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숙자는 1933년 경성부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여성 외교관, 정치학자, 여성운동가이다. 동국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외무부에서 근무하며 육영수 여사의 통역을 맡기도 했다. 1987년 사회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어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의 여성 대통령 후보가 되었으나, 선거를 사퇴하고 김영삼 후보를 지지했다. 한국여성단체협의회장과 세계여성단체협의회장을 역임하며 여성운동에 기여했고, 저서로 《또 하나의 지평선을 넘어서》 등이 있다. 1983년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민주당 (1985년 대한민국) 당원 - 함세웅
함세웅은 한국 전쟁의 참상을 겪고 사제의 길을 걸으며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창립을 주도하여 민주화 운동에 헌신한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자 민주화 운동가이다. - 사회민주당 (1985년 대한민국) 당원 - 고정훈 (정치인)
고정훈은 한국광복군 입대, 육군 대위 임관 후 육군 중령 예편, 조선일보 논설위원, 진보당 선전간사, 민주사회당 총재 등을 역임한 정치인, 군인, 언론인이며 제11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대한민국의 여자 외교관 - 강경화
강경화는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KBS 영어방송 PD, 세종대학교 영문학과 조교수를 거쳐 외교통상부 장관 보좌관, UN 고위직을 역임하고 문재인 정부의 초대 외교부 장관을 지낸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외교부 장관이자 UN 최고위직에 오른 한국인 여성이다. - 대한민국의 여자 외교관 - 이인호 (1936년)
이인호는 1936년생으로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명예교수이며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대사이고, KBS 이사장을 역임했으나 재임 중 사퇴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후보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후보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홍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홍숙자 |
로마자 표기 | Hong Sukja |
한글 | 홍숙자 |
한자 | 洪淑子 |
출생일 | 1933년 6월 25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기도 경성부 |
가족 관계 | |
본관 | 남양(南陽) |
부모 | 아버지 홍순문, 어머니 김부해 |
형제 | 큰아우 홍재호, 작은아우 홍성호 |
배우자 | 전주화(1958년 결혼; 1965년 이혼) |
자녀 | 장남 전인범, 장녀 전경진 |
친인척 | 자부 심화진 |
학력 | |
학사 | 동국대학교 |
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
석사 | 보스턴 대학교 |
박사 | 동국대학교 |
경력 | |
직책 | 주 UN 대표부 3등 서기관 |
임기 | 1967년~1969년 |
직책 | 뉴욕 총영사관 부영사 |
임기 | 1965년~1967년 |
기타 정보 | |
정당 | 무소속 |
종교 | 개신교 |
웹사이트 | Hong Suk Ja: Pursuing Women's Rights in South Korea |
2. 생애
홍숙자는 1933년 7월 15일 경기도 경성부(現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모친은 집안으로부터 아들을 낳아야 한다는 압박을 받았으며, 이는 그녀의 부친으로 하여금 소실을 들이라는 제안까지 받도록 하였다. 홍숙자의 남동생은 1940년에 태어났는데, 그녀는 이것이 남녀 불평등에 관한 이해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고 회고했다.[13]
1957년 12월 미국 유학 중 한국유학생회 모임에서 만난 의과학 전공의였던 전주화와 결혼하였으나, 1962년 외교관 훈련을 위한 별거 기간 동안 이혼을 결심하고 1965년 이혼하였다.[21] 외무부 재직 시절 영부인 육영수의 통역을 맡기도 하였다.[20] 이후 한국여성단체협의회장과 세계여성단체협의회장으로 재임하면서 여성운동의 국제간 유대 정립과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해 노력해왔다.[22]
2. 1. 학력 및 초기 경력
