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베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베이는 중국의 6대 지역 중 하나로, 황하 이북 지역을 지칭하며, 허베이성, 베이징시, 산시성, 내몽골 자치구, 톈진시를 포함한다. 이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다양한 문화가 존재했으며, 중국 농업의 중요한 지역이었다. 지리적으로는 황하와 고비 사막 사이에 위치하며, 만리장성과 같은 이민족 방어 시설이 많다. 화북 지역은 관화 방언을 사용하며, 기장과 보리를 재배하여 만두와 찐빵과 같은 중화 요리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6대 지리구 - 산시성 (산서성)
산시성은 중국 북부에 위치한 성으로 진나라의 기원을 가지며 풍부한 문화유산을 자랑하고 진상으로 유명했으며 석탄 산업을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했으나 환경 오염과 경제 불균형 문제가 존재하며 다양한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11개의 지급시로 구성된 중국 공산당의 지배를 받는 지역이다. - 중국의 6대 지리구 - 화난
화난은 중국 남부 지역을 지칭하며, 주강 삼각주, 홍콩, 마카오 등을 포함하고 역사적으로 한족 국가가 통치했으며, 벼농사 발달과 유럽 열강의 자본 유입을 거쳐 현재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 하이난성, 홍콩, 마카오 등이 속한다. - 중국에 관한 - 신도가
신도가는 전한 시대의 무관 출신으로, 항우와의 싸움과 영포의 난에 참여하고 혜제 때 회양태수를 거쳐 승상에 올랐으며, 청렴한 성품으로 황제의 총애를 받던 등통을 처벌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조조와의 갈등 끝에 죽음을 맞이하여 절후의 시호를 받았다. - 중국에 관한 - 카자흐인
카자흐인은 15세기 카자흐 칸국 건국 이후 명칭이 사용된 튀르크계 중앙아시아 북부 유목민족으로, "자유로운 자"를 뜻하는 카자흐라는 명칭은 권위에 저항하는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에서 유래했으며, 카자흐 초원을 중심으로 실크로드 무역을 통해 번성했고, 유목 생활과 튀르크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현재 여러 국가에 디아스포라가 거주하고 있다.
화베이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화베이 (华北) |
로마자 표기 | Huábei |
국가 | 중국 |
면적 | 2,185,105 km² |
인구 | 164,823,136명 |
인구 기준 시점 | 2020년 |
경제 | |
GDP (2022년) | ¥14.909조 ($2.217조) |
1인당 GDP (2022년) | ¥90,457 ($13,449) |
기타 | |
추가 정보 | |
극심한 강수량의 시공간적 변동성 | 친링-화이허 지역 북쪽과 남쪽, 1960-2013년 동안의 영향 요인 |
2. 역사
화베이는 현재 행정구역상 명칭은 아니지만, 역사 및 지리적 맥락에서 널리 사용된다. 중국 남북조 시대 때 북위가 화북 지역을 통일하여 다스렸다. 행정구역상으로는 베이징, 톈진, 허베이성, 산시성, 내몽골 자치구가 포함된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인 베이징을 비롯하여 톈진, 스자좡, 타이위안, 탕산, 다퉁, 후허하오터 등의 도시가 있다. 허베이성의 산하이관은 만리장성의 동쪽 끝이다.
