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력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력여단은 본부 및 본부포대, 통신중대, 여단지원대대, 표적확보포대, UAV포대, 그리고 M270 MLRS 또는 HIMARS를 운용하는 야전포병대대로 구성되는 여단 지원 전력과 작전 전력으로 편성된다. 필요에 따라 105mm, 155mm 견인포, 155mm 자주활강포, MLRS 및 HIMARS 운용 야전포병부대가 추가 배속될 수 있으며, 민사부대 또한 배속될 수 있다.
미국 육군에는 여러 화력여단이 존재하며, 각 여단은 특정 군단을 지원하거나 주 방위군 소속으로 운영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년 도입 - 유니버설 미디어 디스크
유니버설 미디어 디스크(UMD)는 소니 PSP에 사용된 60mm 광 디스크로, 게임, 영상, 음악 콘텐츠를 최대 1.8GB까지 저장하며, DVD와 유사한 지역 코드와 AES 128 비트 암호화를 사용했지만, PSP 외 다른 기기에서 사용 불가 및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2010년대 초반에 지원이 중단되었다. - 2005년 도입 - 국방개혁 2020
국방개혁 2020은 대한민국 국방부가 국방운영체계 선진화, 군 구조 및 전력체계 발전, 3군 균형 발전, 병영문화 발전 및 문민화 등을 목표로 추진한 개혁으로, 프랑스식 국방개혁을 벤치마킹하여 법제화되었고, 자주국방 강조에 대한 평가에 따라 한미 연합전력 활용 방향으로 수정되어 상비병력 및 예비군 감축 규모 조정, 카투사 유지 등의 내용이 변경되었다. - 2014년 폐지 - 청원군
청원군은 충청북도 중서부에 위치했던 군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삼한시대에는 마한, 삼국시대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영토였고, 2014년 청주시에 통합되기 전 3읍 10면으로 구성되어 문의문화재단지, 대청댐 등의 주요 시설이 있었다. - 2014년 폐지 -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은 해양 안전과 치안을 담당하는 해양수산부 소속 외청으로, 해상 경비, 해난 구조, 해상 범죄 수사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해양 주권 수호와 국민의 생명 및 재산 보호에 힘쓰고 있다.
화력여단 | |
---|---|
개요 | |
![]() | |
활동 연도 | 현재 |
국가 | 미국 |
군종 | 미국 육군 |
종류 | 야전 포병 여단 |
규모 | 여단 |
별칭 | Thunder (천둥) |
지휘부 | |
사령부 위치 | 조지아주 포트 스튜어트 |
구성 | |
예하 부대 | 화력여단 사단 포병대 |
역사 | |
관련 사건 | 이라크 자유 작전 새벽의 결의 작전 이라크 새로운 여명 작전 자유의 파수꾼 작전 |
2. 편제
화력여단은 본부 및 본부포대와 여단 지원 전력인 통신중대, 여단지원대대, 표적확보포대, UAV포대로 구성된다. 작전 전력으로는 다연장 로켓포 장비인 M270 MLRS 또는 HIMARS를 운용하는 1개 야전포병대대가 편성된다. 필요에 따라 105mm, 155mm 견인포와 155mm 자주활강포, MLRS와 HIMARS를 운용하는 야전포병부대가 추가로 배속될 수 있으며, 점령지의 민사를 위해 민사부대 또한 배속될 수 있다.[1]
화력여단은 미국 육군의 여단급 제대이다. 정규군과 주 방위군에 소속된 화력여단 목록은 다음과 같다.
3. 목록
표장 이름 지원하는 부대 Start End 상태 참고 제42화력여단 (42nd FiB) 제3보병사단 200?년 ?월 ?일 201?년 제3보병사단 포병대로 재편성됨. 제210화력여단 (210th FiB) 제2보병사단 2006년 9월 30일 2014년 야전포병여단으로 반환됨. 제2보병사단 포병대 재소집됨. [9] 제212화력여단 (212th FiB) 제1기갑사단 2010년 1월 16일 2014년 7월 23일 제1기갑사단 포병대로 재편성됨. [10][11][12] 제214화력여단 (214th FiB) 제4보병사단 2006년 9월 18일 2015년 5월 21일 제4보병사단 포병대로 재편성됨. [13][14]
3. 1. 정규군 화력여단
표장 | 이름 | 지원하는 부대 | Start | End | 상태 | 참고 |
---|---|---|---|---|---|---|
![]() | 제17화력여단 (17th FiB) | 제1(I)군단 | 2007년 6월 17일 | 2014년 2월 19일 | 야전포병여단으로 반환됨. | [5] |
![]() | 제18화력여단 (18th FiB) | 제18(XVIII)공수군단 | 2007년 6월 16일 | 2014년 10월 16일 | 야전포병여단으로 반환됨. | [6] |
제41화력여단 (41st FiB) | 미국 유럽 육군 | 2007년 4월 16일 | 2014년 10월 16일 | 야전포병여단으로 반환되고, 제1기병사단 포병대 재소집. | [7] | |
제42화력여단 (42nd FiB) | 제3보병사단 | 200?년 ?월 ?일 | 201?년 | 제3보병사단 포병대로 재편성됨. | ||
![]() | 제75화력여단 (75th FiB) | 제3(III)군단 | 2006년 9월 18일 | 2014년 2월 19일 | 야전포병여단으로 반환됨. | [8] |
제210화력여단 (210th FiB) | 제2보병사단 | 2006년 9월 30일 | 2014년 | 야전포병여단으로 반환됨. 제2보병사단 포병대 재소집됨. | [9] | |
제212화력여단 (212th FiB) | 제1기갑사단 | 2010년 1월 16일 | 2014년 7월 23일 | 제1기갑사단 포병대로 재편성됨. | [10][11][12] | |
제214화력여단 (214th FiB) | 제4보병사단 | 2006년 9월 18일 | 2015년 5월 21일 | 제4보병사단 포병대로 재편성됨. | [13][14] | |
3. 2. 주 방위군 화력여단
(45th FiB)
(65th FiB)
(115th FiB)
(130th FiB)
(138th FiB)
(142th FiB)

(169th FiB)
(197th Fi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