1933년 7월 15일 경기도 경성부(現 서울특별시)에서 아버지 홍순문과 어머니 김부해 사이에서 2남 1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12] 1940년에 남동생이 태어났는데, 그녀는 이것이 남녀 불평등에 관한 이해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고 회고했다.[13]1955년 동국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은 뒤 1957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4] 1958년 보스턴 대학교 대학원 국제정치학 석사를 받았다.[1] 1975년 동국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8년 12월 대한민국 최초로 여성 외교관에 임명되어 외무부 장관 보좌관을 시작으로 1965년 주뉴욕 대한민국 총영사관 부영사, 1967년 주 UN 대표부 3등 서기관을 마지막으로 1969년 10월까지 근무했다.[19] 외무공무원 생활을 마친 뒤에는 모교인 동국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진 양성에 힘썼다.[22]
학력 |
---|
2. 2. 결혼과 이혼
1957년 12월 미국 유학 중에 한국유학생회 모임에서 만난 의과학 전공의였던 전주화와 결혼하였고,[15] 한 학기 더 유학 생활을 해야 하는 남편을 남겨둔 채로 귀국하여[16] 시어머니와 남편의 막내동생이 살고 있는 서울 중구 장충동 시댁에 들어가 살게 되었다. 1958년 9월 6일 서울 동대문구 휘경동 서울위생병원에서 장남 전인범을 낳았고,[17] 다음해인 1959년 10월 2일 장녀 전경진을 낳았다.[18] 1962년 외교관 훈련을 위해 컬럼비아 대학교 연수로 시작된 별거 기간 동안 남편 전주화와의 이혼을 결심한 뒤, 1965년 뉴욕 총영사관 부영사가 된 후 이혼하였다.[21]2. 3. 여성운동
홍숙자는 1933년 6월 25일 일제강점기 경성부에서 태어났다. 홍숙자가 태어난 후, 그의 어머니는 아들을 낳으라는 가족들의 압박을 받았고, 심지어 남편에게 첩을 들이라는 제안까지 받았다. 결국 홍숙자의 남동생이 태어났지만, 홍숙자는 이 경험이 남녀 불평등에 대한 자신의 이해에 영향을 미쳤다고 회상한다.[2]1955년 동국대학교를 졸업하고, 1958년 보스턴 대학교에서 정치학 및 국제 관계를 전공했다. 이후 대한민국 외무부에서 근무했으며, 1965년 뉴욕 시 주재 한국 영사관 부영사가 되었다.[1] 1979년부터 동국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1986년부터 1988년까지 국제 여성 협의회 회장을 지냈다.[3]
3. 제13대 대통령 선거 출마
1987년 사회민주당은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홍숙자를 지명하여,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의 여성 대통령 후보가 되었다.[23][4]
3. 1. 선거 운동 및 사퇴
1987년 11월 11일, 사회민주당은 제13대 대통령 선거 후보 지명 임시 전당대회를 열어 홍숙자를 대통령 후보로 선출하였다.[23] 이로써 그녀는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의 여성 대통령 후보로 기록되었다.[24]선출된 당일 그녀는 “정치 기적은 여성 대통령이 창출하게 될 것”이라고 연설했으며, 대통령은 직선제로 선출하되 의원내각제, 영세중립노선을 선양하기 위한 전방위 외교정책, 영세중립화 통일방안을 채택할 것이라고 밝혔다.[23][25] 또한 여성 각료를 기용하고 과감한 여성해방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26] 그러나 다른 남성 후보들에 밀린 탓에 크게 부각되지 못하였으며, 결국 1987년 12월 5일 후보직을 사퇴하였다.[27] 후보 등록은 무효처리되었으며 사민당은 그녀를 후보에서 제명하였다.[28] 대신에 홍숙자는 김영삼 후보를 지지한다고 밝혔지만,[28] 김영삼은 결국 노태우에게 패해 2위로 낙선했다.
4. 사상 및 정치적 입장
홍숙자는 1987년 11월 11일 사회민주당의 제13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지명되면서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의 여성 대통령 후보가 되었다.[4][5] 사회민주당 후보로 선정된 날, "여성 대통령이 정치적 기적을 만들어낼 것이다"라고 연설하며, 직선제를 지지하되 내각제를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4] 또한 여성 장관을 장려하고 여성 해방을 위한 과감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6] 그러나 다른 남성 후보들에게 밀려 언론의 주목을 거의 받지 못했다.[7]
1987년 12월 5일 대통령 선거에서 사퇴하면서, 애초부터 한국 대통령이 될 의도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사회민주당이 대통령을 배출할 만큼 크고 영향력 있는 정당이 아니라는 것과 한국이 여전히 남성 중심 사회라는 점을 인정한 것이다. 홍숙자는 김영삼 후보를 지지하며 "우리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는 군사 독재를 종식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나는 그와 이념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선두 후보를 지지하기로 결정했다"라고 말했다.[8] 그러나 김영삼은 전 군사 대통령 전두환의 후계자인 노태우에게 패했다.
