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주 강제 입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주 강제 입양은 20세기 중반, 특히 1950년대부터 1980년대 사이에 호주에서 광범위하게 시행된 입양 관행을 의미한다. 이 시기에는 '완전 단절 이론'과 '비공개 입양' 제도가 적용되어, 출생 직후 아기를 생모로부터 격리하고 부모와 자녀 간의 연락을 차단했으며, 입양 기록을 봉인하여 당사자들이 서로의 신원을 알 수 없도록 했다. 호주에서 약 25만 건의 입양이 이루어졌으며, 사생아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미혼모에 대한 경제적 지원 부족으로 인해 미혼모의 아기가 강제 입양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과거의 강제 입양 정책에 대해 호주 각 주 의회와 연방 정부는 사과를 표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입양의 역사 - 고대 로마의 입양
    고대 로마의 입양은 파테르 파밀리아스의 책임 하에 재산 상속, 가문 유지, 정치적 권력 강화를 위한 사회적, 법적 제도였으며, 아드로가티오, 유언 입양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했고, 특히 공화정 말기에는 정치적 목적, 아우구스투스 황제 이후에는 황제 계승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호주 강제 입양
개요
강제 입양된 아기를 안고 있는 어머니의 모습
강제 입양된 아기를 안고 있는 어머니의 모습
유형입양, 강제, 아동 복지
국가오스트레일리아
기간1950년대 ~ 1970년대
원인혼외 출산에 대한 사회적 낙인
미혼모 지원 부족
입양 기관의 압력
결과어머니와 아동 모두에게 심각한 심리적 외상
가족 관계 단절
입양아의 정체성 혼란
관련 법률각 주 및 테리토리의 입양법
관련 사건2012년 연방 상원 조사
2013년 국가 사과
배경
사회적 분위기1950년대 이후 혼외 출산에 대한 강한 사회적 낙인 존재
미혼모는 도덕적으로 문란하다는 인식 팽배
종교 단체와 정부의 보수적인 정책
법적 환경당시 입양 관련 법률은 미혼모의 권리 보호 미흡
입양 동의 절차 모호하고 강압적인 경우 많음
미혼모에게 충분한 정보 제공 및 상담 부족
입양 기관의 역할입양 기관은 '건전한 가정'에 아이를 입양시키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함
미혼모에게 입양을 적극 권유하거나 강요하는 사례 발생
경제적 어려움이나 사회적 압박을 이용해 입양 동의를 받아냄
강제 입양 과정
출산 전임신 사실을 숨기도록 강요받거나 고립되는 경우 발생
가족, 친구, 사회로부터 단절
입양 기관은 지속적으로 입양을 설득하거나 압박
출산 시출산 직후 아기를 보지 못하게 하거나 짧은 시간만 허용
아기에게 이름조차 지어주지 못하게 하는 경우 발생
입양 동의서에 서명하도록 강요
출산 후아기와 관련된 모든 정보 차단
입양 후에도 지속적인 심리적 고통과 죄책감 경험
사회적 낙인으로 인해 고통 호소 어려움
피해 규모 및 영향
피해자 수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수십만 명의 미혼모가 강제 입양 경험
정확한 통계 파악 어려움
심리적 영향어머니: 심각한 우울증,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아동: 정체성 혼란, 버려졌다는 느낌, 친부모에 대한 그리움
사회적 영향가족 관계 붕괴 및 사회적 불신 심화
강제 입양 생존자들의 지속적인 고통
정부 대응 및 사과
상원 조사2012년, 연방 상원에서 강제 입양 정책에 대한 조사 실시
정부의 책임 인정 및 사과 권고
국가 사과2013년 3월 21일, 줄리아 길라드 총리가 국가 차원의 공식 사과 발표
강제 입양 정책으로 고통받은 모든 피해자에게 깊은 사과의 뜻 전달
현재 상황 및 과제
지원 서비스강제 입양 생존자를 위한 상담 및 심리 치료 지원 확대
입양 기록 접근 권한 보장 및 정보 제공 강화
생존자 모임 지원 및 사회적 인식 개선 노력
과제과거사 진상 규명 및 정의 회복 노력 지속
유사한 아동 권리 침해 방지 대책 마련
사회적 편견 해소 및 피해자 치유 지원 강화
같이 보기
관련 주제미혼모
입양
아동 권리
과거사 청산

2. 20세기 호주의 입양 관행

현대 입양은 20세기에 두드러지는 현상으로, 대부분 1950년대부터 1980년대 사이에 이루어졌다. 이 시기 입양은 '완전 단절 이론' 적용과 '비공개 입양' 제도라는 두 가지 특징을 보였다.[23] 완전 단절 이론은 출생 직후 아기를 생모에게서 떼어내 부모와 아이 간 연락을 막고, 수 주 내에 입양 가족에게 보내는 것을 말한다. 비공개 입양은 입양 기록을 봉인해 당사자들이 서로의 신원을 모르게 하는 것이다.