2. 1. 고대
선사 시대에 이 지역에는 양소 문화와 룽산 문화가 존재했다. 베이징 원인은 오늘날 베이징 근처에서 발견되었다.중국의 주요 농업 지역은 중원으로 알려진 지역에 있었는데, 이 지역은 남쪽으로는 양쯔강, 북쪽으로는 황하에 접해 있었다. 황하 북쪽에는 고비 사막과 유라시아 대륙 서쪽으로 뻗어 있는 초원 지대가 있다. 이 지역은 길고 혹독한 겨울을 가지고 있으며, 수자원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4]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특히 목축, 특히 말과 낙타, 그리고 다른 종류의 동물의 목축을 포함한 일부 농업 형태는 이 지역에서 성공적이었다. 기장의 한 종류인 ''Panicum miliaceum''과 ''Setaria italica''는 중국 북부가 원산지로 여겨진다. ''Panicum miliaceum''은 하북성의 치산 문화에서 발견되었는데, 층서학 단면의 구덩이에서 규산체로 발견되었다. 구덩이의 퇴적물은 기원전 8500년에서 7500년 사이의 방사성탄소 연대를 가지고 있다. 하북성의 난좡터우와 치산의 초기 홀로세 지층에서 발견된 탄화된 곡물의 고고학적 증거는 학자들이 기장과 관련된 가장 초기의 연대를 약 2천 년 정도 수정하도록 이끌었다. 기장 유적지는 황토 고원과 몽골 고원의 경계를 따라 집중되어 있으며, 산맥으로 화베이 평원과 중국 북부의 주요 충적 평원인 둥베이 평원과 분리되어 있다. 기장 재배는 다디완의 친링 산맥과 위에좡의 이타이 산맥과 관련하여 유사한 위치에 있었다. (여우꼬리 기장과 빗자루 기장의 탄화된 곡물) 거대 화석 증거는 내몽골의 싱롱구, 요녕의 신륵, 하북성의 치산, 감숙의 다디완 등 중국 동부와 중부의 다른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5]
2. 2. 중세
황하 이북, 특히 황하 이북 지역은 옛날부터 이민족의 영토와 국경을 접하고 있었기 때문에 만리장성을 비롯한 이민족 방어용 방어선이 많다. 그러나 화북 북쪽에 있는 이민족은 주로 유목 기마 민족이었고, 그들은 승마에 능숙한 기병으로서 전술, 전투 능력 모두 뛰어났기 때문에 이 화북 지역에는 이민족이 여러 번 침입하여 국가를 세운 적이 있었다. 화북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내몽골 자치구도 역사적으로 수많은 대립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1]평원 지대에서는 옛날부터 기장이나 보리가 재배되었고, 일본에서도 유명한 물만두(만두)나 찐빵(찐빵) 등의 중화요리를 탄생시켰다. 8대 요리 중에서는 산동 요리 계통에 속하는 음식이 전통적으로 먹히고 있다. 태평천국의 난 때 화북의 정부군이 화남으로 진격했을 때, 보리만 먹던 정부군 병사들이 양자강 유역의 곡창 지대에서 제 구실을 못하게 되었다고 하는 에피소드가 있다.[1]
2. 3. 근대
과거 제2차 세계 대전 무렵까지 일본 국내에서는 이 지역을 '''북지(北支)''', '''북지나(北支那)''' 등의 명칭으로 불렀다.[1] 황하 이북, 특히 황하 이북 지역은 옛날부터 이민족의 영토와 국경을 접하고 있었기 때문에 만리장성을 비롯한 이민족 방어용 방어선이 많았다.[1] 그러나 화북 북쪽에 있는 이민족은 주로 유목 기마 민족이었고, 그들은 승마에 능숙한 기병으로서 전술, 전투 능력 모두 뛰어났기 때문에 이 화북 지역에는 이민족이 여러 번 침입하여 국가를 세운 적이 있었다.[1] 화북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내몽골 자치구도 역사적으로 수많은 대립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1]평원 지대에서는 옛날부터 기장이나 보리가 재배되었고, 일본에서도 유명한 물만두(만두)나 찐빵(찐빵) 등의 중화요리를 탄생시켰다.[1] 8대 요리 중에서는 산동 요리 계통에 속하는 음식이 전통적으로 먹히고 있다.[1] 태평천국의 난 때 화북의 정부군이 화남으로 진격했을 때, 보리만 먹던 정부군 병사들이 양자강 유역의 곡창 지대에서 제 구실을 못하게 되었다고 하는 에피소드가 있다.[1] 현대 화북에서는 농업 기술의 발달로 쌀의 낟알 식용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화북에서도 쌀 소비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1]
언어 측면에서는 화북에서는 기본적으로 관화 방언(진 방언 포함)이 사용되고 있다.[1]
2. 4. 현대
