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태공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 태공관은 1980년 10월 8일 개관한 홍콩의 천문관이다. 1961년 홍콩 시정국에서 처음 건립이 제안되었으며, 1974년 칼자이스와 천문관 및 장비 구매 계약을 체결하여 1977년 건축을 시작했다. 동관과 서관으로 나뉘어 우주 과학, 천문학 관련 전시를 제공하며, 2015년 리모델링을 거쳐 재개관했다. 2019년 홍콩 시위와 관련하여 레이저 포인터 관련 사건으로 언급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의 박물관 - 홍콩 문화박물관
홍콩 문화박물관은 역사, 예술, 문화를 아우르는 전시를 제공하며, 6개의 상설 전시관과 기획 전시관, 부속 박물관을 운영하고, 대중교통으로 접근 가능하다. - 홍콩의 박물관 - 홍콩 역사박물관
홍콩 역사박물관은 홍콩의 역사와 문화를 전시하는 박물관으로 1975년 홍콩 문물탐지관으로 시작하여 확장되어 1998년 침사추이에 자리 잡았으며, "홍콩 이야기" 상설 전시를 통해 4억 년 전부터 1997년 홍콩 반환까지의 역사를 보여주고, 여러 분관을 운영하며 대중교통 접근성이 뛰어나다. - 1980년 설립된 박물관 -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박물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박물관은 오스트레일리아 정부가 설립하여 캔버라에 위치한 국립 박물관으로, 독특한 건축물과 21만 점 이상의 유물을 통해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문화부터 현대사까지 다양한 역사를 보여주며 호주 관광상을 수차례 수상한 곳이다. - 1980년 설립된 박물관 - 런던 교통 박물관
런던 교통 박물관은 19세기와 20세기의 버스, 트램, 철도 차량 등 런던의 다양한 교통 역사를 전시하는 박물관으로, 코벤트 가든 본관과 액턴 별관 외에 "Hidden London" 투어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 천체투영관 - 그리피스 천문대
그리피스 천문대는 1935년 개관하여 대중에게 천문학을 소개하고 항공 및 우주비행사 훈련에도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로스앤젤레스의 랜드마크로서 대중문화적으로도 인기가 높은 천문대이다. - 천체투영관 - 클리블랜드 자연사 박물관
클리블랜드 자연사 박물관은 1830년대 사설 수집 공간에서 시작하여 1920년에 공식 설립되었으며, 4백만 점이 넘는 소장품과 '루시' 화석 발견 참여, 하만-토드 컬렉션 소장 등 다양한 과학 분야와 인류 진화 연구에 기여하는 미국의 자연사 박물관이다.
홍콩 태공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홍콩 침사추이 구룡 10번지 |
좌표 | 22.294353, 114.171869 |
종류 | 항공 우주 박물관 |
방문객 수 | 590,000명 |
대중교통 | 침사추이 역 |
웹사이트 | https://hk.space.museum |
일반 정보 | |
개관일 | 1980년 10월 8일 |
2. 역사
천문관 건립 구상은 1961년 홍콩 시정국에서 처음 제안되었다.[2] 이후 홍콩 시정총서(Urban Services Department, USD) 주도로 해외 사례 연구 및 준비 과정을 거쳐 침사추이에 부지를 확정하였다. 1977년 건설을 시작하여 1980년 10월 8일에 정식으로 개관하였다. 개관 당시 세계 최초의 컴퓨터화된 천문관을 갖추어 주목받았다. 시간이 흐르면서 시설 노후화 등으로 인해 2015년 10월부터 주요 전시관과 시설에 대한 대대적인 리모델링 공사에 들어갔으며, 2018년 4월 25일에 공사를 마치고 재개관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1. 건립 배경 및 초기 계획
천문관 건립 구상은 1961년 홍콩 시정국에서 처음 제안되었다.[2] 10년 뒤, 홍콩 시정총서(Urban Services Department, USD)는 천문관 설립에 대한 해외 경험을 연구하기 위한 실무 그룹을 구성했다. 이 연구는 미래의 홍콩 태공관 설립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홍콩 행정부는 박물관을 침사추이에 짓기로 결정하고 조지프 류를 천문관의 고문으로 초빙했다.1974년, USD는 칼자이스사와 천문관 및 기타 장비를 305만홍콩 달러에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천문관 건축은 1977년에 시작되어 1980년 10월 8일에 개관하였다. 이 박물관에는 세계 최초의 컴퓨터화된 천문관이 설치되었다.
