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0야전포병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10야전포병여단은 미국 육군의 야전포병 여단으로, 1944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걸프 전쟁 등에 참전했다. 1944년 창설되어 유럽 전구에서 활동했으며, 이후 독일 주둔, 사막의 방패 작전 참가를 거쳐 1996년 해산되었다. 2006년 한국에서 재창설되었으며, 현재는 대한민국에 주둔하며 한반도 방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35방공포병여단
제35방공포병여단은 주한 미군의 방공을 담당하며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THAAD를 운용하여 한반도 방어를 수행하고, THAAD 배치로 대한민국, 미국, 주변국 간 논쟁의 중심에 있다. -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7공병여단 (미국)
제7공병여단(미국)은 1944년 창설되어 태평양 전쟁, 냉전, 걸프 전쟁 등에서 활동했으며, 2023년 재소집되어 독일 안스바흐에 주둔하고 있다. - 동두천시 소재의 관공서 - 경기도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
경기도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은 1981년 경기도의정부교육청에서 분리된 경기도 동두천시교육청으로 개청하여 동두천시와 양주시의 교육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명칭 변경을 거쳐 2010년부터 현재의 이름으로 불리며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관할한다. - 동두천시 소재의 관공서 - 동두천우체국
동두천우체국은 1913년 동두천우편소로 시작하여 1942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경기도 동두천시와 양주시 일대의 여러 우체국 및 우편취급국을 관할한다.
제210야전포병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별칭 | 워리어 썬더 (Warrior Thunder) |
표어 | 최고를 통제한다 (Controlling the Best) |
역할 | 화력 지원 |
규모 | 여단 |
주둔지 | 대한민국 동두천시 캠프 케이시 |
소속 | 미국 육군 |
상위 부대 | 제2보병사단, 제8군 |
![]() | |
역사 | |
창설 | 1944년 1월 4일 1958년 10월 15일 (재창설) 2006년 11월 30일 (재재창설) |
해체 | 1946년 1월 26일 1996년 4월 15일 |
참전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라인란트, 중부 유럽 서남아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방어, 쿠웨이트 해방 및 방어, 휴전 |
지휘관 | |
현재 여단장 | 웨이드 A. 게르만 (Wade A. Germann) 대령 |
현재 주임원사 | 케네스 W. 볼 (Kenneth W. Ball) |
주요 지휘관 | 제롬 H. 그랜루드 (Jerome H. Granrud) 중장 (1982년–1984년) |
장비 | |
장비 | M270A1 MLRS MGM-140 ATACMS |
2. 역사
제210야전포병여단[2]은 1944년 1월 4일 미국 육군에서 제210야전포병단 본부 및 본부 포대로 창설되었다. 1944년 1월 24일 텍사스주 캠프 맥시에서 실전 배치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6년 1월 26일 뉴저지주 캠프 킬머에서 해산되었다.
1958년 9월 17일 제210포병단 본부 및 본부 포대로 부대 명칭이 변경되어 정규 육군에 배정되었다. 1958년 10월 15일에는 서독에서 제7군단 포병의 일환으로 실전 배치되어 안스바흐에 주둔했다. 1971년에는 부대 본부가 헤르초게나우라흐의 헤르조 기지로 이전했다. 1972년 3월 15일에는 제210야전포병단 본부 및 본부 포대로, 1980년 9월 16일에는 제210야전포병여단 본부 및 본부 포대로 부대 명칭이 변경되었다.
독일 주둔 기간 동안 210야전포병여단은 M270 다연장로켓 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화포와 미사일을 사용했다. 배속된 대대는 다음과 같다.[3]
부대 |
---|
제5야전포병대대 3대대 |
제17야전포병대대 3대대 및 5대대 |
제28야전포병대대 2대대 |
제33야전포병대대 1대대 |
제36야전포병대대 1대대 |
제37야전포병대대 3대대 |
제39야전포병대대 3대대 |
제68야전포병대대 1대대 |
제75야전포병대대 1대대 |
제80야전포병대대 1대대 |
제377야전포병대대 2대대 |
제12야전포병연대 2대대 |
1990년 12월, 여단은 사막의 방패 작전의 일환으로 독일에서 사우디아라비아로 배치되었다. 걸프 전쟁에서 활약하였고, 전쟁 후 용맹부대 표창을 받았다.[5]
1992년 1월, 여단은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로 이동하여 제11야전포병연대 제3대대의 통제권을 인수했다.[6] 당시 부대는 태평양 전역에 신속하게 배치 가능한 포병으로서 제18공수군단과 '연계' 관계를 유지했다. 이후 1996년 4월 15일에 해산되었다.