지역적으로는 대체로 황하 이북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황하 이남을 화남이라고 총칭한다. 경우에 따라 더 세분하여 황하 일대(황하와 양자강 사이 지역)를 화중으로 하고, 황하 이북을 화북, 양자강 이남을 화남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현재 중국의 행정 구역에는 이러한 명칭은 없지만, 역사 이야기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지금도 그 명칭이 남아 있다. 과거 제2차 세계 대전 무렵까지 일본 국내에서는 이 지역을 '''북지(北支)''', '''북지나(北支那)''' 등의 명칭으로 불렀다.평원 지대에서는 옛날부터 기장이나 보리가 재배되었고, 일본에서도 유명한 물만두(만두)나 찐빵(찐빵) 등의 중화요리를 탄생시켰다. 8대 요리 중에서는 산동 요리 계통에 속하는 음식이 전통적으로 먹히고 있다. 태평천국의 난 때 화북의 정부군이 화남으로 진격했을 때, 보리만 먹던 정부군 병사들이 양자강 유역의 곡창 지대에서 제 구실을 못하게 되었다고 하는 에피소드가 있다. 현대 화북에서는 농업 기술의 발달로 쌀의 낟알 식용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화북에서도 쌀 소비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언어 측면에서는 화북에서는 기본적으로 관화 방언(진 방언 포함)이 사용되고 있다.
3. 지리
화베이는 현재 행정구역상 명칭은 아니지만, 역사 및 지리적 맥락에서 널리 사용된다. 중국 남북조 시대 때 북위는 화북을 통일하여 다스렸다. 굳이 행정구역상 분류하자면 베이징 시, 톈진 시, 허베이성, 산시성, 내몽골 자치구가 포함된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인 베이징을 비롯해 톈진, 스자좡, 타이위안, 탕산, 다퉁, 후허하오터 등의 도시가 있다. 허베이성의 산하이관은 만리장성의 동쪽 끝이며, 서쪽 끝은 간쑤성의 가욕관이다.
선사 시대에는 양소 문화와 룽산 문화가 존재했다. 베이징 원인은 오늘날 베이징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중국의 주요 농업 지역은 중원으로, 남쪽으로는 양쯔강, 북쪽으로는 황하에 접해 있었다. 황하 북쪽에는 고비 사막과 유라시아 대륙 서쪽으로 뻗어 있는 초원 지대가 있다. 이 지역은 길고 혹독한 겨울을 가지고 있으며, 수자원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4]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목축, 특히 말, 낙타 등의 목축을 포함한 일부 농업 형태는 이 지역에서 성공적이었다. 기장의 한 종류인 ''Panicum miliaceum''과 ''Setaria italica''는 중국 북부가 원산지로 여겨진다. ''Panicum miliaceum''은 하북성의 치산 문화에서 층서학 단면의 구덩이에서 규산체로 발견되었다. 구덩이의 퇴적물은 기원전 8500년에서 7500년 사이의 방사성탄소 연대를 가지고 있다. 하북성의 난좡터우와 치산의 초기 홀로세 지층에서 발견된 탄화된 곡물의 고고학적 증거는 학자들이 기장과 관련된 가장 초기의 연대를 약 2천 년 정도 수정하도록 이끌었다. 기장 유적지는 황토 고원과 몽골 고원의 경계를 따라 집중되어 있으며, 산맥으로 화베이 평원과 중국 북부의 주요 충적 평원인 둥베이 평원과 분리되어 있다. 기장 재배는 다디완의 친링 산맥과 위에좡의 이타이 산맥과 관련하여 유사한 위치에 있었다. (여우꼬리 기장과 빗자루 기장의 탄화된 곡물) 거대 화석 증거는 내몽골의 싱롱구, 요녕의 신륵, 하북성의 치산, 감숙의 다디완 등 중국 동부와 중부의 다른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5]
지역적으로는 대체로 황하 이북을 가리킨다. 반대로 황하 이남을 화남이라고 총칭한다. 경우에 따라 황하 일대(황하와 양자강 사이 지역)를 화중으로 하고, 황하 이북을 화북, 양자강 이남을 화남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평원 지대에서는 옛날부터 기장이나 보리가 재배되었고, 만두, 찐빵 등의 중화요리를 탄생시켰다. 8대 요리 중에서는 산동 요리 계통의 음식이 전통적으로 섭취되었다. 태평천국의 난 때 화북의 정부군이 화남으로 진격했을 때, 보리만 먹던 정부군 병사들이 양자강 유역의 곡창 지대에서 제 구실을 못하게 되었다고 하는 에피소드가 있다. 현대 화북에서는 농업 기술의 발달로 쌀의 낟알 식용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쌀 소비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언어 측면에서는 화북에서는 기본적으로 관화 방언(진 방언 포함)이 사용되고 있다.