2. 2. 건설 및 개관
천문관 건립 구상은 1961년 홍콩 시정국에서 처음 제안되었다.[2] 10년 뒤, 시정 서비스부는 천문관 설립에 대한 해외 경험을 연구하기 위한 실무 그룹을 구성하여 미래의 홍콩 태공관 설립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했다. 홍콩 정부는 박물관 부지로 침사추이를 선정하고, 조지프 류(Joseph Liu)를 천문관 고문으로 초빙했다.1974년, 시정 서비스부는 칼자이스 사와 천문관 및 기타 장비를 305만홍콩 달러에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1977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1980년 10월 8일 박물관이 개관했다. 이곳에는 세계 최초의 컴퓨터화된 천문관이 설치되었다.
개관 이후 많은 방문객이 찾았고, 2008-2009 회계 연도에는 약 59만 명이 박물관을 방문하기도 했다. 2015년 10월 5일, 리모델링 공사를 위해 천공 전시관의 전시실이 폐쇄되었고, 이후 공사를 마치고 2018년 4월 25일에 재개관했다.
2. 3. 리모델링 및 재개관
2008년 11월, 홍콩 우주 박물관은 1980년 개관 이후 처음으로 플라네타륨의 대대적인 개보수에 3400만홍콩 달러를 투입했다. 이 개보수는 주로 새로운 디지털 플라네타륨 투영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당시 세계적으로 일부 우주 박물관에서만 사용 가능했던 고해상도 시스템이었다. 이 시스템은 박물관 내부의 반구형 투영 돔에서 3D 쇼와 영화를 상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 또는 과거 특정 시점의 우주 어느 곳에서든 별, 행성, 그리고 다른 천체의 모습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플라네타륨의 300석 좌석 역시 다국어 대화형 기능을 갖춘 좌석으로 교체되었다. 무선 블루투스 헤드셋과 각 좌석 팔걸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관객들은 짧은 메시지를 주고받거나, 실시간 게임 참여, 만족도 조사 응답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9]플라네타륨은 개보수를 위해 2008년 11월 17일부터 2009년 6월까지 문을 닫았다. 2009년 7월 1일, 미국의 Sky-Skan Inc.에서 제조한 새로운 디지털 플라네타륨 투영 시스템을 설치하여 재개관했으며, 이 시스템은 5,300만 픽셀 이상의 해상도를 자랑하며, 이는 베이징 천문관의 투영 시스템과 동등한 수준이다.[10] 또한, 모든 좌석은 프랑스 회사에서 제작한 것으로 교체되었는데, 다국어 지원 대화형 시스템을 갖추고 투영 돔 내부에서 더 나은 시야각을 위해 뒤로 젖혀질 수 있다. 관객들은 지구 표면뿐만 아니라 태양계 다른 행성 표면에서 시뮬레이션된 밤하늘도 볼 수 있으며, 다양한 별자리 모양을 확인하고 우주에서 극야의 변화를 추적할 수도 있다.[11]
이후 또 다른 개보수 프로젝트로 스탠리 호 우주 극장과 강당이 2015년 11월 1일부터 2016년 3월 1일까지 문을 닫았다가 재개관했다.[12]
2015년에는 두 개의 전시관을 3200만홍콩 달러를 들여 개보수할 계획이 발표되었다. 레저 및 문화 서비스 부서는 1991년부터 사용해 온 두 전시관의 개보수를 그해 10월 5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개보수 기간 동안 전시관은 문을 닫았지만, 플라네타륨 쇼는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13] 개보수된 전시관은 각각 "코스모스 홀"과 "우주 탐험 홀"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우주의 진화, 태양계 탐험 등을 주제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도록 꾸며졌다.[14] 개보수는 2018년에 완료되어 4월 25일에 재개관했다.[15]


2020년 5월 1일, 홍콩의 코로나19 범유행이 심각했던 시기에도 홍콩 우주 박물관은 이미지 품질 향상을 위해 플라네타륨의 돔 투영 스크린을 교체하는 작업을 진행했다.[13]
3. 시설
홍콩 태공관에는 우주 과학관과 천문학관이라는 두 개의 테마 전시관이 있다. 각각 1층과 2층에 위치하며, 관람객의 즐거움과 학습을 위해 전시물은 상호작용(인터액티브)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3. 1. 동관
박물관은 동관과 서관의 두 개 관으로 나뉜다. 이 중 동관은 박물관 천문관의 핵심 시설로, 독특한 계란 모양의 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돔 아래에는 스탠리 호 스페이스 극장, 우주 과학 전시관, 워크숍 및 사무실이 있다.동관의 계란 모양 돔은 8000m2가 넘는 면적을 덮고 있어 홍콩의 유명한 랜드마크가 되었다. 이곳은 천문학과 우주 과학 대중화를 위해 홍콩에서 최초로 설립된 현지 천문관이었다.[8] 스페이스 박물관의 스카이 갤러리에는 컴퓨터화된 별 영상 장치가 있는데, 이는 광학 원리를 통해 하늘을 시뮬레이션하며 8,000개의 별을 천문관의 반구형 스크린에 투사한다.
