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갈색쌀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갈색쌀쥐(Euryoryzomys russatus)는 쥐목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브라질을 비롯한 남아메리카 지역의 숲에 서식하며, 야행성으로 씨앗, 과일, 곤충 등을 섭취한다. 숲의 덮개 정도에 따라 개체 수가 영향을 받으며, 일부일처제 짝짓기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관심 필요 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서식지 파괴에 취약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황갈색쌀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Euryoryzomys russatus |
명명자 | (Wagner, 1848) |
상태 | 최소관심종 |
상태 기준 | IUCN3.1 |
분류학적 정보 | |
속 | 맥코넬쌀쥐속 (Euryoryzomys) |
종 | 황갈색쌀쥐 (E. russatus) |
이명 |
2. 분류
'''황갈색쌀쥐'''[8]는 쥐목 쥐과[9] ''Euryoryzomys'' 속에 속하는 종이다.[10]
2. 1. 어원
접두사 "유리-"는 그리스어 단어 '유리스'에서 유래되었으며 "넓은" 또는 "광대한"을 뜻한다.[6] 종명 "루사투스"는 라틴어 단어 '루사투스'에서 유래되었으며 "붉은색으로 덮인"을 뜻한다.[7]3. 분포 및 서식지
황갈색쌀쥐는 브라질 본토와 외딴 섬에서 발견된다.[5] 이 종은 볼리비아, 아르헨티나, 파라과이에서도 발견된다.[5] 저지대와 산악 지역(산악 지역)으로 구성된 고도 경사면을 따라 발견되며, 대서양림과 아마존 열대 우림의 일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5][11][12]
''E. russatus''가 수집된 구체적인 장소는 다음과 같다.
위치 | 세부 위치 | 표본 종류 | 주석 |
---|---|---|---|
브라질 산타카타리나 섬 중부 | 데스테로 환경 보존 구역 | 산 표본 | [22] |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 | 알렘 파라히바 | 박물관 표본 | [11] |
브라질 파라나 주 | 구아리카나 국립공원 | 박물관 표본 | [11] |
브라질 상파울루 주 | 일랴 두 카르도수 | 박물관 표본 | [11] |
브라질 남부 파라나 | (고양이과 포식자의 배설물) | 유전자 식별 | [27] |
브라질 상파울루 | 피싱구아바 | 산 표본 | [13] |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주 | (상세 위치 불명) | 산 표본 | [14] |
브라질 상파울루 | 모루 그란데 삼림 보호 구역 | 산 표본 | [17] |
이 종은 숲 전문종으로, 광범위한 숲 캐노피(canopy) 덮개가 있는 서식지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간주된다.[15] 숲 덮개가 증가함에 따라 개체 수와 이입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5]
4. 생태
황갈색쌀쥐는 야행성이며, 주로 숲 바닥 낙엽 위를 이동하는 육상 설치류이다.[17][18] 따뜻하고 습한 계절에는 나무 부스러기, 낮은 낙엽 높이, 높은 절지동물 생물량이 있는 지역에서 개체수가 더 많았으며, 서늘하고 건조한 계절에는 높은 낙엽 습도가 있는 지역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관찰되었다.[17] 기회주의적인 식성을 보여 씨앗, 과일, 곤충을 섭취한다.[19][20] 브라질 대서양 숲에서 이루어진 연구에서 황갈색쌀쥐는 효율적인 씨앗 포식자로, 제공된 대부분의 씨앗을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관찰된 개체보다 질량이 큰 씨앗은 제외).[21]
브라질 남부 산타카타리나 섬의 개체군 연구에서는 거의 동일한 성비를 보였다.[22] 황갈색쌀쥐는 일부일처제 짝짓기 시스템을 가진다.[20][22] 암컷은 연중 번식하며, 이는 식량 자원 가용성과 관련이 있다.[20] 둥지는 컵 모양이며, 벼과 식물인 대나무와 기타 풀의 섬유로 만들어진다.[18] 새끼는 털이 없고 눈과 귀가 닫힌 채로 태어난다.[18] 임신한 암컷과 둥지의 새끼를 조사한 결과, 임신당 평균 3.6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보통 3~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8]
4. 1. 형태
Euryoryzomys속 쥐들은 등 쪽 털 색깔이 황색에서 적갈색을 띠고, 배 쪽은 더 밝은 색을 띤다.[16] 귀는 일반적으로 중간 크기에서 큰 편이며, 수염은 귀를 넘지 않는다. 대부분의 종은 관골을 가지고 있지만, E. lamia는 예외이다.[16]Euryoryzomys russatus는 큰 두개골과 비교적 긴 몸길이( 112mm~185mm )를 가진다.[5] 평균 체중은 59g이고,[17] 꼬리 길이는 평균 105mm~196mm이다.[5] 털은 몸통 등쪽은 적갈색이고 배쪽은 흰색이며, 귓바퀴와 꼬리는 회색이다. 앞다리와 뒷다리는 코와 함께 옅은 분홍색이고, 얼굴 수염은 검은색이다. ''E. russatus''의 두정골은 측면 확장이 없다.[16]
4. 2. 유전학
유전자 분석[12]을 통해 다양한 황갈색쌀쥐 개체군을 미토콘드리아 및 핵 유전자 영역을 사용하여 세 개의 클레이드로 분류했지만, 아종은 확인되지 않았다.[12] 브라질 남부 대서양 우림에서 개체군의 유전적 구조에 초점을 맞춘 연구에서는 종의 분포 전반에 걸쳐 유전적 구조가 발견되지 않았다.[23] 파르크 에스타두알 다 세하 두 마르(브라질 산타 버지니아)에서 채취한 황갈색쌀쥐 개체의 핵형 분석 결과, 염색체 수는 2n=80으로 밝혀졌다.[9] 이 수는 E. emmonsae 및 E. nitidus와 동일하다.[9]5. 보존 상태
황갈색쌀쥐는 2016년 9월 현재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관심 필요 종으로 분류되어 있다.[24]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이 종은 서식지 훼손이나 파괴와 같은 인위적인 교란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12][15][25][26]
6. 포식자
연구에 따르면 ''E. russatus''는 재규어런디, 온실라, 오셀롯을 포함한 여러 신열대 고양이과 동물의 먹이로 밝혀졌다.[27] 고양이 또한 ''E. russatus''를 잡아먹는 것으로 나타났다.[28]
7. 기생충
''E. russatus''의 위장관 기생충 연구에서 섬과 대륙 개체군에서 8가지 다른 내부 기생충이 발견되었다.[29] 새로운 종의 선충류, ''Hassalstrongylus luquei''가 ''E. russatus''의 소장에서 발견되었다.[14] 단일 개체에서 ''Paracoccidioides brasiliensis''에 의한 전신성 진균 감염 항체가 발견되었다.[30] 브라질 반점열을 유발하는 ''Rickettsia rickettsii''에 대한 연구에서 ''E. russatus''가 이 질병의 매개체인 진드기 종 ''Amblyomma ovale''의 숙주임이 밝혀졌다.[31]
참조
[1]
간행물
Euryoryzomys russatus
[2]
학술지
Beiträge zur Kenntniss der Säugthiere Amerika's
https://www.biodiver[...]