4. 행정 구역
현재 화베이는 행정구역상 명칭은 아니지만, 역사 및 지리적 맥락에서 널리 사용된다. 굳이 행정구역상 분류하자면 베이징 시(北京市), 톈진 시(天津市), 허베이성(河北省), 산시성(山西省), 내몽골 자치구(内蒙古自治区)가 포함된다.[6][7]
GB | ISO 번호 | 성(省) | 중국어 명칭 | 성도 | 인구 | 인구밀도 | 면적 | 약칭/기호 | ||
---|---|---|---|---|---|---|---|---|---|---|
베이징시(北京市) | 北京市 | 北京市 | Běijīng Shì | 京중국어 | 19,612,368 | 1,167.40 | 16,800 | BJ | Jīng | |
톈진시(天津市) | 天津市 | 天津市 | Tiānjīn Shì | 津중국어 | 12,938,224 | 1,144.46 | 11,305 | TJ | Jīn | |
허베이성(河北省) | 河北省 | 河北省 | Héběi Shěng | 冀중국어 | 시가좡(石家莊) | 71,854,202 | 382.81 | 187,700 | HE | Jì |
산시성(山西省) | 山西省 | 山西省 | Shānxī Shěng | 晋중국어 | 타이위안(太原) | 35,712,111 | 228.48 | 156,300 | SX | Jìn |
내몽골 자치구(內蒙古自治區) | 內蒙古自治区 | 内蒙古自治區 | Nèi Měnggǔ Zìzhìqū | 蒙(內蒙古)중국어 | 후허하오터(呼和浩特) | 24,706,321 | 20.88 | 1,183,000 | NM | Měng (Nèi Měnggǔ) |
화베이 지역의 주요 도시 인구는 다음과 같다.[3][8]
# | 도시 | 도시권 인구 | 구역 면적 | 시 proper 인구 | 성(省) | 인구조사일 |
---|---|---|---|---|---|---|
1 | 베이징(Beijing) | 16,446,857 | 18,827,262 | 19,612,368 | 베이징(BJ) | 2010-11-01 |
2 | 톈진(Tianjin) | 9,562,255 | 11,090,783 | 12,938,693 | 톈진(TJ) | 2010-11-01 |
3 | 타이위안(Taiyuan) | 3,154,157 | 3,426,519 | 4,201,592 | 산시성(SX) | 2010-11-01 |
4 | 스자좡(Shijiazhuang) | 2,770,344 | 2,834,942 | 10,163,788 | 허베이성(HE) | 2010-11-01 |
5 | 탕산(Tangshan) | 2,128,191 | 3,187,171 | 7,577,289 | 허베이성(HE) | 2010-11-01 |
6 | 바오터우(Baotou) | 1,900,373 | 2,096,851 | 2,650,364 | 내몽골 자치구(NM) | 2010-11-01 |
7 | 후허하오터(Hohhot) | 1,497,110 | 1,980,774 | 2,866,615 | 내몽골 자치구(NM) | 2010-11-01 |
8 | 다퉁(Datong) | 1,362,314 | 1,737,514 | 3,318,054 | 산시성(SX) | 2010-11-01 |
9 | 한단(Handan) | 1,316,674 | 1,445,338 | 9,174,683 | 허베이성(HE) | 2010-11-01 |
10 | 바오딩(Baoding) | 1,038,195 | 1,138,521 | 11,194,382 | 허베이성(HE) | 2010-11-01 |
5. 주요 도시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인 베이징(北京)을 비롯하여 톈진(天津), 스자좡(石家庄), 타이위안(太原), 탕산(唐山), 다퉁(大同), 후허하오터(呼和浩特) 등의 도시가 있다.[6][7][3][8]
# | 도시 | 도시권 인구 | 구역 면적 | 시 proper 인구 | 성(省) | 인구조사일 |
---|---|---|---|---|---|---|
1 | 베이징(Beijing) | 16,446,857 | 18,827,262 | 19,612,368 | 베이징(BJ) | 2010-11-01 |
2 | 톈진(Tianjin) | 9,562,255 | 11,090,783 | 12,938,693 | 톈진(TJ) | 2010-11-01 |
3 | 타이위안(Taiyuan) | 3,154,157 | 3,426,519 | 4,201,592 | 산시성(SX) | 2010-11-01 |