또한 우주왕복선 궤도선의 코와 조종석 부분 모형도 전시되어 있다.
3. 2. 서관
서관에는 천문 전시관, 강당, 기념품점, 사무실이 있다.4. 전시
홍콩 태공관에는 두 개의 테마 전시관이 있다. 지상층에는 우주 과학관이, 1층에는 천문관이 자리 잡고 있다. 전시물 대부분은 관람객이 직접 체험하며 즐겁게 학습할 수 있도록 상호작용형으로 구성되어 있다.[3]
4. 1. 주요 전시물
홍콩 태공관의 전시물 대부분은 관람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상호작용형 전시물이어서, 역사적 가치를 지닌 전시물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3] 2019년 기준으로 박물관에는 17개의 전시물이 있다. 주요 전시물은 다음과 같다.- 운석: 1981년부터 철 운석, 팔라사이트, 텍타이트 등 다양한 종류의 운석을 구매하여 전시하고 있다.[4]
- 인도 천체 투영기: 1983년에 획득하여 전시 중이다.[5]
- 선저우 1호의 홍콩의 기: 2000년 5월, 중국 최초의 무인 우주선인 선저우 1호에 실렸던 홍콩의 기가 박물관에 전시되었다.[6]
- 소행성 3297 홍콩 명명 증서: 같은 해 7월부터 소행성 3297 홍콩의 이름을 붙인 것을 기념하는 증명서가 전시되었다.[4]
- 양리웨이의 우주복: 2017년, 중국 최초의 우주인인 양리웨이가 실제 착용했던 우주복을 기증하여 전시하고 있다.[7]
과거에는 우주왕복선 조종 시스템을 갖춘 1:1 크기의 모형이 전시되어 있었으나, 2015년 9월 박물관 개보수 이후 철거되었다.
4. 2. 전시관
홍콩 태공관(홍콩 우주 박물관)은 두 개의 주요 테마 전시관을 운영하고 있다. 지상층에는 '우주 과학관'이, 1층에는 '천문관'이 자리 잡고 있다. 전시물 대부분은 관람객이 직접 만지고 조작하며 배울 수 있는 상호작용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재미와 교육적 효과를 동시에 제공한다.[3]
상호작용형 전시물이 주를 이루지만, 역사적 가치를 지닌 전시물도 소장하고 있다.[3] 1981년부터 박물관은 철 운석, 팔라사이트, 텍타이트 등 다양한 종류의 운석을 수집하기 시작했다.[4] 1983년에는 인도 천체 투영기를 확보했으며,[5] 2000년 5월에는 중국 최초의 무인 우주선인 선저우 1호에 실렸던 홍콩의 기를 전시하게 되었다.[6] 같은 해 7월에는 소행성 '3297 홍콩'의 명명 증서도 전시 목록에 추가되었다.[4] 2017년에는 중국 우주 프로그램 최초로 우주 비행에 성공한 양리웨이가 직접 착용했던 작업복을 기증받아 전시하고 있다.[7]
태공관의 플라네타륨은 여러 차례 개보수를 거쳤다. 2008년 11월, 개관 이후 처음으로 3400만홍콩 달러를 투입하여 대대적인 개보수를 시작했다. 이 공사는 2009년 6월까지 진행되었으며, 미국의 Sky-Skan Inc.가 제작한 고해상도 디지털 플라네타륨 투영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핵심이었다. 이 시스템은 5,300만 픽셀 이상의 해상도를 자랑하며, 이는 당시 베이징 천문관과 동등한 수준이었다.[10] 새로운 시스템은 반구형 돔 스크린에 3D 쇼와 영화 상영은 물론, 특정 시점의 별, 행성, 천체의 모습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게 했다. 또한 300석 규모의 좌석도 프랑스 회사 제품으로 교체되었는데, 다국어 지원 및 상호작용 기능(메시지 전송, 실시간 게임 참여, 설문조사 응답 등)을 갖추고 뒤로 젖혀져 더 편안한 관람을 가능하게 했다.[9][11] 이후 스탠리 호 우주 극장과 강당도 2015년 11월 1일부터 2016년 3월 1일까지 개보수를 위해 문을 닫았다가 재개관했다.[12] 2020년 5월 1일, 홍콩의 코로나19 범유행 시기에는 플라네타륨의 돔 투영 스크린을 교체하여 이미지 품질을 더욱 향상시켰다.[13]