호주에서 입양된 아기는 대략 250,000명으로 추산되지만, 이 중 미혼모의 아기가 입양된 비율은 알려져 있지 않다.[18]

당시에는 사생아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미혼모에 대한 경제적 지원 부재로 인해 미혼모가 아이를 낳으면 입양을 보내는 것이 아이에게 최선이라는 견해가 일반적이었다.[24]

2. 1. 완전 단절 이론

현대 입양은 20세기에 두드러지는 현상으로, 특히 1950년대부터 1980년대 사이에 많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 입양의 주요 특징으로는 '완전 단절 이론'과 '비공개 입양' 제도가 있다.[23] 완전 단절 이론은 출생 직후 아기를 생모로부터 격리하고, 부모와 자녀 간의 어떠한 접촉도 허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수 주 안에 아기는 입양 가족에게 영구적으로 보내졌다.[23]

2. 2. 비공개 입양 제도

현대 입양은 20세기에 두드러지는 현상으로, 대부분 1950년대부터 1980년대 사이에 이루어졌다. 이 시기 입양은 '완전 단절 이론' 적용과 '비공개 입양' 제도라는 두 가지 특징을 보였다. 완전 단절 이론은 출생 직후 아기를 생모에게서 떼어내 부모와 아이 간 연락을 막고, 수 주 내에 입양 가족에게 보내는 것이다. 비공개 입양은 입양 기록을 봉인하여 입양 당사자들이 서로의 신원을 알 수 없게 하는 제도이다.[23]

사생아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미혼모에 대한 경제적 지원 부족으로 인해, 당시에는 미혼모가 아이를 입양 보내는 것이 아이에게 최선이라는 인식이 일반적이었다.[24]

2. 3. 강제 입양의 배경

현대 입양은 20세기에 두드러지는 현상으로, 대부분 1950년대부터 1980년대 사이에 이루어졌다. 이 시기 입양은 '완전 단절 이론' 적용과 '비공개 입양' 제도라는 두 가지 특징을 보였다. 완전 단절 이론은 출생 직후 아기를 생모에게서 떼어내 부모와 아이 간 연락을 막고, 수 주 내에 입양 가족에게 보내는 것이다. 비공개 입양은 입양 기록을 봉인해 당사자들이 서로의 신원을 모르게 하는 것이다.[23]

호주에서 입양된 아기는 대략 250,000명으로 추산되지만, 이 중 미혼모의 아기가 입양된 비율은 알려져 있지 않다.[18]

당시에는 사생아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미혼모에 대한 경제적 지원 부재로 인해 미혼모가 아이를 낳으면 입양을 보내는 것이 아이에게 최선이라는 견해가 일반적이었다.[24]

3. 사과

2010년 서호주 의회를 시작으로, 호주 각 주 의회는 과거 강제 입양 정책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했다. 2012년에는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 의회, 호주 수도 특별구 입법부, 뉴사우스웨일스 주 의회, 빅토리아 주 의회, 태즈메이니아 주 의회, 퀸즐랜드 주 의회에서 사과가 이어졌다. 이로써 노던 준주를 제외한 모든 주에서 사과가 이루어졌거나 발표되었다.

2013년 3월 21일, 줄리아 길라드 총리는 호주 연방 정부를 대표하여 강제 입양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5]

3. 1. 서호주 주 의회 (2010년)

2010년 10월 19일 서호주 의회는 호주에서 최초로 사생아 강제 입양 정책에 대해 사과했다. 콜린 바넷 주지사는 "이러한 입양 관행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여성들과 그들의 아이 및 가족들에게 지금 사죄드립니다."라고 말했다.[25]

3. 2.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 의회 (2012년)

제이 웨더릴 주지사는 "우리의 사과는 그러한 관행이 강제로 자녀를 입양시킨 많은 부모와 어린 시절 부모와 헤어진 많은 사람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또, "이 사과는 너무 늦었지만, 우리는 그것이 피해를 입은 사람들에게 중요한 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라고 덧붙였다.[10] 1980년 이전에 17,000명 이상의 어린이가 입양되었으며, 이 중 일부는 강제 입양 관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1]

3. 3. 호주 수도 특별구 입법부 (2012년)

호주 수도 특별구 입법부는 2012년 8월 14일, 캐티 갤러거 수석 장관이 전달한 공식 사과를 지지했다.[12]

3. 4. 뉴사우스웨일스 주 의회 (2012년)

2012년 9월 20일, 뉴사우스웨일스주 총리 배리 오파렐은 과거 강제 입양 정책으로 피해를 입은 부모와 자녀를 대신하여 뉴사우스웨일스 주 의회를 대표하여 사과했다.[13] 이 사과는 의회 양원의 결의안으로 통과되었다.[14]