1848
[3]
MSW3 Muroidea
[4]
서적
Mammals of the World: A checklist
Yale University Press
2004
[5]
서적
Mammals of South America: Rodents
https://www.research[...]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
웹사이트
eury- {{!}} Origin and meaning of prefix eury-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2019-09-28
[7]
웹사이트
Definition of russatus
https://latinlexicon[...]
2019-09-28
[8]
서적
Beiträge zur Kenntniss der Säugthiere Amerika's / vom A. Wagner.
https://www.biodiver[...]
Königli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848
[9]
학술지
New karyologycal data and cytotaxonomic considerations on small mammals from Santa Virgínia (Parque Estadual da Serra do Mar, Atlantic Forest, Brazil)
2014-01-24
[10]
서적
Mammals of South America, Volume 2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5
[11]
학술지
Variation of craniodental traits in russet rats Euryoryzomys russatus (Wagner, 1848) (Rodentia: Cricetidae: Sigmodontinae) from Eastern Atlantic Forest
2016
[12]
학술지
Geographic Patterns of Genetic Variation and Conservation Consequences in Three South American Rodents
[13]
학술지
Non-volant mammals of Picinguaba, Ubatuba, state of São Paulo, southeastern Brazil
https://www.research[...]
2008
[14]
문서
a new species of Hassalstrongylus (Nematoda: Heligmonelidae) from Euryoryzomys russatus (Rodentia: Sigmodontinae) in the Atlantic forest, Brazil
2014
[15]
문서
Habitat specialization interacts with habitat amount to determine dispersal success of rodents in fragmented landscapes
https://doi.org/10.1[...]
2013
[16]
문서
"Ten new genera of oryzomyine rodents (Cricetidae: Sigmodontina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06-10-19
[17]
문서
Seasonal Microhabitat Selection by Terrestrial Rodents in an Old-Growth Atlantic Forest
http://www.jstor.org[...]
2009
[18]
문서
A first view of the unseen: nests of an endangered Atlantic Forest rat species
2016
[19]
문서
Isolation and genetic characterization of a hantavirus (Bunyaviridae: Hantavirus) from a rodent, Oligoryzomys microtis (Muridae), collected in northeastern Peru
1999
[20]
문서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space by two rodent species in Brazilian Atlantic forest
2004
[21]
학술지
Seed Predation by Rodent and Implications for Plant Recruitment in Defaunated Atlantic Forests
2015
[22]
문서
Population dynamics of Euryoryzomys russatus and Oligoryzomys nigripes (Rodentia, Cricetidae) in an Atlantic forest area, Santa Catarina Island, Southern Brazil
2009
[23]
학술지
Genetic structure of sigmodontine rodents (Cricetidae) along an altitudinal gradient of the Atlantic Rain Forest in southern Brazil
[24]
간행물
Euryoryzomys russatus
2020-01-12
[25]
문서
The role of forest structure, fragment size and corridors in maintaining small mammal abundance and diversity in an Atlantic forest landscape
2005
[26]
문서
Small mammals in a mosaic of forest remnants and anthropogenic habitats evaluating matrix quality in an Atlantic forest landscape
2007
[27]
학술지
Diets of three sympatric Neotropical small cats: Food niche overlap and interspecies differences in prey consumption
2010
[28]
학술지
Domestic cat predation on Neotropical species in an insular Atlantic Forest remnant in southeastern Brazil
[29]
학술지
Differences in richness and composition of gastrointestinal parasites of small rodents (Cricetidae, Rodentia) in a continental and insular area of the Atlantic Forest in Santa Catarina state, Brazil
[30]
학술지
Paracoccidioides brasiliensis Infection in Small Wild Mammals
[31]
학술지
Ecology, biology and distribution of spotted-fever tick vectors in Brazil
[32]
IUCN2008
Euryoryzomys russatus
[33]
학술지
Beiträge zur Kenntniss der Säugthiere Amerika's
http://biodiversityl[...]
1848
[34]
MSW3 Muroidea
[35]
서적
Mammals of the World: A checklist
Yale University Press
2004
[36]
저널
Ten new genera of oryzomyine rodents (Cricetidae: Sigmodontina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06-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