두 개의 전시관 자체도 대대적인 개보수를 거쳤다. 당초 3200만홍콩 달러를 들여 6개월간 개보수할 계획이었으나, 실제 공사는 2015년 10월 5일에 시작되어 2018년에 완료되었다.[13][14] 이 기간 동안 전시관은 폐쇄되었지만, 플라네타륨 쇼는 정상 운영되었다.[13] 개보수를 통해 기존 전시관은 각각 '코스모스 홀'(Hall of the Cosmos)과 '우주 탐험 홀'(Hall of Space Exploration)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바뀌었으며, 우주의 진화, 태양계 탐험 등 더욱 풍부하고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도록 개선되었다. 새롭게 단장한 전시관은 2018년 4월 25일에 재개관했다.[15]
5. 교통
박물관은 MTR의 침사추이역과 침사추이 동역에서 걸어갈 수 있는 거리에 있다. 또한 스타 페리 부두와 버스 터미널 근처에 위치한다.
6. 비판 및 논란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서술 방지를 위해 생략)
6. 1. 시설 및 전시물 관리
홍콩 우주 박물관의 전시물 대부분은 상호작용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역사적 가치를 지닌 전시물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3] 그럼에도 2019년 기준으로 17개의 주요 전시물이 있다. 박물관은 1981년부터 철 운석, 팔라사이트, 텍타이트 등 다양한 운석을 구매하기 시작했다.[4] 1983년에는 인도 천체 투영기를 확보했으며,[5] 2000년 5월에는 중국 최초의 무인 선저우 우주선인 선저우 1호에 실렸던 홍콩의 기가 전시되기 시작했다.[6] 같은 해 7월에는 소행성 3297 홍콩의 명칭 부여 증명서도 전시 목록에 추가되었다.[4] 2017년에는 중국 우주 프로그램 최초로 우주 비행에 성공한 양리웨이가 자신이 입었던 작업복을 박물관에 기증했다.[7] 과거에는 우주왕복선 조종 시스템을 갖춘 1:1 크기 모형이 전시되었으나, 2015년 9월 개보수 이후 철거되었다.시설 개선 측면에서, 2008년 11월에는 1980년 개관 이후 처음으로 플라네타륨의 대대적인 개보수가 3400만홍콩 달러를 들여 진행되었다. 이 개보수를 통해 고해상도의 새로운 디지털 플라네타륨 투영 시스템이 설치되었다. 이 시스템은 3D 쇼와 영화 상영은 물론, 특정 시점의 우주 어느 곳에서든 별, 행성, 천체의 모습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300석 규모의 좌석 역시 다국어 상호작용 기능을 갖춘 좌석으로 교체되어, 관객들은 무선 헤드셋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메시지 전송, 실시간 게임 참여, 설문 조사 응답 등이 가능해졌다.[9] 플라네타륨은 2008년 11월 17일부터 2009년 6월까지 개보수를 위해 문을 닫았다가, 2009년 7월 1일 미국 Sky-Skan Inc.에서 제작한 새로운 디지털 투영 시스템을 갖추고 재개관했다. 이 시스템은 5,300만 픽셀 이상의 해상도를 자랑하며, 이는 베이징 천문관과 동등한 수준이다.[10] 모든 좌석은 프랑스 회사 제품으로 교체되었으며, 뒤로 젖혀져 투영 돔 내부의 시야각을 개선했다. 관객은 지구뿐 아니라 다른 행성 표면에서 시뮬레이션된 밤하늘과 별자리, 극야 변화 등을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11] 이후 2020년 5월 1일에는 홍콩의 코로나19 범유행 시기에 플라네타륨의 돔 투영 스크린을 교체하여 이미지 품질을 향상시켰다.[13]
스탠리 호 우주 극장과 강당 역시 2015년 11월 1일부터 2016년 3월 1일까지 개보수를 위해 폐쇄되었다가 재개관했다.[12]
'''전시관'''
두 개의 전시관 또한 3200만홍콩 달러를 투입하여 개보수할 계획이 세워졌다. 당초 계획은 1층 전시관 주제를 우주 탐험과 태양 활동의 지구 영향으로 설정하고, 초현실적인 공상 과학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었다.[13] 그러나 실제 개보수는 2015년 중반에 시작되어 그해 10월 5일부터 전시관이 폐쇄되었다.[14] 1991년부터 사용되어 온 두 전시관은 각각 "코스모스 홀"과 "우주 탐험 홀"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우주 진화, 태양계 탐험 등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4] 개보수는 2018년에 완료되어 4월 25일에 재개관했다.[15]