3. 5. 빅토리아 주 의회 (2012년)

테드 발리우 빅토리아 주 총리와 다니엘 앤드류스 야당 대표는 2012년 10월 25일 빅토리아 주 의회에서 강제 입양 관행에 대해 사과했다. 발리우 주 총리는 "이것은 잘못된 것이었고 정당하지 않았으며 측량할 수 없는 고통을 초래했습니다. 오늘 빅토리아 주 의회는 일어나 사과하고 있습니다."라며 의회에 진심으로 유감을 표명했다.[15]

3. 6. 태즈메이니아 주 의회 (2012년)

2012년 8월 6일, 태즈메이니아 주 의회는 강제 입양 정책에 대한 공식 사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16]

3. 7. 퀸즐랜드 주 의회 (2012년)

2012년 8월 23일, 퀸즐랜드 주 정부는 퀸즐랜드 주 의회를 통해 사과를 전달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이로써 노던 준주를 제외한 모든 주에서 사과가 이루어졌거나 예정되었다.[17]

3. 8. 호주 연방 정부 (2013년)

2013년 3월 21일, 줄리아 길라드는 호주 정부를 대표하여 강제 입양에 대해 사과했다.[5] 호주 국립 문서 보관소는 상원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호주 강제 입양 관행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웹사이트 및 전시회 개발을 위임받았다.[7]

참조

[1] 서적 Commonwealth Contribution to Former Forced Adoption Policies and Practices https://www.aph.gov.[...] Parliament of Australia 2012-02-29
[2] 뉴스 Uncanny resemblance helped quest for identity http://www.theage.co[...] 2012-11-09
[3] 웹사이트 'Your son is gone. He''s with his adoptive parents' https://www.smh.com.[...] 2024-06-07
[4] 문서 NSW Legislative Council Standing Committee on Social Issues Report on Adoption Practices Second Interim Report Transcript of Evidence 16 June 1999 – 25 October 1999, Report 21, June 2000; page 140, line 43.
[5] 웹사이트 National Apology for Forced Adoptions https://www.ag.gov.a[...] Commonwealth of Australia 2019-02-21
[6] 웹사이트 National Apology for Forced Adoptions http://www.ag.gov.au[...] Commonwealth of Australia n.d.
[7] 웹사이트 Australian Government response to the Senate Community Affairs References Committee Report: Commonwealth Contribution to Former Forced Adoption Policies and Practices https://www.aph.gov.[...] Parliament of Australia 2019-02-21
[8] 서적 Past adoption experiences: National Research Study on the Service Response to Past Adoption Practices http://www.aifs.gov.[...] Australian Institute of Family Studies 2012-10-17
[9] 뉴스 Today's policies are tomorrow's apologies http://www.theage.co[...]
[10] 웹사이트 Tears and cheers as WA apologises to unwed mums http://www.watoday.c[...] 2010-10-20
[11] 뉴스 We're sorry: South Australia to apologise for forced adoption http://www.theherald[...]
[12] 간행물 Forced adoption—apology http://www.hansard.a[...] Legislative Assembly of the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2012-08-14
[13] 뉴스 Hundreds to turn out for forced adoptions apology in NSW http://www.news.com.[...] News.com.au 2012-09-20
[14] 웹사이트 Apology for forced adoption practices http://www.parliamen[...] Parliament of New South Wales 2012-10-17
[15] 뉴스 Baillieu apologises for forced adoption http://www.skynews.c[...] Sky News 2012-10-26
[16] 뉴스 Tas to apologise over forced adoptions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2-08-06
[17] 간행물 Queensland Government to apologise for past forced adoptions http://statements.ql[...] Government of Queensland 2012-10-17
[18] 웹인용 Commonwealth Contribution to Former Forced Adoption Policies and Practices https://www.aph.gov.[...] Parliament of Australia 2019-02-21
[19] 뉴스 Uncanny resemblance helped quest for identity http://www.theage.co[...] The Age 2013-03-21
[20] 웹인용 National Apology for Forced Adoptions https://www.ag.gov.a[...] Commonwealth of Australia 2019-02-21
[21] 웹인용 National Apology for Forced Adoptions http://www.ag.gov.au[...] Commonwealth of Australia n.d.
[22] 웹인용 Australian Government response to the Senate Community Affairs References Committee Report: Commonwealth Contribution to Former Forced Adoption Policies and Practices https://www.aph.gov.[...] Parliament of Australia 2019-02-21
[23] 서적 Past adoption experiences: National Research Study on the Service Response to Past Adoption Practices http://www.aifs.gov.[...] Australian Institute of Family Studies 2020-09-17
[24] 뉴스 Today's policies are tomorrow's apologies http://www.theage.co[...] The Age
[25] 웹인용 Tears and cheers as WA apologises to unwed mums http://www.watoday.c[...] 2010-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