5. 저서
- 1975년, 《또 하나의 지평선을 넘어서-여성해방운동의 이론과 실천》 (청자각)
- 2006년, 《저 높은 곳을 향하여》 (여백미디어)
6. 상훈
- 1983년 국민훈장 동백장
참조
[1]
웹사이트
Hong Suk Ja: Pursuing Women's Rights in South Korea
http://sites.bu.edu/[...]
2016-11-22
[2]
웹사이트
Korean Candidate Battles a Male-Dominated Society
https://www.latimes.[...]
1987-11-27
[3]
간행물
A study on the voting behavior of Korean Women after independence
http://www.kwdi.re.k[...]
2001
[4]
뉴스
社民黨 대통령 후보 洪淑子씨 선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7-11-11
[5]
뉴스
[박근혜 시대] 朴, 최초의 '여성·부녀·독신' 대통령… 3번째 TK 출신
http://news1.kr/arti[...]
뉴스1
2012-12-19
[6]
뉴스
洪淑子씨 候補로 추대 社民黨 임시全黨大會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7-11-11
[7]
뉴스
社民 洪淑子 후보 사퇴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7-12-05
[8]
웹사이트
Kim Young Sam Gets Backing of Only Woman in Korea Race
https://www.latimes.[...]
1987-12-06
[9]
뉴스
심화진 성신여대 총장 “미아동에 제2캠퍼스 최고 도약 기회 삼을 것”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8-04-11
[10]
뉴스
사회민주당 홍숙자 후보 등록
http://imnews.imbc.c[...]
MBC
1987-11-17
[11]
웹사이트
홍숙자
http://koreavip.kr/s[...]
[12]
서적
저 높은 곳을 향하여
여백미디어
2006
[13]
뉴스
Korean Candidate Battles a Male-Dominated Society
http://articles.lati[...]
Los Angeles Times
1987-11-27
[14]
웹사이트
Hong Suk Ja: Pursuing Women’s Rights in South Korea
http://sites.bu.edu/[...]
[15]
서적
저 높은 곳을 향하여
여백미디어
2006
[16]
서적
저 높은 곳을 향하여
여백미디어
2006
[17]
서적
저 높은 곳을 향하여
여백미디어
2006
[18]
서적
저 높은 곳을 향하여
여백미디어
2006
[19]
뉴스
[동문탐방] 홍숙자 동문 <전 뉴욕 총영사관 부영사>
http://www.dgupress.[...]
동대신문
1970-05-21
[20]
간행물
“부하들 적진 보내는 날 올까 두려웠다.”
https://news.naver.c[...]
『新東亞』
2016
[21]
서적
저 높은 곳을 향하여
여백미디어
2006
[22]
뉴스
역대 대선 완주 여성 후보는 겨우 ‘4명’
https://news.naver.c[...]
여성신문
2017-04-16
[23]
뉴스
社民黨 대통령 후보 洪淑子씨 선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7-11-11
[24]
뉴스
[박근혜 시대] 朴, 최초의 '여성·부녀·독신' 대통령… 3번째 TK 출신
http://news1.kr/arti[...]
뉴스1
2012-12-19
[25]
뉴스
"<민주선거 70년> 제13대 대통령선거 홍숙자 후보 선거벽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8-05-10
[26]
뉴스
洪淑子씨 候補로 추대 社民黨 임시全黨大會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7-11-11
[27]
뉴스
社民 洪淑子 후보 사퇴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7-12-05
[28]
뉴스
社民, 洪淑子 후보 제명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7-1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