'''평가 및 관리 문제'''
그러나 박물관 시설 및 전시물 관리에 대한 비판도 꾸준히 제기되었다. 2006년 홍콩 레저 문화 서비스부가 운영하는 7개 박물관 대상 만족도 조사에서 홍콩 우주 박물관은 일반 만족도(76.1%)와 시설 만족도(78%) 모두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16]
2014년 8월, 동방일보는 박물관 조사를 통해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했다. 1990년대 위성 프로그램을 미래 프로그램으로 잘못 소개하거나, 태양계 행성 목록에서 제외된 명왕성이 여전히 모형에 남아 있는 등 부정확한 정보가 발견되었다. 또한 중국 우주 프로그램 역사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하다는 점도 비판받았다.[17] 국제 여행 웹사이트 트립어드바이저(TripAdvisor)에서도 일부 이용자들이 전시가 구식이고 매력적이지 않다고 비판했다.[18] 이에 대해 홍콩 레저 문화 서비스부는 일부 정보의 부정확성을 인정하고 수정 및 최신 정보 제공을 약속했으며, 노후 전시물 교체 계획도 밝혔다.[17]
하지만 2018년 전시관 재개관 4개월 후, 동방일보는 다시 방문하여 대부분의 전시물이 심하게 손상되어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음을 지적했다.[19] 이미 전시물 수리에 40만홍콩 달러가 투입되었음에도 상태가 개선되지 않아 예산 낭비 및 홍콩 이미지 실추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19] 같은 해 HK01의 조사에서도 새로 설치된 110개의 인터랙티브 전시물 중 64%가 최소 한 번 이상 수리된 사실이 드러났다.[20] 2020년 1월에는 박물관 외벽 청소 작업으로 인해 주변에 설치된 울타리가 마치 감옥 같은 인상을 준다며 네티즌들의 비판과 풍자를 받기도 했다.[21]
6. 2. 2019년 홍콩 시위와의 연관성


2019년, 홍콩 정부가 2019년 홍콩 범죄인 인도 법안을 제안하면서 2019–2020년 홍콩 시위가 촉발되어 도시 전역에서 시위가 벌어졌다. 같은 해 8월 6일, 당시 홍콩 침례대학교 학생회장이었던 퐁충인이 삼수이포에서 레이저 포인터 10개를 구입한 후, 사복 경찰에게 흉기 소지 혐의로 체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22] 퐁충인은 체포 후 친구들에게 선물하기 위해 레이저 포인터를 샀으며, 자신도 별을 보기 위해 하나를 남겨두었고, 구매 당시 그것이 무기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은 알지 못했다고 해명했다.[23]
다음 날인 8월 7일, 경찰은 기자회견을 열어 퐁충인이 구입한 레이저 포인터(길이 18cm, 출력 100 mW)가 법적으로 무기로 분류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경찰은 레이저 포인터가 신체적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하기 위해, 직접 레이저 포인터로 신문에 불을 붙이는 시연을 하기도 했다.[24]
퐁충인이 구입한 레이저 포인터는 일반적으로 '별 관측용 포인터'로 알려져 있었고 실제로 별 관측에 사용될 수 있었기 때문에, 경찰의 발표와 퐁충인 체포에 항의하는 의미로 같은 날 밤 홍콩 우주 박물관 앞에서 '별 관측 행사'라는 이름의 시위가 열렸다. 이 행사에는 수천 명의 시민들이 참여했다.[25][26] 시위 참가자들은 레이저 포인터를 홍콩 우주 박물관의 스탠리 호 우주 극장 벽과 그 앞에 심어진 나무, 그리고 인근 건물 벽 등에 비추었다. 또한, 레이저 포인터로 신문에 불을 붙인 경찰의 시연을 조롱하는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26]
참조
[1]
웹사이트
LCSD's Museums
http://www.lcsd.gov.[...]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Department
2008-01-02
[2]
웹사이트
網上資源 - 1959-1969年
https://hk.space.mus[...]