2006년 11월 30일, 제2보병사단 포병대대 HHB를 재지정하여 제210화력여단 본부 및 본부 포대로 한국에서 재창설되었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1944년 1월 4일, ''제210야전포병단, 본부 및 본부포대''로 설계되어 1월 24일에 텍사스주 캠프 맥시에서 창설되었다.[2]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 서부 및 중부 전역에 참전하였다. 1946년 미국 본토로 귀환하여 뉴저지주 캠프 킬리머에서 해산하였다.[2]2. 2. 서독 주둔
1958년 9월 17일 제18포병단을 대체하여 제7군단 포병대에 배속되었고, 10월 15일 서독 안스바흐에서 정규군으로 소집되었다.[2] 1971년 7월 7일 헤르초게나우라흐로 이동했다.[2] 1972년 3월 15일 제210야전포병단 본부 및 본부 포대로, 1980년 9월 16일에는 여단으로 개편되었다.[2]독일 주둔 기간 동안 155mm, 8인치 곡사포, 175mm, 280mm 곡사포, 서전트, 정직한 존, 랜스 미사일, M270 다연장로켓 시스템을 사용했다.[3]
2. 3. 걸프 전쟁
1990년 12월, 제210야전포병여단은 사막의 방패 작전의 일환으로 독일에서 사우디아라비아로 배치되었다.[4] 1991년 2월 26일까지 제2기갑기병연대를 직접 지원했으며, 이후 제1보병사단에 화력 지원을 제공했다. 1991년 5월에 독일로 다시 배치되었다.[4] 걸프 전쟁 후 여단 본부와 본부 포대를 포함한 전체 여단이 용맹부대 표창을 받았다.[5]2. 4. 한반도 주둔
2006년 11월 30일, 제38야전포병연대 1대대와 제37야전포병연대 6대대를 배속받아 한반도에서 '제210화력여단'으로 재소집되었다. 이듬해 제702여단지원대대는 제70여단지원대대로 서수가 바뀌었다.[13][14]2014년 중순, 다른 화력여단과 마찬가지로 야전포병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같은 해 9월 18일, 미국 국방부는 제210화력여단과 한미연합군사령부의 기존 위치 잔류를 요청하였다. 대한민국 국방부는 연합 전력 조율과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문제로 협의 중이었기에 잔류 요청을 즉각 거부하지는 못했다.[13][14] 동두천시는 경기도 내 다른 주한 미군 부대와 마찬가지로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을 원했지만, 미국 국방부는 여단의 잔류를 희망했다. 이에 대한민국 국방부는 여단을 포천시 로드리게스 훈련장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15]
같은 해 10월 23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제46차 한미안보협의회에서 대한민국 육군의 포병 전력으로는 조선인민군 포병 화력에 대응하기 어렵고, 2020년까지 제210화력여단의 임무를 대신할 MLRS 부대 창설에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여단은 캠프 험프리스나 로드리게스 훈련장으로 이전하지 않고 캠프 케이시에 계속 잔류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16][17]
2015년 3월, MLRS 1개 대대가 순환 배치되어 3개 대대로 증강되었으며, 북한군 장사정포 탐지를 위한 대포병 레이다가 추가 배치되었다.[18]
2021년 9월, 미국 워싱턴주 루이스-매코드 합동기지에 있던 제2보병사단 포병대 본부가 경기도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했다.
3. 구조
현재 제210야전포병여단의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 | 종류 | 비고 |
---|---|---|
![]() | 포병대 | |
![]() | MLRS | 제580전방지원중대 |
![]() | MLRS | 제579전방지원중대 |
![]() | 지원 | 제579통신중대 |
제75야전포병여단 파견 | MLRS | 순환 MLRS 대대 |
공동경비구역 파견대 |
3. 1. 지휘부
- 여단장: 대령 웨이드 A. 저먼[1]
- 주임 원사: 케네스 W. 볼[1]
3. 2. 편성
- 본부 및 본부포대
- 제38포병연대 제1대대 (M270 MLRS)
- 제37포병연대 제6대대 (M270 MLRS)
- 제70여단지원대대
- 제210야전포병여단 (제210FAB)
- * 본부 및 본부 포대 (HHB), 제210야전포병여단 (제210FAB)
- * 제37야전포병연대 제6대대 (6-37th FAR) (MLRS)
- ** 제579전방지원중대 (579th FSC)
- * 제38야전포병연대 제1대대 (1-38th FAR) (MLRS)
- ** 제580전방지원중대 (580th FSC)
- * 제70여단지원대대 (70th BSB)
- ** 제579통신중대
- * 제75야전포병여단에서 파견된 순환 MLRS 대대
- * 공동경비구역 파견대
4. 기록
제210야전포병여단은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재지정을 거쳤다. 제2차 세계 대전, 걸프 전쟁 등에 참전하여 여러 훈장을 받았다.