4 | 스자좡(Shijiazhuang) | 2,770,344 | 2,834,942 | 10,163,788 | 허베이성(HE) | 2010-11-01 |
5 | 탕산(Tangshan) | 2,128,191 | 3,187,171 | 7,577,289 | 허베이성(HE) | 2010-11-01 |
6 | 바오터우(Baotou) | 1,900,373 | 2,096,851 | 2,650,364 | 내몽골 자치구(NM) | 2010-11-01 |
7 | 후허하오터(Hohhot) | 1,497,110 | 1,980,774 | 2,866,615 | 내몽골 자치구(NM) | 2010-11-01 |
8 | 다퉁(Datong) | 1,362,314 | 1,737,514 | 3,318,054 | 산시성(SX) | 2010-11-01 |
9 | 한단(Handan) | 1,316,674 | 1,445,338 | 9,174,683 | 허베이성(HE) | 2010-11-01 |
10 | 바오딩(Baoding) | 1,038,195 | 1,138,521 | 11,194,382 | 허베이성(HE) | 2010-11-01 |
6. 문화
화북 평원 지대에서는 예로부터 기장, 보리 재배가 이루어졌고, 만두, 찐빵과 같은 중화요리가 발달했다. 전통적으로 산동 요리 계통의 음식이 섭취되었다. 태평천국의 난 당시, 보리에 익숙했던 화북 출신 병사들이 쌀을 주식으로 하는 양자강 유역에서 어려움을 겪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현대에는 농업 기술 발달로 화북 지역에서도 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6. 1. 언어
화북에서는 기본적으로 관화 방언(진 방언 포함)이 사용되고 있다.6. 2. 요리
평원 지대에서는 옛날부터 기장이나 보리가 재배되었고, 일본에서도 유명한 물만두(만두)나 찐빵(찐빵) 등의 중화요리를 탄생시켰다. 8대 요리 중에서는 산동 요리 계통에 속하는 음식이 전통적으로 먹히고 있다. 태평천국의 난 때 화북의 정부군이 화남으로 진격했을 때, 보리만 먹던 정부군 병사들이 양자강 유역의 곡창 지대에서 제 구실을 못하게 되었다고 하는 에피소드가 있다. 현대 화북에서는 농업 기술의 발달로 쌀의 낟알 식용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화북에서도 쌀 소비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Main Data of the Seventh National Population Census
https://web.archive.[...]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21-05-11
[2]
보도자료
Home - Regional - Quarterly by Province
https://data.stats.g[...]
China NBS
[3]
학술지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extreme precipitation in north and south of the Qinling-Huaihe region and influencing factors during 1960-2013
http://www.progressi[...]
2017-05-25
[4]
서적
Reinventing the Chinese Cit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3
[5]
서적
The Cambridge World History Volume II A World With Agriculture 12,000 BCE-500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6]
문서
GB/T 2260 codes for the provinces of China
http://www.people.fa[...]
[7]
표준
ISO 3166-2:CN codes for the provinces of China
[8]
서적
中国2010年人口普查分县资料
China Statistics Press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