2014-08-25
[3]
웹사이트
"規劃地政及工程事務委員會 西九龍文娛藝術區"
https://www.legco.go[...]
2005-01
[4]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藏品
https://www.lcsd.gov[...]
Hong Kong Space Museum
2021-01-11
[5]
뉴스
香港太空館館長獨愛印度星盤
http://www1.hkej.com[...]
2021-01-11
[6]
서적
香港回归十年志 / Xianggang hui gui shi nian zhi
https://www.worldcat[...]
2021-01-11
[7]
웹사이트
太空館兩展廳翻新重開
http://www.takungpao[...]
2021-01-11
[8]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www.lcsd.gov.[...]
Hong Kong Space Museum
2009-10-28
[9]
간행물
香港太空館陸續進行翻新工程及推出新設施
https://www.info.gov[...]
Government of Hong Kong
2021-01-11
[10]
웹사이트
太空館天象廳升級重開 超高清投影系統 可播動畫或電影
https://hk.appledail[...]
2021-01-11
[11]
웹사이트
太空館天象廳更換投映系統
https://www.news.gov[...]
Government of Hong Kong
2021-01-11
[12]
간행물
太空館及展覽廳將關閉更新展品
https://www.info.gov[...]
Government of Hong Kong
2021-01-11
[13]
웹사이트
天象廳暫時關閉
https://hk.space.mus[...]
Hong Kong Space Museum
[14]
웹사이트
常設展覽簡介
https://www.lcsd.gov[...]
Hong Kong Space Museum
2021-01-11
[15]
웹사이트
康樂及文化事務署轄下主要博物館參觀人士意見調查
https://www.legco.go[...]
2006-07-04
[16]
웹사이트
太空館淪歷史博物館 – 東方日報
https://orientaldail[...]
2021-01-11
[17]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旅遊景點評論
http://www.tripadvis[...]
2021-01-11
[18]
웹사이트
太空館重開數月多項設施損壞 耗40萬維修
https://hk.on.cc/hk/[...]
2021-01-11
[19]
웹사이트
太空館重開近4個月 110件互動新展品 64%已曾維修
https://www.hk01.com[...]
2021-01-11
[20]
웹사이트
【抗暴之戰】太空館外加設鐵欄木板如監獄圍城 網民諷更顯高牆與雞蛋 | 蘋果日報
https://hk.appledail[...]
2021-01-11
[21]
웹사이트
遭叉頸拘捕 方仲賢:擬起訴涉事警 批休班警搜異見人士 如納粹秘密警察
https://www.thestand[...]
2021-01-11
[22]
웹사이트
方仲賢:購買時不知道鐳射筆功效 – RTHK
https://news.rthk.hk[...]
[23]
웹사이트
【逃犯條例】觀星筆能量是醫用鐳射億分一 郭家麒:請警用常識
https://www.hk01.com[...]
2021-01-11
[24]
웹사이트
快樂抗爭 在那激光中穿梭 | 蘋果日報
https://hk.appledail[...]
2021-01-11
[25]
웹사이트
【逃犯條例】網民太空館外「全民觀星」 抗議購激光筆浸大生被捕 (20:50) – 20190807 – 港聞
https://news.mingpao[...]
2021-01-11
[26]
웹사이트
【學生被捕】千人太空館「觀星」 高唱《激光中》
https://www.hk01.com[...]
2021-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