스트리머 | 내역 |
---|---|
제2차 세계 대전, 유럽전구 | 라인란트 전역 |
중부 유럽 전선 | |
걸프 전쟁 | 사우디 아라비아 방어 |
쿠웨이트 해방 및 방어 | |
휴전 |
스트리머 | 내역 |
---|---|
육군 용맹부대표창 | 1991년 이라크 |
1991년 이라크 | |
4. 1. 계보
- 1944년 1월 4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ery, 210th Field Artillery Group영어 (제210야전포병단, 본부 및 본부포대) 창설.[2]
- 1958년 9월 17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ery, 210th Artillery Group영어 (제210포병단, 본부 및 본부포대) 재지정 및 정규군 배정.[2]
- 1972년 3월 15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ery, 210th Field Artillery Group영어 (제210야전포병단, 본부 및 본부포대) 재지정.[2]
- 1980년 9월 15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ery, 210th Field Artillery Brigade영어 (제210야전포병여단, 본부 및 본부포대) 재지정.[2]
- 2006년 11월 30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ery, 210th Fires Brigade영어 (제210화력여단, 본부 및 본부포대) 재지정.[2]
- 2014년: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ery, 210th Field Artillery Brigade영어 (제210야전포병여단, 본부 및 본부포대) 재지정.[2]
4. 2. 전역
스트리머 | 내역 |
---|---|
제2차 세계 대전, 유럽전구 | 라인란트 전역 |
중부 유럽 전선 | |
걸프 전쟁 | 사우디 아라비아 방어 |
쿠웨이트 해방 및 방어 | |
휴전 |
4. 3. 훈장
스트리머 | 내역 |
---|---|
육군 용맹부대표창 | 1991년 이라크 |
용맹부대 표창 | 1991년 이라크 |
2회 우수부대 표창 |
참조
[1]
웹사이트
210th FAB Info - Korean Army
http://www.2id.korea[...]
2014-11-15
[2]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ery, 210th Field Artillery Brigade
http://www.history.a[...]
History.army.mil
2011-05-20
[3]
웹사이트
USAREUR Units & Kasernes, 1945–1989
http://www.usarmyger[...]
[4]
간행물
FA Journal
1991-12
[5]
서적
Thomas D. Dinackus
2000
[6]
간행물
FA Journal
1992-12
[7]
웹사이트
210th FAB - Pentagon Heraldry
http://www.tioh.hqda[...]
2011-09-29
[8]
웹사이트
6th Batallion - Pentagon Heraldry
http://www.tioh.hqda[...]
2011-09-29
[9]
웹사이트
580th FSC - Pentagon Heraldry
http://www.tioh.hqda[...]
2011-09-29
[10]
웹사이트
580th FSC - Pentagon Heraldry 2
http://www.tioh.hqda[...]
2011-09-29
[11]
웹사이트
Rotational MLRS battalion arrives in Korea
https://www.army.mil[...]
[12]
웹인용
210TH FIRES BRIGADE
http://www.tioh.hqda[...]
문장학 연구소
2014-10-15
[13]
뉴스
미, 화력여단·연합사 잔류 요청…미군기지 이전 ‘빨간불’
http://news.kbs.co.k[...]
KBS 뉴스
2014-09-18
[14]
뉴스
미, 이전 예정 동두천 화력여단 잔류 표명
http://www.ytn.co.kr[...]
YTN
2014-09-18
[15]
뉴스
軍 '美 210화력여단' 포천 이전 검토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4-09-22
[16]
뉴스
동두천시 "미2사단 전부 이전하고 지원대책 마련하라"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10-24
[17]
뉴스
[戰作權 전환 재연기] 北 장사정포 타격할 다연장로켓(사거리 32~45km) 평택으로 옮기면 無用之物 될판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4-10-24
[18]
뉴스
주한미군 2사단장 “동두천 210화력여단, 평택 이전할 것”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5-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