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객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객선은 정기적인 노선으로 화물을 운송하는 선박으로, 원자재부터 완제품까지 다양한 상품을 운송하며, 냉장 시설, 탱크, 귀중품 보관함 등 특수 화물을 위한 설비를 갖추기도 한다. 19세기 증기선의 발전과 함께 등장하여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을 연결하는 대서양 항로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수에즈 운하와 파나마 운하의 개통으로 운항이 더욱 활발해졌다. 컨테이너선의 등장으로 쇠퇴했지만, 일부 컨테이너선은 여전히 소수의 유료 승객을 위한 객실을 제공한다. 각국의 법규에 따라 여객 정원 기준이 다르며, 남태평양 국가에서는 화물선과 여객선 외에 화객선을 별도로 분류하여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박의 종류 - 소방선
    소방선은 해상 화재 진압 및 구조 활동을 위해 설계된 선박이며, 방수총, 소화 설비 등을 갖추고 항만, 하천 등에서 운용되며, 대한민국에서는 해양경비와 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정대가 24시간 선박 및 연안 화재, 수난구조 등에 출동한다.
  • 선박의 종류 - 프리깃
    프리깃은 대항해시대의 빠른 범선 군함에서 유래하여 현대에는 대잠전, 대공 방어, 정찰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유도 미사일과 헬리콥터 등을 탑재하여 각국 해군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화객선
화객선 정보
세인트 헬레나 호 (1989년)
세인트 헬레나 호 (1989년)
개요
유형상선
종류화물선
여객선

2. 특징

화객선은 지정된 항구 사이를 정기적으로 운항하며, 고정된 노선으로 다양한 상품의 위탁 화물을 운송하는 선박이다. 원자재부터 제조업 제품, 상품에 이르기까지 일반 화물을 운송하며, 냉동 육류나 냉장 과일을 위한 냉장 공간, 식물성 기름과 같은 액체 화물을 위한 탱크, 귀중품 보관함 등 특정 서비스에 적합한 화물창을 갖추고 있기도 하다. 화객선은 일반적으로 단일 등급의 승객을 수송하기도 했다.

화객선은 여객 운송에 집중하는 여객선 및 정기 운항을 하지 않는 부정기선과 다르다. 화객선은 미리 공지된 노선과 일정에 따라 항구에서 항구로 운항했다.

3. 역사

19세기 중반, 기술 발전으로 더 큰 증기선을 건조할 수 있게 되면서 증기 동력 화객선이 개발되었다.[1] 화객선은 일반적으로 트램프 화물선보다 빨랐기 때문에 부패하기 쉬운 고가품을 운송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여객 서비스도 제공했다. 처음에는 주로 유럽과 미국, 그리고 유럽과 미국 사이의 대서양에서 사용되었다. 오세아니아로 가는 것과 같은 더 긴 항로는 당시 증기선의 비효율성으로 인해 범선의 손에 약간 더 오래 남아 있었지만, 1869년 수에즈 운하가 개통되면서 범선은 불리해졌다.[2]

복합 증기 기관의 사용과 신뢰성 증가는 더 높은 연료 효율을 제공했으며 이러한 항로를 증기선에 개방했다. 앨프레드 홀트는 그의 증기선에서 이러한 기관의 사용을 개척했다. 19세기 마지막 3분의 1까지는 증기선이 재급유 없이 6000마일을 항해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석탄을 실을 수 있었다.[2] 1869년 수에즈 운하 개통과 1914년 파나마 운하 개통으로 화객선의 사용이 더욱 수익성이 높아졌으며,[2] 정기적인 정기 해외 운송이 가능해졌다. 화객선은 곧 세계 최대 규모인 "영국 상선대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고가 화물에 초점을 맞춰 대부분의 화객선은 제한된 수의 승객, 가장 일반적으로 12명을 태웠는데, 영국 규정에 따르면 12명이 넘는 승객이 있는 선박에는 의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화객선의 쇠퇴는 컨테이너선이 도입된 1970년대에 시작되었다.[2] 현존하는 예로는 ''클레이모어 II''가 있다.

많은 대형 컨테이너선은 여전히 소수의 유료 승객에게 선실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최대 12명의 승객이 탑승하는데, 그 이상이 탑승할 경우 법적으로 의사를 탑승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레크리에이션 시설은 승무원이 사용하는 시설이며, 라운지, 운동 기구가 있는 체육관, 작은 수영장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여행은 특별한 여행 경험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흥미롭다.[3]

4. 각국의 화객선

4. 1. 대한민국

4. 2. 일본

일본에서는 선박안전법 제8조에 따라 여객 정원이 12명을 초과하는 선박을 여객선으로 간주한다.[4] 화객선은 법률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아니지만, 여객 정원이 12명을 초과하는 선박이 여객선이 되므로, 여객 정원이 12명 이하로 화물을 운반하는 선박은 단순히 화물선으로 취급된다.[4] 검역 절차상으로도 선박안전법 등에 근거하여 "화객선은 여객 정원 13명 이상의 화물 수송이 가능한 선박"으로 정의된다.[5] 여객 정원이 12명을 초과하는 화객선은 법적으로 여객선으로 간주되므로, 여객선과 동일한 구명 설비 등이 필요하다.[6]

해상운송법에서는 여객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는 여객 정원이 13명 이상이라도 여객 항로 사업으로 취급되지 않는다.[7]

4. 3. 남태평양 국가

2002년에 채택된 남태평양 국가들의 해사 규칙인 비협약 선박 안전 규정(Safety Regulations for Non-Convention Vessels, SRNCV)은 기존의 "화물선" 및 "여객선"의 2가지 분류 외에 "화객선"을 새롭게 정의했다.[8]

SRNCV는 남태평양 국가들이 자체적으로 연안 선박의 해사 규칙을 제정하기 어려워 국제해사기구(IMO)가 후원하고, 남태평양 국가들과 구 종주국으로 구성된 SPC(South Pacific Commission)의 해사 부문이 중심이 되어 공통 해사 규칙을 심의했다.[8] IMO가 남태평양에서 화물선으로 여객 운송이 많은 실정을 고려하여 "화객선" 분류를 추가하도록 제기했으며, SRNCV에서는 여객선보다 완화된 안전 기준이 규정되어 있다.[8]

5. 갤러리

요코하마시 야마시타 공원에 보존되어 있는 히카와마루.


6. 현대적 의의

참조

[1] 웹사이트 Liner Shipping and General Cargo Support https://ex.hhs.se/di[...] Stockholm School of Economics 1979-05-00
[2] 웹사이트 The rise of the cargo liner http://www.plimsoll.[...] Plimsoll Project Partnership 2013-05-30
[3] 뉴스 A freight way to travel https://www.theguard[...] 2016-03-17
[4] 웹사이트 貨客船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15-03-24
[5] 문서 東京検疫所感染症危機管理マニュアル(本文編) https://yamanaka-ben[...] 厚生労働省東京検疫所 2022-01-16
[6] 웹사이트 船舶救命設備規則 https://laws.e-gov.g[...] e-Gov 2020-01-27
[7] 웹사이트 海上運送事業の区分 https://wwwtb.mlit.g[...] 国土交通省九州運輸局 2015-03-24
[8] 문서 マーシャル国国内海上輸送改善計画準備調査報告書(3-11〜3-12) https://openjicarepo[...] 国際協力機構 2022-01-16
[9] 웹인용 The rise of the cargo liner http://www.plimsoll.[...] Plimsoll Project Partnership 2013-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