano en Peligro / A Dominican in Danger https://books.google[...] 2010-01-08
[2] 웹사이트 11,000 víctimas en Doce Años de JB http://www.listindia[...] Listín Diario 2013-03-10
[3] 웹사이트 Comisión de la Verdad por asesinatos y desapariciones http://www.listindia[...] Listín Diario 2013-03-10
[4] 뉴스 Joaquin Balaguer https://www.theguard[...] 2002-07-14
[5] 뉴스 Joaquin Balaguer Dies at 95 https://www.washingt[...] 2002-07-15
[6] 웹사이트 Dominicana Online – El Portal de la República Dominicana https://www.dominica[...]
[7] 웹사이트 Ancestros, descendientes y parientes colaterales de Joaquín Balaguer http://hoy.com.do/ca[...] Hoy 2006-09-16
[8] 서적 Globalización y localidad: espacios, actores, movilidades e identidades La Casa Chata
[9] 서적 Ulises Heureaux: biography of a dictator https://translate.go[...]
[10] 서적 Peña Gómez in Haitian society https://books.google[...]
[11] 서적 Haitian-Dominican Counterpoint: Nation, Race and State on Hispaniola https://books.google[...] 2003-05-16
[12] 서적 Ulises Heureaux: el tirano perfecto https://books.google[...] Tobogán
[13] 웹사이트 Descendants of Doyen Heureaux http://www.carlstroe[...]
[14] 웹사이트 Joaquín Balaguer: El escritor http://www.educando.[...]
[15] 웹사이트 Cerebro, lectura y escritura https://acento.com.d[...] 2011-02-07
[16] 웹사이트 Dr. Joaquín Balaguer https://prsc.org.do/[...]
[17] 웹사이트 Joaquín Balaguer http://www.cidob.org[...]
[18] 뉴스 Balaguer pidió le sacaran el corazón http://www.listindia[...] 2012-07-14
[19] 간행물 One Round for Us and Freedom 1961-12-01
[20] 서적 In the Shadow of the United States
[21] 서적 Rag-tags, Scum, Riff-raff, and Commies New York University Press
[22] 서적 The Lingering Crisis
[23] 서적 The secret war: CIA covert operations against Cuba, 1959-62 Ocean Press
[24] 서적 The secret war: CIA covert operations against Cuba, 1959-62 Ocean Press
[25] 서적 The World Today Series: Latin America 2007 Stryker-Post Publications
[26] 뉴스 Veteran, 94, holds balance of power in Dominican vote https://www.theguard[...] 2000-02-04
[27] 간행물 One Round for Us and Freedom 1961-12-01
[28] 서적 In the Shadow of the United States
[29] 웹인용 Joaquín Balaguer http://www.biografia[...]
[30] 웹인용 Joaquín Balaguer http://www.biografia[...]
[31] 웹인용 Joaquín Balaguer http://www.biografia[...]
[32] 웹인용 Joaquín Balaguer http://www.biografia[...]
[33] 웹인용 Joaquín Balaguer http://www.biografia[...]
[34] 웹인용 Joaquín Balaguer http://www.joaquinba[...]
[35] 웹인용 Joaquín Balaguer Ricardo http://www.escritore[...]
[36] 웹인용 Joaquín Balaguer Ricardo http://www.cidob.org[...] 2012-09-20
[37] 웹인용 Joaquín Balaguer Ricardo http://www.cidob.org[...] 2012-09-20
[38] 웹인용 Joaquín Balaguer Ricardo http://www.cidob.org[...] 2012-09-20
[39] 웹인용 Joaquín Balaguer http://www.biografia[...] 2012-09-05
[40] 웹인용 Joaquín Balaguer http://www.biografia[...] 2012-09-05
[41] 웹인용 Joaquín Balaguer https://web.archive.[...] 2012-09-07
[42] 웹인용 Joaquín Balaguer https://web.archive.[...] 2012-09-07
[43] 웹인용 Joaquín Balaguer https://web.archive.[...] 2012-09-07
[44] 웹인용 Joaquín Balaguer https://web.archive.[...] 2012-09-07
[45] 웹인용 Joaquín Balaguer https://web.archive.[...] 2012-09-07
[46] 간행물 One Round for Us and Freedom LIFE 1961-12-01
[47] 서적 In the Shadow of the United States 2008
[48] 서적 Rag-tags, Scum, Riff-raff, and Commies 2001
[49] 뉴스 〈도미니카〉에軍事쿠데타 軍民委,執權宣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2-01-18
[50] 서적 The Dominican Crisis The Lingering Crisis 1969
[51] 뉴스 도미니카臨政樹立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3-09-27
[52] 뉴스 도미니카大統領에 발라게르氏確定的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6-06-03
[53] 웹인용 세계에 띄우는 '슬럼 경고장' http://www.munhwa.co[...] 2012-09-08
[54] 웹인용 Joaquín Balaguer Ricardo https://web.archive.[...] 2012-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